KR20050055866A -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866A
KR20050055866A KR1020030088913A KR20030088913A KR20050055866A KR 20050055866 A KR20050055866 A KR 20050055866A KR 1020030088913 A KR1020030088913 A KR 1020030088913A KR 20030088913 A KR20030088913 A KR 20030088913A KR 20050055866 A KR20050055866 A KR 2005005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data
keyp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866A/en
Publication of KR2005005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6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변경할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변경할 제 1키를 선택하면,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 중에서 변경할 제 2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 1키의 키 데이터와 상기 제 2키의 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상기 교환된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4단계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디폴트 키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키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키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hen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to change the key data of the keypad, the list of keys to be changed is displayed. If a first key to be changed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keys to be changed, a key list except for the first key is displayed. If a second key to be changed is selected from a list of keys other than the first key,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and the key data of the second key are exchanged. And a fourth step of storing the exchanged key data. If the user selects a function using the default key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ading the default key data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storing the key key data as key data.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How to change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상의 변경할 제 1키와 제 2키를 선택하면 제 1키의 키데이터와 제 2키의 키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particularly, when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to be changed on the keypad are selected,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and the key data of the second key are changed.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in exchange with each other.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사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출시하면서 각 제조사에서 지정해둔 키패드에 하나의 키패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only one keypad function on the keypad specified by each manufacturer while relea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키패드로는 통화키, 종료키, 숫자키(0~9), *키, #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는 키 외에 문자메시지를 위한 SMS 전용키,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의 부가서비스를 부각시키기 위한 NATE/JUNE 등의 키가 따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의 자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키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키는 상, 하, 좌, 우 그리고 OK 키를 제공한다.That is, basically, a keypad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ll key, an end key, numeric keys (0 to 9), * key, and # key. Basically, in addition to the key provided to the user, a key such as an SMS dedicated key for a text message and a NATE / JUNE for highlighting an additiona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re separately provided. In addition, a navigation key for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r's own user interfac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Navigation keys provided by most mobile terminal manufacturers provide up, down, left, right and OK keys.

그렇지만,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는 제조사에서 기본적으로 배열하는 키패드로 고정되어 출시된다. 또한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반으로 출시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로 이동성을 들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이동을 하면서 키 입력을 하는데 있어서 오른손잡이 사용자드에게 편리하게 되어 있다. 왼손잡이 사용자들은 통화키나 종료키, 네비게이션 키 등을 오른손잡이 사용자들과 같은 키패드상의 위치에서 사용하게 되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keypad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ly released as a keypad that is basically arranged by the manufacturer. In addition,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asically released based on right-handed users. One of the most basic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bility, which is convenient for a right-handed user in inputting a key while the user moves. Left-handed use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 call key, an end key, a navigation key, etc. in the same position on the keypad as the right-handed users.

한편,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가 근래 많이 제공하는 신규 부가서비스로 동영상 서비스(VOD)나 음악 서비스(MOD)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는 거의 모든 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런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각종 키들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외부키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에서 출시되는 각 모델마다 상이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많다. 그렇지만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로 기기변경을 하거나 신규로 가입했을 때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가 제공하는 키패드의 기능을 변경하고 싶어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키로 자동응답을 위한 키가 제공될 수 있는데 실제 사용자는 자동응답을 거의 쓰지 않는다면 이 키를 자신이 원하는 특정한 다른 키로 변경하고 싶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services such as video service (VOD) or music service (MOD) as a new additional service provided b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n recent years, almost all key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used. In this case, various keys located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also used, and these external keys often have different functions for each model released by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However, when a user who used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nges a device to a new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joins a new device, the user may be inconvenient to use a new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ause the user is used to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may want to change the function of the keypad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key for an autoresponse may be provided as a foreign key, and a real user may want to change this key to another specific key that he / she wants if the autoresponder is rarely used.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는 키패드의 기능을 변경할 수 없었다.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ld not change the function of the keypad.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변경할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변경할 제 1키를 선택하면,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 중에서 변경할 제 2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 1키의 키 데이터와 상기 제 2키의 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교환된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4단계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list of keys to be changed when a user selects a function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and selecting the first key to be changed from the list of keys to be changed.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key list except the first key in a key list; and selecting a second key to be changed from a key list except the first key,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and the key of the second key And a third step of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and a fourth step of storing the exchanged key data.

사용자가 디폴트 키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키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키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user selects a function using the default key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ading the default key data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storing the key key data as key dat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 등으로 구성된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control unit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n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160, and the like.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입력부(110)는 키패드를 사용하고, 본 발명에 의해서 키 데이터가 변경된다.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jog shuttle, a point stick, and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0 uses a keypad, and key data is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The display unit 120 is for show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is mainly used.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메모리(130)는 키 데이터의 디폴트 값을 저장하고, 변경된 키 데이터 값을 저장한다.The memory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various devices such as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30 stores the default value of the key data, and stores the changed key data value.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 1키의 키 데이터와 제 2키의 키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하게 한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0 may b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control unit 140 also includes a baseb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radio circuit unit 15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exchanges and stores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key data of the second key.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adio circuit unit 150 is a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Receives a call signal sent by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or transmit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call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The analog voice processor 160 converts and amplifies a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본 발명을 흐름도와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예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lowchar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examples.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screen exampl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ing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키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210). 이때의 화면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 메뉴 중에서 "키 변경"메뉴를 선택한다. In order to change the key data, the user selects a function of changing the key data from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10). An example of the scree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ure 3a, the user selects the "key change" menu from the menu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를 변경할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S220).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변경하기를 원하는 키를 선택하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1번 통화키, 2번 종료키, 3번 지움/취소키, 4번 자동응답키, 5번 SMS키, 6번 NATE키" 의 키목록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예이다. 이중에서 사용자는 변경할 제 1키를 선택한다(S230).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변경할 제 1키로서 "1번 통화키"가 선택된 화면예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key list for changing a key as shown in FIG. 3B (S220).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b with the message "Please select the key you want to change" "call key 1, end 2 key, 3 erase / cancel key, 4 auto answer key, 5 SMS key, 6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display of key list of NATE key. Among these, the user selects a first key to be changed (S230). In the embodiment of FIG. 3B, a screen example in which “call number 1” is selected as the first key to be changed.

다음,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제 1키를 제외한 변경할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S240). 이때의 화면예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능교환을 할 키를 선택하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도 3b에서 제 1키로 선택한 "1번 통화키"를 제외한 키 목록이 디스플레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중에서 사용자는 변경할 제 2키를 선택한다(S250). 도 3c의 실시예에서는 변경할 제 2키로서 "1번 종료키"가 선택된 화면예이다.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list of keys to be changed except for the selected first key (S240). An example of the scree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3C. As shown in FIG. 3C, it can be seen that a list of keys except for “call number 1” selected as the first key in FIG. 3B is displayed with the message “Please select a key for function exchange”. Among them, the user selects a second key to change (S250). In the embodiment of FIG. 3C,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end key 1" is selected as the second key to be changed.

제 1키와 제 2키가 선택되면 제 1키의 키 데이터와 제 2키의 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S260). 그리고, 교환된 키 데이터를 저장한다(S270). 도 3b와 도 3c의 실시예에서 제 1키인 "통화키"의 키 데이터와 제 2키인 "종료키"의 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고 저장하게 된다.When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are selected,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and the key data of the second key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S260). Then, the exchanged key data is stored (S270). In the embodiments of FIGS. 3B and 3C, key data of the first key "call key" and key data of the second key "end key" are exchanged and stored.

이렇게 교환한 키 데이터는 언제라도 사용자가 원하면 다시 원상복구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디폴트 키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키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키 데이터로 저장한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본 키 기능을 사용할까요?" 등의 질문으로 사용자가 원래상태의 키패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changed key data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whenever the user wants.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lects a function using the default key data, the default key data value stored in the memory is read and stored as key data.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ould you like to use the default key functions?" To allow the user to return to the original keypad.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마다 고정되어 있는 키패드의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르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를 많이 사용하는 젊은 층에게 자신에게 맞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왼손잡이 사용자들도 자신에게 적합한 키패드로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function of the keypad fix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You can make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it the young people wh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t. Left-handed users can also change the keypad to suit their own need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예이다.3A to 3C are screen exampl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ing a method of changing key data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입력부 120: 표시부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30: memory 140: control unit

150: 무선회로부 16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50: wireless circuit unit 160: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Claims (2)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변경할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단계와,If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key data of the keypad, the first step of displaying a list of keys to change,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변경할 제 1키를 선택하면, 상기 변경할 키 목록중에서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단계와,Selecting a first key to be changed from the list of keys to be changed, and displaying a key list excluding the first key from the list of keys to be changed; 상기 제 1키를 제외한 키 목록 중에서 변경할 제 2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 1키의 키 데이터와 상기 제 2키의 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제 3단계와,A third step of exchanging key data of the first key and key data of the second key when a second key to be changed is selected from a list of keys other than the first key; 상기 교환된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4단계A fourth step of storing the exchanged key data 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Method of changing the key data of the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가 디폴트 키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키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키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If the user selects a function that uses the default key data, the method of changing the key data of the key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ading the default key data value stored in the memory as key data .
KR1020030088913A 2003-12-09 2003-12-09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KR200500558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13A KR20050055866A (en) 2003-12-09 2003-12-09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13A KR20050055866A (en) 2003-12-09 2003-12-09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66A true KR20050055866A (en) 2005-06-14

Family

ID=3725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913A KR20050055866A (en) 2003-12-09 2003-12-09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8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48B1 (en) * 2004-02-03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function of interface keys in portable terminal
KR100845988B1 (en) * 2006-05-30 2008-07-11 김정훈 Multiple keypad key value provision service system of mobile phon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48B1 (en) * 2004-02-03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function of interface keys in portable terminal
KR100845988B1 (en) * 2006-05-30 2008-07-11 김정훈 Multiple keypad key value provision service system of mobile phon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KR100677382B1 (en) Method for converting display panel in a mobile terminal
JP2001243243A (en) Url display method in cellular phone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6952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55866A (en) Method for changing key data of keypad in mobile phone
KR20050010609A (en) Phone and method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 during the call
KR20050042308A (en)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KR100618426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mode dial and method for setting keypad
JP2002101181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5609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100592179B1 (en) Method for managing SMS messages in mobile phone
US20070109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mode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timer
KR100560903B1 (en)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KR20080025979A (en) The mobile terminal of pen mouse type
KR1006781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phone
KR1004136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jecting a receiving call and method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receiving call reject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060078883A (en) Method for directly performing a hotkey function appointed by a portable terminal user
KR20050073921A (en) Method for setting screen and bell as to time in mobile phone
KR20050047580A (en) Method for entering telephone number for sms transmission in mobile phone
KR20060043960A (en) Mobile phone with side key
KR100849335B1 (en) Method for serving electronic scheduler in the mobile terminal
KR100996414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witching Communication Service Program, and Method thereof
KR1006213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aving/Resuming Work State and Method for Saving/Resuming Work State
JP358072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50095486A (en) Method for setting screen and bell as to week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