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03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038A
KR20050054038A KR1020030087314A KR20030087314A KR20050054038A KR 20050054038 A KR20050054038 A KR 20050054038A KR 1020030087314 A KR1020030087314 A KR 1020030087314A KR 20030087314 A KR20030087314 A KR 20030087314A KR 20050054038 A KR20050054038 A KR 2005005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aller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038A/ko
Publication of KR2005005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기술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되는 호(call, 콜)에 대해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 미통화된 발신자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착신호에 대해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수신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와,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체크된 수신 횟수에 대응되는 표시를 하여 미통화된 발신자 식별정보 리스트를 구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caller identif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기술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되는 호(call, 콜)에 대해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 미통화된 발신자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착신호가 수신되면, 링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휴대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린다. 이 경우 휴대폰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링신호를 인지하지 못하여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휴대폰은 부재중 수신된 전화의 횟수를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나중에 휴대폰의 액정표시장치(LCD)에 표시되는 부재중 수신 횟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중에 발생된 미통화 횟수만을 표시함으로 인해 사용자는 그 전화가 누구에게서 몇 번이나 걸려온 것인지를 알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발신자 식별 기능(CID : Caller Identification 기능)이 제공되며, 유/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CID 기능을 이용해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CID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CID 서비스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V.32 규약에 따른 신호 규격을 이용, 발신자의 고유 시별번호로서의 전화번호, 전화 발신 및 착신에 따른 시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CID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 영역 내의 기지국(10)이 호(call)를 수신하여 교환기(12)로 전송한다. 교환기(12)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또는 가입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를 참조하여 발신자 단말기를 식별 및 인증한다. 그리고 교환기(12)는 수신자 단말기가 CID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HLR 또는 VLR을 참조하여 확인한다. 수신자 단말기가 CID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교환기(12)는 호에 CID 정보를 추가한다.
CID 정보가 추가된 호는 이동통신사 서버(14)를 거쳐 해당 교환기(12) 및 기지국(10)을 통해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수신자 단말기는 착신된 호에서 CID 정보를 확인하여 LCD 창에 발신자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의 CID 정보를 부재중 수신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는 발신자 단말기가 도 1을 참고한 설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정되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전화기로부터 걸려오는 호에 대해서도 CID 서비스는 적용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들은 이러한 CID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착신시 LCD 창에 나타나는 발신자 정보(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선별 통화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는 부재중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발신자 전화번호, 착신 날짜 및 시간 등)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나중에 LCD 창을 통해 부재중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도 3a는 종래 부재중 발신자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LCD 창을 통해 부재중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알 수 있다. 또한 그 발신자 번호가 본인의 휴대폰에 입력된 전화번호이면 해당 이름이 표시 및 저장된다.
그러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머니'와 '018-123-****'은 여러번 부재중 수신된 발신자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발신자 정보와 똑같이 표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통화 CID 리스트(부재중 수신 목록)를 확인할 경우에 동일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부재중 동일한 발신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걸려온 전화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은 호착신시 CID 정보를 확인하고,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 확인된 CID 정보의 미통화 횟수를 체크하여, 체크된 횟수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여 저장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50)는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RF부(5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로(중간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킨다. 즉, 상대방과 통화하는 음성 신호나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호처리를 담당한다.
제어부(52)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RF부(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52)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 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52)는 기본적으로 메모리(58)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52)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일명 MSM 칩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음성신호 처리부(54)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52)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모리(56)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음성신호 처리부(54)는 상기 제어부(52)를 통해 복조된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성신호 처리부(14)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 및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메모리(58)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제어부(52)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그리고 메모리(58)에 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호착신에 대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통화 CID 리스트가 저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하나인 표시부(60)는 제어부(52)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 데이타, 바탕화면 등을 표시하여 주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미통화 CID 리스트를 표시해 준다. 또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키패드(62)는 다이얼 및 번지 지정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각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타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52)로 전송하여 준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미통화된 CID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통화된 CID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착신호에 대해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부재중 수신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와,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체크된 부재중 수신 횟수에 대응되는 표시를 하여 부재중 수신 리스트를 구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RF부(50)를 통해 호를 수신한다. 제어부(52)는 수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자 식별(CID : Caller Identification) 정보를 확인한다(100단계)(102단계). CID가 확인되면, 제어부(52)는 해당 발신자 전화번호를 표시부(60)에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링신호를 출력한다(104단계). 링신호는 벨, 진동, 진동후 벨, 램프 등 다양한 신호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링신호에 의해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부재중 등의 이유로 인하여 착신호에 대해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어부(52)는 CID별 미통화 수신 시각 및 수신 횟수를 체크한다(106단계)(108단계).
CID별 미통화 수신 시각 및 수신 횟수가 체크되면, 제어부(52)는 저장되어 있는 미통화 CID 리스트에 수신한 CID를 추가하여 메모리(58)에 저장한다(110단계).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입력부(62)를 조작하여 메모리(58)에 저장된 미통화 CID 리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52)는 미통화 CID 리스트에서 CID별로 체크된 수신 횟수에 따라 구분 표시하여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여기서 수신 횟수에 따른 구분 표시는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미통화 수신 횟수가 3회 이상(아니면 2회, 3회별로 매 횟수마다)이면 다른 미통화 CID와 구분되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이러한 구분 표시는 칼라색, 문자체, 문자굵기, 문자크기일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회 미통화 연결된 '어머니'는 빨강색(도면에는 흑백처리됨을 고려)으로 표기되고, 2회 미통화 연결된 '018-123-****'는 파랑색(도면에는 흑백처리됨을 고려)으로 표기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칼라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흑백폰이라면, '어머니', '018-123-****'는 문자체나 문자굵기를 통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 도 4a와 같이 표시되는 것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b에 표시되는 부재중 수신 목록을 통해 동일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전화가 걸려왔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통화 CID 리스트 중 '어머니'를 선택하였을 경우, 수신된 각각의 시간 정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14단계에서 제어부(5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원 오프 명령이 없으면 제어부(52)는 100단계에서부터 반복 수행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있으면 단말기 전원은 오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미통화 CID 리스트에 포함된 CID 중 통화가 이루어진 CID 정보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6단계에서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52)는 통화 연결 설정을 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116단계).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52)는 통화 연결을 해제한다(118단계). 그리고 제어부(52)는 통화된 해당 CID가 미통화된 C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122). 미통화 C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52)는 통화된 해당 CID를 미통화 CID 리스트에서 삭제한다(124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2)는 상술한 바와 같은 114단계의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통화 CID 리스트중에서 그 후에도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대방의 CID 리스트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발신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발신자 정보를 미통화 CID 리스트(부재중 수신 목록)에 다르게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동일한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여러번 왔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처리 흐름도.
도 4a는 종래 미통화된 발신자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통화된 발신자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통화된 발신자의 수신 시간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Claims (3)

  1. 착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착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수신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와;
    발신자 식별정보별로 체크된 수신 횟수에 대응되는 표시를 달리하여 미통화된 발신자 식별정보 리스트를 구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가 칼라색, 문자체, 문자굵기, 문자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통화가 이루어진 발신자 식별정보는 상기 미통화된 발신자 식별정보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KR1020030087314A 2003-12-03 2003-12-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KR20050054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14A KR20050054038A (ko) 2003-12-03 2003-12-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14A KR20050054038A (ko) 2003-12-03 2003-12-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038A true KR20050054038A (ko) 2005-06-10

Family

ID=3724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14A KR20050054038A (ko) 2003-12-03 2003-12-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5981A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KR1002829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US20060099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group call processing in a key telephone system
CN100474977C (zh) 用于处理呼叫的方法和系统
KR200200326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US6999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notification of reception limitation status of mobile telephone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79079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idging
KR100566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200500540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처리 방법
KR0148891B1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10039866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KR20030038235A (ko) 전화의 착신거부 방법
KR200400455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US6487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KR100974133B1 (ko)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986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 수신 정보 제공 방법
KR101084119B1 (ko)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답장 발송방법
JPH09153955A (ja) 電話端末装置
KR1006506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제한 방법
KR20030078324A (ko) 수신상태 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KR20080090674A (ko) 이동 단말 및 sms메시지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