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575A -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575A
KR20050052575A KR1020030085742A KR20030085742A KR20050052575A KR 20050052575 A KR20050052575 A KR 20050052575A KR 1020030085742 A KR1020030085742 A KR 1020030085742A KR 20030085742 A KR20030085742 A KR 20030085742A KR 20050052575 A KR20050052575 A KR 2005005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imchi refrigerator
opening
drive m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재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2575A/ko
Publication of KR2005005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도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기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킴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oor in Kim-Chi storage}
본 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김치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냉방장치의 일종으로서, 모터가 구동되는 압축기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액화시키고, 상기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를 모세관을 통해 증발기로 이동시키며, 상기 증발기로 이동된 냉매를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증발시키므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켜 냉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발생된 냉기를 김치냉장고의 본체 내에 공급시키므로 김치냉장고 내에 저장된 음식들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고, 상기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를 통해 응축기로 이동하며, 상기 응축기로 이동된 냉매는 응축되어 액화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상기한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냉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냉장고의 원리를 이용하여 김치를 숙성하고,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적용하도록 하는 김치냉장고가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 김치냉장고는 크기가 작은 관계로 일반 내장고가 측면으로 도어를 여닫도록 구성된 것에 반하여 도어가 몸체의 상측에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로 젖혀서 여닫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상부도어의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10)는 내부에 김치를 저장하는 본체(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상부도어(3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0)는 그 내부에 저장실(2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22)에는 김치를 담아두는 저장용기(미 도시)가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30)는 상기 본체(20)의 배면 상측에 힌지(4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22)의 개폐를 하게 된다.
상기 상부도어(30)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을 갖는 자석부재(미 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실(22)을 닫을 경우, 상기 자석부재가 저장실(22)의 주변에 밀착됨으로 상기 저장실(22)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저장실(22)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착시키게 되면, 힘이 없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상기 상부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상기 상부도어(30)를 개폐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김치냉장고의 몸체에 감속기를 형성하고, 상기 감속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를 형성하며, 상기 감속기와 치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도어기어를 형성하여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킴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감속하도록 형성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치합되며 상기 도어 회전축의 일 측에 형성된 도어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기어와 치합되는 마지막 기어가 웜기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일정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센서와;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힌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약자 또는 어린이도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배면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100)는 몸체(110)와 도어(1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저장실(11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112)에는 저장용기(미 도시)가 보관되며, 상기 저장용기에는 숙성 또는 냉장을 위한 음식이 담겨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는 상기 몸체(110)의 상단 배면측에 힌지(130)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는 스위치(190)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140)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40)에 의해 작동되는 감속기(150)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190)는 상기 김치냉장고(100)의 어느 위치나 조작하기 용이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김치냉장고(100)의 몸체(110) 전면부에 형성된 계기패널(114)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150)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도어(120)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20)의 회전축과 인접한 몸체(11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20)의 일 측에는 상기 감속기(150)와 치합되는 도어기어(160)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기어(160)는 도어(120)의 회전축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150)의 마지막 기어는 웜기어(Worm gear;155)로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155)에 치합되도록 상기 도어기어(160)의 접촉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40)를 더욱 감속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120) 회전축과 인접하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제어센서(170, 175)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는 소정각도 및 닫히는 점을 체크하여 상기 구동모터(140)의 작동을 멈추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센서(170, 175)는 제1제어센서(170)와 제2제어센서(175)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센서(170)는 상기 도어(120)의 개방 시, 상기 도어(120)가 소정각도로 개방되면, 상기 구동모터(140)를 멈추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센서(175)는 상기 도어(120)의 닫힘 시, 상기 도어(120)가 몸체(110) 상부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40)를 멈추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20) 내부에는 토션스프링(180)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도어(120)의 힌지(130) 축에 형성되며, 일 단은 상기 도어(120) 방향으로 설치되고, 타 단은 상기 힌지(130)의 외측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타 단이 상기 힌지(130)의 형성방향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100)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스위치(190)를 눌러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140)에 의해 감속기(150)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감속기(150)와 일 측이 연결된 도어(120)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를 닫을 경우 상기 스위치(190)를 눌러 상기 구동모터(140)를 역으로 동작시켜 상기 도어(120)를 닫게된다.
상기 감속기(150)는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40)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상기 감속기(150)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일정한 구동력을 상기 도어(1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150)와 연결되는 상기 도어(120)의 배면 일 측에는 도어기어(160)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즉, 상기 감속기(150)는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이 상기 도어(120)의 일 측에 형성된 도어기어(160)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기어(160)와 치합되는 마지막 기어는 웜기어(155)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기어(160)는 상기 감속기(150)의 일 단에 형성된 웜기어(155)와 접촉면이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도어기어(160)의 면 중앙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속기(150)와 도어기어(160)는 더욱 견고하게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40)의 힘을 더욱 감속시켜줌으로 상기 도어(120)가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김치냉장고(100)의 도어(120)가 인접하는 몸체(110)의 소정위치에 제어센서(170, 175)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40)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센서(170, 175)는 상기 도어(120) 개방 시 구동모터(140)를 자동 제어하는 제1제어센서(170)와 상기 도어(120) 닫힘 시 구동모터(140)를 자동 제어하는 제2제어센서(17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제어센서(170)는 상기 구동모터(140)가 작동되어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기 시작한 후, 상기 도어(120)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면 상기 구동모터(140)를 멈추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센서(175)는 상기 스위치(190)를 눌러 상기 도어(120)를 닫히도록 작동시킨 후, 상기 도어(12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40)를 멈추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센서(170, 175)의 작동은 상기 도어(120)의 회전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20) 회전축의 일부 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어센서(170, 175)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의 내부에 토션스프링(180)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120)가 개방될 때 더욱 잘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도어(120)의 힌지(130)가 형성된 회전축에 형성되며, 일 단은 상기 도어(1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힌지(130)의 외측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감속기(150)에 의해 구속됨으로 상기 스위치(190)를 눌러 상기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힘이 상기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구동모터(140)가 도어(120)를 개방할 때, 상기 도어(1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힘을 보조해주는 역할이며, 그 힘은 상기 도어(120)가 일정각도로 개방될 때까지 작용한다.
상기 내용을 다시 상술하면, 스위치(190)를 누르면, 구동모터(140)가 일 방향으로 작동되어 감속기(150)를 작동시킴으로 상기 감속기(150)의 마지막 기어인 웜기어(155)에 의해 도어기어(1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기어(160)가 회전되면 상기 도어기어(160)와 동일 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도어(120)가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20)에 형성된 토션스프링(180)의 힘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도어(1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방되던 도어(120)가 일정각도로 열리게 되면, 상기 도어(120)의 회전축의 외면이 제1제어센서(170)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140)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다시, 상기 도어(120)를 닫기 위해 상기 스위치(190)를 누르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40)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감속기(150)를 작동시키고, 상기 감속기(150)에 의해 상기 도어기어(160)가 역회전됨으로 상기 도어(120)를 닫을 수 있게된다.
상기 도어(120)가 닫힐 경우,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은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힘을 이기고, 상기 도어(120)의 무게에 의해 용이하게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 개폐방법은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킴으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어의 일정 개방각도와 닫히는 점을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구동모터를 조절함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상부도어의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배면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김치냉장고 110 : 몸체
112 : 저장실 120 : 도어
130 : 힌지 140 : 구동모터
150 : 감속기 155 : 웜기어
160 : 도어기어 170 : 제1제어센서
175 : 제2제어센서 180 : 토션스프링
190 : 스위치

Claims (4)

  1. 상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감속하도록 형성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치합되며 상기 도어 회전축의 일 측에 형성된 도어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기어와 치합되는 마지막 기어가 웜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일정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센서와;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힌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20030085742A 2003-11-28 2003-11-28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20050052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742A KR20050052575A (ko) 2003-11-28 2003-11-28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742A KR20050052575A (ko) 2003-11-28 2003-11-28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575A true KR20050052575A (ko) 2005-06-03

Family

ID=3724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742A KR20050052575A (ko) 2003-11-28 2003-11-28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25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29B1 (ko) * 2006-08-22 2007-05-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0802301B1 (ko) * 2003-12-30 2008-02-1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배스의 자동 도어장치
KR20170043814A (ko)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01B1 (ko) * 2003-12-30 2008-02-1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배스의 자동 도어장치
KR100713829B1 (ko) * 2006-08-22 2007-05-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20170043814A (ko)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7255A1 (en) Home bar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43642B1 (ko) 냉장고
JP3016734B2 (ja) 冷蔵庫の製氷容器の取付構造
KR100707347B1 (ko) 냉장고
KR20050052575A (ko)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WO2005057106A1 (en) A refrigerator
KR20020027724A (ko) 급속냉각장치 및 급속냉각방법
KR100425733B1 (ko)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KR20160095370A (ko) 냉장고
CN110088545A (zh) 开门装置和冷藏库
CN114812043A (zh) 冰箱
JPH1089833A (ja) 冷蔵庫
KR200297817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286018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324628B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도어 작동구조
KR100534136B1 (ko) 냉장고
KR100379275B1 (ko) 김치저장고의 가이드레일부재 체결구조
KR100374856B1 (ko) 김치냉장고의 내,외측 케이스조립구조
KR100513023B1 (ko) 도어 연결부 구조
KR20070093288A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79877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구조
KR100409239B1 (ko) 회전 저장식 김치냉장고
KR19990049652A (ko) 냉장고도어자동폐쇄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357774B1 (ko) 증발기파이프의 고정이 용이한 김치저장고
KR200319489Y1 (ko) 냉장고의 홈 바 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