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755A -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755A
KR20050050755A KR1020030084367A KR20030084367A KR20050050755A KR 20050050755 A KR20050050755 A KR 20050050755A KR 1020030084367 A KR1020030084367 A KR 1020030084367A KR 20030084367 A KR20030084367 A KR 20030084367A KR 20050050755 A KR20050050755 A KR 2005005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driving
c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203B1 (ko
Inventor
백범준
Original Assignee
백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범준 filed Critical 백범준
Priority to KR10-2003-008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2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복자세로 운동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복자세에서 양손과 양발을 뻗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하여 전신운동이 가능하도록 커넥팅로드 및 플라이휠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편심 연결구조 및 양손과 양발을 디딜 수 있도록 디딤대가 배치되고 각 디딤대를 편심 연결구조와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차 및 종동차가 레일 위에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A Whole Body Exercise Device Of Creeping Posture}
본 발명은 포복자세로 운동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복자세에서 양손과 양발을 디딜 수 있는 디딤대가 병렬 배치된 각 레일 위에 배치되고, 전기모터에 연결된 기어박스의 각 구동축에 플라이휠이 각각 축결합되고 각 플라이휠에 서로 대향되게 각 커넥팅로드가 연결되며, 각 디딤대를 좌우별로 구분 연결하거나 교차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포함하여 왼손 및 왼발에 대해 오른손 및 오른발 또는 왼손 및 오른발에 대해 오른손 및 왼발이 교번하여 이송됨이 가능한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기구들은, 복부, 허리, 팔, 다리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단련시키고자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각 신체부위에 대한 단련순서에 입각하여 순차적으로 각 기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신체의 각 부분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어느 일부분을 단련하게 될 경우 근접 배치되는 신체의 여타 부분에도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에, 단순히 신체의 일부분을 단련시키고자 하는 목적 및 구조로 개발된 운동기구는 신체의 유기적인 구조에 기반하지 않고 개발되어 운동의 효율측면에서 큰 한계를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신체의 일부분을 단련하고자 개발된 운동기구는, 본인의 근력으로 무게추가 연결된 레버(또는 로프 등)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는 등의 동작이 반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신체의 근간으로서 각 신체 일부분의 근력작용에 모두 연관되는 척추부위에 심각한 무리를 주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초보자일 경우 종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무리한 운동을 시행할 경우 척추 및 각 관절 등에 신체적인 이상이 발생될 소지가 다분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 운동기구는 대부분이 장애가 없는 신체에 맞게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신체에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하더라도 주위에서 보조할 수 있는 인력이 동반되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인의 전신운동은 물론 신체에 장애가 있더라도 보조인력의 상시적인 도움이 없이 전신운동이 가능한 구조의 운동장치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왼손 및 왼발과 오른손 및 오른발이 교번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각 레일 위에 양손 및 양발에 대응하고 각 레일별로 서로 연결된 구동차 및 종동차를 배치하고, 이에 대해 대향된 각 편심연결/구동구조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왼손 및 오른발과 오른손 및 왼발이 교번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각 레일 위에 양손 및 양발에 대응하고 서로 교차 연결된 구동차 및 종동차를 배치하고, 이에 대해 대향된 각 편심연결/구동구조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로 대향되게 병렬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어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 및 제 2지지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의 상부에 상향 이격되도록 하향 절곡된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로드 및 제 2지지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 1지지로드 및 제 2지지로드의 상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레일 및 제 2레일;
상기 제 1레일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
상기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가 상기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연결부재;
상기 제 2레일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
상기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가 상기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연결부재;
상기 후방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축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의 측부를 향해 양측에서 축설되는 제 1구동축 및 제 2구동축에 제 1플라이휠 및 제 2플라이휠이 각각 축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손디딤대 및 제 1발디딤대;
상기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에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2손디딤대 및 제 2발디딤대;
상기 제 1손디딤대 및 제 1발디딤대에 대해 상기 제 2손디딤대 및 제 2발디딤대의 이송방향이 교번되도록 상기 제 1플라이휠 및 제 2플라이휠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으로 각 일단부가 편심 연결되는 제 1편심로드 및 제 2편심로드;
상기 각 편심로드의 편심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각 구동차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각 편심로드의 타단부에 각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상기 각 구동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커넥팅로드 및 제 2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를 중심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심부와, 상기 지지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상향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지지심부를 중심으로 승강되도록 내부에 축설되고 유압력의 제공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의 상단이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발디딤대는, 전방을 향해 발을 세워 디딜 수 있도록 발바닥에 대응 밀착되는 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전/후로 대향되게 병렬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어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 및 제 2지지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의 상부에 상향 이격되도록 하향 절곡된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로드 및 제 2지지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 1지지로드 및 제 2지지로드의 상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레일 및 제 2레일;
상기 제 1레일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
상기 제 2레일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
상기 제 1구동차 및 제 2종동차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 1구동차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 2레일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 2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종동차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 2종동차에 결합되는 제 1연결부재;
상기 제 2구동차 및 제 1종동차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 2구동차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 1레일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 1레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종동차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 1종동차에 결합되는 제 2연결부재;
상기 후방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축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의 측부를 향해 양측에서 축설되는 제 1구동축 및 제 2구동축에 제 1플라이휠 및 제 2플라이휠이 각각 축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제 1구동차 및 제 1종동차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손디딤대 및 제 1발디딤대;
상기 제 2구동차 및 제 2종동차에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2손디딤대 및 제 2발디딤대;
상기 제 1손디딤대 및 제 2발디딤대에 대해 상기 제 2손디딤대 및 제 1발디딤대의 이송방향이 교번되도록 상기 제 1플라이휠 및 제 2플라이휠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으로 각 일단부가 편심 연결되는 제 1편심로드 및 제 2편심로드;
상기 각 편심로드의 편심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각 구동차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각 편심로드의 타단부에 각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상기 각 구동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커넥팅로드 및 제 2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를 중심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심부와, 상기 지지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상향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지지심부를 중심으로 승강되도록 내부에 축설되고 유압력의 제공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의 상단이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발디딤대는, 전방을 향해 발을 세워 디딜 수 있도록 발바닥에 대응 밀착되는 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포복자세에서 왼손 및 왼발과 오른손 및 오른발이 번갈아 앞뒤로 이송되는 운동행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칭 배치되어 회전하는 각 플라이휠(810,820)에 커넥팅로드(610,620)를 서로 대향되게 편심 연결하고, 2개의 레일(210,220) 위에 각 커넥팅로드(610,620)와 연결된 구동차(310,410) 및 종동차(320,420)를 양손과 양발이 디딜 수 있도록 배치한 장치구조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직사각 형태로 구획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부(100)와, 메인 프레임부(100)의 안측에 메인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병렬 배치되는 2개의 레일(210,220)과, 각 레일(210,220) 위에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각 연결부재(510,520)로 연결된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레일(210,220) 별로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가 교번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메인 프레임부(100)의 안측 후방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구동축(711,712)이 축설되는 기어박스(710) 및 기어박스(710)에 구동력 제공을 위해 커플러(710a)로 연결되는 전기모터(700)와, 각 구동축에 결합되는 플라이휠(810,820)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플라이휠(810,820)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으로 편심 연결되는 각 편심로드(611,621) 및 각 편심로드(611,621) 및 각 구동차(310,41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610,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로드(810,820)의 편심연결에 따라 플라이휠(810,820)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기구구조가 마련되고, 각 커넥팅로드(610,620)의 편심연결이 서로 대향되므로 레일별로 구비되는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는 그 이송방향이 서로 교번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양측으로 약 2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제 1지지프레임(130) 및 제 2지지프레임(140)이 길게 병렬 배치되고, 각 지지프레임(130,140)의 사이에 전/후방으로 메인 프레임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약 0.8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이 연결되어 전반적으로 직사각의 구획공간이 안측에 마련된다. 또한 전방프레임(110)의 전방에는 각 지지프레임(130,14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7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약 1.4m 정도의 길이를 갖는 2개의 지지로드(150,160)가 배치된다. 이 중 제 1지지로드(150)는 좌측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에 각각 연결된다. 제 2지지로드(160)는 우측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에 각각 연결된다.
이 때 제 1지지로드(150)의 상부와 제 2지지로드(160)의 상부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제 1레일(210) 및 제 2레일(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의 제 1레일(210) 위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가 설치되며 우측의 제 2레일(220) 위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가 설치된다. 각 구동차(310,410) 및 종동차는 해당 레일(210,220) 위에서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각 구동차(310,410) 및 종동차가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배치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는 제 1연결부재(510)로 연결되고,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는 제 2연결부재(520)로 연결된다.
각 연결부재(510,520)는 약 0.7m 정도를 갖는 장축 구조로서 각 레일(210,220)의 외곽 측부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단부가 해당 구동차 (310,410)및 종동차(320,420)를 향해 절곡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는 상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해당 레일(210,220) 위에서 동반 이송이 가능한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기어박스(710) 및 전기모터(700)는 각 레일(210,220)의 사이로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프레임(120)의 측부 중앙에는 전기모터(700)가 전방을 향하여 고정/배치되고, 전기모터(700)에는 커플러(710a)로 기어박스(710)가 축결합된다. 기어박스(710)는 각 레일(210,220)을 향해 좌/우로 각 구동축(711,712)이 축설되어 있는 구조이고 전기모터(70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각 구동축(711,712)이 회전시키도록 내부에 치차 결합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각 구동축(711,712)별로 플라이휠(810,820)이 각각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구동축(711)에 축결합된 제 1플라이휠(810)에는 제 1편심로드(611)가 편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구동축(712)에 축결합된 제 2플라이휠(820)에는 제 2편심로드(621)가 편심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각 편심로드(611,621)는, 각 플라이휠(810,820)의 외주연에서 서로 180°의 각도차를 두고 대향되는 편심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플라이휠(810,82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항시 상반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 1편심로드(611)의 단부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 제 1커넥팅로드(610)이고, 제 1커넥팅로드(610)의 단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 1구동차(3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2편심로드(621)의 단부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 제 2커넥팅로드(620)이고, 제 2커넥팅로드(620)의 단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 2구동차(4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모터(700) 및 기어박스(710)의 회전운동이 각 편심로드(611,621)의 편심연결에 따라 각 구동차(310,4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편심로드(611,621)의 대향/배치되는 편심 연결구조 및 각 커넥팅로드(610,620)의 연결구조에 따라 각 구동차(310,410)의 이송방향이 교번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각 구동차(310,410)는 해당 각 종동차(320,420)에 각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구동차(310,410)는 해당 각 종동차(320,420)를 견인하여 동반 이송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의 상부에는 왼손과 왼발을 디딜 수 있도록 제 1손디딤대(311) 및 제 1발디딤대(321)가 배치되고,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의 상부에는 오른손과 오른발을 디딜 수 있도록 제 2손디딤대(411) 및 제 2발디딤대(421)가 배치된다. 이 때 각 손디딤대(311,321)의 위에는 손을 끼워넣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311a,321a)가 형성되어 있고, 각 발디딤대(411,421)는, 전방을 향해 발을 세워 디딜 수 있도록 발바닥에 대응 밀착되는 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에 포복자세를 취하고 전신을 의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며, 이러한 포복자세에서 전기모터(700) 및 기어박스(710)가 구동할 경우 왼손 및 왼발에 대해 오른손 및 오른발이 교번하여 전/후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직사각 판재 구조의 받침대(920)가 구비되고, 받침대(920)에 대향되게 후방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지지심부(910)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920)의 하부 전방 양측으로 각 1개씩의 전방 바퀴(920a)가 축설되어 있고 하부 후방 양측에는 각 1개씩의 지지대(920b)가 축설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심부(910)의 하단에는 후방 바퀴(910a)가 축설되어 있다. 따라서 운동장치는 전/후방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4개의 바퀴(910a,920a)와, 2개의 지지대(920b)로 지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받침대(920)의 상부에는 유압 실린더(930)가 배치되고 유압 실린더 내(930)로 유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전방프레임(110)에 대해 승강되도록 유압 실린더(930) 내에는 피스톤(930a)이 상향으로 축설되고 그 상단은 전방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지지심부(910) 및 후방프레임(120)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10)이 승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동장치의 전방이 세워진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장치의 전방으로 하부에는 받침대(920)가 구비되고, 받침대(920)의 상부에는 유압 실린더(930) 및 피스톤(930a)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930a)의 상단은 전방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유압 실린더(930) 내로 유압력이 제공될 경우 피스톤(930a)의 상승으로, 전방프레임(110)이 밀어올려지게 되고, 각 지지심부(910)를 중심으로 운동장치의 전방이 들어올려지는 구조가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운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동차(310)와 제 2종동차(420)가 제 1연결부재(510)로 연결되고, 제 2구동차(410)와 제 1종동차(320)가 제 2연결부재(520)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연결부재(510,520)는 서로 다른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를 연결하기 위해, 각 레일(210,220)을 향해 절곡되어 교차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는 제 1지지로드(150) 위에 형성된 제 1레일(210) 위에 전/후로 배치되고,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는 제 2지지로드(160) 위에 형성된 제 2레일(220) 위에 전/후로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에서는, 제 1구동차(310)와 건너편의 제 2종동차(420)가 동반 이송되고, 제 2구동차(410)와 건너편의 제 1종동차(320)가 동반 이송되는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절곡 및 연장이 반복된 구조의 각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제 1연결부재(510)는 일단부가 제 1구동차(310)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제 2레일(220)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제 2레일(220)의 축선방향을 따라 제 2종동차(420)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제 2종동차(42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2연결부재(520)는 제 2구동차(410) 및 제 1종동차(320)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제 2구동차(410)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제 1레일(210)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제 1레일(2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종동차(320)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제 1종동차(32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연결부재(510,520)로 연결된 각 구동차(310,410) 및 각 종동차(320,420)에서, 각 구동차(310,410)가 교차 연결된 각 종동차(320,420)를 견인하기 위해, 양측으로 축설된 각 구동축(711,712)에 플라이휠(810,820)이 연결된 기어박스(710) 및 기어박스(710)에 커플러(710a)로 축결합된 전기모터(700)의 구조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 1플라이휠(810) 및 제 2플라이휠(820)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제 1편심로드(611) 및 제 2편심로드(621)가 편심 연결되어 있다. 각 편심로드(611,621)의 단부에는 제 1커넥팅로드(610) 및 제 2커넥팅로드(6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커넥팅로드(610) 및 제 2커넥팅로드(620)의 단부는 제 1구동차(310) 및 제 2구동차(410)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플라이휠(810,820)의 회전에 의해 각 편심로드(611,621)가 회전될 경우 각 커넥팅로드(610,62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고, 각 구동차(310,410)가 해당 레일(210,220) 위해서 밀리거나 당겨질 수 있므로, 각 구동차(310,410)의 견인에 의해 교차 연결된 각 종동차(320,420)가 동반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제 1구동차(310) 및 제 2종동차(420)의 위에는, 왼손 및 오른발을 디딜 수 있도록 제 1손디딤대(311)와 제 2발디딤대(421)가 설치되고, 제 2구동차(410) 및 제 1종동차(320)의 위에는, 오른손 및 왼발을 디딜 수 있도록 제 2손디딤대(411)와 제 1발디딤대(321)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손디딤대(311,321)의 위에는 손을 끼워넣고 고정하기 위한 각 고정띠(311a,321a)가 형성되고, 각 발디딤대(411,421)는 상부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갖음으로 발을 전방으로 세워 디딜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각 디딤대(311,321,411,421) 별로 양손과 양발을 디디고 포복자세로 있을 경우 왼손과 오른발에 대해 오른손과 왼발이 교번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장치에서,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와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의 교번 이송구조와, 제 1구동차(310) 및 제 2종동차(420)와 제 2구동차(410)와 제 1종동차(320)의 교번 이송구조가 예시되고 있지만 이외에, 각 연결부재(510,520)로 제 1구동차(310) 및 제 2구동차(410)와, 제 1종동차(320) 및 제 2종동차(420)를 연결하여 양손에 대해 양발이 교번 이송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양손 및 양발의 이송과 운동장치의 승강이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930)에 대한 유압력 제공시점을 전기모터(700) 및 기어박스(710)의 구동와 연관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의 구비구조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디딤대(311,312,411,412) 및 그 이송구조를 제외하고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안전덮개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에 의하면, 포복자세로 양손 및 양발을 이송시키는 구조이므로, 전신 스트레칭을 반복할 수 있는 운동행태 구현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방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구조를 갖음으로, 포복자세에서 전방이 들어올려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하여 운동력이 배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모터 및 기어박스의 구동력 제공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신체에 장애가 있더라도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가 세워진 모습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가 세워진 모습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 프레임부 110: 전방프레임 120: 후방프레임
130: 제 1지지프레임 140: 제 2지지프레임 150: 제 1지지로드
160: 제 2지지로드 210: 제 1레일 220: 제 2레일
310: 제 1구동차 311: 제 1손디딤대 320: 제 1종동차
321: 제 1발디딤대 410: 제 2구동차 411: 제 2손디딤대
420: 제 2종동차 421: 제 2발디딤대 510: 제 1연결부재
520: 제 2연결부재 610: 제 1커넥팅로드 611: 제 1편심로드
620: 제 2커넥팅로드 621: 제 2편심로드 700: 전기모터
710: 기어박스 710a: 커플러 711: 제 1구동축
712: 제 2구동축 810: 제 1플라이휠 820: 제 2플라이휠
910: 지지심부 910a: 후방 바퀴 920: 받침대
920a: 전방 바퀴 920b: 지지대 930: 유압실린더
930a: 피스톤

Claims (6)

  1. 전/후로 대향되게 병렬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프레임(12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130) 및 제 2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상부에 상향 이격되도록 하향 절곡된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로드(150) 및 제 2지지로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부(100);
    상기 제 1지지로드(150) 및 제 2지지로드(160)의 상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레일(210) 및 제 2레일(220);
    상기 제 1레일(210)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레일(2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
    상기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가 상기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레일(210)의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연결부재(510);
    상기 제 2레일(220)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레일(220)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
    상기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가 상기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레일(220)의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연결부재(520);
    상기 후방프레임(120)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레일(210,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모터(700) 및 상기 전기모터(700)에 축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210,220)의 측부를 향해 양측에서 축설되는 제 1구동축(711) 및 제 2구동축(712)에 제 1플라이휠(810) 및 제 2플라이휠(820)이 각각 축결합되는 기어박스(710);
    상기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손디딤대(311) 및 제 1발디딤대(321);
    상기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에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2손디딤대(411) 및 제 2발디딤대(421);
    상기 제 1손디딤대(311) 및 제 1발디딤대(321)와 상기 제 2손디딤대(411) 및 제 2발디딤대(421)의 이송방향이 교번되도록 상기 제 1플라이휠(810) 및 제 2플라이휠(820)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으로 각 일단부가 편심 연결되는 제 1편심로드(611) 및 제 2편심로드(621);
    상기 각 편심로드(611,621)의 편심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각 구동차(310,4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각 편심로드(611,621)의 타단부에 각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상기 각 구동차(310,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커넥팅로드(610) 및 제 2커넥팅로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100)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를 중심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프레임(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심부(910)와,
    상기 지지심부(910)에 대향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920)와,
    상기 받침대(920)의 상부에 상향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0)이 상기 지지심부(910)를 중심으로 승강되도록 내부에 축설되고 유압력의 제공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930a)의 상단이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디딤대(411,421)는, 전방을 향해 발을 세워 디딜 수 있도록 발바닥에 대응 밀착되는 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4. 전/후로 대향되게 병렬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프레임(12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130) 및 제 2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상부에 상향 이격되도록 하향 절곡된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병렬로 대칭 배치되는 제 1지지로드(150) 및 제 2지지로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부(100);
    상기 제 1지지로드(150) 및 제 2지지로드(160)의 상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레일(210) 및 제 2레일(220);
    상기 제 1레일(210)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
    상기 제 2레일(220)을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
    상기 제 1구동차(310) 및 제 2종동차(420)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 1구동차(310)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 2레일(220)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 2레일(220)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종동차(420)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 2종동차(420)에 결합되는 제 1연결부재(510);
    상기 제 2구동차(410) 및 제 1종동차(320)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동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 2구동차(410)에 결합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 1레일(210)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 1레일(2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종동차(320)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 1종동차(320)에 결합되는 제 2연결부재(520);
    상기 후방프레임(120)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레일(210,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모터(700) 및 상기 전기모터(700)에 축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210,220)의 측부를 향해 양측에서 축설되는 제 1구동축(711) 및 제 2구동축(712)에 제 1플라이휠(810) 및 제 2플라이휠(820)이 각각 축결합되는 기어박스(710);
    상기 제 1구동차(310) 및 제 1종동차(320)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손디딤대(311) 및 제 1발디딤대(321);
    상기 제 2구동차(410) 및 제 2종동차(420)에 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2손디딤대(411) 및 제 2발디딤대(421);
    상기 제 1손디딤대(311) 및 제 2발디딤대(421)와 상기 제 2손디딤대(411) 및 제 1발디딤대(321)의 이송방향이 교번되도록 상기 제 1플라이휠(810) 및 제 2플라이휠(820)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으로 각 일단부가 편심 연결되는 제 1편심로드(611) 및 제 2편심로드(621);
    상기 각 편심로드(611,621)의 편심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각 구동차(310,4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각 편심로드(611,621)의 타단부에 각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상기 각 구동차(310,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커넥팅로드(610) 및 제 2커넥팅로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100)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를 중심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프레임(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심부(910)와,
    상기 지지심부(910)에 대향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920)와,
    상기 받침대(920)의 상부에 상향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0)이 상기 지지심부(910)를 중심으로 승강되도록 내부에 축설되고 유압력의 제공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930a)의 상단이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디딤대(411,421)는, 전방을 향해 발을 세워 디딜 수 있도록 발바닥에 대응 밀착되는 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2003-0084367A 2003-11-26 2003-11-26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053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67A KR100538203B1 (ko) 2003-11-26 2003-11-26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67A KR100538203B1 (ko) 2003-11-26 2003-11-26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55A true KR20050050755A (ko) 2005-06-01
KR100538203B1 KR100538203B1 (ko) 2005-12-22

Family

ID=386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367A KR100538203B1 (ko) 2003-11-26 2003-11-26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2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4B1 (ko) * 2006-12-26 2007-05-28 박영복 호보방식의 수동식 전신운동장치
KR100723297B1 (ko) * 2006-09-30 2007-05-30 박영복 수동식 전신 운동장치
KR100868983B1 (ko) * 2007-05-07 2008-11-17 박영복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0868982B1 (ko) * 2007-05-07 2008-11-17 박영복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0869576B1 (ko) * 2007-08-27 2008-11-21 정석균 운동기구
WO2012008662A1 (ko) * 2010-07-16 2012-01-19 (주)에이엠에이치인터내셔날 수평이동을 활용한 운동 및 재활기구
KR101932904B1 (ko) *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팔다리 교대 재활 운동 기기와 그것의 제어 방법
JP7158545B1 (ja) * 2021-09-27 2022-10-21 ▲ザン▼証喩 手足運動機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97B1 (ko) * 2006-09-30 2007-05-30 박영복 수동식 전신 운동장치
KR100722294B1 (ko) * 2006-12-26 2007-05-28 박영복 호보방식의 수동식 전신운동장치
KR100868983B1 (ko) * 2007-05-07 2008-11-17 박영복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0868982B1 (ko) * 2007-05-07 2008-11-17 박영복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KR100869576B1 (ko) * 2007-08-27 2008-11-21 정석균 운동기구
WO2012008662A1 (ko) * 2010-07-16 2012-01-19 (주)에이엠에이치인터내셔날 수평이동을 활용한 운동 및 재활기구
KR101932904B1 (ko) *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팔다리 교대 재활 운동 기기와 그것의 제어 방법
JP7158545B1 (ja) * 2021-09-27 2022-10-21 ▲ザン▼証喩 手足運動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203B1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279B1 (en) Treadmill having dual treads for stepping exercises
US3976058A (en) Physical coordination training device
CA2430837C (en) System for exercising the lower extremities in seated persons
KR100538203B1 (ko)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CN101850798A (zh) 一种基于双四连杆机构的仿生蟑螂机器人
CN103431978B (zh) 步态助行机器人
KR200418734Y1 (ko) 보행 운동기구
CN106390363A (zh) 一种多功能健身车
KR20100112261A (ko) 답판 구동식 킥보드
CN213667743U (zh) 一种心血管内科用心血管疾病预防锻炼装置
KR20070111782A (ko) 전신 운동장치
KR100804315B1 (ko) 전신운동장치
SU17347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CN113317933A (zh) 一种电动爬楼梯转运担架车
KR200397820Y1 (ko) 운동기구
CN110585660A (zh) 一种多用健身设备
CN205698429U (zh) 基于仿生原理的手自一体式下肢复健机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KR102526177B1 (ko) 기립형 발목 재활 훈련 장치
KR100723297B1 (ko) 수동식 전신 운동장치
TWM579543U (zh)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CN213993995U (zh) 一种多功能康复站立床
CN204821973U (zh) 一种电动快速步行器
CN220237210U (zh) 可协助患者完成卧位康复操和进阶站立操的康复床
CN218853401U (zh) 一种用于康复训练的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