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516A -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516A
KR20050050516A KR1020040008799A KR20040008799A KR20050050516A KR 20050050516 A KR20050050516 A KR 20050050516A KR 1020040008799 A KR1020040008799 A KR 1020040008799A KR 20040008799 A KR20040008799 A KR 20040008799A KR 20050050516 A KR20050050516 A KR 2005005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pecific group
trading
providing
sec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ublication of KR2005005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ock information}
본 발명은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증권 정보는 텍스트의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제공되는 증권 정보의 양에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사용하거나 페이지를 이동하여 상기 증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증권 정보는 고정된 하나의 고정된 창에 회전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도 있다.
팍스넷, 씽크풀 등의 증권 정보 사이트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텍스트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증권 정보 제공 업체는 특정 집단(예를 들어, 전문 투자자 집단)을 형성한 후, 이들의 매매 관련 정보를 유료 또는 무료로 텍스트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투자 대회를 전개하여 수익률 상위자들을 추출한 후 이들의 매매 내역을 텍스트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권 정보 제공 업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증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종래의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 웹 서버 또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111)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인터넷(109)이 구비된다.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제공받는다. 유무선 네트워크(105)는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로부터 명령어와 사용자의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넷(109)은 게이트웨이(107)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주선한다. 웹 서버 또는 ISP(111)는 인터넷(109)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인트라넷(Intranet: 113)은 ISP(111)를 통하여 인터넷(109)과 연결되고,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15)를 보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네트워크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에서 익스플로러(Explorer)와 같은 인터넷 프로그램(브라우저)을 실행하여 접속을 원하는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한다. 이러한 접속 시도는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105)를 통하여 인터넷(109)에 연결된 게이트웨이(107)로 이어지고, 이어서 TCP/IP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109)에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단 접속이 이루어지면, 인터넷(109)에서는 접속을 원하는 곳의 정보를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로 알려주고, 이로부터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정보가 인터넷(109)에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경우에는, ISP(111)를 통하여 해당하는 인트라넷(113)에 연결되고, 인트라넷(113)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15)의 정보에 상기 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는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업체는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인터넷 단말 장치(101, 103))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증권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전문 투자자들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개별 종목별로 제공되거나, 전문 투자자들의 일방적인 의견을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 투자자는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증권 정보를 따를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다. 또한, 개별 종목별로 증권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개별 및 전체 매매 현황 및 매매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증권 정보 제공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증권 정보는 텍스트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텍스트 형태의 증권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열독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관적이고도 종합적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증권 정보를 맵과 같은 도식화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직관적이고도 종합적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집단의 일부 또는 전부의 매매 현황 또는 매매 변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타인의 매매 현황을 참고로 하여 이용자가 증권 거래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목별로 투자 의견을 맵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맵 형태로 제공되는 증권 정보에서 이용자가 특정 종목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이 증권 거래 시스템과 결합하여 이용자가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증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하나의 창을 통하여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매매 종목, 매매 시기, 매매 비율 등 증권 시장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권 시장의 전반적인 거래 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집단은 외국인 투자자 집단, 기관 투자자 집단, 투자 대회 참여자 집단, 전문 투자자 집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집단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권 관련 서버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계좌로부터 매매가 발생하는 경우, 매매 발생에 따른 상기 매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매 현황 정보는 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매 현황 정보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며, 출력되는 매매 현황 정보 화면은 시장 선택 영역, 업종 구분 영역, 종목 구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은 색상, 색상의 변화, 점멸,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매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에 이용자 단말의 마우스 포인트가 접근하면 상기 종목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 영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서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증권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권 관련 서버는 특정 종목에 상응하는 매매가 발생하는 경우, 매매 발생에 따른 상기 증권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매 기준 정보는 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매 기준 정보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며, 출력되는 매매 기준 정보 화면은 시장 선택 영역, 업종 구분 영역, 종목 구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은 색상, 색상의 변화, 점멸,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증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에 이용자 단말의 마우스 포인트가 접근하면 상기 종목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 영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수단,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는 인터넷(209)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211),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213) 및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215)에 결합한다.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는 특정 집단 정보(Special Groups Information; SGI) 관리 모듈(203), 매매 정보(Buying and Selling Information; BSI) 관리 모듈(205), 맵 정보(Map Information; MI) 관리 모듈(207) 및 데이터베이스(208)를 포함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211)은 유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유선 단말로서 데스크탑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211)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무선 단말로서 이동 통신 단말, PDA,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211)의 내부 기억 장치에는 적어도 프로세서 및 기억 장치를 포함하며, 기억 장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211)에 구비되는 프로세서가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증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명령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맴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211)은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에서 제공하는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이용하여, 증권사 서버에 접속하여 증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전용 에뮬레이터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21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215)는 특정 집단 정보,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증권 정보, 매매 관련 정보, 일반 증권 정보 등을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로 상기 인터넷(209)을 통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각종 증권 정보에 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203)은 관리자가 특정 집단의 선정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며, 관리자는 상기 툴을 이용하여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20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21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서 서버(215) 등으로부터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받거나, 관리자로부터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203)은 입력된 특정 집단 정보가 미리 설정된 특정 집단에 포함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 후, 포함이 가능한 경우 해당 특정 집단 정보를 특정 집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특정 집단 관리 모듈(203)은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신상 정보, 계좌 정보, 매매 성향, 매매 규모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집단으로서 외국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 투자 대회 참여자, 투자 전문가 그룹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 및/또는 일반 증권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향후 맵 정보 관리 모듈(207)에서 가공되어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권 정보는 종목별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데이터베이스(208)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213)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서 서버(215)로부터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추출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8)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각 종목별 증권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은 각 종목별 증권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213)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서 서버(215)로부터 상기 증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08)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20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로부터 제공받아, 일정한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이를 기초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211)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20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종목별 증권 정보를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로부터 제공받아, 일정한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이를 기초로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211)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207)이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 또는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 또는 매매 기준 맵은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매매 현황 맵 또는 매매 기준 맵은 이용자 단말(211)의 종류(특히,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8)는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203)에 의하여 추출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SGI(Special Groups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205)에 의하여 추출된 매매 정보를 저장하는 BSI(Buying and Selling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207)에 의하여 생성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MI(Map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는 메모리 시스템(350)과, 여기에 연결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360), 입력 장치(370) 및 통신 장치(38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36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362)와,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364) 및 증권 정보 제공 서버(2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66)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36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50)은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352)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354)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352)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370)는 키보드, 마우스, 예컨대, 터치스크린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기(Physical transduc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80)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RF 송수신 안테나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의 모듈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SGI 관리 모듈(462),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 및/또는 종목별 증권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BSI 관리 모듈(464) 및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 및/또는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MI 관리 모듈(46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모듈을 통하여 증권 정보 제공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증권 정보 제공 서버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402)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4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증권 정보 제공 서버는 API(402)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46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45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4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는 API(402)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46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46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46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따라서, 응용 모듈 제어부(450)는 SGI 관리 모듈(462)과, BSI 관리 모듈(464) 및 MI 관리 모듈(466)에 대한 매핑부(451, 453, 455)와 인터페이스부(452, 454, 456)를 각각 포함한다.
SGI 관리 모듈 매핑부(45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로부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의 명령어를 제공받아, SGI 관리 모듈(46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로 매핑하고, SGI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452)를 통하여 SGI 관리 모듈(462)로 제공한다.
BSI 관리 모듈 매핑부(453) 및 BSI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454)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 및/또는 종목별 증권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이다. 즉, BSI 관리 모듈 매핑부(45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로부터 BSI 관리 모듈(464)을 이용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이를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BSI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454)를 통하여 BSI 관리 모듈(464)로 제공한다.
MI 관리 모듈(466)은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 및/또는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MI 관리 모듈 매핑부(455)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04)를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MI 관리 모듈(466)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킨다.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는 MI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456)를 통하여 MI 관리 모듈(466)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이 특정 집단 정보를 구축한다(단계 501).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특정 집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 등으로부터 수집한다. 그 후,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수집한 특정 집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의 SG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특정 집단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후,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관리자가 특정 집단 정보를 선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관리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특정 조건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상기 SGI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단계 503).
그 후,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단계 503에 의하여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상기 특정 집단에 포함된 개인 또는 계좌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단계 505). 매매 정보 수집 단계에 대하여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후,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이 수집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기초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갱신한다(단계 507).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갱신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이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509). 매매 현황 맵의 생성 단계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된 매매 현황 맵이 출력되는 예시를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GI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SI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208)는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SGI 데이터베이스(601),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저장하는 BSI 데이터베이스(603), 및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맵 정보(특히,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를 저장하는 MI 데이터베이스(605)를 포함한다.
SGI 데이터베이스(601)에 저장되는 특정 집단 정보는 외국인 투자자 집단, 기관 투자자 집단, 투자 대회 참가자 집단, 전문 투자자 집단 및 기타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자 대화 참가자 집단은 특정 투자 대회에 참여하는 참여자 전체 또는 수익률 상위자 중 전부 혹은 일부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각 특정 집단 정보는 집단 식별자 필드, 명칭 필드, 주소 필드, 연락처 필드, 담당자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SI 데이터베이스(603)에 저장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매도/매수 필드, 집단 식별자 필드, 시장 식별자 필드, 업종 식별자 필드, 종목 식별자 필드, 매도량/매수량 필드, 매도 가액/매수 가액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도/ 매수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매도인지 혹은 매수인지를 구분한다. 상기 집단 식별자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매매 정보가 어느 집단에 상응하는 지를 지정한다. 상기 시장 식별자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거래소 시장, KOSPI 시장, 코스닥 시장 등의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지를 지정한다. 상기 업종 식별자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어느 업종에 상응하는 지를 지정한다. 상기 종목 식별자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어느 종목에 상응하는 지를 지정한다. 상기 매도량/매수량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매도량이 얼마인 지, 혹은 매수량이 얼마인 지를 지정한다. 상기 매도 가액/ 매수 가액 필드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매도 가액이 얼마인 지, 혹은 매수 가액이 얼마인 지를 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 정보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관리자에게 특정 집단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조건을 지정한다(단계 801). 그 후,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관리자에게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803).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자가 직접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 및/또는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상기 지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집단이라 함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서 증권 투자와 관련하여 특정한 매매 세력을 지칭하는 것으로, 실제 매매를 수반하는 매매 정보 제공 집단 및/또는 실제 매매 없이 단지 매매 정보만을 제공하는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제 매매를 수반하는 매매 정보 제공 집단은 실질적인 매매 정보를 제공하는 외국인 투자자 집단, 기관 투자자 집단, 투자 대회 참여 집단 중 일부 또는 전부, 전문 투자자 집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실제 투자없이 단지 매매 정보만을 제공하는 집단의 경우,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는 전문 투자자 집단을 특정 집단으로 선정하며 증권 매매와 관련하여 이들이 제시하는 의견을 매매 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805에서,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단계 803에서의 특정 집단 정보가 미리 설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응하면 단계 807을 실행하고, 상응하지 않으면 단계 801을 다시 실행한다. 단계 807에서,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해당 특정 집단으로부터 수집되는 매매 정보가 공개가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매매 정보가 공개가 가능한 경우에 단계 809를 실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801을 다시 실행한다. 단계 809에서 상기 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은 수집한 특정 집단 정보를 SGI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관리자가 특정 집단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출력된 인터페이스에 특정 집단의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901). 특정 집단 식별자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해당 특정 집단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실제 증권 매매에 관련된 매매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903). 그 후, 단계 905에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관리자가 특정 집단을 더 추가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특정 집단의 추가가 있으면 단계 901을 다시 실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907을 실행한다. 단계 907에서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추출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맵 정보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맵 정보 관리 모듈에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909). 상기 판단 결과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911). 그 후,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수집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맵 정보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단계 913).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맵 정보 관리 모듈에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매 현황 맵을 초기화 한다(단계 1001). 그 후,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매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매매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003).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수신한 매매 정보가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005).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수신한 매매 정보가 특정 집단에 상응하면 단계 1007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1003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 1007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수신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매도에 관련되었는 지 혹은 매수에 관련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가 매수에 관련된 경우 단계 1009 이하를 수행하며, 매도에 관련된 경우 단계 1013 이하를 수행한다.
단계 1009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수 의견을 낸 해당 매수 종목의 데이터베이스에 매수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수 신호를 생성(단계 1011)하여, 매매 현황 맵을 갱신한다(단계 1017). 단계 1013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도 의견을 낸 해당 매도 종목의 데이터베이스에 매도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도 신호를 생성(단계1015)하여, 매매 현황 맵을 갱신한다(단계 1017). 그 후,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갱신된 매매 현황 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한 후 리턴 또는 종료한다. 상기 갱신된 매매 현황 맵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맵 정보 관리 모듈에 의하여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 화면(1101)은 시장 선택 창(1103), 업종 구분 창(1105), 종목 구분 창(1107)을 포함한다. 상기 시장 선택 창(1103)은 이용자가 거래소 시장, KOSPI 시장, 코스닥 시장, 개인이 선택한 포트폴리오 종목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업종 구분 창(1105)은 이용자가 선택한 시장에 포함되는 업종을 구분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업종 구분 창(1105)은 해당 업종에 포함되는 복수의 종목을 구분할 수 있는 종목 구분 창(1107)을 포함한다. 상기 종목 구분 창(1107)은 색의 변화 또는 점멸, 셀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하여 거래, 무거래, 매수, 매도, 최근 매매 발생 종목, 매수 집중도, 매수 누적량, 매도 누적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용자가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1101)의 특정 종목 구분 창(1107)에 마우스 포인트(1109)를 가져가면 해당 종목에 대한 특정 집단의 세부 매매 정보 창(1111)이 표시된다. 상기 세부 매매 정보 창(1111)을 통하여 해당 종목명, 종목의 매매와 관련된 세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세부 매매 정보 창(1111)을 통하여 매매 시점 정보, 각 거래량 정보, 매매인 신상 정보, 각 거래자의 예탁 자산 규모, 예탁 자산 대비 매매 비율, 각 매매자의 주식 거래 성향(예를 들어, 스켈퍼, 데이트레이더, 중장기 보유자 등), 평균 수익률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1101)은 제휴 증권사 서버의 홈트레이딩 시스템(HTS)에 탑재되어 상기 홈트레이딩 시스템 창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이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생성 또는 갱신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은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은 이용자 단말의 종류(특히,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증권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업체 서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증권사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단계 1201). 그 후,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이 수집한 증권 정보를 기초로 매매 기준 맵을 갱신한다(단계 1203).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갱신한 매매 기준 맵을 이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205). 증권 정보의 수집 단계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매매 기준 맵의 갱신 및 제공 단계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된 매매 기준 맵이 출력되는 예시를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증권 정보가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301). 상기 판단 결과 증권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상기 증권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303). 그 후, 상기 매매 정보 관리 모듈은 수집한 증권 정보를 맵 정보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단계 1305). 상기 증권 정보는 맵 정보 관리 모듈에서 매매 기준 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증권 정보 제공 서버 내의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매 기준 맵을 초기화 한다(단계 1401). 그 후,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매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증권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403).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수신한 증권 정보가 매매 기준 맵에 상응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405).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수신한 증권 정보가 매매 기준 맵에 상응하면 단계 1407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1403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 1407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수신한 증권 정보가 매매 정보인 지 혹은 일반 정보인 지를 판단한다.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증권 정보가 매매 정보에 관련된 경우 단계 1409 이하를 수행하며, 일반 정보에 관련된 경우 단계 1413 이하를 수행한다.
단계 1409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해당 종목에 매매 정보에 관련된 증권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매매 정보 신호를 생성(단계 1411)하여, 매매 기준 맵을 갱신한다(단계 1417). 단계 1413에서, 맵 정보 관리 모듈은 해당 종목에 일반 정보에 관련된 증권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일반 정보 신호를 생성(단계 1415)하여, 매매 기준 맵을 갱신한다(단계 1417). 그 후, 상기 맵 정보 관리 모듈은 갱신된 매매 기준 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한 후 리턴 또는 종료한다. 상기 갱신된 매매 기준 맵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매매 기준 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은 증권 매매와 관련하여 많은 유익 정보들을 수집하여 매매 기준 맵 서비스 운영자에 의하여 해당 증권 정보를 투자와 관련된, 매수, 매도, 관심 종목, 위험 종목, 유의 종목, 공시, 속보 등의 맵 신호로 단순화 및 도식화한 맵을 의미한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에 출력된 매매 기준 맵을 이용하여 어떤 종목에서 어떤 신호가 발생하였는 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이유로 그러한 신호가 발생하였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신호는 매매 정보 관리 모듈에 의하여 수집된 증권 정보를 맵 정보 관리 모듈이 일정한 로직에 의한 가공으로 생성될 수 있다. 맵 신호로서 상하한가 매매 관련 정보, 연속 강세 및 연속 약세 관련 정보, 호가 매매 관련 정보, 눌림목 매매 관련 정보, 변동성 매매 종목 관련 정보, 각도 매매 관련 정보, 10시 이전 매매 관련 정보, 14시 이후 매매 관련 정보 등이 예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맵 신호들은 예시적임을 밝힌다.
상하한가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전일 상한가, 2일 이상 상한가, 장중 상한가, 전일 하한가, 2일 이상 하한가, 장중 하한가, 상한가 임박 종목, 하한가 탈출 종목 등이 있다. 연속 강세 및 연속 약세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연속 강세 종목, 전일 강세 종목, 연속 약세 종목, 전일 약세 종목 등이 있다. 호가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매수 호가 잔량 급증 종목, 매도 호가 잔량 급증 종목, 지정 호가 잔량 거대 종목, 우선 호가 잔량 급증 종목, 우선 호가 갭 상승 등이 있다. 눌림목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당일 급등후 횡보, 급등후 조정, 급락후 조정, 눌림목 종목(가격) 등이 있다. 변동성 매매 종목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가격 급락, 가격 급등, 거래량 급증, 변동성 상위 종목, 변동률 상위, 가중 평균가, 기준 시간 대비 변동 등이 있다. 각도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상승폭 둔화 종목, 하락폭 둔화 종목, 장중 상승 둔화, 장중 하락 둔화, 하락 폭 증가 등이 있다. 10시 이전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시초가 상승 갭 매매, 시초가 하락 갭 매매, 시가 대비 급등, 시가 대비 급락 등이 있다. 14시 이후 매매 관련 정보의 맵 신호로서, 급락후 상승, 오전 고점 돌파, 시가 돌파 종목, 거래 급증 종목, 박스권 돌파 종목 등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맵 정보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1 매매 기준 맵 화면(1501)은 실시간으로 특정 종목(예를 들어, 유한 양행)에 대한 매매 기준 정보(예를 들어, 추천 사유 및 체크 포인트 등)를 간략하게 표시한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제1 매매 기준 맵 화면(1501)에서 특정 종목에 대한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이용자는 상기 제1 매매 기준 맵 화면(1501)에서 종목 종합 정보 바로가기'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종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제2 매매 기준 맵 화면(1601)은 업종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업종별 종목이 하나의 셀로 표시된다. 각 종목을 표시하는 셀은 상기 맵 신호에 상응하여 단순한 시그널로 표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종목을 표시하는 셀은 매수. 매도, 관심 종목, 위험 종목, 유의 종목 등의 맵 신호에 상응하여 색상의 변화, 셀의 점멸, 셀 크기의 변화 등으로 표현된다.
이용자가 상기 제2 매매 기준 맵(1601)의 특정 종목에 상응하는 셀에 마우스 포인트를 가져가면 해당 종목에 대한 맵 신호가 발생한 사유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표시하는 창(1603)이 출력된다. 상기 세부 정보 창(1603)에 표현되는 정보는 종목명, 종목 번호, 신호 발생 사유, 체크 포인트, 해당 종목 종합 정보창 링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매매 현황 맵(1601)은 제휴 증권사 서버의 홈트레이딩 시스템(HTS)에 탑재되어 상기 홈트레이딩 시스템 창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매매 기준 맵은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매매 기준 맵은 이용자 단말의 종류(특히,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맵 스킨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맵 정보 관리 모듈은 다양한 형태의 맵 스킨(1701, 1703, 1705)을 통하여 이용자 단말로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맵 스킨(1701, 1703, 1705)을 통하여 증권 거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용자가 직관적이고도 종합적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집단의 일부 또는 전부의 매매 현황 또는 매매 변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타인의 매매 현황을 참고로 하여 이용자가 증권 거래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종목별로 투자 의견을 맵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맵 형태로 제공되는 증권 정보에서 이용자가 특정 종목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이 증권 거래 시스템과 결합하여 이용자가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증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맵 형태의 증권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하나의 창을 통하여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매매 종목, 매매 시기, 매매 비율 등 증권 시장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권 시장의 전반적인 거래 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권 정보 제공 업체가 인터넷을 통하여 증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 제공 서버의 모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GI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SI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 정보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제휴 증권사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을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매 기준 맵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맵 스킨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증권 정보 제공 서버 203…특정 집단 정보 관리 모듈
205…매매 정보 관리 모듈 207…맵 정보 관리 모듈
208…데이터베이스 211…이용자 단말
213…정보 제공 업체 서버 215…제휴 증권사 서버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집단은
    외국인 투자자 집단, 기관 투자자 집단, 투자 대회 참여자 집단, 전문 투자자 집단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집단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관련 서버는 상기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계좌로부터 매매가 발생하는 경우, 매매 발생에 따른 상기 매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현황 정보는
    맵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현황 정보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며, 출력되는 매매 현황 정보 화면은 시장 선택 영역, 업종 구분 영역, 종목 구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은 색상, 색상의 변화, 점멸,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매매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에 이용자 단말의 마우스 포인트가 접근하면 상기 종목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 영역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 제공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서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정보는 상기 증권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관련 서버는 특정 종목에 상응하는 매매가 발생하는 경우, 매매 발생에 따른 상기 증권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증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기준 정보는
    맵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기준 정보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며, 출력되는 매매 기준 정보 화면은 시장 선택 영역, 업종 구분 영역, 종목 구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은 색상, 색상의 변화, 점멸,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증권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종목 구분 영역에 이용자 단말의 마우스 포인트가 접근하면 상기 종목에 상응하는 세부 정보 영역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매 기준 정보 제공 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수단;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
  20.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
  21.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매매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서 특정 집단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특정 집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집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집단 정보에 상응하는 매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매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특정 집단에 상응하는 도식화된 매매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
  22.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증권 관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여 매매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증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권 정보에 상응하는 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에 상기 맵 신호를 결합하여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도식화된 매매 기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증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040008799A 2003-11-25 2004-02-10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0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252 2003-11-25
KR20030084252 2003-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516A true KR20050050516A (ko) 2005-05-31

Family

ID=3866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799A KR20050050516A (ko) 2003-11-25 2004-02-10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5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30B1 (ko) * 2008-09-19 2009-03-25 (주)가림아이엔지 복합영상정보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190142519A (ko) * 2018-06-18 2019-12-27 이학랑 업종별 투자자 매매동향 및 업종별 종목을 매칭하여 조회 가능한 주식 데이터 조회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30B1 (ko) * 2008-09-19 2009-03-25 (주)가림아이엔지 복합영상정보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190142519A (ko) * 2018-06-18 2019-12-27 이학랑 업종별 투자자 매매동향 및 업종별 종목을 매칭하여 조회 가능한 주식 데이터 조회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910B2 (en) Automated trading system in an electronic trading exchange
US10810668B2 (en) Automated trading system in an electronic trading exchange
US8140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routing transactions
US11004150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high density financial asset information display
US79127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information for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multi-market electronic trading
US201000109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sk assessment management and reporting for multi-market electronic trading
CA2533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electronic trading
US200201885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securities quotes
EP1179197A1 (en) Auction market with price improvement mechanism
US20140344113A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different item viewing based on preferred status
KR20020063617A (ko) 거래 상대방의 신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3006559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 portfolio of securities
CA24778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d/offer liquidity spread trading
WO2007085055A1 (en) A mass customisable interactive, multi-faceted system for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transmission, and trading in securities
US20020133453A1 (en) Online trading system having ally-initiated trading
US86351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screening investment information
JP2002230300A (ja) 証券取引システム
US201401082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ding
KR20050050516A (ko)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2107A (ko) 가상현실 아이템의 전자상거래방법
KR20060021522A (ko) 실시간 증권정보제공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194442B1 (ko) 뉴스 돌파 매매를 위한 주식 거래 방법
US20210287282A1 (en) Financial product management and discovery system
JP200224524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TW202232423A (zh) 三面向股票資訊多空診斷之裝置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