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928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928A
KR20050051928A KR1020030085614A KR20030085614A KR20050051928A KR 20050051928 A KR20050051928 A KR 20050051928A KR 1020030085614 A KR1020030085614 A KR 1020030085614A KR 20030085614 A KR20030085614 A KR 20030085614A KR 20050051928 A KR20050051928 A KR 2005005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lange surface
clothes dryer
front cabine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677B1 (ko
Inventor
황성기
안정기
한일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677B1/ko
Priority to US10/892,106 priority patent/US20050116591A1/en
Publication of KR2005005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캐비닛을 사이드 캐비닛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조립되어진 면사이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 양측에 플랜지면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것과 더불어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을 결합시킬 경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종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의류건조기 본체(B)는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0)와,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양측에 플랜지면(21)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20)과,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31)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30)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0)와, 상기 캐비닛 상부에 설치되는 톱커버(50)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 상단측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본체(B)를 구성하는 요소인 프론트 캐비닛(20)에 빨래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건조드럼(도시는 생략함)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에는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2)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조드럼에는 열풍공급유로 및 열풍배출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열풍공급유로 상에는 건조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열풍배출유로 상에는 건조드럼 내부로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킴과 더불어 건조 완료후의 공기를 본체(B)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의류건조기에 따른 건조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드럼 내측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후, 건조행정을 수행시키면, 히터 및 모터(미도시)가 작동된다.
그리고, 배기팬이 작동됨에 따라 열풍공급유로의 흡입측을 통해 본체(B) 내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히터를 지나면서 고온화 되어 생성된 열풍이 열풍공급유로를 통해 건조드럼 내측으로 강제 유입된다.
이어서, 건조드럼 내로 유입된 열풍은 배기팬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열풍배출유로의 배출측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되며, 이 때 건조드럼은 벨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저속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30)에 프론트 캐비닛(20)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의류건조기는 프론트 캐비닛(20)과 사이드 캐비닛(30)을 여러 군데의 나사 체결을 통해 조립하게 되어 있어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이드 캐비닛(20)과 프론트 캐비닛(30)간의 조립을 행하기 위해서는, 옆에서 누군가가 프론트 캐비닛(30)이 처지지 않도록 잡아주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은 제작과정에서 그 면이 불균일하게 제작될 수밖에 없다.
이 때, 사이드 캐빈닛(3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이 조립이 완료될 경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과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 사이의 틈새가 불균일 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의류건조기를 작동하거나 운반시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으로부터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조립이 완성된 의류건조기를 컨테이너 혹은, 운반용 차량에 하역할 경우, 클램핑기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클램핑기가 접촉되는 양측부위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프론를 캐비닛(20)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프론트 캐비닛을 사이드 캐비닛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조립되어진 면사이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양측에 플랜지면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후방양측에 플랜지면(210)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200)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310)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30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프론트 캐비닛(200)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각 플랜지면(210) 및 각 사이드 캐비닛(300)의 전방측 플랜지면(3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21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이 조립되어질 경우, 우선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용이하게 조립을 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프론트 캐비닛 플랜지면(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210) 혹은, 각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중 어느 한 플랜지면에 구비된 고정홀더(410)와, 상기 고정홀더(410)와는 대응하는 부위의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더(410)가 요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성된 고정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420)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되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플랜지면(2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420)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형성되는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에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물론,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홀더(410)를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410)는 상기 고정홀(420)에 요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홀더(410)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대략 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수단에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사이의 틈새가 균일하게 유지되기 위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중 어느 한 플랜지면으로부터 다른 한 플랜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홀더(410)가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의 전방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210) 상하부측 혹은,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상하부측에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의 전방측면에 상기 고정홀더(410)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각 플랜지면(210)(310)을 제작할 경우, 상기 각 플랜지면에 포밍(foaming) 작업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과정 및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의 플랜지면(310)에 프론트 캐비닛(2)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을 제작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 중 한 플랜지면의 일부를 포밍 작업을 통하여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를 형성하도록 하고, 다른 플랜지면의 일부에는 고정홀(420)을 형성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 중심부위에 상기 고정홀더(410)가 결합되어지도록 제1체결공(4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홀더(410) 중심부에 형성된 제2체결공(411)과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에 형성된 제1체결공(431)을 일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서로 일치된 각 체결공(411)(431)에 스크류(100) 혹은,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 및 고정홀더(410)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고정홀(420)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캐비닛(300)에 상기 프론트 캐비닛(300)이 조립되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된 고정홀(420)에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된 고정홀더(410)를 요입한다.
이 때,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구비된 고정홀더(410)의 상단부가 뾰족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에 형성된 고정홀(420) 내로의 요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요입 완료시에는 프론트 캐비닛 플랜지면(210)의 단면적이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에 형성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에 접촉하게된다.
이 때,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로 인하여,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사이에는 균일한 틈새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다음, 상기 고정홀더(410)에 의해 가 조립된 상태의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을 스크류등을 이용하여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310) 중 어느 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4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캐비닛(200)과 사이드 캐비닛(300)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210) 강도가 보강되어 조립이 완료된 제품을 하역시 문제되었던 프론트 캐비닛(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430)는 상기 플랜지면을 이용하여 포밍작업을 통해 형성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홀더(410)를 제작할 경우, 일체로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410)는 각 플랜지면(210)(310)에 용접과정을 통하여 장착됨도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캐비닛과 프론트 캐비닛간의 조립완료 시, 그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정홀더가 구비됨으로써, 프론트 캐비닛의 강도가 보강되어 조립이 완료된 의류건조기를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도중 발생되는 프론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되는 생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구비된 플랜지면에 고정홀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이도.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200: 프론트 캐비닛 210: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300: 사이드 캐비닛 310: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
410: 고정홀더 411: 제2체결공
420: 고정홀 430: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
431: 제1체결공

Claims (11)

  1.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이루면서, 후방 양측에 플랜지면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과,
    상기 의류건조기의 측면을 이루면서, 전방측에 플랜지면이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에 프론트 캐비닛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위치결정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 및 각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각 플랜지면 혹은, 각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 중 어느 한 플랜지면에 구비된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와는 대응하는 부위의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더가 요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대략 콘 형상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에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 사이에는 균일한 틈새의 유지를 위한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중 어느 한 플랜지면으로부터 다른 한 플랜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틈새 균일 유지용 돌출부의 전방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의 플랜지면 혹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전방측 플랜지면에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30085614A 2003-11-28 2003-11-28 의류건조기 KR10106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14A KR101065677B1 (ko) 2003-11-28 2003-11-28 의류건조기
US10/892,106 US20050116591A1 (en) 2003-11-28 2004-07-16 Home applianc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14A KR101065677B1 (ko) 2003-11-28 2003-11-28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928A true KR20050051928A (ko) 2005-06-02
KR101065677B1 KR101065677B1 (ko) 2011-09-19

Family

ID=3461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14A KR101065677B1 (ko) 2003-11-28 2003-11-28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16591A1 (ko)
KR (1) KR101065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1437A1 (de) * 2006-01-10 2007-07-12 Miele & Cie. Kg Gehäuse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IT1399435B1 (it) * 2010-04-13 2013-04-19 Gatto S P A Anta per mobili con pannello amovibile - intercambiabile.
KR20120136166A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9295B1 (ko) * 2013-10-17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977A (en) * 1974-11-18 1976-05-18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Fume hood with removable enclosure panels
US5584549A (en) * 1995-04-26 1996-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Front serviceable appliance cabinet
KR100261715B1 (ko) * 1998-01-14 2000-07-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캐비넷커버 결합구조
TW472903U (en) * 1999-12-28 2002-01-11 Hon Hai Prec Ind Co Ltd Computer panel
KR100353026B1 (ko) * 2000-07-2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캐비넷
KR20030006100A (ko) *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677B1 (ko) 2011-09-19
US20050116591A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08842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CN113308844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KR101073903B1 (ko) 의류건조기
KR102493055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0595181B1 (ko)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어셈블리 조립 구조
KR101065677B1 (ko) 의류건조기
US7069669B2 (en) Clothes dryer
KR101012361B1 (ko) 의류건조기의 탑브라켓과 사이드 캐비닛의 결합구조
KR100913083B1 (ko) 빨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과 프론트 서포트간의 조립구조
US7350319B2 (en) Clothing dryer
KR20050058015A (ko) 의류건조기
KR101141637B1 (ko) 의류건조기의 사이드 캐비닛 강도보강 구조
KR101012363B1 (ko) 의류건조기의 히터브라켓 구조
KR100452369B1 (ko)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KR100587295B1 (ko) 빨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 조립구조
KR20040013278A (ko) 빨래건조기 베이스의 레그 체결부위 보강구조
KR100452368B1 (ko)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KR20050070474A (ko) 의류건조기
KR101122068B1 (ko) 의류건조기의 전원 연결부의 구조
KR20050037185A (ko) 의류 건조기
KR101065681B1 (ko) 의류건조기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KR100625474B1 (ko) 의류건조기
KR101147738B1 (ko) 의류건조기의 인렛덕트와 히터케이스 간의 결합구조
KR20040012003A (ko)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및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101065680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