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106A -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106A
KR20050048106A KR1020030081943A KR20030081943A KR20050048106A KR 20050048106 A KR20050048106 A KR 20050048106A KR 1020030081943 A KR1020030081943 A KR 1020030081943A KR 20030081943 A KR20030081943 A KR 20030081943A KR 20050048106 A KR20050048106 A KR 2005004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mpulse response
space
reverbera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971B1 (ko
Inventor
이돈응
정제창
김동형
양시영
전영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to KR102003008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7/00Measuring reverberation time ; room acoustic measur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 및 특성에 따른 다양한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그 임펄스 응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재를 시공하기 전에 건축 구조물의 내부 형상에 따른 그 공간의 이용 목적에 따른 최적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청자에게 느껴지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간의 구조나 그 공간의 벽면을 마감하는 흡음재나 차음재는 그 재질이나 특성에 따른 임펄스 응답은 많은 변수를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공간에서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직육면체 공간의 크기와 각 벽면의 재질 특성을 입력받고, 임펄스의 발생위치(음원)와 임펄스의 녹음위치(청자)를 사용자 파라미터로 입력받는다. 또한 잔향 부분을 생성해주기 위해서 잔향 시작시간과 잔향 조밀도를 입력받아 임펄스 응답을 구한다.

Description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및 방법{Impulse Response considering the Material Quality of wall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Room}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서 전달되는 잔향의 정도를 건축 구조물의 내벽 마감재를 시공하기 전에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상공간의 부피와 공간형태, 벽면 구조물의 재질 및 특성을 변수로 입력하고 정의된 방법에 의해 반향 임펄스를 측정하여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직육면체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펄스 응답이란 공간에서 발생한 소리의 울림 정도를 말하며, 발생되는 소리로 임펄스를 사용하여 녹음하면 임펄스 응답이 된다. 이 임펄스 응답은 흡음률이 높은 재질로 된 벽면을 가진 녹음실 같은 공간에서는 소리의 울림이 적다. 반면, 흡음률이 낮고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된 강당이나 오페라 홀과 같은 공연 공간에서는 그 소리의 울림이 많다.
소리에 대한 물체의 성질 중 실용면에서 중요한 것은 흡음성과 차음성이다. 이 중에서 흡음성이란 그 물체에 도달한 소리를 약하게 해서 반사하는 성질이며, 특히 유리섬유나 암면 등 다공성 물질은 이 성질이 풍부하다. 또 얇은 금속판이나 합판 등은 단단한 벽에 밀착시켰을 때는 흡음성이 약하지만, 벽에서 어느 정도 사이를 두어 벽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면 공기층이 용수철같은 작용을 하여 소리의 에너지를 소모시키므로 흡음성이 커진다.
그러나 물질의 흡음성은 소리의 주파수나 입사각(入射角)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예를 들어 다공성인 흡음재는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소리에는 유효하나, 주파수가 낮은 소리에 대해서는 두께를 상당히 늘리지 않으면 효과가 적다. 흡음성의 정도를 흡음률이라고 한다. 흡음률 1이란 활짝 열어젖힌 창문처럼 소리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지나가는 것을 말하고, 흡음률 0.1이란 90%가 반사되는 것을 뜻한다.
한편, 차음성이란 그 물체에 들어온 소리를 차단하여 투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말하며, 차음성의 정도 즉 차음률은 내부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지 않는 한 그 물체(예를 들면 벽)의 단위면적당의 무게를 늘림으로써 증가한다. 이런 점에서 두껍고 무거운 벽은 차음률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일중벽에서 음압레벨을 30dB 감소시키고자 하면 1m2당 5kg 정도, 40dB 감소시키고자 하면 1m2당 70kg이나 재료가 필요하므로 고도의 차음성을 일중벽에서 얻기는 어렵다.
따라서 아주 작은 소리라도 방해가 되는 무향실이나 방송 스튜디오 등에는 적당한 공간을 둔 다중벽을 사용하여, 다중벽에 의한 차음효과의 중복과 그 사이에 있는 공기에 의해 소리의 에너지를 소모시킴으로써 소리를 차단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잔향은 실내 벽이나 천장의 반향에 따른 것으로서 음향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음원이 진동을 멈춘 순간부터 음이 들리지 않게 된 순간까지를 잔향시간이라 하는데, 이는 음의 에너지가 처음의 100만분의 1이 되기까지의 시간에 해당한다. 실내는 음향효과의 목적에 따라 알맞은 잔향시간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음악일 경우에는 1.5∼2.5초, 강연일 경우에는 1∼1.5초가 가장 알맞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잔향시간은 주로 실내 용적과 흡음력에 따라 변하는데 음이 너무 울리는 것은 잔향시간이 길기 때문이며, 반대로 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것은 잔향시간이 짧기 때문이다. 잔향시간은 청중의 수와 흡음재와도 관계가 밀접하다.
따라서 청중의 수와 관계없이 잔향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의자의 흡음력을 청중의 흡음력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대음악당·강당 등의 의자가 호화로운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또한, 건축 구조물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구조, 재질 및 특성에 따라 그 잔향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리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나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재에 따라 청자에게 느껴지는 음질의 정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특히 오페라 극장, 영상관 및 강당 같은 건축 구조물에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잔향을 고려한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어떤 마감재를 설치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을 필요로 하는 오페라 극장이나 또는 영화관 등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는 소리의 반향에 따라 청중들에게 전달되는 음의 질을 좌우하게 되는데, 그 반향은 공간이나 또는 그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재질이나 특성 모양에 따라 공간의 사용 용도 별로 의사전달에 따라 반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벽면 구조물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마감재를 시공하기 전에 시뮬레이션하여 직접음과 방향음을 통해 청자에게 느껴지는 소리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제 까지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은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 및 특성에 따른 다양한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그 임펄스 응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재를 시공하기 전에 건축 구조물의 내부 형상에 따른 그 공간의 이용 목적에 따른 최적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청자에게 느껴지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간의 구조나 그 공간의 벽면을 마감하는 흡음재나 차음재는 그 재질이나 특성에 따른 임펄스 응답은 많은 변수를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공간에서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직육면체 공간의 크기와 각 벽면의 재질 특성을 입력받고, 임펄스의 발생위치(음원)와 임펄스의 녹음위치(청자)를 사용자 파라미터로 입력받는다. 또한 잔향 부분을 생성해주기 위해서 잔향 시작시간과 잔향 조밀도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를 갖는 공간이라 가정하고, 각 벽면의 재질에 따른 흡음률을 이용해서 임펄스 응답을 구하며, 임펄스 응답은 직접음, 초기반사음과 잔향의 발생시간에 따른 음의 크기로 구성된다. 벽면의 재질 특성은 초기빈사음과 잔향의 음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벽면의 재질을 다양하게 선택하고, 그에 따른 임펄스 응답을 구한다. 임펄스 응답을 구성하는 직접음, 초기반사음과 잔향은 발생시간에 따른 음의 크기로 정의된다. 공간에 따른 임펄스 응답은 많은 변수를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공간에서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직육면체 공간의 크기와 각 벽면의 재질 특성을 입력받고, 임펄스의 발생위치(음원)와 임펄스의 녹음위치(청자)를 사용자 파라미터로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벽면의 재질을 바꿔서 다양한 임펄스 응답을 구하므로, 구조물의 소리 울림을 시뮬레이션 하는데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직접 직육면체 구조물을 건설해서 소리의 울림을 알아보지 않아도 본 발명을 이용해서 임펄스 응답을 구하면, 직육면체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알 수 있어서 건축 음향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의 벽면 구조물의 재질 특성에 따라 임펄스 응답을 구한다. 공간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실제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에는 연산량이 많아 컴퓨터 연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발명에서는 공간을 직육면체 구조로 한정지어서 복잡도를 줄였다. 직육면체 공간의 벽면의 흡음률에 따라 소리의 반사율이 변하므로 공간의 임펄스 응답도 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축 구조물 내벽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정보에 대한 환경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입력하기 위한 파라미터 입력부; 건축 구조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 상기 파라미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에 의해 구해지는 직접음, 초기반사음 및 잔향음을 이용하여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 임펄스 응답 연산부; 상기 임펄스 응답 연산부에서 입력된 정보와 상기 오디오 입력부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근거로 시간축에서 컨벌루션하는 컨벌루션부; 및 상기 컨벌루션부에 의해 구해진 결과를 근거로 가상 건축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축 구조물 내벽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정보에 대한 환경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입력하는 단계; 건축 구조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직접음, 초기반사음 및 잔향음을 구하고, 구해진 음들을 합산하는 것에 의해 임펄스 응답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임펄스 응답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근거로 시간축 상에서 컨벌루션하는 단계; 및 상기 컨벌루션에 의해 결과를 근거로 가상 건축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해 파라미터 입력부(11)를 통해 환경 초기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한 환경 초기값, 즉 파라미터는 건축 구조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가상 공간에서 사용목적에 따른 가상음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12)를 포함하며, 이 오디오 입력부(12)는 다향한 음을 입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 구조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음악, 판소리나 오페라 등의 육성, 일반 강연장과 같은 연설 육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환경 초기값들은 임펄스 응답연산부(13)에서 본 발명의 정의된 방법에 의해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고, 이 임펄스 응답과, 상기 오디오 입력부(12)에서 입력되어 출력되는 다양한 소리를 컨볼루션(14)에서 시간축에 대해 콘볼루션한 후 오디오 출력부(15)를 통해 그 소리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청자의 청감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은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소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마감재를 선택하는데 응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의 생성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파라미터 입력부(11)를 통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임펄스 응답생성에 필요한 파라미터로는 음원의 위치, 청자의 위치, 공간의 크기, 좌측면, 우측면, 전면, 후면, 천장, 바닥의 흡음률과 잔향 시작시간과 조밀도 등의 변수를 입력하며, 이외에 사용자가 정의한 또 다른 변수 예를 들면, 공간의 형상과 관련된 변수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21)
이와 같이 파라미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본 발명은 직접음, 초기 반사음, 잔향음을 생성하여 그들의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고, 그들의 함수를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임펄스 응답을 구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직접음(S22), 초기반사음(S23), 잔향음(S24)을 구함으로써 임펄스 응답(S25)을 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도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S25)은 도 3에서 구한 직접음(S22)의 크기와 발생시간, 도 4에서 구한 초기반사음(의 크기와 발생시간, 도 5에서 구한 크기와 발생시간의 합으로 임펄스 응답을 구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임펄스 응답(S25)에서 직접음(S22)의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2의 "사용자 파라미터"에서 음원과 청자의 위치를 입력으로 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음원과 청자의 거리"(S31)를 계산한다.
DS1 = ∥음원의 위치벡터 -청자의 위치벡터∥
도 3의 "직접음 [dB]"(S32)에서 "음원과 청자의 거리"(S31)에서 구한 음원과 청자의 거리(DS1)를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dB값으로 환산하게 된다.
DS2 = 20 ×log(DS1)
도 3의 "가중치 및 16비트 환산"(S33)에서는 도 3의 "직접음 [dB]"(S32)에서 구한 dB값(DS2)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이 값을 16비트 데이터 값으로 변환해 준다.
도 3의 "발생시간"(S34)에서는 도 3의 "음원과 청자의 거리"(S31)에서 구한 음원과 청자의 거리에서 구한 값(DS1)을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발생시간을 구한다.(S34)
DS4 = DS1 ×2.9069
도 4는 도 2의 임펄스 응답(S25)에서 "초기반사음"(S23)의 초기 반사음의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2의 "사용자 파라미터"에서 음원과 청자의 위치와 방의 크기를 입력으로 하여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음원과 청자의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수학식 5에서 ER i 1 = ∥음원의 위치벡터 -벽면의 반사점 ∥ +∥ 벽면의 반사점 - 청자의 위치벡터∥ 이다.
여기서, ER i 1 , (i = 1∼6)은 각각 공간 즉, 건축 구조물의 내측면 좌측면, 우측면, 천장, 바닥, 전면, 후면을 의미한다.
도 4의 "초기반사음 [dB]"(S42)은 도 4의 "음원과 청자의 거리"(S41)에서 구한 음원과 청자의 거리(ER1)를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dB값으로 환산해 준다.
상기 수학식 6에서 αi (i = 1∼6)는 각각 좌측면, 우측면, 천장, 바닥, 전면, 후면의 흡음률을 나타낸다.
도 4의 "가중치 및 16비트 환산"(43)에서는 도 4의 초기반사음 [dB]"(S42)에서 구한 dB값(ER2)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 값을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16비트 데이터 값으로 변환한다.
도 4의 "발생시간"(S44)에서는 도 4의 "음원과 청자의 거리"(S41)에서 구한 음원과 청자의 거리에서 구한 값(ER1)과 도 4의 "발생시간"(S44)에서 구한 직접음 발생시간 값(DS4)을 다음의 수학식 8을 이용하여 발생시간을 구한다.
도 5는 도 2의 임펄스 응답(25)에서 잔향음(S24)의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파라미터 입력(S21)에서 공간의 겉넓이(S51), 평균 흡음률(S52), 공간의 부피(S53)를 입력으로 하여 잔향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 5의 "평균 흡음률"(S52)는 공간의 좌측면, 우측면, 천장, 바닥, 전면, 후면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흡음률을 가산하여 평균 흡음률( RE1 )을 구한다.
, W1 ~ W6 :육면의 흡음률
도 5의 "방의 겉넓이"(S51)는 방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겉넓이(RE2)를 구한다.
RE2 = (RL ×RW) ×2 + (RL ×RH) ×2 + (RW ×RH) ×2
RL : 방의 가로 길이 [meter]
RW : 방의 세로 길이 [meter]
RH : 방의 높이 [meter]
도 5의 "공간의 부피"(S53)은 방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1과 같이 방의 부피(RE3)를 구한다..
RE3 = RL ×RW ×RH
RL : 방의 가로 길이 [meter]
RW : 방의 세로 길이 [meter]
RH : 방의 높이 [meter]
도 5의 "60dB 감소시간"(S54)은 수학식 9에 의해 구해진 평균 흡음률(RE1), 수학식 10에 의해 구해진 공간의 겉넓이(RE2), 수학식 11에 의해 구해진 공간의 부피(RE3)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60dB 감소시간(RE4)을 구한다.
도 5의 "임의 지점 생성"(S55)은 입력된 파라미터인 잔향 시작시간 [msec], 잔향 조밀도 [sample]를 이용하여 잔향 부분을 구성한다. 잔향 부분은 잔향 시작 시간 이후, 60dB 감소시간(RE4)사이에 잔향 조밀도 만큼의 개수를 랜덤(Random)함수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3과 같이 임의 지점을 생성한다.
RE5 = (잔향시작시간-RE4) * Random (1) + 잔향시작시간
도 5의 "잔향의 크기 계산(S56)은 평균흡음률(RE1), 도 4의 "방의 겉넓이"에서 나온 겉넓이(RE2), 수학식 11을 이용한 공간의 부피(RE3), 그리고 수학식 13을 통해 구해진 임의 지점(RE5)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4에 의해 잔향의 크기(RE6)를 구하게 된다.
a = 1-RE1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각각 구해지는 임펄스 응답의 예를 보인 것으로, 최종적으로 표 1과 같이 직접음, 초기 반사음, 잔향음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흡음재나 또는 차음재 등과 같은 마감재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청자의 청감의 질을 높이는데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접 직육면체 구조물에 마감재를 직접 설치하여 소리의 울림을 알아보지 않아도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통해 임펄스 응답을 구하므로서 건축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알 수 있고, 그 결과 청자에게 느껴지는 최적의 청감을 얻을 수 있도록 벽면의 재질을 다양하게 바꿔 임펄스 응답을 구할 수 있는 구조물의 소리 울림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 제어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응답의 생성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접음에 대한 세부 플로우챠트도,
도 4는 본 발명의 초기 반사음에 대한 세부 플로우챠트도,
도 5는 본 발명의 잔향음에 대한 세부 플로우챠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파라미터 입력부 12;임펄스 응답 연산부
13;오디오 입력부 14;컨볼루션부
15;오디오 출력부

Claims (10)

  1.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축 구조물 내벽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정보에 대한 환경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입력하기 위한 파라미터 입력부;
    건축 구조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
    상기 파라미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에 의해 구해지는 직접음, 초기반사음 및 잔향음을 이용하여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 임펄스 응답 연산부
    상기 임펄스 응답 연산부에서 입력된 정보와 상기 오디오 입력부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근거로 시간축에서 컨벌루션하는 컨벌루션부; 및
    상기 컨벌루션부에 의해 구해진 결과를 근거로 가상 건축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음원위치, 청자의 위치, 공간의 크기, 공간을 형성하는 면들의 흡음률, 잔향 시작시간 및 조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 연산부는 상기 직접음, 초기반사음과 잔향음에 대해 그 크기 및 발생시간을 구하고, 그들의 합으로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부는 상기 직접음과 초기반사음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그 값을 16비트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한 직접음과 초기반사음의 크기 및 발생시간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부는 상기 잔향음에 대해 공간의 겉넓이, 평균흡음률 및 공간의 부피에 대한 파라미터를 근거로 60dB로 감소하는 시간을 구하고 임의의 지점에서 잔향크기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발생시간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 시스템.
  6.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축 구조물 내벽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재질정보에 대한 환경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입력하는 단계;
    건축 구조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직접음, 초기반사음 및 잔향음을 구하고, 구해진 음들을 합산하는 것에 의해 임펄스 응답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임펄스 응답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근거로 시간축 상에서 컨벌루션하는 단계; 및
    상기 컨벌루션에 의해 결과를 근거로 가상 건축 구조물의 소리의 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음원위치, 청자의 위치, 공간의 크기, 공간을 형성하는 면들의 흡음률, 잔향 시작시간 및 조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한 상기 직접음과 초기반사음을 구하는 단계는,
    입력된 파라미터를 통해 음원과 청자의 거리를 구하는 단계,
    직접음 및 초기반사음에 대한 각각의 크기와 발생시간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음과 초기반사음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그 값을 16비트 데이터값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해당 음의 크기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한 상기 잔향음을 구하는 단계는
    공간의 겉넓이, 평균흡음률 및 공간의 부피에 대한 파라미터를 근거로 60dB로 감소하는 시간을 구하고 임의의 지점에서 잔향크기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발생시간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60dB로 감소하는 감소시간(RE4)은 평균흡음률(RE1), 공간의 겉넓이(RE2), 공간의 부피(RE3)라 가정할 때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의 벽면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방법.
KR1020030081943A 2003-11-19 2003-11-19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KR10057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43A KR100573971B1 (ko) 2003-11-19 2003-11-19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43A KR100573971B1 (ko) 2003-11-19 2003-11-19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06A true KR20050048106A (ko) 2005-05-24
KR100573971B1 KR100573971B1 (ko) 2006-04-26

Family

ID=3724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943A KR100573971B1 (ko) 2003-11-19 2003-11-19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6595A (zh) * 2022-07-31 2022-12-02 苏州声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狭小空间内部声场调控方法
WO2023012920A1 (ja) * 2021-08-04 2023-0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69574A1 (zh) * 2022-03-11 2023-09-14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音频混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872B2 (ja) * 1990-03-02 1997-01-08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JPH0718749B2 (ja) * 1991-07-17 1995-03-0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反射音シミュレータ
DE69327501D1 (de) * 1992-10-13 2000-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challumgebungsimulator und Verfahren zur Schallfeldanalyse
JP3335409B2 (ja) * 1993-03-12 2002-10-15 日本放送協会 残響付加装置
JP3722335B2 (ja) * 1998-02-17 2005-11-30 ヤマハ株式会社 残響付加装置
JP2003335409A (ja) * 2002-05-14 2003-11-25 Sintokogio Ltd 鋳物砂搬送コンベ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2920A1 (ja) * 2021-08-04 2023-0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69574A1 (zh) * 2022-03-11 2023-09-14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音频混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426595A (zh) * 2022-07-31 2022-12-02 苏州声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狭小空间内部声场调控方法
CN115426595B (zh) * 2022-07-31 2024-03-05 苏州声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狭小空间内部声场调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971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regar et al. Auditorium Model Assessment with Corrected Acoustic Function
Maekawa et a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acoustics
Eargle Handbook of recording engineering
US5142586A (en) Electro-acoustical system
Adelman-Larsen Rock and Pop Venues
Pelegrín-García et al.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voice support and room gain in school classrooms
Iannace et al. Acoustic correction of a renaissance period hall
KR100573971B1 (ko) 가상 공간의 벽면의 재질 특성을 고려한 임펄스 응답시스템 및 방법
Capel Newnes Audio and Hi-fi Engineer's Pocket Book
Iannace et al. Acoustic Project Of A Conference Room Of The Secondary School “Avenir 33”(Dele?-Mont, Switzerland)
Paini et al. The acoustics of public squares/places: a comparison between results from a computer simulation program and measurements in situ
Fratoni et al. Predicting speech intelligibility in university classrooms using geometrical acoustic simulations
Lombardi et al.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ves in misericordia” church
Barron et al. Stage acoustics in concert halls–early investigations
GOŁAŚ et al. Analysis of Dome Home Hall theatre acoustic field
Paini et al. Agorá Acoustics-Effects of arcades on the acoustics of public squares
Wright Learning a Vocabulary For Acoustics Fundamentals
Martir Acoustical Damping for Poly Canyon Village's Music Room
Sabine The acoustics of sound recording rooms
JPH11167384A (ja) 遮音性能評価用実音データ生成装置、遮音性能評価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RU2042217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звукового поля в зале прослуши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oliman Acoustic perception of Metal live performance in a multipurpose hall (Black Box): A study into the influence of the acoustical quality of a Black Box regarding Metal live performance.
Krebber PA systems for indoor and outdoor
Ishizawa et al. A manufacturer's review of the progress of large scale electro-acoustic systems in auditoria
Lombardi et al.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