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833A -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 Google Patents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833A
KR20050055833A KR1020030088862A KR20030088862A KR20050055833A KR 20050055833 A KR20050055833 A KR 20050055833A KR 1020030088862 A KR1020030088862 A KR 1020030088862A KR 20030088862 A KR20030088862 A KR 20030088862A KR 20050055833 A KR20050055833 A KR 2005005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sion arm
contact
magnetic tap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영
오정협
서재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833A/en
Publication of KR2005005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3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폴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폴 조립체는, 데크 샤시의 일측에 제 1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텐션폴이 설치되는 텐션 아암, 제 1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 2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텐션 아암에 설치되는 밴드 홀더, 밴드 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데크 샤시상에 마련되는 릴디스크의 회전구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브레이크 밴드, 및 밴드 홀더와 브레이크 밴드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접촉단을 구비하며 텐션 아암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위치조절돌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데크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A tension pole assembly of a tape recorder is disclosed. Tension pole assembly of the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arm is installed rotatably around the first pivot shaft on one side of the deck chassis, the tension arm is installed 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vot shaft A band holder provided on the tension arm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rotational shaft disposed at the position, the brake band supported by the band holder and selectively regulat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eel disk provided on the deck chassis; And a positioning protrusion having a contacting end in contact with either the band holder and the brake band an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tension arm. According to thi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of a tape recorder can be reduced, and the deck can be miniaturized.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함과 아울러 데크 내에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에 소정 장력을 부여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sion pole assembly of a tape recorder which draws a magnetic tape from a tape cassette when loading magnetic tape and imparts a predetermined tension to a magnetic tape running in a deck.

통상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 캠코더(Camcorder)와 같이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는, 데크 내부에 형성된 소정 경로를 따라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그 자기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tape recorder having a deck mechanism such as a video tape recorder (VTR) or a camcorder (recorder) records / reproduces data on the magnetic tape while driving the magnetic tape along a predetermined path formed inside the deck. Device.

도 1은 전술된 바와 같은 테이프 레코더 중 주로 캠코더에 채용되는 무빙데크(100;Moving deck)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100)는 데크 샤시(110)와, 릴디스크(131)(133)와, 텐션폴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데크 샤시(110)는 메인 샤시(111)과, 자기테이프(미도시)의 로딩/언로딩시 메인 샤시(111)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서브 샤시(113)을 포함한다. 미 설명부호 190은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캡스턴 구동부이다. FIG. 1 shows the inside of a moving deck 100 which is mainly employed in a camcorder among tape recorder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the deck 100 of the tape recorder includes a deck chassis 110, a reel disk 131, 133, and a tension pole assembly 120. The deck chassis 110 includes a main chassis 111 and a sub chassis 113 that slides on the main chassis 111 during loading / unloading of a magnetic tape (not shown). Reference numeral 190 is a capstan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magnetic tape.

릴디스크(131)(133)는 테이프 카세트(미도시)에 한 쌍으로 마련된 테이프릴(미도시) 각각에 대응되도록 서브 샤시(110) 상에 한 쌍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공급측 테이프릴(미도시)에 대응되는 릴디스크(131)는 공급릴측 릴디스크라고 불리우며, 감김측 테이프릴(미도시)에 대응되는 릴디스크(133)는 감김릴측 릴디스크라고 불리운다.The reel disks 131 and 133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b chassis 11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tape reels (not shown) provided in a pair of tape cassettes (not shown). Typically, the reel disk 131 corresponding to the supply side tape reel (not shown) of the tape cassette is called the supply reel side reel disk, and the reel disk 133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ide tape reel (not shown) is the reel side reel disk. It is called.

텐션폴 조립체(120)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자기테이프를 데크(100)의 외곽측으로 잡아당겨, 자기테이프에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위 백텐션(Back Tension)이라고 하는 소정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텐션폴 조립체(120)는 텐션 아암(121)과, 텐션폴(123)을 포함한다. 텐션 아암(121)은 서브 샤시(113)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텐션폴(123)은 텐션 아암(12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60은 텐션 아암(121)을 데크(100)의 외곽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이다. The tension pole assembly 120 withdraws the magnetic tape from the tape cassette when the magnetic tape is loaded, and pulls the magnetic tape withdrawn from the tape cassette to the outer side of the deck 100 so as to be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tape on the magnetic tape. This is for imparting a predetermined tension, which is called a back tension. To this end, the tension pole assembly 120 includes a tension arm 121 and a tension pole 123. The tension arm 12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b chassis 113, and the tension pole 123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tension arm 121. Reference numeral 160 is a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tension arm 121 to the outer side of the deck (100).

이러한 종래의 텐션폴 조립체(120)는 브레이크 밴드(140)를 더 포함한다. 브레이크 밴드(140)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에 소정 크기의 제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에 제공된 제동력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로딩 또는 주행시, 자기테이프에 작용되는 장력의 크기가 조절된다. 이를 위해, 브레이크 밴드(140)는 섬유재질 또는 박막상태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의 외주면을 반회전가량 감싸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밴드(140)의 양단은 텐션 아암(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 홀더(150)에 의해 지지된다. The conventional tension pole assembly 120 further includes a brake band 140. The brake band 140 is for selectively providing a brak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when the magnetic tape is loaded. By the braking force provided to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to the magnetic tape is adjusted when the magnetic tape is loaded or driven. To this end, the brake band 140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of a fiber material or a thin film state,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by about half a revolution. Here, both ends of the brake band 140 are supported by the band holder 150 rotatably installed on the tension arm 121.

이와 같이 구성된 텐션폴 조립체(120)는 제조오차 등에 의해 데크(100)의 구동시 텐션폴(123)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될 때의 텐션아암(121)의 회동위치를 미리 조절해줌으로써 텐션폴(123)의 위치를 바로잡는다. 이렇게 텐션 아암(121)의 회동위치를 미리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밴드 홀더(150) 또는 브레이크 밴드(140)의 변위를 가변시켜, 텐션 아암(121)과 공급릴측 릴디스크(131)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밴드(140)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텐션폴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아암(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밴드 홀더(150)와, 그 밴드 홀더(150)와 동축상에 배치되되 그 회동시 밴드 홀더(150)를 강제로 텐션 아암(121)에 대해 상대회동시켜 브레이크 밴드(140)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편심캠부재(155)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 홀더(150)의 회동축은 텐션 아암(121)의 회동축(125)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The tension pole assembly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ften occurs when the tension pole 123 is not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hen the deck 100 is driven due to a manufacturing erro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123 is correct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tension arm 121 in advance when the loading of the magnetic tape is completed. As a method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tension arm 121 in advance, the displacement of the band holder 150 or the brake band 140 is varied to connect the tension arm 121 and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A method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rake band 140 is used. To this end, the conventional tension pole assembly, as shown in Figs. 1 and 2,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band holder 15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ension arm 121, the band holder 150, And an eccentric cam member 155 for varying the tension of the brake band 140 by forcing the band holder 150 to rotate relative to the tension arm 121 at the time of rotation. The pivot shaft of the band holder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ivot shaft 125 of the tension arm 121.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텐션폴 조립체(120)는, 편심캠부재(155)가 작업자에 의해 강제로 회동(A)됨으로써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될 때의 텐션폴(123)의 위치가 조절(B)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the conventional tension pole assembly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123 is adjusted when the eccentric cam member 155 is forcibly rotated by the operator A when the loading of the magnetic tape is completed (B). This operation is as shown in FIG.

한편, 최근에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테이프 레코더가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텐션폴 조립체(120)를 사용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아암(121) 상에 밴드 홀더(150)와, 별도의 편심캠부재(155)를 차례로 적층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부품추가에 의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소형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 상술한 두 부품(150)(155)의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에 그 조립이 더욱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for the convenience of use, the tape recorder has become smaller. However, when using the conventional tension pole assembly 120, as shown in Figure 3, because the band holder 150 and the separate eccentric cam member 155 in order to be stacked on the tension arm 121,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par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tape recorder, the size of the two components 150 and 155 described above is also reduced, which causes more troublesome assemb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데크의 조립 및 데크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ension pole assembly for a tape record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deck and miniaturization of the de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폴 조립체는, 데크 샤시의 일측에 제 1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 아암, 상기 텐션 아암의 일측에 설치되는 텐션폴, 상기 제 1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제 2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텐션 아암에 설치되는 밴드 홀더, 상기 밴드 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데크 샤시상에 마련되는 릴디스크의 회전구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브레이크 밴드, 및 상기 텐션 아암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밴드 홀더와 상기 브레이크 밴드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접촉단을 구비하는 위치조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nsion pole assembly of the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nsion ar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eck chassis in the rotation center, the tension po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arm, A band holder installed on the tension arm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second pivot shaft, which is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vot shaft, and supported by the band holder and rotating the reel disk provided on the deck chassis. And a positioning band having a brake band for selectively regulating, and a contact end extending from the tension arm and having a contact en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band holder and the brake band.

이에 의하면, 부품삭감에 따라 텐션폴 조립체의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텐션 폴 조립체의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This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nsion pole assembly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ension pole assembly as parts are re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조절돌기는 상기 제 1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vot.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돌기는, 상기 텐션 아암으로부터 상기 데크 샤시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 몸체, 및 상기 돌기 몸체의 끝단이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촉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ing protrusion preferably includes a protrusion body extending from the tension arm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hassis, and a contact end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protrusion body at least once.

한편, 상기 밴드 홀더는, 상기 텐션 아암에 상기 제 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몸체, 및 상기 회동 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밴드의 끝단이 연결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돌기의 접촉단은 상기 지지편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and holder, the tension arm includes a pivot body rotatably mounted about the second pivot shaft, and a support piece extending from the pivot body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rake band, The contact end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s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데크 샤시의 바닥면을 향하여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단과 접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piece furth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hassis, and the contact portion is more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데크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components of decks that perform the same construction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tape recorder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ll rights reserved. Quotation is give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무빙데크(100;도 1 참조)는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와, 텐션폴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릴측 릴디스크(131)는 데크의 서브 샤시(113;도 1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릴디스크(131)(133)들 중 테이프 카세트(미도시)의 공급측 테이프릴(미도시)에 대응되는 릴디스크이다. 4 and 5, the moving deck 100 (see FIG. 1) of the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and a tension pole assembly 200. Here,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is a supply side tape reel of a tape cassette (not shown) of a pair of reel disk 131, 133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b-chassis 113 (see Fig. 1) of the deck. It is a reel disk corresponding to (not shown).

텐션폴 조립체(200)는 텐션 아암(210)과, 텐션폴(220)과, 브레이크 밴드(250)와, 밴드 홀더(230)와, 위치조절돌기(240)를 포함한다. The tension pole assembly 200 includes a tension arm 210, a tension pole 220, a brake band 250, a band holder 230, and a positioning protrusion 240.

텐션 아암(210)은 제 1 회동축(215)을 회동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서브 샤시(113)에 설치되며, 그 끝단에는 자기테이프의 로딩 및 주행시 그 자기테이프를 접촉지지하는 텐션폴(220)이 돌출형성된다. The tension arm 210 is installed in the sub-chassis 113 so that the first pivot shaft 215 can be pivoted about its pivot center, and its tension pole 220 is supported at the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tape during loading and traveling of the magnetic tape. ) Is protruding.

브레이크 밴드(250)는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와 텐션 아암(2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의 외주를 대략 반회전가량 감싸도록 설치된다. The brake band 25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and the tension arm 210, bu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approximately half a turn.

상기 브레이크 밴드(250)의 텐션 아암(210)측은 텐션 아암(210)의 회동중심인 제 1 회동축(215)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텐션 아암(210)의 일측에 마련된 밴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브레이크 밴드(250)가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밴드지지수단으로서 브레이크 밴드(250)의 텐션 아암(210)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축부재(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양단이 끊어진 형태의 브레이크 밴드(250)를 사용할 경우 밴드 홀더(230)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사용되는 등 밴드지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nsion arm 210 side of the brake band 250 is supported by band support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arm 21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ivot shaft 215 which is the pivot center of the tension arm 210. . When the brake band 250 is formed in a closed curve, a separate shaft member (not shown) may be used as the band support means to support the tension arm 210 side of the brake band 250. In the case of using the brake band 250 of the form in which both ends are broken as described above, the band supporting means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eparate member such as the band holder 230 is used.

본 실시예에서의 밴드 홀더(230)는 텐션 아암(210)의 회동중심인 제 1 회동축(215)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회동축(239) 상에서 회동되도록 텐션 아암(210)에 설치되는 회동 몸체(231)와, 브레이크 밴드(250)의 양끝단을 지지하도록 회동 몸체(23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233)을 포함한다. 지지편(233) 각각의 끝단 내측에는 브레이크 밴드(250)의 양단 각각과 후크결합되는 돌기(235)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편(233)은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밴드(250)의 양단을 모두 지지하고, 브레이크 밴드(250)의 장력 변화에 따라 텐션 아암(21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밴드 홀더(230)는 회동 몸체(231)와 지지편(233)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지지편(233)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band holder 230 in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tension arm 210 to be rotated on the second pivot shaft 239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ivot shaft 215 which is the pivot center of the tension arm 210. The rotating body 231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23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1 to support both ends of the brake band 250. On the inside of each end of each of the support pieces 233, protrusions 235 hooked with each of both ends of the brake band 250 are formed to protrude. Even if the support pieces 233 are not provided in pair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ieces 233 support both ends of the brake band 250 and rotate the tension arm 210 according to the tension change of the brake band 250. If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Here, the band holder 230 is preferably formed of a mold to facilitate the rotation body 231 and the support piece 233 integrally formed, the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iece 233 is possibl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텐션폴 조립체(200)는 그 설치시,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텐션폴(220)의 위치인 제 1 위치, 및 자기테이프가 주행중에 브레이크 밴드(250)의 장력이 최대일 때 제 1 위치로부터 데크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텐션폴(220)의 위치인 제 2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에서와 같이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은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자기테이프에 인가되는 장력의 조절이 불량하면 자기테이프가 손상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텐션폴(220)의 위치는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 1 위치는 자기테이프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 크기의 장력이 자기테이프에 부여될 수 있도록 자기테이프를 데크(100)의 외곽방향으로 최대한 잡아당길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제 2 위치는, 자기테이프가 캡스턴 구동부(190;도 1참조)의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중에 공급릴측 릴디스크(131)이 브레이크 밴드(250)에 의해 제동됨으로써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자기테이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를 위해, 제 2 위치는 브레이크 밴드(250)에 작용하는 장력이 최대일 때, 자기테이프가 인출되는 통로인 테이프 카세트(미도시)의 출구 테두리(미도시)와 자기테이프가 접촉되는 위치와, 제 1 위치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The tension pole assembly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rst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220 when the magnetic tape has been loaded, and the magnetic tape of the brake band 250 when the magnetic tape is traveling.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220 moved inwardly of the deck from the first position when the tension is at maximum,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when using a magnetic tape having a small size and a thin thickness as in recent years, since the magnetic tape may be damaged if the tension applied to the magnetic tape is poor,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220 as described above is It becomes more important. Typically, the first position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tape can be pulled to the maximum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deck 100 so that a maximum magnitude of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magnetic tap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magnetic tape is not deform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sition is caused by the tension generated when the supply reel-side reel disk 131 is braked by the brake band 250 while the magnetic tape is driven by the drive of the capstan driver 190 (see FIG. 1). This is where you can prevent the tape from breaking. To this end,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tape is in contact with the exit edge (not shown) of the tape cassette (not shown)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agnetic tape is drawn out 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brake band 250 is maximum, It must be placed between the first positions.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시 상술한 바와 같은 텐션폴(220)의 제 1 및 제 2 위치를 미리 설정하기 위해, 종래의 편심캠부재 대신 텐션 아암(210)으로부터 밴드 홀더(230)의 지지편(233) 또는 브레이크 밴드(250)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위치조절돌기(24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조절돌기(240)는 제 1 회동축(21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돌기 몸체(241)와 접촉단(245)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 몸체(241)는 텐션 아암(210)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기 몸체(241)는 텐션 아암(210)의 하방을 향해 연장된다. 이는 위치조절돌기(240)가 텐션 아암(210)의 상방을 향해 연장될 경우, 전체적인 데크(100)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 데크(100)의 소형화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접촉단(245)은 돌기 몸체(241)의 끝단에 형성되어 밴드 홀더(230)의 지지편(233)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촉단(245)은, 상술된 바와 같은 텐션폴(220)의 위치조절을 위해, 지지편(233)으로부터 돌기 몸체(241)의 간격(D1) 조절이 가능하도록 돌기 몸체(241)의 일부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지지편(233)과 접촉단(245)은 상호 경사지게 접촉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ece of the band holder 230 from the tension arm 210 instead of the conventional eccentric cam member in order to prese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tension pole 220 as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e of the tape recorder. 233 or the position adjustment protrusion 24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rake band 250. The position adjusting protrusion 24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on shaft 215, and includes a protrusion body 241 and a contact end 245. The protrusion body 241 extends from the tension arm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body 241 extends downward of the tension arm 210. This is because wh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240 extends upward of the tension arm 210,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eck 100 is not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of the deck 100.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end 24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body 241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iece 233 of the band holder 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end 24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distance D1 of the protrusion body 241 from the support piece 233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220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241 is formed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s a result, the support piece 233 and the contact end 245 are inclined contact with each other.

상술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돌기(240)가 데크(100)의 소형화를 위해 텐션 아암(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밴드 홀더(230)가 텐션 아암(210)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편(233)과 접촉단(245)의 접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의 지지편(233)은 상기 접촉단(245)측 일부 하단이 데크 샤시(11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촉부(237)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텐션 아암(210)의 하부에 위치한 접촉단(245)과 지지편(233)의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ing projection 24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arm 210 for miniaturization of the deck 100, the band holder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nsion arm 210 Therefor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tacting the support piece 233 and the contact end 245 is required. To this end, the support piece 233 i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237 formed by extend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tact end 245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hassis 110. Accordingly, contact between the contact end 245 and the support piece 233 positioned below the tension arm 210 is enabled.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위치조절돌기(240)는 텐션 아암(210)과 동일한 재료로서 텐션 아암(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위치조절돌기(240)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텐션 아암(210)의 일측을 두번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텐션 아암(210)의 제조시 텐션 아암(210)의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판금가공과 동시에 위치조절돌기(240)의 형성이 가능함으로써 데크(100)의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종래와 같은 별도의 편심캠부재(155;도 1참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Positioning projection 24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nsion arm 210 as the same material as the tension arm (210). Accordingly, the position adjusting protrusion 2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tension arm 210, which is generally formed of a metal plate. In this cas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eck 100 can be simplified by form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240 at the same time as the sheet metal processing that is commonly performed to form the shape of the tension arm 210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tension arm 210. As a result, since the conventional eccentric cam member 155 (see FIG. 1) does not need to be us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폴의 위치 설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 position of a tension p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폴(220)의 제 1 위치(P1)가 기준 위치(Ps)보다 데크(100)의 외곽측으로 치우친 경우의 텐션폴(220) 위치조절방법을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P1)가 기준 위치(Ps)보다 데크(100)의 외곽측으로 치우지게 되면,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필요이상의 장력이 자기테이프에 작용하여 상기 장력에 의해 자기테이프가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몸체(241)와 접촉단(245)의 굽힘각도(θ)를 조절하여 돌기 몸체(241)와 밴드 홀더(230)의 접촉부(23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굽힘각도(θ)를 크게하여 돌기 몸체(241)와 지지편(233) 사이의 거리(D1)를 거리(D2)만큼 확장시켜, 텐션폴(220)을 도 6에 도시된 C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텐션폴(220)은 상기 기준위치(Ps)로 이동하여 자기테이프의 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굽힘각도(θ)의 조절은 위치조절돌기(240)가 금속판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적절한 공구로 원하는 만큼 접촉단(245)을 구부림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5,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ension pole 220 when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tension pole 220 is bias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deck 100 than the reference position Ps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osition P1 is shifted to the outer side of the deck 100 rather than the reference position Ps, more than necessary tension acts on the magnetic tape when the magnetic tape is loaded so that the magnetic tape is broken by the tension. Problems such as losing or stretching occu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protrusion body 241 and the contact portion 237 of the band holder 23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ending angle θ of the contact end 245. Adjust That is, as shown in FIG. 6, by increasing the bending angle θ, the distance D1 between the protrusion body 241 and the support piece 233 is extended by the distance D2, and the tension pole 220. To move in the C direction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tension pole 220 may move to the reference position Ps to impart proper tension to the magnetic tape during loading and traveling of the magnetic tape. Adjustment of the bending angle θ as described above is possible by bending the contact end 245 as desired with a suitable tool because the positioning projection 240 is formed of a metal plate.

한편, 텐션폴(220)의 제 1 위치(P1)가 기준 위치(Ps)보다 데크(100)의 내측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상기 굽힘각도(θ)를 줄여 텐션폴(220)을 C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tension pole 220 is biased to the inside of the deck 100 rather than the reference position Ps, the bending angle θ is reduced to decrease the tension pole 220 in the C direction. In this cas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캠코더의 무빙 데크에 적용된 텐션폴 조립체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와 같은 브레이크 밴드(140)를 사용하여 자기테이프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폴 조립체가 채용된 경우라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과 같은 다른 종류의 테이프 레코더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aking the tension pole assembly applied to the moving deck of the camcorder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a tension pole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force of the magnetic tape using the brake band 14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mployed, another type of tape such as a video tape recorder (VTR)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record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조절돌기(240)가 밴드 홀더(230)의 지지편(233)에 접촉되는 경우에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밴드 홀더(230)의 형상 및 설치위치의 변경에 의해 위치조절돌기(240)가 직접 브레이크 밴드(25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짐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adjusting protrusion 240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iece 233 of the band holder 230, but the position adjustment by changing the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and holder 230. Even when the protrusion 240 is installed to directly contact the brake band 250, it can be said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as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테이프의 장력 조절이 위치조절돌기와 밴드 홀더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텐션폴 위치조정을 위한 구조물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텐션폴 조립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데크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nsion adjustment of the magnetic tape is made by the positioning protrusion and the band holder, it becomes possible to slim down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tension pole position.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tension pole assembly can be reduced, and the deck can be easily downsized.

또한, 위치조절돌기가 텐션 아암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테이프 레코더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부품수 삭감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생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ing projec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ension arm, the tape recorder can be easily assembl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arts is generat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내부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ck of a conventional tape recorder,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폴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nsion pole assembly of a conventional tape recorder,

도 3은 도 1의 I-I 단면을 따른 단면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내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폴 조립체의 위치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도면.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the tension po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데크 110 : 데크 샤시100: Deck 110: Deck Chassis

111 : 메인 샤시 113 : 서브 샤시111: main chassis 113: sub chassis

131, 133 : 릴 테이블 200 : 텐션폴 조립체131, 133: reel table 200: tension pole assembly

210 : 텐션 아암 215 : 제 1 회동축210: tension arm 215: first rotating shaft

220 : 텐션폴 230 : 밴드 홀더220: tension pole 230: band holder

231 : 회동 몸체 233 : 지지편231: rotating body 233: support piece

237 : 접촉부 239 : 제 2 회동축 237 contact portion 239 second rotating shaft

240 : 위치조절돌기 241 : 돌기 몸체240: position adjustment protrusion 241: protrusion body

245 : 접촉단 250 : 브레이크 밴드245: contact end 250: brake band

270 : 탄성체270 elastic body

Claims (5)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샤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자기테이프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상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며, 상기 자기테이프가 인출된 상태에서 주행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에 소정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폴 조립체에 있어서,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eck chassis of the tape recorder to draw out the magnetic tape from the tape cassette when the magnetic tape is loaded, and to a tension pole assembly which imparts a predetermined tension to the magnetic tape when the magnetic tape is driven in the extracted state. In 상기 데크 샤시의 일측에 제 1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텐션폴이 설치되는 텐션 아암;A tension arm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eck chassis so as to be rotatable with a first pivotal axis, and at one side thereof with a tension pole; 상기 제 1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 2 회동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텐션 아암에 설치되는 밴드 홀더;A band holder mounted to the tension arm to be rotatable about a second pivotal shaf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votal shaft with a rotational center; 상기 밴드 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데크 샤시상에 마련되는 릴디스크의 회전구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브레이크 밴드; 및 A brake band supported by the band holder and selectively regulat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eel disk provided on the deck chassis; And 상기 텐션 아암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밴드 홀더와 상기 브레이크 밴드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접촉단을 구비하는 위치조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 And a position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ension arm and having a contact en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band holder and the brake ban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조절돌기는 상기 제 1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votal shaf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돌기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adjusting projection, 상기 텐션 아암으로부터 상기 데크 샤시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 몸체; 및 A projection body extending from the tension arm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hassis; And 상기 돌기 몸체의 끝단이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촉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And a contact end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end of the protrusio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홀더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nd holder, 상기 텐션 아암에 상기 제 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몸체; 및 A rotation body rotatably mounted to the tension arm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상기 회동 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밴드의 끝단이 연결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And extending from the pivot body to support the end of the brake band connected thereto. 상기 위치돌기의 접촉단은 상기 지지편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 And a contact end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지지편은 상기 데크 샤시의 바닥면을 향하여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The support piece furth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hassis,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단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텐션폴 조립체. And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KR1020030088862A 2003-12-09 2003-12-09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KR200500558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62A KR20050055833A (en) 2003-12-09 2003-12-09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62A KR20050055833A (en) 2003-12-09 2003-12-09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33A true KR20050055833A (en) 2005-06-14

Family

ID=3725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862A KR20050055833A (en) 2003-12-09 2003-12-09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8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3522B2 (en) Tape tension adjusting device and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EP0227917A2 (en) A tape tension controller for a cassett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US7050265B2 (en) Negative pressure type rotary head drum unit and magnetic tape drive using the same
KR20050055833A (en)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JPH0447372B2 (en)
KR100740214B1 (en) Tension-pole assembly for tape recorder
US20040031868A1 (en) Magnetic tape cartridge
JP2709138B2 (en)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3218609B2 (en) Tape player
US6678111B1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guide post mechanism in that a tilt of the tape guide post is restricted
KR100211867B1 (en) Reel brake appararus in vcr
JPH0997468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US7221535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7209316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including a tape pull-out member having a projection for contacting a ramp surface
US7164553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511542Y2 (en) Magnetic tape drawer
US7161762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7170711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H0981996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JPH0612643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rotary drum device and rotary drum
JPH04318355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9218655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JPH0532819B2 (en)
JPH04159651A (en) Reverse guide adjustment mechanism
JPH09282739A (en) Tension regulator mechanis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