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722A -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 Google Patents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722A
KR20050049722A KR1020030083430A KR20030083430A KR20050049722A KR 20050049722 A KR20050049722 A KR 20050049722A KR 1020030083430 A KR1020030083430 A KR 1020030083430A KR 20030083430 A KR20030083430 A KR 20030083430A KR 20050049722 A KR20050049722 A KR 2005004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bonnet
engine room
housing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규 filed Critical 박대규
Priority to KR102003008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9722A/en
Publication of KR2005004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72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후드 스킨 이면부에 조명장치를 부설하고 그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엔진룸의 원하는 부분에 집중시켜 조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엔진룸 조명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혀주기 위한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o install a lighting apparatus on the rear surface of a hood skin of a vehicle and to focus the illumination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apparatus on a desired portion of the engine compartment and to relatively light th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of a vehicle for effectively increasing the engine room lighting efficiency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는, 본네트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되는 조명램프와,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lamp install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bonnet;

상기 조명램프를 보호하고 빛의 조사 방향을 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명램프의 외부를 감쌓는 형태로 조명램프를 수용하여 본네트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엔진룸측 방향이나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바꿔주기 위해 본네트 판넬에 부착된 반사대와, 상기 반사대를 본네트 판넬 저면부에 부착시켜 지지하는 한편 반사대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네트 판넬과 반사대 사이에 마련된 고정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엔진룸내 원하는 조명대상이 설정되면 해당 부분에 대한 집중조명을 가능하게 한다.       A housing which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o protect the lighting lamp and gives straightness so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is directed in one direction, the housing is attached to the bonnet by receiving the lighting lamp in the form of wrapping the outside of the lighting lamp; A reflector attached to the bonnet panel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an engine room side direction or a desired position, and attaching the reflector to the bottom of the bonnet pane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xing joint provided between the bonnet panel and the reflector in order to support and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or in the desired direction. Accordingly, when a desired lighting target is set in the engine room with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cus on the corresponding part.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후드 스킨 이면부에 조명장치를 부설하고 그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엔진룸의 원하는 부분에 집중시켜 조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엔진룸 조명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혀주기 위한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o install a lighting apparatus on the rear surface of a hood skin of a vehicle and to focus the illumination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apparatus on a desired portion of the engine compartment and to relatively light th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of a vehicle for effectively increasing the engine room lighting efficiency with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앞부분에는 엔진, 트랜스미션, 냉각장치, 발전기 등과 같은 자동차의 동력 생성원이 되는 주요 장치가 설치되는 엔진룸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룸 위에는 개폐 가능한 본네트가 설치되어 상기 장치들을 보호하는 덮개로서의 기능을 한다.        In general, an engine room in which a main device for generating power of an automobile, such as an engine, a transmission, a cooling device, a generator, and the like,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a vehicle, especially a passenger vehicle. And an openable bonnet is installed on the engine room to function as a cover for protecting the devices.

본네트는 엔진룸내의 장치들의 보수 정비를 위해서 또는 소모품의 교환이나 보충을 위해서 개폐 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본네트는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본네트의 개폐는 운전석에서 레버나 노브로 로크를 해제하고 손가락으로 후크를 벗긴 후 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The bonnet should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for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in the engine room, or for replacement or replenishment of consumables. Therefore, the bonnet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and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nnet is usually to be unlocked by the lever or knob in the driver's seat and to open after removing the hook with the finger.

이러한 자동차의 본네트의 개폐 형식은 프론트 엔진 자동차의 경우, 힌지가 뒤에 있어 본네트를 차체의 앞에서 위쪽으로 올려 열도록 되어 있는 전개 방식과, 역으로 뒤에서 여는 후개방식의 두가지 형식이 있다. 최근의 자동차는 대개 전개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힌지 형식은 공히 단순한 링크식을 적용하고 있다.       In the case of a front engine car, there are two types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nnet of the vehicle, a deployment method in which the hinge is behind and the bonnet is opened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reverse opening method, in reverse. Modern cars usually adopt a deployment method, and the hinge type uses a simple link type.

그러나, 야간 주행중 차량에 이상이 생겨 정비 및 점검이 필요하거나, 또는 안전 운행을 위해 야간에 이루어지는 정비 및 점검 등의 작업이 필요할 때 엔진룸내 각종 부품의 육안 식별이 어려워 정비 및 점검에 어려움이 있었고, 또 조명등이 없을 경우 손전등을 상시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 정비 및 점검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maintenance or inspection is necessary, or when maintenance and inspection, such as the night-time operation, is necessary for safe driving, it was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various parts in the engine room, which made it difficult to maintain and inspe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vehicle is inconvenient because the flashlight should be used at all times when there is no lighting.

이러한, 엔진룸내 야간 조명을 위한 다수의 조명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Such a number of lighting devices for night illumination in the engine room are known.

예를들면, 도 1과 같이, 자동차(10)의 엔진룸(11)을 덮고 있는 본네트(12)의 내측 판넬(13)에 엔진룸(11)을 조명하는 조명램프(14)를 설치하거나, 또 다르게는 엔진룸(11)의 적소 부위에 조명램프를 설치하고, 그 조명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배터리의 전원이 조명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도 2와 같이 그 스위치(15)를 본네트(12)의 개페에 따라 온오프로 제어하는 온오프스위치 또는 그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는 형태이며, 그 외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엔진룸을 간접 조명하는 형태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n illumination lamp 14 for illuminating the engine room 11 is installed in the inner panel 13 of the bonnet 12 covering the engine room 11 of the vehicle 10, or Another alternative is to install a lighting lamp in place of the engine room 11, and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lamp,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lighting lamp, as shown in Figure 2 The switch 15 is provided with an on-off switch o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15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bonnet 12. In addition, there is also a form for indirectly illuminating the engine room by reflecting the irradiated light.

도 1은 종래의 엔진룸 조명장치 구성예로서, 자동차(10)의 본네트(12)의 내측 판넬(13) 부분에 조명램프(14)를 취부하여 설치한 구성예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in which an illumination lamp 14 is attached to an inner panel 13 portion of a bonnet 12 of an automobile 10.

그러나, 이 구조는 조명램프(14)의 빛이 특정 부분으로 집광되는 구조가 아니고 사방으로 방사되는 방사형 구조여서 엔진룸(11)에 실장된 미세 각종 부품에 대한 집중조명 또는 구석지거나 후미진 곳에 대한 빛의 집중조명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However, this structure i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of the lighting lamp 14 is condensed into a specific portion, but a radial structure radiated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concentrated light or the corner or tail of the minute various parts mounted in the engine room 11 is It is a structure that is impossible to focus light.

도 3은 종래의 다른 엔진룸 조명장치 구성예로서, 헤드램프(20) 상단에 피벗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연결로드(21)와, 연결로드(21)의 끝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헤드램프(20)의 빛을 반사 시키는 제1반사기(22)와, 본네트(23)의 내측면에 피벗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반사기(22)에서 반사된 빛을 다시 엔진룸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기(24)로 이루어진 구성예이다.        3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other conventional engine room lighting device, the connection rod 21 is pivotally fixed to the top of the headlamp 20 pivotally, and is fixed to be rotatable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21 headlamp The first reflector 22 reflects the light of the 20 and the second reflecto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nnet 23 pivotally to reflec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22 back to the engine room. It is a structural example which consists of the reflector 24. FIG.

이 구조는 별도의 조명램프를 구비하지 않고 전방측 헤드램프(20)의 빛을 반사기를 통해 반사시켜 별도의 조명램프 없이 엔진룸을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마찬가지로 집중조명이 불가능하고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헤드램프 점등에 따른 전력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engine room without a separate lighting lamp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front headlamp 20 through a reflector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lighting lamp, but likewise, it is impossible to concentrate the lighting and maintain constant illumination. Difficult to maintai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headlamp lighting was a big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드 스킨 이면부에 조명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조명을 엔진룸내 원하는 부분에 집중시켜 조명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엔진룸내 부품에 대한 야간 시인성을 크게 할수 있는 집중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entrated light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night visibility of the components in the engine room by allow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to be concentrated on the desired portion of the engine room at the rear surface of the hood skin of the vehicl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엔진룸 조명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혀주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engine room lighting efficiency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복잡한 기구적 구성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 엔진룸내 집중조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intensive lighting in an engine room with onl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mechanical configur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는,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자동차의 엔진룸을 덮고 있는 본네트의 내측 판넬에 엔진룸을 조명하는 조명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조명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조명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및 그 스위치를 본네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엔진룸 조명장치에 있어서,       An illumination lamp for illuminating the engine room is installed on the inner panel of the bonnet covering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lamp,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lighting lamp.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having a switch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nnet,

상기 본네트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되는 조명램프와,       An illumination lamp install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bonnet;

상기 조명램프를 보호하고 빛의 조사 방향을 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명램프의 외부를 감쌓는 형태로 조명램프를 수용하여 본네트에 부착된 하우징과,       A housing attached to the bonnet by accommodating the lighting lamp in the form of covering the outside of the lighting lamp and having an opening to protect the lighting lamp and to give a straightness to direc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light in one direction;

상기 하우징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엔진룸측 방향이나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바꿔주기 위해 본네트 판넬에 부착된 반사대와,       A reflector attached to the bonnet panel,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an engine room side direction or a desired position;

상기 반사대를 본네트 판넬 저면부에 부착시켜 지지하는 한편 반사대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네트 판넬과 반사대 사이에 마련된 고정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flecto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nnet panel, and is supported by a fixed joint provided between the bonnet panel and the reflector to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or in a desired direction.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조명램프로부터 발광되어 나오는 빛에 직진성을 주기 위한 집광렌즈를 개구면상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ptionally,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condensing lens on the opening surface for giving a straightness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조인트는, 상기 반사대를 본네트 판넬 저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네트에 부착되어 반사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Optionally, the fixing joint may include a bracket attached to the bonnet to support the reflector to fix the reflector to the bottom of the bonnet panel;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어 반사대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볼하우징과,       A ball housing extending from the bracket to couple the reflector to an angle adjustment;

상기 볼하우징의 하우징 공간에 안착되어 반사대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반사대로부터 연장된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Seat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ball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ll joint extending from the reflector to fix the reflecto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이렇게 자동차 본네트 판넬의 저면상에 조명램프를 설치하되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이를 반사대를 통하여 엔진룸에 대한 원하는 조명투사가 가능하여 야간 차량정비 또는 점검에 있어서 야간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게 함으로서 야간 정비 및 점검에 효율성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높혀줄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stall a lighting lamp on the bottom of the car bonnet panel, col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use it to project the desired light to the engine room through the reflector to ensure sufficient night visibility in maintenance or inspection of the night vehicle. By doing so, the efficiency of night maintenance and inspection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의 광 굴절 및 반사 경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4 i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light refraction and reflection path of th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을 덮고 있는 본네트의 내측 판넬에 엔진룸을 조명하는 조명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조명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조명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및 그 스위치를 본네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엔진룸 조명장치의 구성이다.       Automobil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6, to install an illumination lamp for illuminating the engine room on the inner panel of the bonnet covering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to supply power to the illumination lamp It is a configuration of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lighting lamp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nnet.

주요부분은, 본네트(40)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되는 조명램프(44)와, 조명램프(44)를 보호하고 빛의 조사 방향을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엔진룸(42)을 기준으로 그 내측 방향으로 향하는 개구부(46)를 구비하며 조명램프(44)의 외부를 감쌓는 형태로 조명램프(44)를 수용하여 본네트(40)의 내측 판넬(41)에 부착된 하우징(43)과, 하우징(43)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하우징(43)의 개구부(46)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엔진룸(42)측 방향이나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바꿔주기 위해 본네트(40)의 내부측 판넬(41)에 부착된 반사대(47)와, 반사대(47)를 본네트(40)의 판넬(41) 저면부에 부착시켜 지지하는 한편 반사대(47)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본네트(40)측 판넬(41)과 반사대(47) 사이에 마련된 고정조인트로 이루어진다.       The main part includes an illumination lamp 44 install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bonnet 40 and an engine room 42 for protecting the illumination lamp 44 and giving straightness to direct light irradiation in one direction. A housing 43 having an opening 46 facing inwardly thereof as a reference and accommodating the lighting lamp 44 in the form of wrapping the outside of the lighting lamp 44 and attached to the inner panel 41 of the bonnet 40. ) And the housing 43 a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4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order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ning 46 of the housing 43 to the engine room 42 side direction or a desired position. The reflector 47 attached to the inner panel 41 of the 40 and the reflector 47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41 of the bonnet 40 to support the angle of the reflector 47. It consists of a fixed joint provided between the bonnet 40 side panel 41 and the reflector 47 to adjust in the desired direction.

상기 하우징(43)은, 도 5와 같이 하우징(43) 내부에 수용된 조명램프(44)로부터 발광되어 나오는 빛에 직진성을 주기 위한 집광렌즈(45)를 개구부(46)의 개구면상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조명램프(44)의 조도 및 직진 특성과 집광특성 그리고 조명램프(44)와 반사대(47)간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단일의 집광렌즈(45) 또는 다중의 집광렌즈(45)를 복층으로 다양하게 구성할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43 includes at least one condensing lens 45 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46 for providing linearity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44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43. The single condensing lens 45 or the multiple condensing lens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illuminance, straightness and cond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illumination lamp 4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on lamp 44 and the reflector 47. The 45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상기 고정조인트는, 반사대(47)를 본네트(40)측 판넬(41)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네트(40)의 판넬(41) 저면에 부착되어 반사대(47)를 지지하는 브래킷(51)과, 상기 브래킷(51)으로부터 연장되어 반사대(47)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볼하우징(50)과, 상기 볼하우징(50)의 하우징 공간(52)에 안착되어 반사대(47)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반사대(47)로부터 연장된 볼조인트(49)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밖에 반사대(47)의 전.후 방향 각도조절형 고정조인트 구조 및 상하 방향 높이 조절형 고정조인트 구조 그리고 상하 방향 높이 조절형 조인트 구조와 도 과 같은 볼조인트 조합형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fixing joint is a bracket 51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41 of the bonnet 40 to fix the reflector 47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41 on the bonnet 40. ), A ball housing 50 extending from the bracket 51 to couple the reflector 47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and a reflector 47 mounted in the housing space 52 of the ball housing 50. It can be composed of a ball joint 49 extending from the reflector 47 to fix the angle adjustable, in addition to the angle of the front and rear angle-adjustable fixed joint structur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flector 47 Height adjustable fixed joint structure, vertical height adjustable joint structure and ball joint combination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can be selectively appli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automotiv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42)을 덮고 있는 본네트(40)의 내측 판넬(41)에 엔진룸(42)을 조명하는 조명램프(44)를 설치하고 그 조명램프(4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먼저 집광렌즈(45)를 통해 집광 시키고, 그 뒤 직진성이 부여된 광을 반사대(47)에 도달하게 하여 그 반사대(47)를 통해 원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조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엔진룸(42)내 조명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조명장치들은 본네트(40)의 저면 판넬(41)부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4 to 6,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ner panel 41 of the bonnet 40 covering the engine compartment 42 of the vehicle, the illumination lamp 44 for illuminating the engine compartment 42 and its illumina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44 is first condens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45, and then the light given the straightness reaches the reflector 47 to concentrate the desired portion through the reflector 47. As a structure for enabling illumination, all the illumination devices for the purpose of illumination in the engine room 42 are arranged in the bottom panel 41 of the bonnet 40.

본네트(40)의 내측 판넬(41)부에 취부되는 조명램프(44)는 하우징(43)을 통해 취부된다. 즉 조명램프(44)를 직접 본페트 판넬(41)에 취부하는 경우 충격으로 인한 파손 가능성이 크며, 또한 조명램프(44)의 빛의 확산과 방사 방향은 전방향으로서, 대략 본네트(40) 부분을 제외하는 경우 180°의 조사각 이상을 갖으며, 이러한 180°의 조사각 범위를 넘어서는 빛의 굴절에 의한 조도의 차이는 더 증가되지 않으며, 오히려 빛의 방사 범위가 크므로 특정 부위에 대한 부분 조명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조명램프(44)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특정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지 않음으로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야간이나 태양광선이 들어오지 않는 시계가 차단된 상태에서 미세 부품의 정비나 점검을 할 때, 엔진룸 조명목적으로 엔진룸을 중심으로 구성된 조명램프에 의한 조명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The lighting lamp 44 mounted to the inner panel 41 of the bonnet 40 is mounted through the housing 43. That is, when the lighting lamp 44 is directly mounted on the bone pet panel 41,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impact, and the direction of light diffusion and radiation of the lighting lamp 44 is omnidirectional, which is approximately the bonnet 40 part. Except for having an irradiation angle of 180 ° or more,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due to the refraction of light over the irradiation angle range of 180 ° does not increase further, but rather a portion of a specific part because the emission range of light is large. Lighting is practically impossible. This is a general phenomenon that is caus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44 not having a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maintenance or inspection of the micro parts is performed at night or when the clock which does not receive sunlight is blocked, the engine room is It became a factor to reduce the lighting efficiency by the lighting lamp which is mainly composed of the engine room for lighting purposes.

본 발명의 하우징(43)은 조명램프(44)를 감쌓는 형태로 보호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조명램프(4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조명램프(44)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 시키기 위해 하우징(43)의 재질을 고무재로 할 수도 있으며 열화방지에 적합한 비금속 및 금속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housing 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damage to the lighting lamp 44 by an external impact by protecting the lighting lamp 44 in a form wrapped. That is, the material of the housing 43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order to reduc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lighting lamp 44, and may be selectively manufactured using non-metal and metal materials suitable for preventing degradation.

또한, 광원이 되는 조명램프(44)의 광 조사 방향을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엔진룸(42)을 기준으로 그 내측 방향으로 향하는 개구부(46)를 구비함으로서, 조명램프(44)측 광은 개구부(46)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고, 이 과정에서 집광렌즈(45)를 거치면서 직진성을 갖게된다. 즉 도 5와 같이 하우징(43) 내부에 수용된 조명램프(44)로부터 발광되어 나오는 빛은 집광렌즈(45)를 거치면서 광이 집광되어 반사대(47)에 도달한다.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lamp 4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46 facing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engine room 42 so as to provide a straightness to direc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44 serving as a light source in one direction. The metering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46, and in the process, the light is straight through the condenser lens 45.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44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3 is collect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45 and reaches the reflector 47 as shown in FIG. 5.

여기서, 개구부(46)의 개구면 상에 설치되는 집광렌즈(45)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조명램프(44)의 조도 및 직진특성과 집광특성 그리고 렌즈의 광학적 성능이나 특성, 조명램프(44)와 반사대(47)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다중의 집광렌즈(45)를 복층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조명램프(44)측 광원을 광특성 저하없이 반사대(47)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condensing lens 45 provided 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46 may be provided, and the illuminance and straightness and cond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illumination lamp 44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r characteristics of the lens, illu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 44 and the reflector 47, the multiple condensing lenses 45 are configured in various layers so that the light source of the illumination lamp 44 reaches the reflector 47 without deteriorating optical characteristics. can do.

한편, 하우징(43)상의 개부부(46)에 부설된 집광렌즈(45)에 의한 직진성이 부여된 조명램프(44)측 광은 하우징(43)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반사대(47)에 도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on the side of the illumination lamp 44 given the straightness by the condensing lens 45 attached to the opening portion 46 on the housing 43 is a reflector 47 separated from the housing 4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s reached.

반사대(47)는 하우징(43)의 개구부(46)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엔진룸(42)측 방향이나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바꿔주기 위해 본네트 판넬(41)에 부착된 것이다.        The reflector 47 is attached to the bonnet panel 41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pening 46 of the housing 43 to the engine room 42 side direction or a desired position.

반사대(47)의 표면은 광 반사에 적합한 코팅재(48)로 처리하여 반사효율을 높힐 수 있으며,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네트(40)의 판넬(41)은 엔진룸(42)을 보호하기 위해 엔진룸(42)을 덮거나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형상과 길이 그리고 크기 등은 엔진룸(42)에 실장된 부품의 배치 형태에 따라 결정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작용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47 may be treated with a coating material 48 suitable for light reflection to increase the reflection efficiency, and may be any shape. However, since the panel 41 of the bonnet 40 should cover or open and close the engine room 42 to protect the engine room 42, its shape, length, and size are mounted in the engine room 42.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arts can be produced by acting in a variety of forms.

반사대(47)가 본네트(40)에 부동적으로 고정된다면 집광렌즈(45)를 통해 출사되는 광을 원하는 영역으로 보내기 어렵다. 즉, 도 4와 같이 본네트(40)의 판넬(41)이 개방된 경우 그 개방 각도는 대략 30° 이상의 개방각을 이루는데, 이 개방각을 기준으로 본네트(40)에 반사대(47)의 설치각이 직각을 이룬다면 반사대(47)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각의 기준 역시 본네트(40)의 판넬(41)과 반사대(47)의 설치각 영향을 벗어날 수 없고 해당 영역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지역에 대한 집중조명을 기대하기 어렵다.         If the reflector 47 is fixedly fixed to the bonnet 40, it is difficult to direct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45 to a desired area. That is, when the panel 41 of the bonnet 40 is opened as shown in FIG. 4, the opening angle forms an opening angle of about 30 ° or more, based on the opening angle of the reflector 47 on the bonnet 40. If the installation angle is a right angle, the reference angle of the reflection angle reflected by the reflector 47 also cannot be escaped from the influence of the installation angles of the panel 41 and the reflector 47 of the bonnet 40 and becomes a corresponding area. It is difficult to expect intensive lighting.

본 발명에 따른 반사대(47)는 본네트(40)의 판넬(41) 저면부에 부착시켜 지지하는 한편 반사대(47)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본네트(40)측 판넬(41)과 반사대(47) 사이에 고정조인트를 두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 되어 있다.       Reflector 4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panel 41 of the bonnet 40 while supporting the panel 41 side panel 41 to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or 47 in the desired direction A fixed joint is placed between the reflector 47 and the angle is fixed.

고정조인트는, 도 6과 같이 볼조인트 형식이 반사대(47)의 다양한 각도 선택과 조절에 유리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러나 엔진룸에 대한 조명 부위가 다방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선택적 조명이 허용되는 경우라면, 반사대(47)의 전.후 방향 각도조절형 고정조인트 구조나 상하 방향 높이 조절형 고정조인트 구조 등을 선택적 적용할 수 있다.       The fixed joint is suitable because the ball joint type is advantageous in selecting and adjusting various angles of the reflector 47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lighting area for the engine room does not require multi-direction and the selective illumination is allowed, the front and rear angle adjustable joint structure of the reflector 47 or the vertical adjustable height joint structure may be used. Optionally applicable.

그리고 반사대(47)의 높이 조절을 통한 광 조사 영역 확장형으로서, 상하 방향 높이 조절형 조인트 구조와 볼조인트 조합형 구조를 복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ight irradiation area expansion typ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flector 47,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joint structure and the ball joint combination structure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반사대(47)는 이와 같이 조명램프(44)측으로부터 줄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그 방향은 반사대(47)를 본네트(40)에 취부하는 조인트에 의해 광의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reflector 47 serves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44 side in this way, but its direction serve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ion by a joint that attaches the reflector 47 to the bonnet 40. Do it.

도 6과 같이 볼조인트 형식인 경우 반사대(47)의 동적 방향은 본네트(40)와 닿는 접선면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조사영역으로 포함된다.       In the case of the ball joint type as shown in FIG. 6, the dynamic direction of the reflector 47 includes all areas except the tangential surface of the reflector 47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nnet 40.

고정조인트의 대표적인 구조는 도 6과 같이 반사대(47)를 본네트(40)측 판넬(41)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네트의 판넬(41) 저면에 부착되어 반사대(47)를 지지하는 브래킷(51)을 설치하고, 그 브래킷(51)으로부터 연장되어 반사대(47)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볼하우징(50)을 구성하고, 볼하우징(50)의 하우징 공간(52)에 안착되어 반사대(47)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반사대(47)로부터 연장된 볼조인트(49)로 구성하여 전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fixing joint is a bracket for attaching the reflector 47 to the bottom of the panel 41 of the bonnet to support the reflector 47 to fix the reflector 47 to the bottom of the panel 41 on the bonnet 40 side. A 51 is installed, and the ball housing 50 extends from the bracket 51 to couple the reflector 47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nd is seated in the housing space 52 of the ball housing 50. In order to fix the reflector 47 so that the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the reflector 47 may be configured with a ball joint 49 extending from the reflector 47 to form a reflector with an adjustable angle in all direc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집광렌즈를 통한 광의 직진성 부여로부터 이를 다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대로 향하도록 하고 그 뒤 엔진룸내 원하는 조명대상이 설정되면 반사대를 잡고 각도를 변화시켜 원하는 조명대상 부분에 대한 집중조명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rects the light through the condensing lens to the reflector which can be angle-adjusted, and then, when the desired lighting target is set in the engine room, the reflector is held and the angle is changed to focus on the desired lighting target. Enable light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집광렌즈를 통해 광의 직진성 부여하고 이를 다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대로 향하도록 한뒤 엔진룸내 원하는 조명대상이 설정되면 반사대를 잡고 각도를 변화시켜 원하는 조명대상 부분에 대한 집중조명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야간 차량정비 또는 점검에 있어서 야간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어 야간 정비 및 점검에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높혀줄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traightness of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hrough the condenser lens and directs it to a reflector that can be angle-adjusted. By enabling thi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night visibility in the maintenance or inspection of the night vehicle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efficiency for night maintenance and inspection.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vehicle engine room lighting device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스위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 configuration example applied to a conventional vehicle engine room lighting device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other conventional vehicle engine room lighting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의 광 굴절 및 반사 경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 refraction and a reflection path of th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0:본네트 41:판넬       40: Bonnet 41: Panel

42:엔진룸 43:하우징       42: engine room 43: housing

44:조명램프 45:집광렌즈       44: lighting lamp 45: condenser lens

46:개구부 47:반사대       46: Opening 47: Reflector

48:코팅재 49:볼조인트       48: coating material 49: ball joint

50:브래킷 51:볼하우징       50: Bracket 51: ball housing

52:하우징공간        52: housing space

Claims (3)

자동차의 엔진룸을 덮고 있는 본네트의 내측 판넬에 엔진룸을 조명하는 조명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조명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조명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및 그 스위치를 본네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엔진룸 조명장치에 있어서,       An illumination lamp for illuminating the engine room is installed on the inner panel of the bonnet covering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lamp,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lighting lamp. An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having a switch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nnet, 상기 본네트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되는 조명램프와,       An illumination lamp install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bonnet; 상기 조명램프를 보호하고 빛의 조사 방향을 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명램프의 외부를 감쌓는 형태로 조명램프를 수용하여 본네트에 부착된 하우징과,       A housing attached to the bonnet by accommodating the lighting lamp in the form of covering the outside of the lighting lamp and having an opening to protect the lighting lamp and to give a straightness to direc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light in one direction; 상기 하우징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엔진룸측 방향이나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바꿔주기 위해 본네트 판넬에 부착된 반사대와,       A reflector attached to the bonnet panel,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an engine room side direction or a desired position; 상기 반사대를 본네트 판넬 저면부에 부착시켜 지지하는 한편 반사대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네트 판넬과 반사대 사이에 마련된 고정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       And a fixing joint provided between the bonnet panel and the reflector to fix the angle of the reflector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reflector by attaching the reflector to the bottom of the bonne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조명램프로부터 발광되어 나오는 빛에 직진성을 주기 위한 집광렌즈를 개구면상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       The housing is a vehicl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densing lens on the opening surface for giving a straight line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조인트는, 상기 반사대를 본네트 판넬 저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네트에 부착되어 반사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The fixing joint may include a bracket attached to the bonnet to support the reflector to fix the reflector to the bottom of the bonnet panel,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어 반사대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볼하우징과,       A ball housing extending from the bracket to couple the reflector to an angle adjustment; 상기 볼하우징의 하우징 공간에 안착되어 반사대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반사대로부터 연장된 볼조인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룸 조명장치.       An automobile engine room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ball joint extending from the reflector to fix the reflector to an angle adjustable by being seated in the housing of the ball housing.
KR1020030083430A 2003-11-24 2003-11-24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KR200500497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30A KR20050049722A (en) 2003-11-24 2003-11-24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30A KR20050049722A (en) 2003-11-24 2003-11-24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22A true KR20050049722A (en) 2005-05-27

Family

ID=3866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430A KR20050049722A (en) 2003-11-24 2003-11-24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97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913B2 (en) Side view mirror with integral lighting
US6616312B2 (en) Convenience lighting for interior and exterior vehicle applications
US7201504B2 (en) Optical module for a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designed to give at least one main cut-off beam
US9080738B2 (en) Vehicular lamp
JP2005067594A (en) Lamp with camera
CN104165315B (en) Lamps apparatus for vehicle
JP2010260379A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with built-in imaging element
GB2545979A (en) Cross shut gap lighting source
US20050174792A1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US6998784B2 (en) Vehicular headlamp
US5567034A (en) Motor vehicle headlamp
JP2010262766A (en) Lighting tool for vehicle
US20050036326A1 (en) Lamp assembly with multi-stage reflector
JP2010262765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5524476B2 (en) Map lamp for vehicles
KR20050049722A (en)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US7033054B2 (en) Lamp assembly with peripheral auxiliary function
JP2010262768A (en) Vehicle lamp
JP2010282794A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JP3129643B2 (en) Vehicle headlights
JP3281229B2 (en) Fog lights for vehicles
JP2010282938A (en) Vehicular headlight
KR200385016Y1 (en) Device of lighting engine-room for auto moblile
JP2019061935A (en) Vehicular headlight
JP2006027533A (en) Awakening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