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092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092A
KR20050051092A KR1020030084809A KR20030084809A KR20050051092A KR 20050051092 A KR20050051092 A KR 20050051092A KR 1020030084809 A KR1020030084809 A KR 1020030084809A KR 20030084809 A KR20030084809 A KR 20030084809A KR 20050051092 A KR20050051092 A KR 2005005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substrates
ocb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남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092A/ko
Publication of KR2005005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광원으로서 적색, 녹색, 청색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에프에스씨-오씨비(Field Sequential Color-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 이하, FSC-OCB라 함.)도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OCB 모드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여 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배향막이 각각 형성되고, 배향막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가 분산된 액정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 1, 2 기판 및 상기 액정에 빛을 공급하는 배면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가 혼합된 액정을 사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오프 구동시 액정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켜 색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광원으로서 적색, 녹색, 청색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에프에스씨-오씨비(Field Sequential Color-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 이하, FSC-OCB라 함.)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화소(pixel) 마다 스위칭(switching) 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의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사용하게 된다.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의 주사 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 구동되어 데이터 배선의 화상 신호를 표시하게 되는데, 액정표시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은, 일반적으로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 이하, TN 이라함.) 모드 액정이 사용된다. TN 모드의 액정은 초기 배향에 의해 액정분자의 트위스트 각이 90°로 설정되며, 전계가 인가됐을 때 트위스트된 액정분자의 배열이 펴지면서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 이 TN 모드 액정은 시야각이 좁고 응답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TN 모드 액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횡전계(In-Plane Switching : 이하, IPS라 함.) 모드, 오씨비(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 이하, OCB라 함.) 모드 등의 액정이 개발된 바 있다. IPS 모드의 액정은 수평전계에 의해 광시야각에 유리하지만 응답시간이 10∼60 ㎳ 정도로 느리다. 그에 비해, OCB 모드의 액정은 TN 모드의 액정에 비해 구조적으로 광시야각에 유리하고 응답시간이 3∼11 ㎳ 정도로 빠르다.
도 1a 내지 1c는, 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OCB 모드 액정표시장치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10, 60)과, 제 1, 2 기판(10, 60) 사이에 충진된 액정(50)과, 제 1 기판(10) 하부에 위치하는 배면광원(9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기판(10) 상에는 투명 전극(15)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기판(60) 하부에는 공통 전극(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50)을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20, 70)이 제 1, 2 기판(10, 60) 각각에 형성되며, 배향막(20, 70)은 동일한 방향으로 러빙(rubbing)되어 배향된다. 여기서, 배면광원(90)은 적색, 녹색, 청색이 혼합되어 백색으로 방출되는 음극관을 사용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배향상태에서 액정분자(50)는 스플레이(splay) 상태로 배열된다. 스플레이 상태에서, 액정분자(50)는 제 1, 2 기판(10, 70) 표면에서 각각 θ°와 -θ°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으로 배열되며, 액정의 중심으로 갈수록 틸트각이 감소하여 액정 중심에서 틸트각이 0°가 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극(15, 65)에 문턱전압 이상의 전위차로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분자(50)는 스플레이 상태에서 벤드(bend) 상태로 전이된다. 벤드 상태에서 액정분자(50)는 제 1, 2 기판(10, 60) 표면에서 초기 프리틸트각(pretilt angle) 값인 ±θ°를 유지하며, 액정 중심으로 갈수록 틸트각이 증가하여 액정 중심에서 그 틸트각이 90°가 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드 상태의 액정분자(50)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분자(50)의 배향이 수직으로 변하면서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에 있어서 OCB 모드와 TN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비교하면, TN 모드의 액정은 트위스트된 배열상태가 풀려짐과 동시에 액정배향이 수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길어지지만, OCB 모드 액정은 벤드상태에서 배향이 바로 수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작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배면광원(190)이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적색, 녹색, 청색 램프(190a, 190b, 190c)를 사용하며, 그에 따라 OCB 모드 액정을 구동하게 된다.
적색, 녹색, 청색 램프(190a, 190b, 190c) 각각은 하나의 프레임(frame)에 대해 순차적으로 1/3 프레임씩, 제 1, 2, 3 서브 프레임(sub frame) 동안 점등된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은 16.7㎳ 의 시간이며, 제 1, 2, 3 서브 프레임은 16.7/3 ㎳ ≒ 5.56 ㎳의 시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 OCB 모드 액정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즉 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액정은 3배 빠르게 구동되어야 한다. 한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은 OCB 모드 액정의 물성을 그대로 유지해야 된다.
그런데,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 그것에 사용되는 OCB 모드 액정이 빠르게 구동되지 못하여 색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저온(5℃ 이하)에서 구동되는 경우에 액정은 응답 특성이 저하되어 색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은 종래의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색 구현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색 재현성이 저하되며, 좌우 측의 색 편차가 발생하는 등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OCB 모드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여 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향막이 각각 형성되고, 배향막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가 분산된 액정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 1, 2 기판 및 상기 액정에 빛을 공급하는 배면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은 오씨비(OCB) 모드 액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유전성 입자와 상기 액정은 0.3 ~ 5 중량% : 95 ~ 99.7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강유전성 입자는 그 직경이 20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유전성 입자는 서로 5 ㎛ 이상 거리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기판 각각의 배향막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광원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적색, 청색, 녹색의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ferroelectric nano paticle)를 OCB 모드 액정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액정의 응답속도를 기본의 OCB 모드 액정에 비해 빠르게 개선시켜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OCB 모드 액정은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210, 260)과, 제 1, 2 기판(210, 260) 사이에 충진된 혼합 액정(250)과, 제 1 기판(210) 하부에 위치하는 배면광원(29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기판(210)은 하부기판으로서, 제 1 기판(210) 상에는 투명 전극(215)과 제 1 배향막(220)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전극(215)은 배면광원(29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통과시키며, 공통 전극(265)과 함께 액정(250)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해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이하, ITO라 함.)와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 이하, IZO라 함.)를 포함한 투명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배향막(220)은 액정(250)을 배향하기 위해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되는데, 제 2 기판(260) 상에 형성된 제 2 배향막(270)과 동일한 배향 방향을 가진다. 제 1 배향막(220)은 제 1 기판(210) 상에 도포된 후에 러빙공정을 거쳐 배향되는데,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2 기판(260)은 상부기판으로서, 제 2 기판(260) 하부에는 공통 전극(265)과 제 2 배향막(2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65)은 화소 전극(215)과 액정(250)에 전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ITO와 IZO를 포함한 투명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배향막(270)은, 제 1 배향막(220)과 동일한 배향 방향을 가지며 폴리이미드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기판(210) 하부에는 액정표시장치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배면광원(290)이 위치하고 있다. 배면광원(290)은 적색, 녹색, 청색 램프(290a, 290b, 290c)로 이루어진다. 적색, 녹색, 청색 램프(290a, 290b, 290c)는 전체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순차적으로 1/3 프레임씩, 제 1, 2, 3 서브 프레임의 동안 점등된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은 16.7㎳ 의 시간이며, 제 1, 2, 3 서브 프레임은 16.7/3 ㎳ ≒ 5.56 ㎳의 시간이다.
예를 들면, 적색 램프(290a)가 제 1 서브 프레임 동안 점등되고, 녹색 및 청색 램프(290b, 290c)는 소등된다. 제 2 서브 프레임 동안 녹색 램프(290b)는 점등되고, 적색 및 청색 램프(290a, 290c)는 소등된다. 제 3 서브 프레임 동안 청색 램드(290c)는 점등되고, 적색 및 녹색(290a, 290b) 램프는 소등된다. 즉, 적색, 녹색, 청색은 순차적으로 각 서브 프레임의 기간동안 점등되며, 그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은 순차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램프(290a, 290b, 290c) 각각이 점등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액정표시장치에는 적색, 녹색,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전압이 각각 인가되고, 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을 화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OCB 모드 액정(251)과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252)가 혼합된 액정(250)을 사용하게 된다. 강유전성 입자(252)와 OCB 모드 액정(251)은,
0.3 ~ 5 중량% : 95 ~ 99.7 중량%
의 비율로 혼합된다.
강유전성 입자(252)는 200 ㎚ 이하의 크기(직경)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강유전성 입자(252)는 혼합 액정(250) 내에서 입자와 입자 사이의 거리가 5 ㎛ 이상의 거리를 가지도록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강유전성 입자(252)의 일예로 티오하이포디포스페이트(thiohypodiphosphate : Sn2P2S6)를 사용한다.
강유전성 입자(252)는 OCB 모드 액정(251)과 같은 액정표시장치용 액정에 비해 유전율 이방성 값이 크고, 배향이 안정적이며,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다. 그리고, 저온(5℃ 이하)에서 특히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계의 작용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강유전성 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에 혼합됨으로써,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 값을 향상시키는 등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저온 안정성이 순수 액정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주변 액정을 빠르게 구동시킴으로써 저온에서의 오프(OFF) 응답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액정의 응답시간을 향상시킨다. 즉, 강유전성 입자는 주변의 액정에 대해 시드(seed)로 기능하게 된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의 구동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오프(OFF) 구동에 따른 액정의 구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가 오프 상태가 되면,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는 강유전성 입자(252)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강유전성 입자(252)가 회전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유전성 입자(252)는 주변의 액정(251)을 강유전성 입자(252)가 회전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된 액정들은 재차 주변의 액정들을 회전하게 됨으로써 전체 액정은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에 혼합되는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는 액정표시장치의 오프 구동시 액정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특히, 강유전성 입자는 액정표시장치가 저온에서 오프 구동되는 경우에 느리게 응답하는 액정의 응답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의 온(ON) 구동시에도 강유전성 입자는 액정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과 7은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도시한 도표와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색 구현이 종래에 비해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색 재현성과 좌우 색 편차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를 OCB 모드 액정에 혼합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액정이 빠르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는,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 이외에도 액정의 빠른 구동속도가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가 혼합된 액정을 사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오프 구동시 액정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켜 색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c는, 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도시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의 구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응답 특성을 도시한 도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C-OCB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색 특성을 도시한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제 1 기판 215 : 투명 전극
220, 270 : 배향막 251 : OCB 모드 액정
252 : 강유전성 입자 260 : 제 2 기판
265 : 공통 전극 290 : 배면 광원
290a, 290b, 290c : 적색, 녹색, 청색 램프

Claims (7)

  1. 배향막이 각각 형성되고, 배향막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나노 단위의 강유전성 입자가 분산된 액정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 1, 2 기판 및 상기 액정에 빛을 공급하는 배면광원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오씨비(OCB) 모드 액정인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입자와 상기 액정은 0.3 ~ 5 중량% : 95 ~ 99.7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입자는 그 직경이 200 ㎚ 이하인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입자는 입자와 입자 사이의 거리가 서로 5 ㎛ 이상 거리로 분산된 액정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기판 각각의 배향막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광원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적색, 청색, 녹색의 램프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84809A 2003-11-27 2003-11-27 액정표시장치 KR20050051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809A KR20050051092A (ko) 2003-11-27 2003-11-27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809A KR20050051092A (ko) 2003-11-27 2003-11-27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092A true KR20050051092A (ko) 2005-06-01

Family

ID=3866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809A KR20050051092A (ko) 2003-11-27 2003-11-27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9825A (zh) * 2015-04-16 2015-07-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盒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9825A (zh) * 2015-04-16 2015-07-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盒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Technical evolu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98245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JP2548979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8293041A (ja) 液晶表示装置
US82036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ifferent twisting directions of liquid crystal molecules
US20130329151A1 (en) Liquid crystal panel, manufacturing process and display device thereof
JPS62143990A (ja) 液晶表示素子
KR102073957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73945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824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357622B2 (ja) 液晶表示装置
US71616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pontaneous polarized liquid crystal, with heating and applied voltage
US75578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6646710B2 (en) Light modulator
US2004010506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04725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51092A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65822A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구동방법
US72658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9990027489A (ko) 강유전성 액정을 첨가한 수직 배향 비틀린 네마틱 액정 표시 장치
KR100257719B1 (ko) 카이랄 네마틱 혼성 배향 구조를 이용한 반사형 칼라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66874A (ko) 횡전계모드 액정 표시장치
KR20040100558A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070576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2004013179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