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743A - 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 Google Patents

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743A
KR20050044743A KR1020047008803A KR20047008803A KR20050044743A KR 20050044743 A KR20050044743 A KR 20050044743A KR 1020047008803 A KR1020047008803 A KR 1020047008803A KR 20047008803 A KR20047008803 A KR 20047008803A KR 20050044743 A KR20050044743 A KR 2005004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specific phrase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와키리아키라
다케겐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페턴트 서포트 저팬
유겐가이샤 홈 포지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페턴트 서포트 저팬, 유겐가이샤 홈 포지션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페턴트 서포트 저팬
Publication of KR2005004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74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A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program causes a computer to execute an image information coding acquisition procedure (7) for acquiring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a highlighted display procedure (8) for correlating the codes (6) in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exts information (2) and for reading in at least the other code (6) and displaying it in highlighted mode on the computer screen when one of the codes (6) o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the text information (2) is specified.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correlate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the text information (2) constituting the electronic document (1) on the computer screen.

Description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본 발명은 서로 보완하는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를 구비한 전자화문서를 화면상에 표시했을 때, 문장정보 중의 어구와 이미지정보인 도면이나 사진 중의 기재장소를 화면상에서 용이하게 대응 지울 수 있는 형태로 편집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gitalized document having sentenc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complementing each other is displayed on a screen, the phrases in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place of description in the drawing or photograph as image information can be easily edited on the screen. It relates to a program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예를 들면 도면이나 사진을 이용하여 기술내용을 설명하는 기술문서를 전자화문서로서 작성하는 경우, 설명문은 문장정보, 도면이나 사진은 이미지정보로서 작성하는 일이 많다. 그리고 컴퓨터의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한쪽의 영역에 설명문, 다른쪽에 도면이나 사진을 표시시키면 도면이나 사진을 참조하면서 설명문을 읽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technical document describing a technical content is created as an electronic document using drawings or photographs, the description text is often written as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drawings or photographs as image information. If the screen of the computer is divided into two areas and an explanatory text is displayed in one area and a drawing or a picture is displayed in the other area, the explanatory text can be read while referring to the drawing or picture.

그런데 도면이나 사진이 복잡한 경우, 도면이나 사진 중에서 설명문 중의 특정어구가 가리키고 있는 장소(특정장소)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찾는 것은 곤란하다. 이와 같은 경우, 도면이나 사진 중의 특정장소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선을 인출하여 부호를 붙이고, 설명문 중의 특정어구에도 공통의 부호를 붙여 두며, 공통의 부호를 의지하여 설명문 중의 특정어구가 도면이나 사진 중의 어느 장소를 가리키고 있는 것인가 찾기 쉽게 해서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를 화면상에서 용이하게 대응 지울 수 있도록 하여 화면상에서 기술내용을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However, when the drawings and photographs are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find a place (specific place) indicated by a specific phrase in the description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in the drawings or photographs. In such a case, the leader line is drawn out from a specific place in the drawing or photograph to be labeled, and the common phrase is attached to a specific phrase in the explanation statement. By making it easy to find out whether it is pointing to a place, it is possible to easily correspond to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n the screen so that the technical contents can be easily understood on the screen.

그러나 도면이나 사진 중이 너무 복잡하거나, 많은 인출선이나 부호가 과밀하게 붙여 있으면,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설명문을 읽으면서 도면이나 사진 중에서 해당하는 부호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곤란하고, 애써 붙인 부호가 설명문 중의 특정어구와 도면이나 사진 중의 특정장소를 대응 지우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However, if the drawing or photograph is too complicated, or if many leader lines or marks are overly attache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rresponding sign in the drawing or photograph while reading the explanation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It does not play a role of erasing phrases and specific places in drawings or photographs.

특허에 관한 전자화문서가 그 좋은 예이다. 특허공보 등에서 보여지는 특허정보에서는 일반적으로 문장정보인 명세서와 이미지정보인 도면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도면을 참조하면서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고 있는데, 복잡한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인출선이나 부호도 많아지므로 명세서에 나오는 부호를 복잡한 도면 중의 많은 부호 중에서 찾아내는 것이 곤란한 일이 있다.An electronic document on a patent is a good example. In the patent information shown in the patent publication and the like, a description, which is a sentence information, and a drawing, which is image information, are generally displayed on a computer screen, and the specification is easily read and understood while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codes, it may be difficult to find the codes in the specification among many codes in a complicated drawing.

그래서 도면이나 사진이 복잡하거나, 도면이나 사진에 많은 인출선이나 부호가 붙여진 전자화문서에서는 그들의 도면이나 사진을 일단 인쇄해서 종이정보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확대 복사해서 그 위에 기입을 하거나 색구분하여 설명문과 도면이나 사진을 대응 지운다는 것이 자주 실행되고 있다.Therefore, in an electronic document with complicated drawings or photographs, or with many callouts or symbols attached to the drawings or photographs, their drawings or photographs are printed and made into paper information. It is frequently practiced to distinguish descriptions, drawings, and photographs separately.

이와 같이 도면이나 사진으로서 나타내어지는 이미지정보가 복잡하거나, 많은 부호가 과밀하게 붙여져 있는 경우에는 모처럼의 전자화정보를 일부러 종이정보로 하여 사용한다는 낭비가 현실에는 자주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image information represented as drawings or photographs is complicated or a large number of codes are overly attached, the waste of using deliberately using electronic information as paper information is often practiced in reality.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2-24254호에는 지면상에 나타내어진 정보를 전자화하여 관리하는 다음과 같은 정보축적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즉 지면상의 이미지정보를 이미지정보받아들임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이미지정보내의 문자에 관련 지워진 문장정보를 문장정보입력수단으로 입력하며, 또 문자판독수단으로 이미지정보내의 문자를 판독하고, 기억수단에 문자판독수단으로 판독된 문자 및 문장정보 상호의 변환을 실행하는 변환테이블을 구비하여 둔다는 것이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4254 discloses the following information accumulation system for electronically manag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ground. That is,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page is taken as th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means, the sent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acters in the imag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entence information input means, and the character reading means reads the characters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 reading means to the storage means. And a conversion table for converting between the read character and sentence information.

이 기술에 따르면, 조립도면이나 부품리스트 등이 지면상의 정보로서 존재하는 경우라도 조립도면과 부품리스트를 관련 지워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종이정보를 전자화정보로서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법에 지나지 않고, 상기와 같은 도면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정보와 문장정보를 컴퓨터의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하여 이미지정보를 참조하면서 문장정보를 읽을 때에 도면이나 사진이 복잡하거나, 도면이나 사진에 많은 인출선이나 부호가 붙여져 있는 경우라도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의 대응 지움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책으로는 될 수 없다.According to this technique, even when an assembly drawing, a parts list, or the like exists as information on the page, the assembly drawing and the parts list can be manag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this technique is only a technique for managing paper information as electronic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entence information while referring to the image information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sentence information such as the drawings and photographs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Even when a drawing or a photograph is complicated at the time of reading or when many leader lines or codes are attached to a drawing or a photograph, it cannot become a solution for making correspondence of sentenc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easy to implement.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2-251279호에는 코믹콘텐츠를 보기 쉽게 표시하는 다음과 같은 콘텐츠배신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표시화면을 이미지표시영역과 세리프표시영역으로 분할하고, 세리프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세리프에 대응하는 벌룬(balloon)영역을 강조 표시하는 것이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51279 discloses the following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displaying comic content easily. This divides the display screen into an image display area and a serif display area, and highlights a ballo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rif displayed on the serif display area.

그런데 세리프표시영역에는 세리프표시영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벌룬영역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세리프가 표시되고, 세리프에 대응하는 벌룬영역을 강조 표시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전자화된 특허문서와 같은 명세서 중의 많은 특정어구와 도면 중의 많은 부호의 대응 지움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책으로는 될 수 없다.However, in the serif display area, a serif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balloon areas existing in the serif display area is displayed, and since only the ballo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rif is highlighted, many specific phrases in the specification, such as an electronic patent document, are used. It cannot be a solution to facilitate the correspondence between many codes in the drawings.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96-339380호에는 특허명세서의 문장과, 그 문장에 대응하는 도면이 떨어져 존재하는 바와 같은 경우라도 문장 중의 도면부호를 커서 등으로 지정함으로써 해당하는 도면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6-339380 discloses a corresponding drawing on a computer screen by designating a reference number in a sentence by a cursor or the like even when a sentence in a patent specification and a drawing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are separated. Display technology is disclosed.

그런데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된 도면 중에서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에 대응하는 특정장소를 찾는 귀찮음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으므로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의 대응 지움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책으로는 될 수 없다.However, the annoyance of finding a specific plac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hrase in sentence information among the drawing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is still not solved, and thus it cannot be a solution for easily performing correspondence between sentenc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화문서를 구성하는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대응 지우기 쉬운 형태로 편집하고, 전자화문서를 그대로 화면상에서 보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edits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erased on a computer screen, and makes the electronic document easy to see and understand on the scree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diting program.

제 1 도는 본 발명의 편집대상으로 되는 전자화문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lectronic document to be ed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rogram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first invention.

제 3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의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3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dure for accepting an image information code of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4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의 강조표시절차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ighlighting procedure of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5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문장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sentenc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6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문장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다른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sentenc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7 도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이미지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8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이미지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다른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9 도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gram for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second invention.

제 10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의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10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dure for accepting a specific phrase of the editing program.

제 11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의 강조표시절차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11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ighlighting procedure of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2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문장정보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specific phrase in sentenc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3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문장정보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를 지정했을 때의 다른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display state when any specific phrase in sentenc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4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이미지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5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이미지정보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다른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6 도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Fig. 1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gram for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third invention.

제 17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의 강조표시절차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17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ighlighting procedure of the same editing program.

제 18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표 중의 임의의 부호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code in the table is designated in the edit program.

제 19 도는 동편집프로그램에 있어서 표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를 지정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when any specific phrase in the table is designated in the same editing program.

본 발명의 편집프로그램의 편집대상은 서로 보완하는 적어도 1개의 이미지정보와 문장정보를 구비하고, 이미지정보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장소 및 문장정보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어구에 상호를 대응 지우기 위한 공통의 부호를 붙인 전자화문서이다.The editing object of the editing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mage information and sentence information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common codes for correspondingly erasing a plurality of specific places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pecific phrases in the sentence information. It is an electronic document attached.

제 1 발명에서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In the first invention, a computer executes an image information code receiving procedure and a highlighting procedure.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에서는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강조표시절차에서는 부호위치정보와 문장정보 중의 부호를 관련 지우고, 이미지정보 및 문장정보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부호가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및 다른쪽의 부호 중 적어도 다른쪽의 부호를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킨다.In the highlighting procedure, the codes in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are erased, and when either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 one and the other marks is read and the computer is read. Highlight it on the screen.

또 제 2 발명에서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Further, in the second invention, the computer executes the image information code receiving procedure, the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and the highlighting procedure.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에서는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에서는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인다.The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accepts a specific phrase in sentence information as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강조표시절차에서는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정보를 관련 지우고,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 및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및 다른쪽 중 적어도 다른쪽을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킨다.In the highlighting procedure,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are erased, and when one of the specific phrases in the code and sentence information in the image information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other is read out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Highlight it.

제 3 발명에서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In the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mputer executes an image information code receiving procedure, a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and a highlighting procedure.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에서는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에서는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인다.The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accepts a specific phrase in sentence information as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강조표시절차에서는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정보를 관련 지우는 동시에, 부호와 특정어구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표시하고, 그 표 중의 부호 및 특정어구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것과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와 문장정보 중의 부호 및 특정어구를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킨다.In the highlighting procedure, when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are deleted, a table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de and the specific phrase is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and when one of the codes and the specific phrase in the table is specified, The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the code in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phrase corresponding thereto are read out and highlight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서 서술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편집프로그램의 편집대상으로 되는 전자화문서(1)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전자화문서(1)는 서로 보완하는 문장정보 (2)와 적어도 1개(제 1 도의 예에서는 3개)의 이미지정보(3a, 3b, 3c)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화문서(1)를 전자화된 특허공보로 하면, 문장정보(2)는 명세서에 상당하고, 이미지정보(3a, 3b, 3c)는 도면에 상당한다. 문장정보(2) 중의 일부의 어구(이하, 「특정어구(4)」라 한다) 및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일부의 장소(이하, 「특정장소(5)」라 한다)에는 상호를 대응 지우기 위한 공통의 부호(6)가 붙여져 있다. 제 1 도 중 「OOO」, 「XXX」, 「△△△」은 문장정보(2)가 일본어이면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등으로 되고, 영어이면 알파벳으로 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vention in more detail, this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attached drawing. 1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electronic document 1 to be edited by the editing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ized document 1 includes sentence information 2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n the example of FIG.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ocument 1 is an electronic patent publication, the sentence information 2 corresponds to the specific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3a, 3b, and 3c correspond to the drawings. Some phrases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fic phrase 4") and some places of image information 3a, 3b and 3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fic place 5") The common code | symbol 6 is attached | subjected for mutually erasing. In Fig. 1, " 0 ", " 0 " and " ΔΔ △ " are Chinese characters if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Japanese. Hiragana, Katakana, etc., and in English, alphabet.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도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특정장소(5)도 각각 복수 종류이고, 부호(6)로서는 「A, B, C」, 「1, 2, 3」 등의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 등이 이용된다.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nd the specific place 5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and 3c are also plural kinds, and as the code 6, "A, Y, C", "1, 2". Letters, numbers, symbols, etc. are used.

제 2 도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강조표시절차 (8)를 컴퓨터의 제어부(CPU, 9)에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rogram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first invention. This editing program is configured to cause the computer control unit (CPU) 9 to execute the image information code receiving procedure 7 and the highlighting display procedure 8.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는 제 3 도와 같이 OCR인식에 의해 이미지정보(3a, 3b, 3c) 중에 존재하는 복수 종류(A, B, C 등)의 부호(6)와, 그 부호(6)가 기재되어 있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여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을 작성한다. 1개의 이미지정보 중에 동일한 부호(6)가 복수 존재할 때는 각각의 부호 (6)의 부호영역(부호영역 1, 부호영역 2 등)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The image information code acceptance procedure 7 includes a code 6 of a plurality of types (A, B, C, etc.) existing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by OCR recognition as in the third diagram, and the code 6 The code area in which " is written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is crea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dentical codes 6 in one image information, the code area (code area 1, code area 2, etc.) of each code 6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강조표시절차(8)는 제 4 도와 같이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에 받아들여진 부호위치정보와 문장정보(2) 중의 부호(6)를 관련 지우고, 문장정보(2)의 중의 어느 것인가의 부호(6, 예를 들면 B)가 지정되었을 때,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 중에서 B라는 부호(6)가 존재하는 이미지정보(3b)를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B라는 부호(6)가 복수의 이미지정보(3a, 3b, 3c)에 존재할 때는 최초에 지근(至近)위치에 있는 이미지정보(3b)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동시에, 이미지정보(3b) 중의 B라는 부호(6)가 기재되어 있는 부호영역을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로부터 검색하고, 그 부호영역에 존재하는 B라는 부호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제 5 도 참조). 그리고 그 상태에서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영역 외의 영역에서 클릭할 때마다 B라는 부호가 존재하는 다른 이미지정보(3c)를 순차 컴퓨터의 화면상에 전환 표시하는 동시에, 이미지정보(3c) 중의 B라는 부호의 부호영역을 검색하고, B라는 부호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The highlighting procedure 8 associates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with the code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s shown in the fourth diagram, and indicates the code 6 of any of the sentence information 2; For example, when B) is specified, image information 3b in which the symbol 6 is present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When the symbol 6 indicated by B is present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3a, 3b, 3c, the image information 3b at the closest position is first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the code area in which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b is described is search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and the code B in the code area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FIG. 5). Reference). In this state, every time the user clicks in an area other than the code area in the image information 3b, other image information 3c having the symbol B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and the B in the image information 3c is displayed. Search for the code area indicated by the symbol and highlight B on the computer screen.

또한 강조표시절차(8)는 문장정보(2) 중의 부호(6)가 지정되었을 때, 지정된 문장정보(2) 중의 부호(6)와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부호(6)를 동시에 강조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제 6 도 참조).Further, the highlighting procedure 8 replaces the code 6 in the designated sentence information 2 and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when the code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designated. It may be highlighted at the same time (see FIG. 6).

강조표시절차(8)는 추가로 이미지정보(3b) 또는 이미지정보(3c) 중의 임의의 부호(6, 예를 들면 B)가 지정되었을 때,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부호 (6)의 부호영역을 검색하고, 문장정보(2) 중의 해당하는 부호(6)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제 7 도 참조).The highlighting procedure 8 further includes a code area of the designated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when an arbitrary code 6 (e.g., B) in the image information 3b or the image information 3c is designated. Is searched for, and the corresponding code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see FIG. 7).

또한 강조표시절차(8)는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6)가 지정되었을 때, 지정된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6)와 문장정보(2) 중의 부호(6)를 동시에 강조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제 8 도 참조).In addition, the highlighting procedure 8 is such that when the sign 6 in the image information 3b is designated, the sign 6 in the designated image information 3b and the sign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re simultaneously highlighted. You may do it (refer FIG. 8).

부호(6)를 지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마우스포인터를 화면상의 해당 위치에 놓거나, 또는 마우스포인터를 해당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는 등 수동으로 지정해도 좋고,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장정보(2) 중의 부호(6)를 음성으로 소리내어 읽는 등 자동적인 방법으로 지정해도 좋다.As a method of designating the symbol 6, the mouse pointer may be pla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or the mouse pointer may be manually selected such that the mouse pointer is pla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May be designated by an automatic method such as reading the code 6 in the text aloud.

또 부호(6)를 강조 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해당하는 부호(6)를 점멸시키거나, 해당하는 부호(6)만을 다른 것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반전표시하거나, 확대표시하거나, 동그라미로 둘러싸는 등 시각에 호소하여 눈에 띄게 할 수 있으면 어떤 방법이라도 좋다. As a method of highlighting the sign 6, the corresponding sign 6 is blinked, or only the sign 6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inverted, enlarged, enclosed, or the like. As long as it can appeal to the eyes and make it stand out, any method can be used.

도 9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와, 강조표시절차(18)를 컴퓨터의 제어부(CPU, 19)에 실행시킨다.Fig. 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gram for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second invention. This editing program causes the control unit (CPU) 19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7, the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10, and 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이미지정보후호받아들임절차(7)는 제 1 발명과 똑같고(제 3 도 참조), OCR인식에 의해 이미지정보(3a, 3b, 3c) 중에 존재하는 복수 종류의 부호(6)와, 각 부호 (6)가 기재되어 있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여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을 작성한다. 1개의 이미지정보 중에 동일한 부호(6)가 복수 존재할 때는 각각의 부호(6)의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The image information post-acceptance procedure 7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invention (see FIG. 3), and a plurality of types of codes 6 existing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by OCR recognition, and each code 6 The code area in which " is written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is crea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dentical codes 6 in one image information, the code area of each code 6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는 제 10 도와 같이 문장정보(2) 중의 부호(6)와 특정어구(4)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여 특정어구테이블을 작성한다.The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10 accepts the code 6 an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s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as in the tenth diagram to create a specific phrase table.

강조표시절차(18)는 제 11 도와 같이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에서 받아들여진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에서 받아들여진 특정어구정보를 관련 지운다. 그리고 문장정보(2)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4)가 지정되었을 때, 특정어구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특정어구(4)와, 그 특정어구(4)에 해당하는 예를 들면 B라는 부호(6)를 판독하고,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부호(6)가 존재하는 이미지정보(3b)를 검색하여 그 이미지정보(3b)를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동시에 그 이미지정보(3b) 중의 B라는 부호(6)가 기재되어 있는 부호영역을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로부터 검색하고, 그 부호영역에 존재하는 B라는 부호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제 12 도 참조). 지정된 특정어구(4)에 해당하는 부호(6)가 복수의 이미지정보(3b, 3c)에 존재할 때는 우선 어느 것인가 1개의 이미지정보(3b)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그 상태에서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영역 외의 영역에서 클릭했을 때, B라는 부호가 존재하는 다른 이미지정보(3c)를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이미지정보(3c) 중의 B라는 부호의 부호영역을 검색하며, B라는 부호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associates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7 with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10 as shown in FIG. When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designated, the specific phrase 4 specified in the specific phrase table and the code 6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hrase 4, for example, B are designated. It reads out, retrieves the image information 3b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de 6 exists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and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3b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At the same time, the code area in which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b is described is search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and the code B in the code area is highlighted on the computer screen (Fig. 12). Reference). When the code 6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specific phrase 4 exists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3b, 3c,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3b is firs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n that state the image information 3b When clicking in an area other than the code area in Fig. 1), another image information 3c having a code of B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and the code area of the code B in the image information 3c is searched for, and B is displayed. Is highlighted on the computer's screen.

또한 강조표시절차(18)는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가 지정되었을 때 지정된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와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6)를 동시에 강조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제 13 도 참조). In addition, 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may simultaneously highlight and highlight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nd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when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designated. (See Figure 13).

강조표시절차(18)는 추가로 이미지정보(3b) 중의 임의의 부호(6, 예를 들면 B)가 지정되었을 때,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 중에서 지정된 부호(6)의 부호영역을 검색하고, 그 부호(6)에 의거하여 특정어구테이블 중의 해당하는 특정어구(4)를 검색해서 문장정보(2) 중의 해당하는 특정어구(4)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제 14 도 참조).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further searches for a code region of the designated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when any code 6 (e.g., B) in the image information 3b is designated, and the code. Based on (6), the corresponding specific phrase 4 in the specific phrase table is searched and the corresponding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see FIG. 14).

또한 강조표시절차(18)는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6)가 지정되었을 때, 지정된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6)와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를 동시에 강조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제 15 도 참조).Further, 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simultaneously highlights the sign 6 in the designated image information 3b an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when the sign 6 in the image information 3b is designated. You may make it (refer FIG. 15).

제 16 도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와, 강조표시절차(28)를 컴퓨터의 제어부(CPU, 29)에 실행시킨다.Fig. 1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gram for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third invention. This editing program causes the control unit (CPU) 29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7, the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10, and the highlighting procedure 28.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는 제 1 및 제 2 발명과 똑같고(제 3 도 참조), OCR인식에 의해 이미지정보(3a, 3b, 3c) 중에 존재하는 복수 종류의 부호(6)와, 각 부호(6)가 기재되어 있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여 이미지정보부호테이블을 작성한다. 1개의 이미지정보 중에 동일한 부호(6)가 복수 존재할 때는 각각의 부호(6)의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인다.The image information code acceptance procedure 7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see FIG. 3), and a plurality of types of codes 6 existing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by OCR recognition, respectively, The code area in which the code 6 is described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code table is crea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dentical codes 6 in one image information, the code area of each code 6 is taken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는 제 2 발명과 똑같고(제 10 도 참조), 문장정보 (2) 중의 부호(6)와 특정어구(4)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여 특정어구테이블을 작성한다.The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invention (see FIG. 10), and accepts the code 6 an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s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to create a specific phrase table.

강조표시절차(18)는 제 17 도와 같이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에서 받아들여진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에서 받아들여진 특정어구정보를 관련 지우는 동시에, 부호(6)와 특정어구(4)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표(30)를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30) 중의 임의의 부호(6) 또는 특정어구 (4)가 지정되었을 때, 그것과 대응하는 이미지정보(3b) 중의 부호(6)와 문장정보 (2) 중의 특정어구(4) 및 부호(6)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한다(제 18 도, 제 19 도 참조) The highlighting procedure 18 associates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quisition procedure 7 with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10, as well as the code 6 and the specific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7. A table 30 show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phrase 4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When the arbitrary code 6 or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table 30 is designate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ymbol 6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2 in the image information 3b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code 6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see FIGS. 18 and 19).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고, 문장정보 중의 부호 및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및 다른쪽 중 적어도 다른쪽이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program for the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causes the computer to perfor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procedure and the highlighting procedure, and either one of the code in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is specified. When one of them and at least the other of them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그래서 문장정보(2) 중의 임의의 부호(6)를 지정하여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동일부호(6)를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킴으로써, 또는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임의의 부호(6)를 지정하여 문장정보(2) 중의 동일한 부호(6)를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킴으로써 강조 표시된 부호(6)를 더듬어 가며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와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특정장소(5)를 바로 대응 지울 수 있다.Thus, by designating an arbitrary code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nd highlighting the sam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on the screen, or in any o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By designating the sign 6 of the sentence information 2, the same sign 6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to follow the highlighted sign 6 an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nd the image information 3a. The specific place 5 in, 3b, 3c can be deleted immediately.

또 제 2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고,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 및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및 다른쪽 중 적어도 다른쪽이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된다.The editing program for the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s to execute an image information encoding procedure, a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and a highlighting procedure on a computer, whichever is the specific phrase in the sentence information or the code in the image information. When one side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other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그래서 문장정보(2)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4)를 지정하여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대응하는 부호(6)를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킴으로써, 또는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임의의 부호(6)를 지정하여 문장정보(2) 중의 대응하는 특정어구(4)를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킴으로써 강조 표시된 부호(6) 또는 특정어구(4)를 더듬어 가며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와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특정장소(5)를 바로 대응 지울 수 있다.Thus, by specifying an arbitrary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the corresponding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or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Of the sentence information (2) by following the highlighted symbol (6) or the specific phrase (4) by highlighting the corresponding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on the screen by specifying an arbitrary code (6) The specific phrase 4 and the specific place 5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can be deleted immediately.

또한 제 3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와, 강조표시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고, 강조표시절차에서 작성된 표 중의 임의의 부호 또는 특정어구가 지정되었을 때, 그것과 관련하는 이미지정보 중의 부호 및 문장정보 중의 특정어구가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된다.Further, the program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computer executes an image information code receiving procedure, a specific word receiving procedure, and a highlighting procedure, and any code or specific phrase in the table created in the highlighting procedure. When is specified, the specific phrase in the code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in the imag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t is highlighted on the screen.

그래서 문장정보(2) 중의 임의의 특정어구(4)를 지정하여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대응하는 부호(6)와, 문장정보(2) 중의 대응하는 특정어구(4)를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킴으로써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와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특정장소(5)를 바로 대응 지울 수 있다.Thus, any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is designate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the corresponding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on the screen. By highlighting on the image,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sentence information 2 and the specific place 5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can be deleted.

이상과 같이 이것들의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정보(3a, 3b, 3c)가 복잡한 도면이나 사진이거나, 이미지정보(3a, 3b, 3c) 중에 많은 인출선이나 부호가 붙여져 있는 전자화문서라도 문장정보와 이미지정보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대응 지우기 쉬운 형태로 편집할 수 있고, 전자화문서를 이해하기 위해 이미지정보를 일단 종이정보로 한다는 낭비도 없앨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당히 높은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을 갖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se inventions, even i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s a complicated drawing or photograph, or an electronic document in which many leader lines or codes are attached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the sentence information and the image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iderably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since information can be edit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erased on a computer screen, and waste of having paper information as imag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 electronic document can be eliminated.

Claims (3)

서로 보완하는 적어도 1개의 이미지정보(3a, 3b, 3c)와 문장정보(2)를 갖고,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장소(5) 및 문장정보(2)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어구(4)에 상호를 대응 지우기 위한 공통의 부호(6)를 붙인 전자화문서 (1)에 있어서,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부호(6)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이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부호위치정보와 문장정보(2) 중의 부호(6)를 관련 지우며, 이미지정보(3a, 3b, 3c) 및 문장정보 (2)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부호(6)가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또는 다른쪽의 부호(6) 중 적어도 다른쪽의 부호(6)를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키는 강조표시절차(8)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At least on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sentence information 2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ypes of specific places 5 and sentence information 2 o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n a digital document 1 having a common code 6 for correspondingly erasing a specific phrase 4 of a kind,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s provided. The image information code acceptance procedure (7) accepted as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ode 6 in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2) are erased, and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2) When either one of the symbols 6 is designated, the computer highlights the highlighting procedure 8 which reads at least the other one of the ones 6 or the other one 6 and highlights it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An electronic program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서로 보완하는 적어도 1개의 이미지정보(3a, 3b, 3c)와 문장정보(2)를 갖고,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장소(5) 및 문장정보(2)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어구(4)에 상호를 대응 지우기 위한 공통의 부호(6)를 붙인 전자화문서 (1)에 있어서,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부호(6)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이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이는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9)와,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에서 받아들여진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9)에서 받아들여진 특정어구정보(2)를 관련 지우며,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부호(6) 및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들 한쪽 및 다른쪽 중 적어도 다른쪽을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키는 강조표시절차(18)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 At least on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sentence information 2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ypes of specific places 5 and sentence information 2 o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n a digital document 1 having a common code 6 for correspondingly erasing a specific phrase 4 of a kind,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s provided. Image information sign accepting procedure (7) to be accepted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9) to accept specific phrase (4) in sentence information (2) as specific phras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sign accepting procedure (7) The cod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above) and the specific phrase information 2 received in the specific phrase acceptance procedure 9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code 6 and the sentence information 2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and 3c are identified. When one of the phrases 4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other And a computer executing a highlighting procedure (18) for reading and highlighting on a screen of a computer. 서로 보완하는 적어도 1개의 이미지정보(3a, 3b, 3c)와 문장정보(2)를 갖고,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장소(5) 및 문장정보(2) 중의 복수 종류의 특정어구(4)에 상호를 대응 지우기 위한 공통의 부호(6)를 붙인 전자화문서 (1)에 있어서, 이미지정보(3a, 3b, 3c) 중의 부호(6)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호영역을 부호위치정보로서 받아들이는 이미지정보부호받아들임절차(7)와, 문장정보(2) 중의 특정어구(4)를 특정어구정보로서 받아들이는 특정어구받아들임절차(10)와, 부호위치정보와 특정어구정보(2)를 관련 지우는 동시에, 부호(6)와 특정어구(4)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표(30)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표시하며, 표(30) 중의 부호(6) 및 특정어구(4)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지정되었을 때, 그것과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3a, 3b, 3c) 중의 부호(6)와 문장정보(2) 중의 부호(6) 및 특정어구(4)를 판독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강조 표시시키는 강조표시절차(28)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문서의 편집프로그램.At least one image information 3a, 3b, 3c and sentence information 2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ypes of specific places 5 and sentence information 2 of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n a digital document 1 having a common code 6 for correspondingly erasing a specific phrase 4 of a kind, a code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de 6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is provided. Image information sign accepting procedure (7) to be accepted as code position information, specific phrase accepting procedure (10) to accept specific phrase (4) in sentence information (2) as specific phrase information, code position information and specific phrase information (2) is deleted, and a table 30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the code 6 and the specific phrase 4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and the code 6 and the specific phrase 4 in the table 30 are displayed. Of any of the symbols 6 and sentence information 2 in the image information 3a, 3b, 3c corresponding to Numeral 6 and the particular phrase (4) a read to claims claims procedure 28 the computer program for electronic editing documents, comprising a step of execution of the on the computer screen.
KR1020047008803A 2002-12-29 2003-04-18 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KR200500447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83797 2002-12-29
JPJP-P-2002-00383797 2002-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43A true KR20050044743A (en) 2005-05-12

Family

ID=3270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803A KR20050044743A (en) 2002-12-29 2003-04-18 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4061715A1 (en)
KR (1) KR20050044743A (en)
AU (1) AU2003227416A1 (en)
TW (1) TWI243318B (en)
WO (1) WO200406171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945A (en) 2015-05-18 2016-08-19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dting electronic document by inserting image into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9438A (en) * 1986-03-31 1987-10-08 Canon Inc Document processor
JP2550068B2 (en) * 1987-05-13 1996-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How to search and display information
JP2695784B2 (en) * 1987-05-27 1998-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How to search and display sentences
JP2000099545A (en) * 1998-09-22 2000-04-07 Akutopasu:Kk Manufacture of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945A (en) 2015-05-18 2016-08-19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dting electronic document by inserting image into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27416A1 (en) 2004-07-29
TWI243318B (en) 2005-11-11
JPWO2004061715A1 (en) 2006-05-18
TW200416566A (en) 2004-09-01
AU2003227416A8 (en) 2004-07-29
WO2004061715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segmentation and display
Grätzer Math into LATEX
US5251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quation editor
US5708766A (en) Filing device
JP4907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isplaying, and manipulating text and image documents
US6035308A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ocument data with linking data recorded on paper media
JP3425408B2 (en) Document reading device
US7712028B2 (en) Using annotations for summarizing a document image and itemizing the summary based on similar annotations
US20030042319A1 (en) Automatic and semi-automatic index generation for raster documents
JPH0991301A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information management
US20040148156A1 (en) Word processor systems or the like
Krause Introducing Bootstrap 4
EP1304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annotating documents and for generating a summary from a document image
US5596753A (en) Scanner interactive application program
KR20050044743A (en) Editing program of ectronic documents
JP2006276912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editing document
GB2259386A (en) Text processing
Camarda Using Microsoft Word 2002
Marmel Teach Yourself Visually Word 2016
JPS62229467A (en) Document processor
Hallot , Getting Started with Writer
JP2006277091A (en) Index data generation device, data retrieval device, and program
JPH06223221A (en)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200135734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JPH11119879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efin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