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292A -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 Google Patents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292A
KR20050050292A KR1020030083998A KR20030083998A KR20050050292A KR 20050050292 A KR20050050292 A KR 20050050292A KR 1020030083998 A KR1020030083998 A KR 1020030083998A KR 20030083998 A KR20030083998 A KR 20030083998A KR 20050050292 A KR20050050292 A KR 2005005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heat dissipation
lead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모
최용칠
나윤성
한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292A/ko
Priority to US10/873,298 priority patent/US20050110027A1/en
Publication of KR2005005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7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the element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2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두 개의 리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열방출부를 통해 방출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에 인접한 소자연결부와 상기 제1 리드부에 인접한 제2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과, 상기 발광소자, 상기 컵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를 밀봉하는 몰드 및 상기 컵부의 하부,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상기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열방출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신뢰도를 높이며, 제품 원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LED LAMP HAVING HEAT DISCHARGING PORTION}
본 발명은 발광소자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발광소자 램프에서 몰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리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열방출부를 통해 방출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발광장치 분야에서는 현저한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발광소자(LED)는 소형, 저소비전력, 고신뢰성 등의 특징을 겸비하여 표시용 광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발광소자의 재료로서는 AlGaAs, GaAlP, InGaAlP 등의 5족 원소로 As, P를 사용한 3-5족 화합물 반도체가 적색, 등색, 황색, 녹색 발광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녹색, 청색, 자외 영역용으로는 GaN계 화합물 반도체가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발광소자의 고휘도화가 더욱 진척됨으로써, 옥외에서의 총천연색 전광판이나 통신용 광원으로서의 그 용도가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는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1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11)와, 상기 발광소자를 장착하는 컵을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기 몰드 내부에 위치하는 컵부(121)와 하기 몰드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리드부(122)로 이루어진 제1 리드프레임(12)과, 상기 발광소자(1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기 몰드 내부에 위치하는 소자연결부(131)와 하기 몰드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리드부(132)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13)과,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리드프레임(12)의 컵부(121)와 제2 리드프레임(13)의 소자연결부(131)를 밀봉하는 몰드(15)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15)는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에폭시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는 상기 몰드(15) 내에 위치하는 리드프레임의 영역, 즉 컵부(121) 및 소자연결부(131)가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발광소자(11)의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은 리드프레임으로 전달되는데,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에폭시로 밀봉된 몰드(15) 내부에 상기 리드프레임의 많은 영역(121, 131)이 존재하므로 열이 몰드 외부로 방출되기 어렵다. 특히, 상기 몰드(15)의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프레임의 표면적이 좁기 때문에 열방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와 같이 열방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광소자(11)의 효율이 저하되어 원하는 품질의 광을 발생시킬 수 없으며,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몰드(15) 내부에 위치한 리드프레임의 영역이 크기 때문에 몰딩을 크게 형성해야 하므로 에폭시의 소모량이 많아져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이 몰드의 외부로 양호하게 방출됨과 동시에 몰드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양을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발광소자 램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소자 램프의 작동 시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몰드의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함으로써 광품질을 개선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몰드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에 인접한 소자연결부와 상기 제1 리드부에 인접한 제2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과, 상기 발광소자, 상기 컵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를 밀봉하는 몰드 및 상기 컵부의 하부,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상기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열방출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의 하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드 표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컵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리드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소자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리드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몰드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이거나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이거나,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평판이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제1 리드프레임 및 제2 리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몰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와 비교할 때 상기 열방출부에 의해 몰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보다 크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되는 열방출부의 형상 또는 면적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몰드 외부에 노출되는 리드프레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든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2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21)와, 상기 발광소자(21)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221)와 상기 컵부(2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21)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22)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2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221)에 인접한 소자연결부(231)와 상기 제1 리드부(222)에 인접한 제2 리드부(23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2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23)과, 상기 발광소자(21), 상기 컵(221)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231)를 밀봉하는 몰드(25)를 포함한다.
상기 컵부(221)와 소자연결부(231)는 가능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컵부(221)의 하부 단면이 상기 몰드(25)의 하부면과 동일한 레벨으로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컵부(221)의 하부 단면은 상부의 단면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몰드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221)의 단면이 열방출부가 된다. 이는 도 2b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몰드(2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컵부의 단면이 열방출부(29)가 된다. 상기 노출된 컵부의 단면(29)은 열방출부로서, 보다 양호한 열방출효과를 얻기 위해서 가능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리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열방출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열방출부는 동일한 형태로 제2 리드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리드프레임에 열방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몰드 하부면에 노출되는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단면이 열방출부가 된다. 또한, 램프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에 동시에 열방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3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31)와, 상기 발광소자(31)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321)와 상기 컵부(3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3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31)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32)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3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321)에 인접한 소자연결부(331)와 상기 제1 리드부(322)에 인접한 제2 리드부(332)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소자(3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33)과, 상기 발광소자(31), 상기 컵부(321) 및 상기 소자연결부(331)를 밀봉하는 몰드(35) 및 상기 몰드(35)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과 상기 컵부의 단면에 적어도 일부가 직접 연결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열방출부(39)를 포함한다. 상기 열방출부(39)는,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또는 평판 또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열방출부에 대한 실시형태가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2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39a)는, 상기 컵부가 몰드(35) 외부로 제1 리드부(322)의 일부까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것이다. 즉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몰드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이 제1 리드부(322)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열방출부(39a)는 상기 열방출부가 형성되는 리드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형태에서보다 넓은 면적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보다 열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리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열방출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열방출부는 동일한 형태로 제2 리드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의 크기에 따라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3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는 상기 몰드(35)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39b)과 그에 직접 연결된 하나의 평판(39c)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평판(39c)은 열방출부가 형성되는 리드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리드프레임의 제1 리드부(322)에 접촉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평판(39c)의 개수는 1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리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열방출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열방출부는 동일한 형태로 제2 리드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의 크기에 따라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4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는 상기 몰드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39d)과 그에 직접 연결되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평판(39e)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평판(39e)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열방출부가 형성되는 리드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리드프레임의 제1 리드부(322)에 접촉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평판(39e)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x자 형태로 교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열방출부는 동일한 형태로 제2 리드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의 크기에 따라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4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41)와, 상기 발광소자(41)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421)와 상기 컵부(4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4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41)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42)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4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421)에 인접한 소자연결부(431)와 상기 제1 리드부(422)에 인접한 제2 리드부(43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4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43)과, 상기 발광소자(41), 상기 컵부(421) 및 상기 소자연결부(431)를 밀봉하는 몰드(45) 및 상기 몰드(45)의 하부면에 노출되는 상기 컵부(421)의 하부 단면(49b)과 상기 몰드(45)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리드프레임(42)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부분(49a)으로 이루어진 열방출부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정면도를 갖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가 도 4b에 도시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5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는 상기 몰드(45)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49b)과 그 하부에 제1 리드프레임의 제1 리드부(422)에 일체형으로 직접 연결되는 평판형태(49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제5 실시형태는, 평판형태(49a)의 열방출부가 몰드(45)의 하부면에 노출된 컵부의 단면(49b)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열방출효과가 상기 설명된 실시형태보다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평판형태(49a)의 열방출부는 반드시 하나의 평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태 또한 평판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5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51)와, 상기 발광소자(51)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521)와 상기 컵부(5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5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52)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5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521)에 인접한 소자연결부(531)와 상기 제1 리드부(522)에 인접한 제2 리드부(53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5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53)과, 상기 발광소자(51), 상기 컵부(521) 및 상기 소자연결부(531)를 밀봉하는 몰드(55) 및 상기 몰드(5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컵부(521)의 단면인 제1 열방출부(도 5b의 59a)와 상기 몰드(55) 하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리드프레임(53)의 리드부(5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열방출부(59b)를 포함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6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는 먼저, 몰드(55)의 하부면에 노출된 제1 리드프레임의 컵부의 단면인 제1 열방출부(59a)와, 제2 리드프레임의 리드부(5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열방출부(59b)를 포함한다. 본 제6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를 동시에 구현한 실시형태가 된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동시에 두 개의 열방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열방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열방출부가 소자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열방출부가 제1 리드프레임의 제1 리드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6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61)와, 상기 발광소자(61)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621)와 상기 컵부(6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62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61)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62)과, 상기 제1 리드프레임(6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621)에 인접한 소자연결부(631)와 상기 제1 리드부(622)에 인접한 제2 리드부(63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61)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63)과, 상기 발광소자(61), 상기 컵부(621) 및 상기 소자연결부(631)를 밀봉하는 몰드(65) 및 상기 몰드(6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소자연결부 단면(도 6b의 69a)과 상기 몰드(6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소자연결부 단면에 직접 연결된 평판(69b)과, 상기 몰드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리드프레임에 연결된 평판(69c)으로 이루어진 열방출부를 포함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저면사시도로서, 제7 실시형태에서 열방출부는 먼저, 상기 몰드(6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소자연결부 단면(도 6b의 69a)과, 다음으로 상기 몰드(65)의 하부면에 노출된 상기 소자연결부 단면에 직접 연결된 평판(69b)과, 마지막으로 상기 몰드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리드프레임의 제1 리드부(522)에 연결된 평판(69c)으로 이루어진다. 본 제7 실시형태는 상기 제3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를 동시에 구현한 실시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상기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시에 두 개의 열방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열방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는, 몰드 내부에 위치하는 리드프레임의 컵부 및 소자연결부를 가능한 작게 제작하고, 몰드 외부에 넓은 면적을 갖는 열방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몰드 내부의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몰드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발광소자 램프의 제작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 램프의 작동 시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몰드의 외부에 구비된 열방출부를 통해 몰드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함으로써 광품질을 개선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몰드 내부에 위치하는 리드프레임의 면적을 감소시켜 발광소자 램프의 제작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램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30, 40, 50, 60 : 발광소자 램프
21, 31, 41, 51, 61 : 발광소자
29, 39, 39a-e, 49, 49a-b 59, 59a-b, 69, 69a-c : 열방출부

Claims (9)

  1.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가 일측에 장착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프레임;
    상기 제1 리드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컵부에 인접한 소자연결부와 상기 제1 리드부에 인접한 제2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리드프레임;
    상기 발광소자, 상기 컵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를 밀봉하는 몰드; 및
    상기 컵부의 하부,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상기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열방출부를 포함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컵부의 하부 및 상기 소자연결부의 하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드 표면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컵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리드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소자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리드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몰드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리드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평판이 교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KR1020030083998A 2003-11-25 2003-11-25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KR2005005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98A KR20050050292A (ko) 2003-11-25 2003-11-25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US10/873,298 US20050110027A1 (en) 2003-11-25 2004-06-23 LED lamp having heat dissipat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98A KR20050050292A (ko) 2003-11-25 2003-11-25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292A true KR20050050292A (ko) 2005-05-31

Family

ID=3458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998A KR20050050292A (ko) 2003-11-25 2003-11-25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10027A1 (ko)
KR (1) KR20050050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88B1 (ko) * 2006-03-17 2007-09-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8192A1 (en) * 2006-08-22 2008-02-28 Chien-Min Sung LED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346342B1 (ko) * 2007-03-30 2013-12-3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낮은 열저항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KR100892224B1 (ko) * 2008-01-30 2009-04-06 (주)썬웨이브 핀 타입형 파워 엘이디(led) 방열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263U (ko) * 1986-12-11 1988-06-20
JPS63198086U (ko) * 1987-06-09 1988-12-20
JP2002208734A (ja) * 2001-01-10 2002-07-26 Sanken Electric Co Ltd 樹脂封止形半導体発光装置
JP2003188418A (ja) * 2001-12-17 2003-07-04 Seiwa Electric Mfg Co Ltd Led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8536A (en) * 1996-01-25 1998-08-25 Rohm Co., Ltd.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03097A (ja) * 1997-07-30 1999-04-13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US6407411B1 (en) * 2000-04-13 2002-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Led lead frame assembly
US7091653B2 (en) * 2003-01-27 2006-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hosphor based light sources having a non-planar long pass reflector
US7094362B2 (en) * 2003-10-29 2006-08-22 General Electric Company Garnet phosphor materials having enhanced spectral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263U (ko) * 1986-12-11 1988-06-20
JPS63198086U (ko) * 1987-06-09 1988-12-20
JP2002208734A (ja) * 2001-01-10 2002-07-26 Sanken Electric Co Ltd 樹脂封止形半導体発光装置
JP2003188418A (ja) * 2001-12-17 2003-07-04 Seiwa Electric Mfg Co Ltd Led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88B1 (ko) * 2006-03-17 2007-09-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0027A1 (en) 200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432B1 (ko) 아노다이징 절연 층을 갖는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9859259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US7923739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
US10508778B2 (en) Light-emitting device
US20080093962A1 (en) Luminous Device with Heat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Pipe Lead for Luminous Device
JP6616088B2 (ja) Ledアセンブリー及びこのledアセンブリーを用いたled電球
US20130307016A1 (en) Led module and lighting assembly
KR100705552B1 (ko) 발광 다이오드
US20140015397A1 (en) Liquid-cooled led lamp
KR20050050292A (ko) 열방출부를 구비한 발광소자 램프
KR100634301B1 (ko) 발광다이오드
EP3410501B1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and light apparatus
KR100862531B1 (ko) 멀티 캐비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JP6990177B2 (ja) Led照明装置及びled照明装置の製造方法
CN217719596U (zh) 一种恒压cob光源
KR100601197B1 (ko) 발광다이오드
CN202796950U (zh) 一种半导体发光装置
CN216871508U (zh) 一种led显示屏用led光源
KR200344157Y1 (ko)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표면 실장형 led 램프 장치
KR20050103624A (ko)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칩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패캐지
KR20120040547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0491097Y1 (ko) 모듈식 led 방열판 구조체
KR100978574B1 (ko) 엘이디 패키지
KR100761388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
KR100694889B1 (ko) 파워 엘이디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