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079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079A
KR20050052079A KR1020030085927A KR20030085927A KR20050052079A KR 20050052079 A KR20050052079 A KR 20050052079A KR 1020030085927 A KR1020030085927 A KR 1020030085927A KR 20030085927 A KR20030085927 A KR 20030085927A KR 20050052079 A KR20050052079 A KR 2005005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duct
housing
guid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2079A/ko
Publication of KR2005005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에 약한 의류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건조통으로 안내되게 하는 공기안내덕트를 구비한 것으로, 공기안내덕트에는 공기가 일정 이상의 속도로 건조통을 통과하게 하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로 건조할 수 없는 열에 약한 의류 등의 세탁물도 일정 이상의 속도를 갖고 건조통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에 약한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건조통 내로 강제 송풍시켜 건조통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히터와 팬을 통해 가열된 열풍을 건조통내로 강제 순환시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공기를 건조통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덕트와, 공기를 건조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덕트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안내덕트에는 공기안내덕트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장착되며, 공기배출덕트에는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세탁물을 건조시킨 건조통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이 구비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배기팬에서 발생한 흡입력 및 송풍력에 의해 공기안내덕트, 건조통, 공기배출덕트를 차례로 지나면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열에 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경우, 공기 가열을 위한 히터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배기팬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만 자연건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배기팬의 흡입력에 의해 생기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만 세탁물을 건조시킬 경우, 건조통을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충분치 않아 의류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약한 의류 등의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건조통으로 안내되게 하는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통해 상기 건조통으로 유동하게 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안내하는 공기배출덕트와, 상기 공기배출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유동하게 하는 배기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건조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는 상기 건조통과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의 후방측에는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건조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덕트에는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형상의 건조통(20)과,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건조통(20)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덕트(30)와,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건조통(2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배출덕트(4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그 전방측에 세탁물 투입 및 인출을 위한 투입구(11)와, 투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하여 투입구(11) 일측에 힌지결합된 도어(12)가 마련되며,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는 각 구동요소들을 작동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3a)과 의류건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b) 등을 갖춘 컨트롤패널(13)이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우징(10)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건조통(2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리프터(21)가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세탁물이 리프터(21)에 의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졌다가 낙하하며 건조통(2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되도록 되어 있다.
공기안내덕트(30)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1)와, 송풍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일정 이상의 속도로 건조통(20)을 통과하게 하는 송풍팬(32)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일단은 하우징(10)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건조통(20)의 후면에 연결되어 건조통(2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배출덕트(40)는 그 중도에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배기팬(41)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은 건조통(20)의 전면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0) 후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배기팬(41)의 동작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시킨 건조통(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에는 건조통(20), 송풍팬(32) 및 배기팬(41)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50)가 마련된다. 구동모터(50)는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며 그 회전축(51)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그 일측에 배기팬(41)이 직결되어 배기팬(41)을 회전시키고 그 타측에 한 쌍의 풀리(52a, 52b)가 설치되어 벨트(53a, 53b)를 통해 건조통(20)과 송풍팬(32)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건조통(20)에는 공기안내덕트(30)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후면측 일부가 개방되어 건조통(20)과 공기안내덕트(30)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2)의 직후방에 상기에 언급한 송풍팬(32)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유입구(22)는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건조통(20) 내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조통(20)의 후면 중앙측에 소정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2)에는 공기유입구(22)를 덮어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3)가 설치된다. 이 때, 이러한 필터(23)는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세탁물이 건조통(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동시에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32)은 건조통(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기안내덕트(30) 내의 어느 위치에도 배치되어 질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먼저 건조통(20)내로 젖은 세탁물을 투입한 후, 도어(12)를 닫고 의류건조기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5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50)에서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회전력은 회전축(51)을 통해 배기팬(41), 건조통(20) 및 송풍팬(32)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은 건조통(20)에 마련된 리프터(21)에 의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후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공기는 송풍팬(32)에서 발생한 흡입력 및 송풍력에 의해 공기안내덕트(30)를 통해 건조통(20)으로 유입되어 건조통(20) 내의 상하로 유동하고 있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후, 배기팬(41)에서 발생한 흡입력 및 송풍력에 의해 공기배출덕트(40)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의류건조기가 동작할 때, 세탁물이 열에 강한 제품일 경우에는 히터(31)가 동작하여 공기안내덕트(30)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가 건조통(20)에 공급되고 그에 따라 세탁물의 물이 열에 의해 짧은 시간에 증발되어 건조된다.
한편, 세탁물이 열에 약한 제품일 경우에는 송풍팬(32) 및 배기팬(41)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만 자연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자연건조가 이루어질 경우에도 송풍팬(32)에 의해 공기가 일정 이상의 속도를 가진 상태로 건조통(20)을 통과하므로 열에 약한 세탁물도 짧은 시간 내에 건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공기안내덕트의 내에 송풍팬이 마련되어, 공기가 일정 이상의 속도로 건조통을 관통하며 세탁물을 건조하므로, 히터를 사용할 수 없는 열에 약한 의류 등의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건조통
21: 리프터 22: 공기유입구
23: 필터 30: 공기안내덕트
31: 히터 32: 송풍팬
40: 공기배출덕트 41: 배기팬
50: 구동모터 51: 회전축
52a, 52b: 풀리 53a, 53b: 벨트

Claims (6)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건조통으로 안내되게 하는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통해 상기 건조통으로 유동하게 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안내하는 공기배출덕트와, 상기 공기배출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유동하게 하는 배기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건조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는 상기 건조통과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의 후방측에는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건조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에는 상기 공기안내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30085927A 2003-11-29 2003-11-29 의류건조기 KR2005005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927A KR20050052079A (ko) 2003-11-29 2003-11-29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927A KR20050052079A (ko) 2003-11-29 2003-11-29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79A true KR20050052079A (ko) 2005-06-02

Family

ID=3724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927A KR20050052079A (ko) 2003-11-29 2003-11-29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2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367B2 (en) A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672114B1 (en) Clothing dryer
US8250777B2 (en) Device of supplying water for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1668892B (zh) 家用电器
KR20100040478A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100556805B1 (ko) 의류 건조기
EP2280114B1 (en) Clothes dryer having liquid injection nozzle
KR100575674B1 (ko) 흡입공기 여과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JP4307521B2 (ja) 洗濯乾燥機
KR20050052079A (ko) 의류건조기
KR20050076083A (ko) 의류건조기
KR20050108114A (ko) 의류 건조기용 배기챔버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JP2005261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465725B1 (ko) 건조기
KR10046572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30215B1 (ko) 인터넷용 세탁 건조기
KR100465718B1 (ko) 건조기
KR20050061878A (ko) 건조기의 흡배기 유로 구조
KR10065190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2762B1 (ko) 의류 건조기의 의류 종류에 따른 회전속도 제어 방법
JP7015988B2 (ja) 洗濯乾燥機
KR100570529B1 (ko) 의류건조기
KR100608133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