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052A -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052A
KR20050044052A KR1020030078587A KR20030078587A KR20050044052A KR 20050044052 A KR20050044052 A KR 20050044052A KR 1020030078587 A KR1020030078587 A KR 1020030078587A KR 20030078587 A KR20030078587 A KR 20030078587A KR 20050044052 A KR20050044052 A KR 2005004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data backup
data
digital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수 filed Critical 임창수
Priority to KR102003007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4052A/ko
Publication of KR2005004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0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6Hardware arrangements for back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와; 외부의 USB 슬래이브로부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며 상기 저장매체의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상기 USB 포트로 입력되는 파일 수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디렉토리를 구분 생성하고, 상기 각 디렉토리 별로 상기 파일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 저장시키는 운영체계가 내장된 메모리와; 상기 USB 포트로 상기 외부의 USB 슬레이브가 접속되면 상기 운영체계를 구동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방법을 제공하는 바,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단말기 없이도 독립적으로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백업방법{DATA BACKUP APPARATUS EQUIPPED UNIVERSAL SERIAL BUS AND DATA BACKUP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USB 포트(USB port)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USB host controller)와 저장매체 그리고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및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되어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단말기 없이도 독립적으로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를 손쉽게 백업할 수 있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본격적인 정보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각종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는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건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는 이미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데이터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모든 종류의 컴퓨터에서도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여러 가지 데이터 저장매체가 소개된 바 있는데, 특히 근래에 들어 종래의 플로피디스크나 CD(Compact Disk) 등에 비해서 데이터 전송속도가 월등히 빠르고 소형이면서도 저장용량이 큰, 소위 'USB 메모리 칩' 이라 불리는 USB 방식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환영받고 있다.
일반적인 USB 메모리 칩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하므로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저 전력형임과 동시에 수명이 길고, 특히 데이터 전송에 USB 방식을 사용하여 별도 전원이 필요없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크게 향상된 특징이 있다.
이때 USB란 기존의 직렬 또는 병렬 외부확장 포트들의 느린 전송속도와 제한된 장치연결에 따른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보통신의 선두격인 IBM, Intel, Microsoft, Compaq, DEC, Northern Telecom, NEC의 7개 업체가 공동연구 끝에 개발한 직렬포트 인터페이스(Serial Port interface)로서, 원리는 기존의 직렬포트와 동일하지만 그보다 월등히 빠른 12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이며,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처럼 데이지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어 이론상 최대 127개까지의 주변기기가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기능이 있어 핫 스왑(hot swap)이 가능하므로 재부팅이 필요 없고, USB 케이블을 구성하는 4개의 선 중 2개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나머지 2개는 5V 정도의 전원이 출력되므로 저 전력형의 주변장치에 적용될 경우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다.
따라서 상기한 장점을 가진 USB는 프린터,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등의 컴퓨터용 주변장치는 물론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디지털캠코더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에 나열된 바와 같이 반드시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로만 사용 가능한 것들을 USB 주변장치라 하고, 후자에 나열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의 생성 또는 운용과 저장이 가능하여 컴퓨터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을 USB 슬레이브라 하여 서로를 구분한다.
이때 USB 주변장치는 물론 USB 메모리 카드 역시 단순히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매체에 지나지 않을 뿐 독립적인 동작이 불가능하므로 이들 모두는 컴퓨터의 종물이라 할 수 있으며, 반드시 컴퓨터 등의 대형단말기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USB 드라이브는 휴대와 데이터 전송의 용이성에 그 목적이 있는데 반해 데이터의 교환 및 전송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대형 단말기가 요구되므로 그 활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이에 컴퓨터 등의 대형의 단말기 없이도 용이하게 USB 저장매체 및 USB 슬레이브간의 데이터 교환 및 백업을 할 수 있는 방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USB 슬레이브들은 컴퓨터와 별도로 특정 목적에 사용 가능하지만 데이터 저장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컴퓨터에 기존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갱신하여야만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반드시 컴퓨터가 필요하므로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대형 단말기 없이도 독립적으로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오동작 및 고장의 위험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며 특히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와; 외부의 USB 슬래이브로부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상기 USB 포트로 입력되는 파일 수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서로 다른 디렉토리를 구분 생성하고, 상기 각 디렉토리 별로 상기 파일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 저장시키는 운영체계가 내장된 메모리와; 상기 USB 포트로 상기 외부의 USB 슬레이브가 접속되면 상기 운영체계를 구동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는 상기 각 파일 단위의 데이터가 백업된 날짜 및 시간의 조합으로 명칭 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는 고유의 제 1 ID가 부여되고, 상기 USB 슬레이브에 고유의 제 2 ID가 부여된 경우,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명칭에는 상기 제 1 ID 및 제 2 ID의 조합이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램, CD-R(CD-Recordable)디스크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운영체계는 소정의 언어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메모리는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SB 슬레이브는 USB 메모리 칩,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을 겸비하거나 또는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상기 USB 슬레이브와 상호 접속된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와 인터페이스되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양방향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운영체계가 내장된 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된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데이터 백업방법으로서, 상기 외부의 USB 슬레이브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로 접속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중앙처리장치가 플레이 앤 플러그 되며 상기 운영체계가 구동되는 단계와; 상기 운영체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로 입력되는 상기 파일 수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디렉토리를 구분 생성하고, 상기 각 디렉토리 별로 상기 각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는 상기 각 파일 단위의 데이터가 백업된 날짜 및 시간의 조합으로 명칭 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는 고유의 제 1 ID가 부여되고, 상기 USB 슬레이브에 고유의 제 2 ID가 부여된 경우,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명칭에는 상기 제 1 ID 및 제 2 ID의 조합이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램, CD-R(CD-Recordable) 디스크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운영체계는 소정의 언어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메모리는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USB 슬레이브는 USB 메모리 칩,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을 겸비하거나 또는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상기 USB 슬레이브와 상호 접속된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하나 이상의 USB 포트(12) 및 이와 연결된 USB 호스트 컨트롤러(14)와, 저장매체(16)와, 운영체계가 탑재된 메모리(18) 그리고 CPU 등의 중앙처리장치(20)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12)는 외부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저장매체(16)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입출력 포트로서, 엄격하게는 데이터 전송방향에 따라 업스트림(up stream)과 다운스트림(down stream)으로 구분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12)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상의 그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형태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접속될 USB 슬레이브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USB 호스트 컨트롤러(14)는 여러 가지 플랫폼(platform)으로부터 입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위한 USB 드라이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가 호스트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저장매체(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포트(12)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14)와 UHCI(Universal Host Controller Interface)나 OHCI(Open Host Controller Interface) 기반의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등을 통해서 인터페이스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12)를 통해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CD-R(CD-Recordable) 이나 플래시 램(flash RAM) 등과 같이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저장매체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가(G)급의 대용량 하드디스크(hard disk)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8)에는 소정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형태의 운영체계가 탑재되며, 상기 운영체계는 특히 USB 포트(12) 및 USB 호스트 콘트롤러(14)를 통해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16)에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 저장시킨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0)는 이들 각 요소를 제어하며, 특히 USB 포트(12)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운영체계를 구동시킨다.
좀더 자세히,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포맷장치는 USB 슬레이브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의 백업을 위한 것으로,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등의 USB 슬레이브에는 여러 가지 컴퍼넌트의 디지털 데이터가 파일별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USB 포트(12)에 USB 슬레이브를 접속시킬 경우, 이들 각각으로부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 바, 이때 메모리(18)에 탑재된 운영체계는 이들 각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일대일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각각 저장시킨다. 다시말해 운영체계는 파일 수에 따라 저장매체(18)에 서로 다른 이름의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각 디렉토리 별로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를 이용하여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를 백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로서 앞서 설명한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최초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12)로 USB 슬레이브가 접속된다.
이때 USB 슬레이브는 통상 베터리 등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는 USB 포트를 통해 출력되어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는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고, 이에 의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14) 및 중앙처리장치(20)가 플러그 앤 플레이되어 메모리(18)에 탑재된 운영체계가 구동된다.(st1)
이어 USB 포트(12)로는 USB 슬레이브에 저장된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데, 운영체계는 이들 파일 수에 따라 저장매체(18)에 서로 다른 디렉토리를 생성함과 동시에 각 디렉토리 별로 파일 단위의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시켜 저장한다.(st2,st3)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각각에 서로 다른 고유 ID를 부여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디지털카메라의 데이터를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 이 디지털카메라에도 고유 ID가 부여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고유 ID 그리고 디지털카메라의 고유 ID와, 실제 데이터가 백업되는 날짜(년,월,일) 및 시간(시,분,초)을 조합하여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디렉토리 각각에 디지털카메라의 데이터를 각각 파일 단위로 일대일 대응 저장한다.
반면, 별도의 고유 ID가 없는 USB 슬레이브의 경우에는 실제 데이터가 백업되는 날짜 및 시간을 통해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바, 결국 USB 슬레이브에 저장된 각 파일 단위 디지털 데이터는 백업 시점이 서로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으므로 동일한 디렉토리가 생성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별도의 키보드나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가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로 모두 백업되면 USB 슬레이브를 제거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내장된 저장매체(16)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가급의 대용량 하드디스크일 수 있고, 따라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USB 슬레이브를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여러 가지 USB 슬레이브를 통해서 확장자가 ,mp3인 음악파일과 .jpg 또는 .asf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이 백업될 수 있는데, 이들은 그 종류를 불문하고 저장매체(18)의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백업된다.
그리고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디지털 데이터가 모두 백업된 USB 슬레이브는 자체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던 디지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에 접속시켜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저장매체를 초기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사시도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본체(10) 일측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형 USB 포트(12)가 돌출되어 있고, 그 내부로 USB 호스트 콘트롤러(14), 저장매체(16), OS가 탑재된 메모리(18) 및 중앙처리장치(20) 등이 내장된다.
이때 목적에 따라 상기 USB 포트(12)는 도시된 바와 달리 소켓형 USB 포트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혼용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특히 모든 종류의 USB 슬레이브에 적용이 가능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고, 특히 각각의 USB 슬레이브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도 4는 PDA(P)에 일체화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USB 포트(12)는 PDA(P)의 USB 포트(2)에 접속될 수 있고, 본체(10)는 이와 일체되도록 얼마든지 자유로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PDA(P)에 기본으로 내장된 하드디스크드라이버를 대체하거나 이와 병행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백업은 물론 실질적으로 PDA(P)의 저장공간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등의 기능이 내장되어 그 자체를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이종 또는 동종의 USB 슬레이브가 추가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USB 슬레이브 내에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를 내장시킬 수 있음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된 USB 포트(12)를 이용하여 별도의 또 다른 USB 슬레이브를 연결함으로서 상호 데이터의 공유 및 저장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은 얼마든지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모두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대형 단말기가 없이도 독립적으로 각종 USB 슬레이브의 디지털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오동작 및 고장의 위험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USB 포트를 USB 슬레이브에 구비된 USB 포트에 대응 접속시킴으로서 구동가능한 바, 별도의 사용방법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편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USB 저장매체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방식을 채택하므로 데이터의 교환 및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지원되므로 복잡한 초기화 및 설정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효과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대한 작동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가 USB 슬레이브와 일체화된 형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USB 포트
14 : USB 호스트 컨트롤러 16 : 저장매체
18 : 메모리 20 : 중앙처리장치

Claims (12)

  1.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와;
    외부의 USB 슬래이브로부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상기 USB 포트로 입력되는 파일 수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서로 다른 디렉토리를 구분 생성하고, 상기 각 디렉토리 별로 상기 파일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 저장시키는 운영체계가 내장된 메모리와;
    상기 USB 포트로 상기 외부의 USB 슬레이브가 접속되면 상기 운영체계를 구동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형성은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부여된 고유의 제 1 ID와, 상기 USB 슬레이브에 부여된 고유의 제 2 ID와, 데이터가 백업된 날짜 및 시간의 조합으로 명칭 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램, CD-R(CD-Recordable)디스크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운영체계는 소정의 언어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메모리는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슬레이브는 USB 메모리 칩,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상기 USB 슬레이브와 상호 접속된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7.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와 인터페이스되며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가 양방향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와, 운영체계가 내장된 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된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의 데이터 백업방법으로서,
    상기 외부의 USB 슬레이브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로 접속되면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 및 중앙처리장치가 플레이 앤 플러그 되며 상기 운영체계가 구동되는 단계와;
    상기 운영체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포트로 입력되는 상기 파일 수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디렉토리를 구분 생성하고, 상기 각 디렉토리 별로 상기 각 파일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일대일 대응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형성은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에 부여된 고유의 제 1 ID와, 상기 USB 슬레이브에 부여된 고유의 제 2 ID와, 데이터가 백업된 날짜 및 시간의 조합으로 명칭 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램, CD-R(CD-Recordable) 디스크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운영체계는 소정의 언어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메모리는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슬레이브는 USB 메모리 칩,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PDA, 디지털캠코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는 상기 USB 슬레이브와 상호 접속된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백업방법.
KR1020030078587A 2003-11-07 2003-11-07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KR20050044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87A KR20050044052A (ko) 2003-11-07 2003-11-07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87A KR20050044052A (ko) 2003-11-07 2003-11-07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914U Division KR200339702Y1 (ko) 2003-11-07 2003-11-07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052A true KR20050044052A (ko) 2005-05-12

Family

ID=3724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87A KR20050044052A (ko) 2003-11-07 2003-11-07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40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487A2 (ko) * 2008-10-22 2010-04-29 Kim Namcheol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WO2010120206A1 (ru) * 2009-04-13 2010-10-21 ПИЛКИН, Виталий Евгеньевич Управление мультимедийным контентом
KR101020229B1 (ko) * 2009-11-09 2011-03-08 차대성 컴퓨터 복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487A2 (ko) * 2008-10-22 2010-04-29 Kim Namcheol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47487A3 (ko) * 2008-10-22 2010-07-22 Kim Namcheol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WO2010120206A1 (ru) * 2009-04-13 2010-10-21 ПИЛКИН, Виталий Евгеньевич Управление мультимедийным контентом
KR101020229B1 (ko) * 2009-11-09 2011-03-08 차대성 컴퓨터 복구 방법 및 시스템
WO2011055923A2 (ko) * 2009-11-09 2011-05-12 Cha Dae Sung 컴퓨터 복구 방법 및 시스템
WO2011055923A3 (ko) * 2009-11-09 2011-08-04 Cha Dae Sung 컴퓨터 복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1320B2 (ja) 電子フラッシュ・メモリ式外部記憶方法及びその装置
TWI338224B (en) Usb multi-host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a usb device between multiple usb hosts
KR100499686B1 (ko)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TWI279730B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reduction in systems having removable media devices
US8327167B2 (en) Computer storage components that provide external and internal access
KR101327896B1 (ko) 기존의 아키텍처에 독립 컨트롤러를 추가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0272144A (ja) 複数種類の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を読み取るための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読取装置
US20080082741A1 (en) Scalable hard-drive replicator
JP2002082777A (ja) 携帯式デジタル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ならびに携帯式手持型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の動作方法
US20050060490A1 (en) Apparatus for multiple host access to storage medium
KR20040074432A (ko)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
US7797396B2 (e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server having a plurality of automated media portals
JP2002073522A (ja) メモリカードブリッジ
US20040019742A1 (en)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US6976623B1 (en) Flash juke box
KR20050044052A (ko)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백업방법
KR200339702Y1 (ko) 유에스비 방식의 데이터백업장치
JP2009104625A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の適応装置及び方法
GB2405230A (en) Digital data transmitter
KR1010924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TWI289798B (en) Large storage apparatus with interface adapting to storage cards
KR200230770Y1 (ko)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US20060015662A1 (en) Digital camera with USB storage key for storing data
JP2005539306A (ja) データ記憶装置と民生用電子装置との直接接続
US20050086402A1 (en) [portable micro-control device and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