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314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314A
KR20050054314A KR1020030087672A KR20030087672A KR20050054314A KR 20050054314 A KR20050054314 A KR 20050054314A KR 1020030087672 A KR1020030087672 A KR 1020030087672A KR 20030087672 A KR20030087672 A KR 20030087672A KR 20050054314 A KR20050054314 A KR 2005005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pplication
memory
event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152B1 (ko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1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고유한 플래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기록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삭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조회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등록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조회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발생시 이를 수신하여 이벤트별로 분류하고 출력하는 이벤트 수신부와 상기 이벤트 수신부로부터 데이터 기록 또는 삭제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이벤트의 요구 메모리 공간과 비교하고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충분할 경우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로 출력하는 메모리 할당부를 포함하는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에 가상 메모리 관리부를 구현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유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flash memor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고유한 플래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의 증가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예를 들면 엠엠에스(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MS(SHORT MESSAGING SERVICE), 동영상, 사진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의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 구동시 단말기의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예를 들면, 메모리의 램영역을 할당받아 구동한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기록과 삭제는 단말기에 구비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게 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의 임베디드 메모리 시스템(EFS:EMBEDDED FILE SYSTEM)이라 불리는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메모리 시스템(EFS)에서 유동적으로 플래시 메모리의 공간을 할당받아 데이터를 기록하고 삭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를 위해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며, 플래시 메모리를 유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A'라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어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모두 할당받아 사용하는 즉, 플래시 메모리의 가용 공간을 독점하는 경우 또다른 어플리케이션 'B'는 가용 플래시 메모리의 부족으로 인해 데이터의 기록 또는 삭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사용이 종료된다. 또한, 부족한 가용 메모리 공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A'가 데이터 삭제를 통해 할당받았던 메모리를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반환하여야 하며, 반환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B'는 이미 종료된 상태이므로 다시 실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별로 고유의 플래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동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단말기의 운영체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데이터가 생성되어 기록 이벤트가 발생하게되면,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따라,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데이터 기록 타입, 어플리케이션 할당된 최대 메모리 공간,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공간,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적 주소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독출한다.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의 가용 공간이 기록 이벤트에 따른 메모리 요구량보다 클 경우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메모리 관리 모듈을 통해 메모리에 기록하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삭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독출한다. 메모리 관리 모듈은 독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해 해당 메모리가 저장된 위치와 공간을 검색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은 할당받은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가능한 공간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단말기의 운영체제는 가용 메모리의 공간이 데이터 기록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음을 통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부(10)는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RF부(1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로(중간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킨다.
제어부(80)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RF부(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 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80)는 기본적으로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일명 MSM 칩으로 불리기도 한다.
음성신호처리부(20)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8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후술할 음성메모리(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음성신호처리부(20)는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복조된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성신호처리부(80)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 및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음성메모리(30)는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액세스 제어되며 다수의 음성메시지가 저장된다.
한편 메모리부(4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 그리고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20)로 구분되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하나인 표시부(50)는 제어부(80)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 데이타, 아바타, 바탕화면 등을 표시하여 준다. 또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키 입력부(60)는 다이얼 및 번지 지정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무선 인터넷 접속키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각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80)로 전송하여 준다. 카메라부(7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하여 준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110)과, 플래시 메모리(120)와, 메모리 관리 모듈(130)과,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1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의해 구동되는 일반적인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면 문자/음성 사서함 서비스, 동영상/사진 전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120)는 예를 들면, 읽고 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생성 또는 삭제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관리 모듈(13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플래시 메모리(120)를 관리하며, 어플리케이션(110)에서 사용하는 로직컬 메모리의 주소와 대응되는 피지컬 메모리 즉, 실제로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120)의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131)을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 관리 모듈(130)은 데이터 기록부(132)와, 데이터 삭제부(133)와, 데이터 조회부(144)를 포함한다. 데이터 기록부(13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데이터 기록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10)이 피지컬 메모리즉, 플래시 메모리로 엑세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삭제부(133)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데이터 삭제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10)이 피지컬 메모리 즉, 플래시 메모리로 엑세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조회부(13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데이터 등록정보 조회, 리드 또는 목록 조회와 같은 데이터 조회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10)이 피지컬 메모리 즉, 플래시 메모리로 엑세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등록정보 조회, 리드 또는 목록 조회를 할 수 있게 한다.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140)은 어플리케이션(110)과 메모리 관리 모듈(130) 사이에 위치하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이벤트 수신부(142)와, 메모리 할당부(143)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운영체제가 지원 또는 단말기 제작 사업자에 의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110)의 정보가 저장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110)의 식별정보, 데이터 기록 타입, 어플리케이션(110)별로 할당된 최대 메모리 공간,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공간,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플래시 메모리(120)의 논리적 주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어플리케이션(110)별로 할당되는 최대 메모리 공간은 단말기 사업자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간의 협의에 의해 단말기 제작시에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벤트 수신부(14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이벤트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가 데이터 기록, 삭제, 조회 이벤트인지 분류하고 데이터 기록 이벤트 신호일 경우 메모리 할당부(143)로 출력한다. 메모리 할당부(143)는 이벤트 수신부(142)에 의해 출력되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기록 이벤트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가 구동되는데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하고, 메모리 관리 모듈(130)의 데이터 기록부(132)에 해당 데이터의 기록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 할당부(143)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기록 이벤트를 이벤트 수신부가 수신하여 메모리 할당부(143)로 출력하면, 메모리 할당부(143)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록 타입,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최대 메모리 공간,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공간,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적 주소영역 정보를 독출한다. 메모리 할당부(143)는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과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비교한다. 사용 가능한 공간이 충분할 경우 해당 기록 이벤트에 따른 메모리를 할당하여 메모리 관리 모듈(130)의 데이터 기록부(132)로 데이터 기록 신호를 출력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140)은 메모리 반환부(144)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 반환부(144)는 이벤트 수신부(141)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의 삭제 이벤트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가 위치한 메모리 주소와 공간을 검색하여, 메모리 관리 모듈(130)의 데이터 삭제부(133)에 해당 데이터의 삭제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 반환부(144)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었던 데이터의 삭제 이벤트를 이벤트 수신부(141)가 수신하여 메모리 반환부(144)로 출력하면, 메모리 반환부(144)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독출하여 삭제될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와 차지하는 공간을 산출하고, 메모리 관리 모듈(130)의 데이터 삭제부(133)에 해당 데이터의 삭제신호를 출력하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의 이벤트 수신부(141)는 메모리의 기록 또는 데이터 삭제 기능을 제외한, 예를 들면 데이터의 리드, 목록 검색, 등록정보의 확인과 같은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모리를 할당하는 과정 없이 메모리 관리 모듈(130)의 데이터 조회부(134)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조회부(134)는 해당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20)에서 독출하여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의 메모리 할당부(143)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메모리 할당부(143)는 할당된 최대 메모리의 가용 공간이 데이터 기록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50)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음을 통보한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가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모듈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을 구현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분할하여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가용 공간 부족으로 인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타 기록이 불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F부 20. 음성신호처리부
30. 음성메모리 40. 메모리부
50. 표시부 60. 키 입력부
70. 카메라부 80. 제어부
110. 어플리케이션 120. 플래시 메모리
130. 메모리 관리 모듈 131. 매칭 테이블
132. 데이터 기록부 133. 데이터 삭제부
134. 데이터 조회부 140.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
141.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142. 이벤트 수신부
143. 메모리 할당부 144. 메모리 반환부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기록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삭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조회 이벤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등록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조회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발생신호를 각 이벤트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이벤트 수신부와,
    상기 이벤트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이벤트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이벤트의 요구 메모리 공간과 비교하고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충분할 경우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로 출력하는 메모리 할당부를 포함하는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메모리 관리 모듈이:
    상기 이벤트 수신부로부터 데이터 삭제 이벤트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저장 데이터의 위치 목록 정보를 독출하여 삭제될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와 차지하는 공간을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 삭제부로 삭제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반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데이터 기록 타입, 어플리케이션 할당된 최대 메모리 공간,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공간,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적 주소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할당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해당 어플리케션 이벤트의 따른 메모리 요구량보다 적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신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조회 이벤트 발생시 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조회부로 조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
KR10-2003-0087672A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KR10053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72A KR100535152B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72A KR100535152B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314A true KR20050054314A (ko) 2005-06-10
KR100535152B1 KR100535152B1 (ko) 2005-12-07

Family

ID=3724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672A KR100535152B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1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96B1 (ko) * 2004-03-31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팅 시간을 감소하기 위한 향상된 임베디드 파일시스템
CN102236605A (zh) * 2010-04-26 2011-11-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将数据存入内存的方法
WO2022149771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관리 방법
US11875035B2 (en) 2021-01-0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96B1 (ko) * 2004-03-31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팅 시간을 감소하기 위한 향상된 임베디드 파일시스템
CN102236605A (zh) * 2010-04-26 2011-11-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将数据存入内存的方法
CN102236605B (zh) * 2010-04-26 2013-07-3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将数据存入内存的方法
WO2022149771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관리 방법
US11875035B2 (en) 2021-01-0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152B1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0350B (zh) 嵌入式sim卡的数据访问的方法和设备
US742128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use-history information
US7917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history data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374648B2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US2005016474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8244213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service sharing
KR1005351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관리 시스템
JP2007206895A (ja) Icカード
US20080263064A1 (en) Fil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ing an external device
KR100651370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CN113709720B (zh) 一种sim双模卡异常的优化方法及电子设备
KR200700252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장착카드 데이터 복사 방법 및 그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28960A (ko) 데이터 자동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709601B1 (ko) 심카드 선택적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100662448B1 (ko) 심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환경정보 통합 관리 방법
US20040132469A1 (en) Method for storing short messag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5543937B (zh) 文件碎片整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5114723A (ja) 電子機器及び端末、それら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266810B1 (ko) 디지털이동통신단말기에서쇼트메시지서비스의메시지관리방법
KR200700757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CN114422972B (zh) 数据交互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JP6217753B2 (ja) 通信装置および保存方法
KR20020003333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폰트를 원격지의 서버나pc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4644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녹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35046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모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