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088A -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088A
KR20050042088A KR1020050013346A KR20050013346A KR20050042088A KR 20050042088 A KR20050042088 A KR 20050042088A KR 1020050013346 A KR1020050013346 A KR 1020050013346A KR 20050013346 A KR20050013346 A KR 20050013346A KR 20050042088 A KR20050042088 A KR 20050042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otive force
door
induction electromotive
side devic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빈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휴앤파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앤파워택 filed Critical (주)휴앤파워택
Priority to KR102005001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2088A/ko
Publication of KR2005004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88A/ko
Priority to KR1020050040189A priority patent/KR100679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having multiple lighting devices, e.g. connected to a common ceiling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9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U-shaped tubular light sources, e.g. compact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of shapes different from point-like or linear, e.g. circula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측기기(10)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측기기(20)로 이루어진 전자 도어 록장치에 있어서,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입력된 외부전원을 유도기전력으로 변환하는 유도기전력 변환부(10);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유도기전력 변환부(10)와 연결되어 입력된 유도기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유도기전력 전송부(17); 도어측기기(20)내에 구비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유도기전력 전송부(17)에 접근하여 유도기전력을 수신하는 유도기전력 수신부(36); 및 도어측 기기(20)내에 구비되고, 유도기전력 수신부(36)가 수신한 유도기전력을 전력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34);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Door lock device which is rechargable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re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 도어 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도어 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 도어 록장치는 크게 고정측기기(10)와 도어측기기(20)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측기기(10)는 내부에 고정센서(15)가 내장되어 있으며, 문틀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어측기기(20)는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 다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할 수 있다. 실내기에는 검출센서(24)와 마이컴(22), 배터리(26), 잠금 스위치(29), 스피커(32), 솔레노이드(40) 등이 구비되고, 실외기에는 LED(27), 키이 매트릭스부(30)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면 검출센서(24)에서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22)에 전송하고, 마이컴(22)은 이를 수신하여 현재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한다.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라면 마이컴(22)이 솔레노이드(40)를 동작시켜 도어를 잠근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솔레노이드(40)를 동작시키는 버튼(미도시)을 구비한 것도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키이를 키이센서(28)에 접근시켜 암호가 일치되면 솔레노이드(40)가 해제되면서 경고음이 스피커(32)에 출력된다. 만약, 키이센서(28)와 별도로 키이 매트릭스(30)가 구비된 종래기술에서는 키이 매트릭스(30)를 처음 누를 때 LED(27)가 발광하고, 그 다음 키이 매트릭스(30)를 누를 때마다 스피커(32)에서 동작음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각종 동작음과 경고음을 스피커(32)로 출력하고, LED(27)를 점멸하며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측기기(20)의 내부에는 배터리(26)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26)는 3 V ~ 9 V 범위의 1차전지를 사용하곤 한다. 따라서, 도어 록장치의 사용이 빈번한 경우 또는 배터리의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자주 실내기를 열어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 도어가 열리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9 V 단자를 실외기에 노출시키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배터리를 접촉시켜 도어를 연 다음에는 실내기의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한계를 크게 벗어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배터리 교환의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유도기전력의 과충전으로 인해 충전 배터리(34)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오동작, 화재 등이 발생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측기기(10)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측기기(20)로 이루어진 전자 도어 록장치에 있어서,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입력된 외부전원을 유도기전력으로 변환하는 유도기전력 변환부(10);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유도기전력 변환부(10)와 연결되어 입력된 유도기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유도기전력 전송부(17);
도어측기기(20)내에 구비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유도기전력 전송부(17)에 접근하여 유도기전력을 수신하는 유도기전력 수신부(36); 및
도어측 기기(20)내에 구비되고, 유도기전력 수신부(36)가 수신한 유도기전력을 전력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전원은 100 V ~ 220 V 범위의 교류전원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감지수단; 및
유도기전력 수신부(36)와 충전 배터리(34) 사이에 설치되어 과충전 감지수단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 스위치(3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유도기전력 수신부(36)는 교류/직류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도기전력 전송부(17)는 고정측기기(10)의 내부중 도어측기기(20)와 최대로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유도기전력 수신부(36)는 도어측기기(20)의 내부중 고정측기기(10)와 최대로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마이컴(22)이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10);
마이컴(22)이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20);
도어가 닫혀있고,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이 아니라면, 차단 스위치(38)를 폐쇄함으로서 고정측기기(10)로부터 유도기전력을 수신하여 충전 배터리(34)를 충전하는 단계(S30); 및
도어가 열렸거나 또는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상태인 경우, 차단 스위치(38)를 개방하여 충전을 정지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도어 록장치의 충전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록장치는 크게 고정측기기(10)와 도어측기기(20)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측기기(10)는 내부에 고정센서(15), 유도기전력 변환부(19), 유도기전력 전송부(17)가 내장되어 있으며, 문틀에 단단히 고정된다. 고정센서(15)는 검출센서(24)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센서(15)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기방식, RF 방식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며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하다.
유도기전력 변환부(19)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유도기전력으로 변환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회로구성의 선택에 따라 내부에 교류/직류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유도기전력이란 전자기유도에 의해 회로 안에 생기는 기전력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유도전류라고 하는데,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단위시간에 자기력선이 변화하는 비율에 비례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으로부터 유도기전력을 변환하여 발생시킨다.
유도기전력 전송부(17)는 유도기전력 변환부(19)에서 생성된 기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유도기전력 전송부(17)는 고정측기기(10) 내부중 도어측기기(20)에 최대한 가깝도록 설치되며, 일부는 고정측기기(10)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유도기전력 전송부(17)와 유도기전력 변환부(19)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유도기전력 전송부(17)와 변환부(19)의 내부 구성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임으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어측기기(20)는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 다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할 수 있다. 실내기에는 검출센서(24)와 마이컴(22), 충전 배터리(34), 차단스위치(38), 유도기전력 수신부(36), 잠금 스위치(29), 스피커(32), 솔레노이드(40) 등이 구비되고, 실외기에는 LED(27), 키이 매트릭스(30) 등이 구비된다.
충전 배터리(34)는 2차 전지로서 일정한 전압(예를 들어, 3 V ~ 9 V)을 충전하여 방전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38)는 마이컴(22)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며, 유도기전력 수신부(36)에서 충전 배터리(34)로 연결되는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마이컴(22)은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여부를 판단하여 차단 스위치(38)를 개폐하게 된다.
유도 기전력 수신부(36)는 도어측기기(20)중 고정측기기(1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며, 유도기전력 전송부(17)로부터 방출되는 유도기전력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면 검출센서(24)에서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22)에 전송하고, 마이컴(22)은 이를 수신하여 현재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한다.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라면 마이컴(22)이 솔레노이드(40)를 동작시켜 도어를 잠근다.
그리고, 외부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키이를 키이센서(28)에 접근시켜 암호가 일치되면 솔레노이드(40)가 해제되면서 동작음이 스피커(32)에 출력된다. 만약, 키이센서(28)와 별도로 키이 매트릭스(30)가 구비된 경우 키이 매트릭스(30)를 처음 누를 때 LED(27)가 발광하고, 그 다음 키이 매트릭스(30)를 누를 때마다 스피커(32)에서 동작음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장치의 충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마이컴(22)이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10). 이는 검출센서(24)가 고정센서(15)로부터 신호를 받는지 여부를 가지고 판단한다.
그 다음, 마이컴(22)은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여부를 검출한다(S20). 이는 마이컴(22)이 충전 배터리(34)의 전압을 체크함으로서 소정 전압이상인지 여부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도어가 닫혀있고,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이 아니라면, 마이컴(22)은 차단 스위치(38)를 폐쇄함으로서 고정측기기(10)로부터 유도기전력을 수신하여 충전 배터리(34)를 충전한다(S30). 즉, 외부전원이 유도기전력 변환부(19)에 의해 유도기전력으로 변환되고, 이것이 유도기전력 전송부(17)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면, 인접해 있는 유도기전력 수신부(36)에서 이를 수신하여 차단 스위치(38)를 통해 충전배터리(34)로 보낸다. 그러면, 충전배터리(34)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만약, 도어가 열렸거나 또는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마이컴(22)은 차단 스위치(38)를 개방하여 충전을 정지한다(S50). 이 단계에서, 도어가 개방될 경우 유도기전력 수신부(36)에서 수신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충전은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도어 록장치는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항시 충전이 이루어지며, 도어가 열리거나 동작될 때 일부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고정센서(15)와 검출센서(24)를 종래기술과 같이 각각 구비하였으나, 이를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유도기전력 수신부(36)에서 유도기전력의 수신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이를 도어의 개폐로 판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유도기전력을 발생하여 이를 전송하고 전송된 유도기전력을 수신하여 다시 충전하는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회로구성이나 동작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교환의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비상 배터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유도기전력의 과충전으로 인해 충전 배터리(34)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오동작, 화재 등이 발생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배터리가 완전히 사용되어 더 이상 충전되지 않을 때까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도어 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장치의 충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측 기기,
15 : 고정센서,
17 : 유도기전력 전송부,
19 : 유도기전력 변환부,
20 : 도어측 기기,
22 : 마이컴,
24 : 검출센서,
27 : LED,
28 : 키이 센서,
29 : 잠금 스위치,
30 : 키이 매트릭스,
32 : 스피커,
34 : 충전 배터리,
36 : 유도기전력 수신부,
38 : 차단 스위치,
40 : 솔레노이드.

Claims (7)

  1.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측기기(10)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측기기(20)로 이루어진 전자 도어 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입력된 외부전원을 유도기전력으로 변환하는 유도기전력 변환부(10);
    상기 고정측기기(10)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도기전력 변환부(10)와 연결되어 입력된 유도기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유도기전력 전송부(17);
    상기 도어측기기(20)내에 구비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도기전력 전송부(17)에 접근하여 유도기전력을 수신하는 유도기전력 수신부(36); 및
    상기 도어측 기기(20)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36)가 수신한 유도기전력을 전력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은 100 V ~ 220 V 범위의 교류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감지수단; 및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36)와 충전 배터리(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과충전 감지수단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 스위치(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36)는 교류/직류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기전력 전송부(17)는 상기 고정측기기(10)의 내부중 상기 도어측기기(20)와 최대로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36)는 상기 도어측기기(20)의 내부중 상기 고정측기기(10)와 최대로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7. 마이컴(22)이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10);
    마이컴(22)이 충전 배터리(34)의 과충전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20);
    상기 도어가 닫혀있고, 상기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이 아니라면, 차단 스위치(38)를 폐쇄함으로서 고정측기기(10)로부터 유도기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34)를 충전하는 단계(S30); 및
    상기 도어가 열렸거나 또는 상기 충전 배터리(34)가 과충전상태인 경우, 상기 차단 스위치(38)를 개방하여 충전을 정지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도어 록장치의 충전방법.
KR1020050013346A 2005-02-18 2005-02-18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KR20050042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46A KR20050042088A (ko) 2005-02-18 2005-02-18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KR1020050040189A KR100679278B1 (ko) 2005-02-18 2005-05-13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46A KR20050042088A (ko) 2005-02-18 2005-02-18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88A true KR20050042088A (ko) 2005-05-04

Family

ID=372432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46A KR20050042088A (ko) 2005-02-18 2005-02-18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KR1020050040189A KR100679278B1 (ko) 2005-02-18 2005-05-13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충전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189A KR100679278B1 (ko) 2005-02-18 2005-05-13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420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278B1 (ko) * 2005-02-18 2007-02-06 (주)휴앤파워택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충전방법
WO2018199370A1 (ko) * 2017-04-27 2018-11-01 김영수 도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46B1 (ko) * 2015-06-30 2016-09-09 패스테크 주식회사 도어용 무선전력 송수신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35A (ja)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KR100341117B1 (ko) * 1999-09-10 2002-06-20 이성권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50042088A (ko) * 2005-02-18 2005-05-04 (주)휴앤파워택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278B1 (ko) * 2005-02-18 2007-02-06 (주)휴앤파워택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충전방법
WO2018199370A1 (ko) * 2017-04-27 2018-11-01 김영수 도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795A (ko) 2006-08-23
KR100679278B1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643B1 (ko) 배터리 충전장치
CN101743676B (zh) 充电设备
US10036182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7382063B2 (en)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for a barrier operator and related methods
US20130062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from a power supply to an inductive power outlet
KR101928829B1 (ko) 무정전 조명 시스템
WO2014038388A1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220068920A (ko) 스마트 연결 장치, 시동 전원 및 배터리 클램프
KR101601153B1 (ko)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기술을 이용한 락킹시스템
KR20180119338A (ko) 도어벨 장치 및 그의 전력공급 제어 방법
US6605925B2 (en) Power source circuit
KR20050042088A (ko)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도어 록장치 및 충전방법
US11228199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N201663492U (zh) 驱动结构的无线式操控装置
CN106997641A (zh) 一种智能门磁感应系统
KR20230104554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20110018497A1 (en) Current Sensing Circuit Disconnect Device and Method
US8544742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ad/write device
CN104752783B (zh) 一种终端电池激活方法、装置和终端
KR20110058073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무선 전원 공급장치
CN112565955A (zh) 耳机盒、耳机及耳机盒组件
CN103595389A (zh) 控制电源和感应电能出口的连接的系统和方法
JP2003009410A (ja) 充電システム
KR20050021153A (ko) 전자식 도어락의 전원공급장치
CN218569860U (zh) 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