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314A -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314A
KR20050047314A KR1020030081126A KR20030081126A KR20050047314A KR 20050047314 A KR20050047314 A KR 20050047314A KR 1020030081126 A KR1020030081126 A KR 1020030081126A KR 20030081126 A KR20030081126 A KR 20030081126A KR 20050047314 A KR20050047314 A KR 2005004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mouse
mouse
pen
lecture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7314A/ko
Publication of KR2005004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the acoustic waves are either generated by a movable member and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or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and captured by a mov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자가 강의할 자료를 피씨(PC : Personal computer)와 연결된 프로젝터(projector)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screen)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강의자료와 강의자가 펜마우스로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피씨에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하기 위함에 있어,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와 전자칠판의 프레임에 설치된 초음파 수신기 및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펜마우스의 포인트를 정확히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아울러 강의자는 강의할 자료를 피씨와 연결된 프로젝터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펜마우스로 판서하면서 강의하기 때문에, 강의를 함에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강의자료와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강의시간에는 강의에 집중하고 강의시간 외에는 반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내용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Recognizing a Pen-Mous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System}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자가 강의할 자료를 피씨(PC : Personal computer)와 연결된 프로젝터(projector)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screen)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강의자료와 강의자가 펜마우스로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피씨에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하기 위함에 있어,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와 전자칠판의 프레임에 설치된 초음파 수신기 및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펜마우스의 포인트를 정확히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아울러 강의자는 강의할 자료를 피씨와 연결된 프로젝터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펜마우스로 판서하면서 강의하기 때문에, 강의를 함에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강의자료와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강의시간에는 강의에 집중하고 강의시간 외에는 반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내용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강의방식은 강의자가 강의하면서 분필로 칠판에 판서를 하면, 수강자는 강의자의 강의내용을 들으면서 강의자가 판서하는 내용을 필기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러한 강의방식은 수강자가 강의내용을 일일이 필기해야 하기 때문에, 강의 내용보다 필기에 집착하여 강의내용전달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강의자는 판서후에 강의내용을 지워야하기 때문에, 판서와 지우기를 반복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분진에 의하여 강의자와 수강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선출원 된 것으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3-28143호 "전자 칠판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과,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06442호 "디지털 전자 칠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학습장치"(이하 '등록고안1'이라 함) 및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59569호 "다기능 전자 칠판"(이하 '등록고안2'라 함) 등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광 센서가 구비된 전자 펜으로 씨알티(CRT : Cathode Ray Tube) 화면을 직접 터치하면서 강의하도록 한 것'이나, 일반적인 칠판 정도의 크기를 갖는 씨알티 화면은 그 제작이 어렵고, 제작한다 하여도 씨알티 화면의 특성상 그 무게와 부피가 현저히 커지게 되므로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되며, 현제 판매되는 씨알티화면으로는 강의하기가 부적합하고, 수강자들이 강의내용을 필기해야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등록고안1 은 '디지털 전자 칠판에 다수의 멀티미디어 학습장치를 동작하여 강의하도록 한 것'이나, 특화된 별도의 멀티미디어 학습장치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강의 내용에 따라 각각 다른 학습장치를 필요하게 되어 강의내용에 제약을 받게 되며, 상기 인용발명과 마찬가지로 수강자들이 강의내용을 필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등록고안2 는 상기 인용발명 및 등록고안1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와 전자칠판이 양방향으로 개통되어 펜마우스를 통해 전자칠판에 판서하면 그 내용이 퍼스널 컴퓨터에 그대로 디스플레이 되고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필기할 필요가 없으며, 반대로 퍼스널 컴퓨터의 내용이 프로젝터를 통해 전자칠판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나, 펜마우스의 포인트를 감지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와 전자칠판의 프레임에 설치된 초음파 수신기 및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펜마우스의 포인트를 정확히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아울러 강의자가 강의할 자료를 피씨와 연결된 프로젝터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강의자료와 강의자가 펜마우스로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피씨에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하도록 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은,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송신기가 초음파를 송출하는 단계와, 초음파 수신기가 상기 펜마우스로부터 송출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적외선 센서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된 적외선 신호 중에 펜마우스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높낮이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높낮이 레벨 및 거리에 의하여 펜마우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펜마우스의 위치 및 동작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은, 스크린을 지지하며 설치된 프레임의 일측에 펜마우스의 이동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모듈이 설치된 전자칠판과, 상기 전자칠판의 스크린에 강의내용을 디스플래이 하는 프로젝터 및 강의자의 음성을 수신 받는 마이크가,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감지된 펜마우스의 위치 및 동작을 결정하며, 강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및 강의내용이 저장되는 피씨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감지모듈에는 적외선 센서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수신기가 내장되며, 상기 펜마우스에는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와 적외선 센서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의 흐름도로서, 강의자가 펜마우스를 이용하여 전자칠판의 스크린에 판서하면, 펜마우스에 설치된 스위치가 작동되어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송신기가 초음파를 송출(S101)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펜마우스의 포인트(펜의 끝부분을 지칭함)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동작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포인트가 펜마우스의 안쪽으로 눌려지면서 스위치가 온(On)동작을 하는 압력식과 상기 포인트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하여 스위치가 온동작을 하는 접촉식 등을 이용하며, 상기 스위치의 구조 및 동작원리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펜마우스로부터 송출된 초음파 신호는 전자칠판의 프레임에 설치된 초음파 수신기가 수신(S102)하며, 상기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칠판의 프레임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가 적외선 신호를 송출(S103)하고, 송출된 적외선 신호 중에 펜마우스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S104)한다.
여기서, 상기 펜마우스에는 적외선 센서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위한 별도의 반사부재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펜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른 인식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펜마우스의 포인트에 근접하여 설치한다.
상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높낮이 레벨을 결정(S105)하고, 상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까지의 거리를 결정(S106)하며, 상기 결정된 높낮이 레벨 및 거리에 의하여 펜마우스의 위치를 결정(S107)한다.
이때, 상기 펜마우스의 높낮이 레벨은 초음파 수신기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펜마우스까지의 거리는 적외선 센서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상기 펜마우스의 위치는 스크린상에 설정된 좌표값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기준 및 좌표값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높낮이 레벨 및 거리의 결정방법은 하기에 일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등의 동작을 결정(S108)하고, 상기 결정된 펜마우스의 위치 및 동작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S109)한 후, 상기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S110)한다.
여기서, 상기 펜마우스의 동작은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의 시간, 횟수 또는 펜마우스의 이동 등을 측정하여 결정하거나, 별도의 동작스위치를 펜마우스에 설치하고 상기 동작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른 초음파 신호의 패턴을 달리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의 개략도로서, 펜마우스(2)로부터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는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수신기(31)(31')가 수신한다.
이때, 펜마우스(2)에서 송출된 초음파 신호가 하나의 초음파 수신기(31)까지 전송되는 시간을 t1이라 하고, 다른 하나의 초음파 수신기(31')까지 전송되는 시간을 t1+t2라 하고, 상기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수신기(31)(31')와 높낮이 레벨(Level)(L)까지의 거리를 각각 라 하면, 상기 가 동일할 경우의 높낮이 레벨(L)을 기준 높낮이 레벨(L=0)이라고 정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 높낮이 레벨(L=0)에 펜마우스(2)가 위치할 경우에 상기 t1 t1+t2의 값이 동일하며 따라서 t2는 0의 값을 갖는다.
만약, t1<t1+t2일 경우에는 가 되어 높낮이 레벨(L)은 양(+)의 값을 갖게 되고, t1>t1+t2일 경우에는 가 되어 높낮이 레벨(L)은 음(-)의 값을 갖게 되므로, t2의 값에 따라서 높낮이 레벨(L)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32)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 중에 펜마우스(2)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의 왕복 이동시간을 t3이라 하면, 상기 적외선 센서(32)를 중심으로 하고, 300,000(km/sec)/t3(se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원주(C)상에 펜마우스(2)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낮이 레벨(L)과 원주(C)의 교점이 펜마우스(2)의 위치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을 이용한 강의자료 저장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강의를 시작하기 위하여 강의시스템을 구동하면 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마크(Mark)가 나타나며, 상기 마크에 펜마우스를 찍어주면 펜마우스의 위치를 감지하여 펜마우스 포인트를 초기화(S201)하게 된다.
이때, 감지된 펜마우스의 위치와 스크린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값을 비교하여 발생하는 위치오차에 의해 보정값을 계산(S202)한다.
예를 들어, 평면 좌표계를 사용할 경우, 감지된 펜마우스의 위치가 마크로부터 X축으로 x만큼 이동되고 Y축으로 y만큼 이동되면, 보정값은 (-x,-y)값으로 결정된다.
즉, 감지된 펜마우스의 위치에 보정값을 더하면 정확한 위치가 계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강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동(S203)되면 강의내용과 강의자 음성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강의시스템은 강의내용을 저장할 경우(S204)에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을 위한 버퍼(Buffer) 및 저장메모리를 확보(S205)하며, 음성을 저장할 경우(S206)에는 에이디(A/D : Analog to Digital) 컨버젼 프로그램을 구동(S207)하고 압축 프로그램을 구동(S208)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디 컨버젼 프로그램은 강의자의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프로그램이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대용량일 경우에 저장매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데이터를 압축한다.
그리고, 강의자의 강의가 시작되면 강의시스템은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S209)하며, 실시간으로 펜마우스의 위치를 인식(S210)하여 상기 계산된 보정값으로 인식된 펜마우스의 위치를 보정(S211)하고, 펜마우스의 동작을 분석(S212)한 후, 응용프로그램에 적용(S213)하여 처리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S214)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강의가 종료되어 펜마우스의 입력이 종료(S215)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강의가 종료되면 데이터 저장을 종료(S216)하며, 이 후 수강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피씨(5)와 강의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4) 및 전자칠판(1)은 케이블(6)에 의하여 공유기(7)를 거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강의자는 펜마우스(2)를 이용하여 판서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칠판(1)은 강의자료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12)과 상기 스크린(12)을 감싸며 지지하는 프레임(11)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 펜마우스(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3)을 설치하되, 상기 감지모듈(3)에는 적외선 센서(32)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수신기(31)(31')가 내장된다.
상기 펜마우스(2)가 스크린(12)상에서 동작하게 되면, 상기 감지모듈(2)의 각 센서들은 펜마우스(2)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공유기(7)를 거쳐 피씨(5)로 전송하며, 상기 피씨(5)는 수신된 펜마우스의 위치 및 동작을 분석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공유기(7)를 통해 프로젝터(4)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젝터(4)는 상기 결과를 전자칠판(1)의 스크린(12)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피씨(5)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피씨(5)와 연결되도록 마이크(8)를 설치하여 강의자의 음성을 저장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감지모듈(3)의 초음파 수신기(31)(31')로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12)가 다수개 설치되고, 펜마우스(2)의 포인트(23)의 상부에는 적외선 센서(32)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 수신기(31)(31')와 반사부재(22)가 설치되는 위치는 특정한 곳에 제한하지는 않으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포인트(23)와 근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2)는 적외선 신호를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재료와 모양을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다른 예의 포인트 측정방법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일정거리 이격하여 종대로 초음파 발생기(21)(21')를 설치하게 되면, 종대로 배열된 초음파 발생기(21)(21')사이의 거리 d1과 하측 초음파 발생기(21')에서 포인트(23) 종단까지의 거리 d2를 알 수 있으며, d2가 d1의 n배라고 가정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발생기(21)(21')에 의하여 결정되는 위치를 각각 P1, P2라 하면, P1으로부터 P2쪽으로 진행하여, P1과 P2사이의 거리에 n배에 해당하는 위치에 포인트(23)의 위치 P3 가 결정되어 보다 정확한 포인트(23)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자는 강의할 자료를 피씨와 연결된 프로젝터를 통해 전자보드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펜마우스로 판서하면서 강의하기 때문에, 강의를 함에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강의자료와 판서하는 내용 및 강의자의 음성 등의 강의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수강자들이 원할 경우에 강의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강의시간에는 강의에 집중하고 강의시간 외에는 반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내용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의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을 이용한 강의자료 저장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의 펜마우스에 대한 다른 예의 포인트 측정방법을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칠판 2 : 펜마우스
3 : 감지모듈 4 : 프로젝터
5 : 피씨 11 : 프레임
12 : 스크린 21, 21' : 초음파 발생기
22 : 반사부재 31, 31' : 초음파 수신기
32 : 적외선 센서

Claims (4)

  1. 펜마우스에 설치된 초음파 송신기가 초음파를 송출하는 단계(S101)와,
    초음파 수신기가 상기 펜마우스로부터 송출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2)와,
    상기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적외선 센서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103)와,
    상기 송출된 적외선 신호 중에 펜마우스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04)와,
    상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높낮이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S105)와,
    상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S106)와,
    상기 결정된 높낮이 레벨 및 거리에 의하여 펜마우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07)와,
    상기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펜마우스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S108)와,
    상기 결정된 펜마우스의 위치 및 동작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109) 및
    상기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마우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07)는,
    펜마우스의 포인트 초기화로부터 계산된 보정값에 의해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방법.
  3. 스크린(12)을 지지하며 설치된 프레임(11)의 일측에 펜마우스(2)의 이동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모듈(3)이 설치된 전자칠판(1)과, 상기 전자칠판(1)의 스크린(12)에 강의내용을 디스플래이하는 프로젝터(4) 및 강의자의 음성을 수신받는 마이크(8)가,
    상기 감지모듈(3)에 의해 감지된 펜마우스(2)의 위치 및 동작을 결정하며, 강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및 강의내용이 저장되는 피씨(5)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감지모듈(3)에는 적외선 센서(32)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서로 다른 두개의 초음파 수신기(31)(31')가 내장되며,
    상기 펜마우스(2)에는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21)와 적외선 센서(32)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22)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펜마우스(2)는,
    일정거리 이격하여 종대로 초음파 발생기(21)(2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펜마우스 인식 시스템.
KR1020030081126A 2003-11-17 2003-11-17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7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126A KR20050047314A (ko) 2003-11-17 2003-11-17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126A KR20050047314A (ko) 2003-11-17 2003-11-17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314A true KR20050047314A (ko) 2005-05-20

Family

ID=3724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126A KR20050047314A (ko) 2003-11-17 2003-11-17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73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8757A1 (en) * 2006-08-10 2008-02-14 Pnf Co., Ltd Device for generating the signals used for position tracing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08130824A1 (en) * 2007-04-18 2008-10-30 Luidia Inc. Pre-assembled part with an associated surface convertible to a transcription apparatus
US8408710B2 (en) 2009-11-26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ent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76762B1 (ko) * 2011-10-15 2013-06-21 (주) 디토스 전자칠판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EP3018575A1 (en) * 2014-11-05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87757B1 (ko) 2016-04-14 2016-12-20 (주)이케이네트웍스 전자 필기 인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8757A1 (en) * 2006-08-10 2008-02-14 Pnf Co., Ltd Device for generating the signals used for position tracing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08130824A1 (en) * 2007-04-18 2008-10-30 Luidia Inc. Pre-assembled part with an associated surface convertible to a transcription apparatus
US8085249B2 (en) 2007-04-18 2011-12-27 Luidia Inc. Pre-assembled part with an associated surface convertible to a transcription apparatus
US8339375B2 (en) 2007-04-18 2012-12-25 Luidia, Inc. Pre-assembled part with an associated surface convertible to a transcription apparatus
US8408710B2 (en) 2009-11-26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ent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76762B1 (ko) * 2011-10-15 2013-06-21 (주) 디토스 전자칠판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EP3018575A1 (en) * 2014-11-05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87757B1 (ko) 2016-04-14 2016-12-20 (주)이케이네트웍스 전자 필기 인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5524B2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9471183B1 (en) Mobile device incorporating projector and pen-location transcription system
CN103927025A (zh) 一种笔迹数字化实现装置及其方法
CN100449468C (zh) 基于视觉跟踪与语音识别的鼠标系统
KR20100029219A (ko) 멀티모달 스마트펜 컴퓨팅 시스템
KR20100136529A (ko) 다중-양상 학습 시스템
KR20090116687A (ko) 디지털 펜 시스템, 송신기 장치, 수신 장치,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EP1228480B1 (en) Method for digitizing writing and drawing with erasing and/or pointing capability
KR20000067478A (ko)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및 제어신호 입력 시스템
KR20050047314A (ko)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N104254815A (zh) 书写内容的空间上相关的注释的显示
WO2007046604A1 (en) Device for inputting digital information
KR101221157B1 (ko)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KR101153977B1 (ko) 휴대 단말기용 입력 시스템
KR20070042858A (ko) 펜 형태의 디지털 입력 장치
EP1076893A1 (en) Transcription system
CN217319870U (zh) 光控互联黑板
JP2002373053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KR20020080669A (ko) 원격강의 시스템의 전자펜
WO1999026191A1 (en) Drawing rendering device
JPH04250587A (ja) 手書き文字認識方法および装置
CN2611974Y (zh) 手写输入发射和接收装置
JP5272401B2 (ja) 手書き筆跡入力システム
CN1480900A (zh) 手写输入发射和接收装置
CN111209906B (zh) 一种基于超声波技术的书写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