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081A -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 Google Patents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081A
KR20050042081A KR1020047017619A KR20047017619A KR20050042081A KR 20050042081 A KR20050042081 A KR 20050042081A KR 1020047017619 A KR1020047017619 A KR 1020047017619A KR 20047017619 A KR20047017619 A KR 20047017619A KR 20050042081 A KR20050042081 A KR 2005004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lunger
lubricating
roller bod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4772B1 (en
Inventor
아오키노부오
구보타가즈야
데라다다케시
고바야시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3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50290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4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18459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20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24536A/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Publication of KR2005004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7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3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 F02M63/0235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by bleeding fuel pressure
    • F02M63/025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by bleeding fuel pressure from the common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0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 F02M45/04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with a small initial part, e.g. initial part for partial load and initial and main part for ful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02M47/027Electrically actuated valves draining the chamber to release the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7/00Fuel-inje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F02M57/02Injec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el-injection pumps
    • F02M57/022Injec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el-injection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e
    • F02M57/025Injec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el-injection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e hydraulic, e.g. with pressure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5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hydraul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pecially arranged lubricating system, e.g. by fuel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0426Arrangements for pressing the pistons against the actuated cam;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pistons to the actuated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0439Supporting or guiding means for the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4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fuel accumulators, e.g. a fuel injector having an integrated fuel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20Closing valves mechanically, e.g. arrangements of springs or weights or permanent magnets; Damping of valve lift
    • F02M61/205Means specially adapted for varying the spring tension or assisting the spring force to close the injection-valve, e.g. with damping of valve 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A fuel supply pump with a large fuel discharge amount and a tappet structure body that are suitably used for a accumulated pressure-type fuel injection device that mechanically intensifies pressure. In a tappet structure body with a pass-through hole and a fuel supply pump with a spring seat,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a lubricant or a fuel for lubrication passes is provided by cooperation of the tappet structure body and the spring seat. The penetra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spring-holding chamber for holding a spring used when a plunger is pulled down and a cam chamber for receiving a cam for lifting/lowering the plunger.

Description

연료 공급용 펌프 및 태핏 구조체{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본 발명은 연료 공급용 펌프 및 태핏(tappet)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예컨대 가압용 피스톤을 이용하여, 대유량 연료를 기계적으로 증압(增壓)하는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적합한 연료 공급용 펌프 및 태핏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 and a tappet structure for fuel supp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pump and a tappet structure suitable for a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that mechanically boosts a large flow rate fuel, for example using a pressurizing piston.

종래, 디젤 엔진 등에 있어서, 고압의 연료를 효율적으로 분사하기 위해서, 축압기[커먼 레일(common rail)]를 이용한 각종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Common Rail System : CRS)가 제안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a diesel engine or the like, various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s (Common Rail System: CRS) using accumulators (common rail)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efficiently inject high-pressure fuel.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93936 호 공보에 있어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축압기의 압력을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해서, 메인 분사를 담당하는 제 1 축압기(236) 및 파일럿 분사를 담당하는 제 2 축압기(278)를 각각 구비하고, 전환 장치(286)에 의해, 이러한 축압기(236, 278)를 전환하여 연료 분사를 실시하는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4-93936, as shown in FIG. 25, in order to easily switch the pressure of th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ngine, the first accumulator responsible for main injection ( 236 and a second accumulator 278 which is responsible for pilot injection, respectively, and the switching device 286, the pressure accumulating fuel injector for switching the accumulators (236, 278) to perform fuel injection proposed It is.

또한, 일본 특허 제 2885076 호 공보에 있어서는, 엔진 성능의 최적 분사 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축압기와 연료 분사 밸브 사이에서 연료를 증압하기 위한 증압 피스톤 및 실린더실이 설치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Further, Japanese Patent No. 2885076 discloses a accumulator type fuel injector provided with a booster piston and a cylinder chamber for boosting fuel between an accumulator and a fuel injection valv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n optimum injection pressure for engine performance. It is propos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압기(395)와, 연료 공급 유로(360)와, 제어 유로(361)와, 연료 분사 제어용 전환 밸브(362)와, 증압 피스톤(378)을 수용하기 위한 실린더실(383)과, 70 내지 120㎫(약 700 내지 1200㎏f/㎠) 정도로 연료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증압 피스톤(378)과, 액압 회로(363)와, 피스톤 작동용 전환 밸브(증압 장치용 3방 전자 밸브)(364)와,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380)가 개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6, the accumulator 395, the fuel supply flow path 360, the control flow path 361, the fuel injection control switching valve 362, and the boosting piston 378 Cylinder chamber 383 for accommodating water, pressure boosting piston 378 for raising fuel pressure to about 70 to 120 MPa (about 700 to 1200 kgf / cm 2), hydraulic circuit 363, and piston operation switching A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380 having a valve (three solenoid valve for booster device) 364 and a controller (not shown) is disclosed.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93936 호 공보에 개시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서는, 2종류의 축압기 및 그의 전환 장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가 복잡화,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이러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 연료 공급용 펌프의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켰을 경우, 스프링 유지실과 캠실 사이에서 윤활유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윤활유가 플런저의 동작을 저해하고, 대유량 연료를 충분히 가압 처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However, in the accumulating fuel injec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4-93936, it is necessary to include two kinds of accumulators and a switching device thereof, and therefore, a problem that the accumulator fuel injector is complicated and enlarged is found. It became. Moreover, in such a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when the cam and plunger of a fuel supply pump are driven at high speed, since lubricating oil cannot freely flow between a spring holding chamber and a cam chamber, the said lubricating oil inhibits the operation of a plunger, and A problem has been found that the flow fuel cannot be sufficiently pressurized.

한편, 일본 특허 제 2885076 호 공보에 개시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는, 축압기와 연료 분사 밸브 사이에 증압 피스톤을 설치하여, 다단계 압력 분사를 의도하고 있는 동시에, 축압기에 고압 연료를 공급하는 가압 펌프가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가압 펌프는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종래대로의 가압 펌프이고, 증압 피스톤에 대량의 고압 연료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가압 펌프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in the accumulator-type fuel injection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885076, a pressure pump is provided between the accumulator and the fuel injection valve, and is intended to multi-stage pressure injection, and supplies a high-pressure fuel to the accumulator. Is proposed, the pressure pump is a conventional pressure pump of the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and there is no mention of a pressure pump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a large amount of high pressure fuel to the boosting piston.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스프링 유지실과 캠실 사이에 연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의 왕래가 자유롭게 되어,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대량의 연료유를 충분히 가압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thus,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spring holding chamber and the cam chamber,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be freely moved, even when the cam and the plunger are driven at a high speed to sufficiently pressurize a large amount of fuel oil. I found that it can be handled.

즉, 본 발명은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의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켜서, 연료 토출량을 대량으로 한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플런저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연료를 충분히 가압 처리할 수 있는 연료 공급용 펌프 및 이에 적합한 태핏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and the plunger in the fuel supply pump are driven at high speed so that even when the fuel discharge amount is increased, the lubricant or the lubricating fuel can sufficiently pressurize the fuel without inhibiting the operation of the plung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uel supply pump and a tappet structure suitable therefor.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1] 본 발명에 의하면, 태핏 구조체 및 스프링 시트를 구비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실과, 플런저를 상승시키기 위한 캠을 수용하기 위한 캠실 사이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통부를 설치한 연료 공급용 펌프가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supply pump having a tappet structure and a spring seat, comprising: a spring holding chamber for holding a spring used when pulling down the plunger, and a cam chamber for accommodating a cam for raising the plunger; The fuel supply pump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ng part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n between is provided, and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즉, 연료를 가압 처리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상승할 때에는, 연통부를 거쳐서, 스프링 유지실에 존재하는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캠실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하강할 때에는, 연통부를 거쳐서, 캠실에 존재하는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스프링 유지실로 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 예컨대 캠을 1,500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스프링 유지실과 캠실 사이를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플런저의 고속 동작을 저해하는 것이 적어지고, 대량의 연료를 가압 처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lunger rises to pressurize the fuel,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present in the spring holding chamber can move to the cam chamber quickly and smoothly via the communicat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nger is lowered to suck the fuel,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present in the cam chamber can move to the spring holding chamber quickly and smoothly via the communicating portion. Therefore, even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high speed by rotating the cam and plunger at high speed, for example, by rotating the cam at 1,500 rpm or more, the lubricant or lubricating fuel can freely travel between the spring holding chamber and the cam chamber. It is less likely that the fuel inhibits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plunger, and a large amount of fuel can be pressurized.

[2]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가 연료 공급용 펌프의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플런저를 고정하기 위한 플런저 장착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플런저 장착부 주위에,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2] Further,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holder for holding a spring used when the spring sheet pulls down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and a plunger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plunger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a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as a par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스프링 시트의 통과 구멍을 거쳐서, 스프링측과 캠측 사이를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더욱 원활하게 왕래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a high spee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flow more smoothly between the spring side and the cam side via the passage hole of the spring sheet.

[3]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에 통과 구멍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을 플런저 장착부 주위에 방사상 또는 반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in the spring sheet and to arrange the passage holes radially or semi-radially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시트의 조립 위상에 관계없이, 상기 스프링 시트와 태핏 구조체 사이에서 연통부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a communication portion can be easily and reliably formed between the spring sheet and the tappet structure regardless of the assembling phase of the spring sheet.

[4]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태핏 구조체가 롤러와 롤러 몸체를 포함하는 동시에, 롤러 몸체에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4] Furth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pet structure includes a roller and a roller body, and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as part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It is desirable to have.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롤러 몸체의 통과 구멍을 거쳐서, 스프링측과 캠측 사이를 윤활용 연료가 더욱 원활히 왕래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a high speed, the lubricating fuel can flow more smoothly between the spring side and the cam side via the through hole of the roller body.

[5]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 몸체에 통과 구멍을 복수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을 롤러 몸체의 주위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Furth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in the roller body and to arrange the passage 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body.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태핏 구조체의 조립 위상에 관계없이, 상기 태핏 구조체와 스프링 시트 사이에서 연통부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reliably form a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tappet structure and the spring sheet, regardless of the assembly phase of the tappet structure.

[6]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 몸체에,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롤러 몸체의 상면으로서, 상기 통과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導通路)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Further,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s a part of a communication part i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and the passage hole as an upper surface of the roller body.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duction path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t a location including an opening of the lubricating oil.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태핏 구조체의 조립 위상에 관계없이, 롤러 몸체를 거쳐서, 연통부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ng portion can be easily and reliably formed via the roller body regardless of the assembly phase of the tappet structure.

[7]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 몸체에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의 하방측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Further,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nt or a fuel for lubrication as par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and includes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passage ho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duction path for passing a lubricating oil or a lubricating fuel at a location.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태핏 구조체의 조립 위상에 관계없이, 롤러 몸체를 거쳐서, 연통부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ng portion can be easily and reliably formed via the roller body regardless of the assembly phase of the tappet structure.

[8]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료유의 일부를 윤활용 연료로서 사용하는 연료 윤활 시스템을 채용하는 동시에, 연통부가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8]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fuel lubrication system using a part of the fuel oil as the lubricating fuel,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unicating portion passes the lubricating fuel.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량으로 가압 처리하는 연료와, 윤활 성분으로서의 윤활유 연량(燃量)이 일부 혼합했다고 해도, 동일 성분이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청정화 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fuel to be pressuriz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 amount of lubricating oil amount as the lubricating component are partially mixed, since the same component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exhaust gas does not decrease.

[9]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유량이 500 내지 1,500리터/시간인 연료를 50㎫ 이상의 값으로 가압하기 위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In the fuel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ccumulator fuel injector for pressurizing a fuel having a flow rate per unit time of 500 to 1,500 liters / hour to a value of 50 MPa or more.

이러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유량 연료의 가압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계 압력에 의해 연료 분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By using in such a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 since the pressurization process of a large flow fuel can be performed easily, fuel injection can be performed easily by multi-stage pressure, Furthermore, the combustion efficiency in a fuel injection device can be improved. Can be.

[1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롤러와 롤러 몸체를 포함하는 태핏 구조체로서, 롤러 몸체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상기 롤러 몸체의 상면부로부터 비롤러부, 예컨대 측면부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핏 구조체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ppet structure including a roller and a roller body, wherein a through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through the roller body has a non-roller portion, for example, a side portion, from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In contrast, the tappet structure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즉, 연료를 가압 처리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상승할 때에는, 롤러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통과 구멍을 거쳐서, 스프링 유지실의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캠실로 이동 할 수 있다. 한편,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하강할 때에는, 롤러 몸체에 설치된 통과 구멍을 거쳐서, 캠실에 존재하는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스프링 유지실에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lunger rises to pressurize the fuel,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of the spring holding chamber can move to the cam chamber quickly and smoothly through a through hole not closed by the roll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nger is lowered to suck the fuel,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present in the cam chamber can move quickly and smoothly to the spring holding chamber via the passage hole provided in the roller body.

따라서, 이러한 태핏 구조체이면, 연료 공급용 펌프에 사용함으로써,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 예컨대 캠을 1,500rpm 이상의 회전수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캠 및 플런저의 고속 동작을 저해하는 것이 적어지고, 그 결과 캠 샤프트와의 사이에서 늘어붙음(seizure)이 발생시키는 일이 적어진다.Therefore, in such a tappet structure, the cam and plunger are driven at a high speed by using the pump for fuel supply, for example,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a high speed by rotating the cam at a rotation speed of 1,500 rpm or more,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is the cam and It is less likely to hinder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plunger, and as a result, less seizure is generated between the cam shaft.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의 부분 노치를 갖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having a partial notch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mp for fuel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하우징의 사시도 및 단면도,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respectively;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플런저의 사시도 및 측면도,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lunger, respectively;

도 5는 연료 흡입용 밸브 및 연료 토출용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5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fuel intake valve and a fuel discharge valve;

도 6은 스프링 시트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sheet,

도 7a 내지 도 7b는 각각 스프링 시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7A to 7B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spring sheet, respectively;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플런저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8A to 8C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the attachment structure of each plunger,

도 9a 및 도 9b는 연료 흡입용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9A and 9B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a fuel intake valve;

도 10은 연료 흡입용 밸브의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of a fuel intake valve,

도 11은 기계적 증압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1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ystem of a pressure booster fuel injection device of a mechanical boosting method;

도 12는 비례 제어 밸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2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도 13은 기계적 증압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pressure accumulating fuel injection device of a mechanical boosting method;

도 14는 기계적 증압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한 연료의 증압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boosting fuel by a pressure accumulating fuel injection device of a mechanical boosting method;

도 15는 고압 연료의 분사 타이밍 차트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jection timing chart of the high pressure fuel;

도 16a 내지 도 16c는 태핏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6A to 16C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tappet structure;

도 17은 별도의 태핏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FIG. 17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nother tappet structure; FIG.

도 18은 별도의 태핏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8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eparate tappet structure;

도 19는 별도의 태핏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19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eparate tappet structure;

도 20은 별도의 태핏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20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eparate tappet structure;

도 21은 롤러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roller body,

도 22a 내지 도 22b는 각각 롤러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22A to 22B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roller body, respectively;

도 23은 별도의 롤러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2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eparate roller body,

도 24는 별도의 롤러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24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eparate roller body,

도 25는 종래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25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

도 26은 종래의 다른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It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ructure of another conventional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스프링 시트(10) 및 태핏 구조체(6)를 구비한 연료 공급용 펌프(50)로서, 스프링 시트(10)가 연료 공급용 펌프(50)의 플런저(54)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68)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부(12)와, 상기 플런저(54)의 선단부(55)를 장착하기 위한 플런저 장착부(14)를 구비하는 동시에, 플런저 장착부(14) 주위에 통과 구멍(16)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태핏 구조체(6)가 롤러(29)와 롤러 몸체(28)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롤러 몸체(28)에 통과 구멍(30b)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시트(10)와 태핏 구조체(6)가 협동하여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통부를 형성한 연료 공급용 펌프(50)이다.1 and 2, the fuel supply pump 50 provided with the specific spring seat 10 and the tappet structure 6, as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Plunger mounting portion 14 for mounting the spring holding portion 12 for holding the spring 68 used to pull down the plunger 54 of the pump 50 and the tip portion 55 of the plunger 54. At the same time, a through hole 16 is provided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and the tappet structure 6 includes the roller 29 and the roller body 28, and at the same time, the roller body 28 is provided. The passage hole 30b is provided in the fuel supply pump 50 in which the spring seat 10 and the tappet structure 6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ommunicating portion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이하, 이러한 연료 공급용 펌프(50)를 구성 요건 등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el supply pump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it into configuration requirements and the like.

1. 연료 공급용 펌프의 기본적 형태1. Basic form of pump for fuel supply

연료 공급용 펌프의 기본적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연료 공급용 펌프(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연료 공급용 펌프(50)는 예컨대 펌프 하우징(52)과, 배럴(barrel)(실린더)(53)과, 플런저(54)와, 스프링 시트(10)와, 태핏 구조체(6)와, 캠(6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ic form of the fuel supply pum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uel supply pump 50 as shown in Figs. 1 and 2, for example. That is, the fuel supply pump 50 includes, for example, a pump housing 52, a barrel (cylinder) 53, a plunger 54, a spring seat 10, a tappet structure 6,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60 be configured.

또한, 펌프 하우징(52)에 수용된 배럴(53)의 내측에, 캠(60)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플런저(54)가 왕복 운동하고, 도입된 연료를 가압하기 위한 연료 압축실(7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side the barrel 53 accommodated in the pump housing 52, the plunger 54 reciproc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60, and the fuel compression chamber 74 for pressurizing the introduced fuel is provided. Formed.

따라서, 공급 펌프(64)로부터 압송되는 연료를 연료 압축실(74)에 있어서, 플런저(54)에 의해 고압의 연료로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refore, the fuel pumped from the supply pump 64 can be efficiently pressurized by the plunger 54 to the high pressure fuel in the fuel compression chamber 74.

또한, 이 연료 공급용 펌프(50)의 예에서는, 펌프 하우징(52)내에 예컨대 2쌍의 배럴(실린더)(53) 및 플런저(54)를 구비하고 있지만, 보다 대용량의 연료를 고압 처리하기 위해서, 2쌍 이상의 수(數)로 증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this fuel supply pump 50, although a pair of barrels (cylinder) 53 and a plunger 54 are provided in the pump housing 52, for example, in order to process a large capacity fuel at high pressure, It is also preferable to increase the number by two or more pairs.

(1) 펌프 하우징(1) pump housing

펌프 하우징(52)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배럴(실린더)(53)과, 플런저(54)와, 태핏 구조체(6)와, 캠(6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다.The pump housing 52 is a housing which accommodates the barrel (cylinder) 53, the plunger 54, the tappet structure 6, and the cam 6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따라서, 이러한 펌프 하우징(52)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는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92a) 및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원주 공간(92b, 92c)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such a pump housing 52 is provided with the shaft insertion passage hole 92a which opens to a left-right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spaces 92b and 92c which open to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s shown to FIG. 3A and FIG. 3B. It is preferable.

또한, 이러한 펌프 하우징(52)에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공간(92b, 92c)의 측면 방향으로 개구하는 관통 구멍(97, 98)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관통 구멍(97, 98)은 예컨대 각 구경이 서로 다른 대중소 3개의 구멍부(97a∼97c, 98a∼98c)로 이루어지는 단 형상(段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부(97a, 98a)에 안내핀(99)의 선단부가 압입되고, 안내핀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확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97b, 98b)는 안내핀(99)의 선단부를 구멍부(97c, 98c)에 압입하기 위해서 안내핀(99)의 선단부를 구멍부(97c, 98c)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구멍부(97a, 98a)에는 안내핀(99)이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로서 구성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안내핀(99)의 선단부가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 3B,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the through-holes 97 and 98 which open to the sid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pace 92b, 92c in this pump housing 5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hrough holes 97 and 98 are formed of, for example, a stepped hole formed of three hole portions 97a to 97c and 98a to 98c having different apertures, and the hole portions 97a and The tip end of the guide pin 99 is press-fitted into 98a), and the precision of positioning of the guide pin is ensured. Further, the holes 97b and 98b have a function of guiding the tips of the guide pins 99 to the holes 97c and 98c in order to press the tips of the guide pins 99 into the holes 97c and 98c. .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in 99 is comprised as the screw part which screws the hole part 97a, 98a, and the tip part of the guide pin 99 is press-fitted by screwing.

(2) 플런저 배럴(2) plunger barrel

플런저 배럴(5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54)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런저(54)에 의해 대량의 연료를 고압으로 가압하기 위한 연료 압축실(펌프실)(7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플런저 배럴(53)은 펌프 하우징(52)의 원주 공간(92b, 92c)의 상방 개구부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the plunger barrel 53 is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plunger 54, and a fuel compression chamber (pump chamber) for pressurizing a large amount of fuel at high pressure by the plunger 54. It is an element which comprises a part of (74).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barrel 53 is attached with respect to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pace 92b, 92c of the pump housing 52. As shown in FIG.

또한, 플런저 배럴을 설치하는 연료 공급용 펌프의 종류가 인라인 타입 및 방사상 타입의 경우에는, 각 타입에 대응시켜서 플런저 배럴의 형태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kind of the fuel supply pump which installs a plunger barrel is an inline type and a radial type, the form of the plunger barrel can be changed suitably corresponding to each type.

(3) 플런저(3) plunger

플런저(54)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배럴(53)내의 연료 압축실(74)에 있어서의 연료를 고압으로 가압하기 위한 주요소이다. 따라서, 플런저(54)는 펌프 하우징(52)의 원주 공간(92b, 92c)에 각각 장착되는 플런저 배럴(53)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plunger 54 is a main element for pressurizing the fuel in the fuel compression chamber 74 in the plunger barrel 53 at a high press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5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lifting and lowering is possible in the plunger barrel 53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pace 92b, 92c of the pump housing 52, respectively.

또한, 이 플런저(5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압축실(74)내에 출입하기 위한 가압부(54a)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압부(54a)는 플러저 배럴(53)의 직경보다도 가늘게 설계되어 있고, 상사점으로 이동했을 경우에, 상기 가압부(54a)와 토출 밸브(79)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플런저(54)를 고속 구동시켜서 대량의 연료를 가압 처리한 후에도, 가압부(54a)가 토출 밸브(79)의 입구를 막지 않고, 커먼 레일에 대하여 원활하게 연료를 압송하기 위함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is plunger 54 has the press part 54a for entering and leaving inside the fuel compression chamber 74, as shown to FIG. 4 and FIG. The pressing portion 54a is designed to be thinn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usher barrel 53, and when moving to a top dead cent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gap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54a and the discharge valve 79. . This is because the pressurizing portion 54a does not block the inlet of the discharge valve 79 and smoothly feeds the fuel to the common rail even after the plunger 54 is driven at a high speed to pressurize a large amount of fuel.

또한, 플런저(54)는 플런저 배럴(53)내에서, 원활하게 고속 구동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가압부(54a)와는 반대측 단부에 플랜지부(55)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주형 플런저(54)의 선단부(하단부) 외주면에는, 고정용 플랜지부(5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플런저 장착부(14)에 설치한 개구부(15)에 대하여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5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as a whole so that the plunger barrel 53 can be driven at a high speed smoothly, and has a flange portion 55 at an end opposite to the pressing portion 54a. It is preferab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flange part 55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end | tip part (lower end part) of the cylindrical plunger 54.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it can be fixed easily and reliably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rt 15 provided in the plunger attachment part 14 by this structure.

또한, 이러한 플런저(5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복귀용 스프링(68)에 의해 캠측에 항상 가압되는 동시에, 캠(6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승하고, 연료 압축실(74)내의 연료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lunger 54 is always pressurized to the cam side by the plunger returning spring 68 and ris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am 60.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fuel in 74).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는,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켜서, 대량의 연료를 가압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캠 및 플런저의 회전수를 1,500 내지 4,000rpm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비를 고려하여, 캠 및 플런저의 회전수를 엔진 회전수의 1 내지 5배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fuel supply pump of 1s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drive a cam and plunger at high speed, and to pressurize a large amount of fuel.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otation speed of such a cam and plunger into the value in the range of 1,500-4,000 rpm. Moreover, in consideration of the gear ratio,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otation speed of a cam and a plunger into the value within 1 to 5 times the engine rotation speed.

(4) 연료 압축실(4) fuel compression chamber

연료 압축실(74)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54)와 함께, 플런저 배럴(53)내에 형성되는 소형 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료 압축실(74)에 있어서, 연료 공급 밸브(73)를 거쳐서 정량적으로 유입한 연료에 대해서, 플런저(54)가 고속 구동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또한 대량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플런저(54)가 고속 구동된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플런저(54)의 고속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후술하는 스프링 시트나 롤러 몸체에는, 각각 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통과 구멍이 연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el compression chamber 74 is a small room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53 together with the plunger 54 as shown in FIG. 2 and FIG. Therefore, in such a fuel compression chamber 74, the plunger 54 drives at high speed with respect to the fuel which flowed in quantitatively through the fuel supply valve 73, and can pressurize efficiently and a large amount. In addition, even when the plunger 54 is driven at high speed in this manner, a spring hole or a roller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does not inhibit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plunger 54.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s of are in communication.

한편, 플런저(54)에 의한 가압이 종료된 후에는, 가압된 연료는 연료 토출 밸브(79)를 거쳐서, 도 11에 도시하는 커먼 레일(106)에 공급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ressurization by the plunger 54 is finished, the pressurized fuel is supplied to the common rail 106 shown in FIG. 11 via the fuel discharge valve 79. As shown in FIG.

(5) 스프링 시트(5) spring seat

도 6,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1)는 연료 공급용 펌프의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부(12)와, 상기 플런저를 고정하기 위한 플런저 장착부(14)를 구비한 스프링 시트(10)에 있어서, 플런저 장착부(14) 주위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1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Figs. 6, 7A and 7B, the spring seat 1 has a spring holder 12 for holding a spring which is used when pulling down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and fixing the plunger. In the spring seat 10 provided with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for thi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passage hole 16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on fuel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5)-1 스프링 유지부(5) -1 spring holder

스프링 유지부(12)의 형태는 연료 공급용 펌프의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이어도 좋고, 또는 주위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면 형상체이어도 무방하다.The shape of the spring holding part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easily arrange the spring used when pulling down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b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may be sufficient as it, or a planar body which partially protru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sufficient.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스프링 유지부의 일부에 홈 또는 후크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일부를 매설하거나, 고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or a hook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spring holding portion to embed or fix a portion of the spring.

또한, 스프링 유지부(12)의 배치에 관하여, 도 6,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장착부(14) 주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regarding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spring holding | maintenance part 1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as shown to FIG. 6, FIG. 7A, and FIG.

이 이유는 이러한 스프링 유지부(12)의 표면부(13)에 대하여 플런저를 끌어내리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contacting the surface portion 13 of the spring holding portion 12 with a coil-shaped spring (not shown) used to pull the plunger down, the spring can be easily fixed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it can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5)-2 플런저 장착부(5) -2 plunger mounting

플런저 장착부의 형태에 관해, 플런저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상기 플런저를 끌어내릴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의 선단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시키기 위한 비교적 큰 삽입구(15b)와, 플런저의 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중심 구멍(15a)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15)에 있어서의 삽입구(15b)의 폭을 개구부(15)의 중심 구멍(15a)의 직경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fix the plunger to pull down the plunger, but as shown in FIG. 7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is slidably inserted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 large insertion hole 15b and the relatively small center hole 15a for fixing the tip of the plunger. That is,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idth | variety of the insertion opening 15b in the opening part 15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er hole 15a of the opening part 15. As shown in FIG.

이 이유는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특정한 고정구를 더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 시트와 플런저를 용이하게 중심설정하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 플런저를 고속 구동한 경우에도, 태핏 구조체와 플런저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54)의 선단부에 설치한 플랜지부가 개구부(15)의 삽입구(15b)를 통과한 후에, 개구부(15)의 중심 구멍(15a)에 있어서, 플런저 장착부(14)의 이면과 고정되어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pring seat and the plunger can be easily fixed while being centered without further using a specific fastener. Therefore, in the fuel supply pump, even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a high speed, the positional shift between the tappet structure and the plunger can be reduced. 8A to 8C, the center hole of the opening portion 15 is provided after the flange portion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lunger 54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5b of the opening portion 15. It is because it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unger attachment part 14, and does not come out in 15a.

또한, 플런저 장착부의 형태에 관해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Moreover, regarding the form of a plunger mounting part, it is also preferable to set it as the modification as shown to FIG. 8A-FIG. 8C.

여기서, 도 8a는 스프링 유지부(12)의 내측 영역에, 연료 저장부(16b)가 형성되도록 접시 형상으로 구성한 플런저 장착부(14)를 설치한 예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유지부(12)와 플런저 장착부(14)의 측면 사이에 단차부(17)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시트(10)의 통과 구멍(16)과, 롤러 몸체(28)의 통과 구멍(30b)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어도, 그 동안에 연료 저장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자유롭게 왕래하며, 플런저의 고속 구동을 저해하는 것이 적어지는 동시에,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 소정의 윤활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Here, FIG. 8A is an example where the plunger attaching part 14 comprised in the dish shape was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ring holding part 12 so that the fuel storage part 16b may be formed. If comprised in this way, the step part 17 can be easily provided between the spring holding part 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as mentioned later.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assage hole 16 of the spring sheet 10 and the passage hole 30b of the roller body 28 slightly shifts, since the fuel storage part is formed in the meantime, even when the plunger is driven at high spee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freely travels, there is less interference with the high speed driving of the plu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edetermined lubricating effect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또한, 도 8b는 스프링 유지부(12)의 내측 영역에 연료 저장부(16b)가 형성되지 않지만, 플런저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도의 플런저 장착부(14)를 설치한 예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스프링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의 취급이나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8B is an example in which the fuel reservoir 16b is not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ring holder 12, but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is installed so that the plunger can be easily mounted. If comprised in this way, since the thickness of a spring sheet can be made thin, the handling and processing operation of a spring sheet can be made easy.

또한, 도 8c는 스프링 유지부(12)의 내측 영역에 그대로 연장 설치하여 플런저 장착부(14)를 설치한 예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스프링 유지부(12)와 플런저 장착부(14)를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스프링 시트의 취급이나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8C is an example in which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is installed by extending the inner portion of the spring holding portion 12 as it is. If comprised in this way, the spring holding | maintenance part 12 and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can be made substantially flat shape, and handling and processing of a spring sheet can be made easy.

또한,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10)의 통과 구멍(16)과, 롤러 몸체(28)의 통과 구멍(30b)의 위치를 합치시켜서 연통시킴으로써,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자유롭게 왕래하며, 플런저의 고속 동작을 저해하는 것이 적어지는 동시에,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 소정의 윤활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to FIG. 8B and 8C, the position of the passage hole 16 of the spring sheet 10, and the position of the passage hole 30b of the roller body 28 match and communicate, and a plunger is driven at high speed. Even if it is made,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will freely pass and there will be less interference with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plunger, and the predetermined lubricating effect can be effectively exerted at each location.

또한, 플런저 장착부(14)의 배치에 관하여, 도 6,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유지부(12)의 내측 영역에, 상기 플런저 장착부(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regard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as shown in Figs. 6, 7A and 7B,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ring holding portion 12.

이 이유는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유지부(12)에 있어서, 예컨대 원통형 스프링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내측 영역에 있어서, 플런저를 고정하여 용이하게 중심설정하면서, 고속 구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pring holding part 12 can hold, for example, a cylindrical spring, and can drive at high speed while fixing and centering the plunger easily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ring.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장착부(14)의 높이를 조절하여, 스프링 유지부(12)와 플런저 장착부(14)의 측면 사이에 단차부(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에서 참조부호(t1)로 단차부(17)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to provide a step 17 between the spring holder 12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7B, the height of the stepped section 17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t1.

이 이유는, 이러한 단차부가 있으면, 스프링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연료 공급용 펌프의 플런저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such a stepped portion, the spring can be dispos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tip portion of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can be easily accommodated.

또한, 이러한 단차부의 높이(t1)를 구체적으로 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height t1 of such a step part into 1 mm or more concretely.

(5)-3 통과 구멍(5) -3 through holes

플런저 장착부(14) 주위에 설치하는 통과 구멍(16)의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원형 통과 구멍을 1 내지 20개 범위내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shape and number of the through holes 16 provided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art 14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round through holes within 1-20.

이 이유는, 이러한 통과 구멍의 수가 예컨대 1개이어도, 크기나 배치를 고려함으로써, 연통부를 형성하고, 스프링 유지실에 존재하는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캠실에 효율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통과 구멍의 수가 20개를 넘으면, 스프링 시트에 있어서의 배치가 곤란해지거나, 스프링 시트로의 형성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even if the number of such passage holes is one, for example, by considering the size and arrangement, the communication portion can be formed, an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present in the spring holding chamber can be efficiently passed through the cam chamb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such passing holes exceeds 20, it may become difficult to arrange | position in a spring sheet or to form in a spring sheet may become difficult.

따라서, 통과 구멍의 수를 2 내지 15개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10개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nto the value in the range of 2-15 piece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in the range of 3-10 pieces.

또한, 통과 구멍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타원, 4각형, 이형(異形) 또는 홈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passage hole is substantially circular, but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assage hole is preferably an ellipse, a quadrilateral, a mold release, or a groove shape.

또한, 통과 구멍(16)은, 도 6 및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장착부(14) 주위에 방사상 또는 반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a의 예에서는, 플런저 장착부(14)의 중심점(P)에 대하여, 5개의 통과 구멍(16)이 반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nd FIG. 7A, the passage hole 16 is preferably arranged radially or semi-radially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14. In the example of FIG. 6 and FIG. 7A, five through-holes 16 are arrange | positioned semi-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P of the plunger attachment part 14. As shown in FIG.

이 이유는, 스프링 시트에 균일하게 배치된 통과 구멍을 거쳐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보다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통과 구멍의 배치이면,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도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통과 구멍을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플런저 장착부의 부착 위치의 제한이 적어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be passed more quickly through the through holes uniformly arranged in the spring sheet. In addition, it is because it becomes easy also to form, if it is arrangement | positioning of such a through hole. This is because, by arranging the through holes in this way, the limit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is reduced.

단,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부착부로서, 플런저의 선단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시키기 위한 개구부(1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구부(15)를 피하여, 복수의 통과 구멍(16)을 반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7A, when the plunger attachm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5 for sliding the plunger front end portion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opening 15 is avoided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16) semi-radially.

또한, 도 6 및 도 7a에 예시하는 통과 구멍(16)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경우, 그 직경을 0.5 내지 12㎜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through hole 16 illustrated in FIG. 6 and FIG. 7A is substantially circula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iameter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5-12 mm.

이 이유는,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이 0.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신속하게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연결된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를 병용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50㎫ 이상의 고압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diameter of such a passage hole becomes a value less than 0.5 mm, it may become difficult to pass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quickly. Therefore, in the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using a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er piston) connected to such a fuel supply pump,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a high pressure condition of 50 MPa or more, for example.

한편,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이 12㎜를 초과하면, 스프링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거나, 내구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eter of such a through hole exceeds 12 mm, it is becau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spring sheet may fall, or durability may fall.

따라서,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을 1 내지 10㎜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6㎜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diameter of such a through hol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10 mm,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6 mm.

또한, 복수의 통과 구멍의 직경을 각각 변경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비교적 직경이 큰 통과 구멍과, 비교적 직경이 작은 통과 구멍을 혼재시켜서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직경이 큰 통과 구멍에 의해,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교적 직경이 작은 통과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의 통과량 또는 통과 속도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비교적 작은 직경의 통과 구멍이면, 그 형성 또는 배치의 제한이 적어지기 때문이다.Moreover, it is also preferable to change the diameter of a some through hole,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a relatively large diameter through-hole and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rough-hole are provided in a mixed manner so that the lubricant or the fuel for lubrication can be quickly passed through the large-diameter through-hole. 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a passage hole with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e passage amount or passage speed of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and the formation or arrangement of the passage hole with such a relatively small diameter reduces the restriction of the formation or arrangement. to be.

따라서, 일 예로서, 직경이 2.5㎜ 이상인 비교적 큰 통과 구멍과, 직경이 2.5㎜ 미만인 비교적 작은 통과 구멍을 각각 혼재시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elatively large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2.5 mm or more and a relatively small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2.5 mm, respectively.

또한, 직경이 2.5㎜ 이상인 비교적 큰 통과 구멍을 플런저 장착부에 설치하고, 직경이 2.5㎜ 미만인 비교적 작은 통과 구멍을 스프링 유지부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relatively large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2.5 mm or more in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and a relatively small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2.5 mm in the spring holding portion.

(6) 태핏 구조체(6) tappet structure

태핏 구조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스프링 시트와 협동하여 연통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후술하는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내용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tappet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ommunication portion can be 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spring sheet, but can be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description here is omitted.

(7) 캠(7) cam

캠(60)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 운동을 태핏 구조체(6)를 거쳐서 플런저(54)의 상하 운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주요소이다. 따라서, 캠(60)은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92a)에 베어링체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디젤 엔진[캠 샤프트(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cam 60 is a main element for chang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to the vertical motion of the plunger 54 via the tappet structure 6.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60 is inserted and held rotatably through the bearing body to the shaft insertion hole 92a. An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rotate by the drive of the diesel engine (camshaft 3).

이 캠(60)의 외주면에는 펌프 하우징(52)의 원주 공간(92b, 92c)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하는 2개의 캠부(3a, 3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is cam 60, two cam portions 3a and 3b, which are positioned below the circumferential spaces 92b and 92c of the pump housing 52 and parallel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are integrally provided. It is preferable.

또한, 이러한 캠부(3a, 3b)는 서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such cam parts 3a and 3b are arrang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8) 연료 흡입용 밸브 및 연료 토출용 밸브(8) Valves for fuel intake and valves for fuel discharge

연료 흡입용 밸브 및 연료 토출용 밸브를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하는 동시에, 도 9 및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uel intake valve and the fuel discharge valve as illustrated in FIG. 5 and to have a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S. 9 and 10.

즉, 연료 흡입용 밸브(73)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19) 및 선단에 플랜지부(20b)를 제공한 밸브체(20)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밸브 본체(19)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원주 형상의 연료 흡입실(19a) 및 이 연료 흡입실(19a)에 연료를 흡입하기 위한 연료 흡입 구멍(19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uel intake valve 73 has the valve main body 19 and the valve body 20 which provided the flange part 20b in the front-end | tip as shown in FIG. Moreover, as shown in FIG. 10, this valve main body 19 has the cylindrical fuel suction chamber 19a which opens below, and the fuel suction hole 19b for injecting fuel into this fuel suction chamber 19a. Is preferably installed.

또한, 연료 토출용 밸브(79)에 대해서도, 밸브체를 갖고, 펌프 하우징의 일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항시 가압되는 동시에, 밸브 개방·밸브 폐쇄에 의해 가압된 연료를 커먼 레일에 대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el discharge valve 79 also preferably has a valve body and is housed in a part of the pump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is always pressurize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nd the fuel pressurized by the valve opening and the valve closing is supplied to the common rail.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흡입용 밸브(73) 및 연료 토출용 밸브(79)는 밸브 본체(19)와, 그 내부에 있어서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체(20)와, 밸브 본체(19) 내부에 설치된 연료 흡입실(19a)과, 연료 흡입 구멍(19b)과, 밸브체(20) 및 밸브 본체(19)의 일부가 서로 접하는 시트부(23)를 구비하여, 연료 흡입 구멍(19b)을 복수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 흡입 구멍(19b)을 연료 흡입실(19a)에 대하여 비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the fuel intake valve 73 and the fuel discharge valve 79 include a valve body 19, a valve body 20 movably mounted therein, and a valve. The fuel suction chamber 19a provided in the main body 19, the fuel suction hole 19b, and the seat part 23 which the valve body 20 and a part of the valve main body 19 contact each other are provided, and the fuel suction is carried ou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holes 19b and to arrange the fuel suction holes 19b non-radially with respect to the fuel suction chamber 19a.

이 이유는, 이러한 연료 흡입용 밸브이면, 연료 공급용 펌프에 대하여, 예컨대 단위 시간당 유량이 500 내지 1,500리터/시간 정도의 연료이어도, 매우 정확하고 또한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such a fuel intake valve can supply the fuel supply pump very accurately and quantitatively even if the fuel flow rate is, for example, about 500 to 1,500 liters / hour.

또한,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성의 연료 토출용 밸브이면, 축압기(커먼 레일)에 대하여, 예컨대 단위 시간당 유량이 500 내지 1,500리터/시간 정도의 연료이어도, 매우 정확하고 또한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milarly, the fuel discharge valv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supply the accumulator (common rail) very precisely and quantitatively even with a fuel having a flow rate per unit time of about 500 to 1,500 liters / hour, for example.

(9) 윤활 시스템(9) lubrication system

또한, 연료 공급용 펌프의 윤활 시스템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료유의 일부를 윤활 성분(윤활유 연료)으로서 사용하는 연료 윤활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ubrication system of the pump for fuel suppl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fuel lubrication system that uses a part of the fuel oil as a lubricating component (lubricating oil fuel).

이 이유는, 대량의 연료를 가압 처리하기 위해서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 밀봉성을 높였다고 해도, 연료 가압실로부터 유출된 연료의 일부와, 스프링 유지실에 존재하는 윤활 성분이 혼합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즉, 연료 윤활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대량으로 가압 처리하는 연료와, 윤활 성분으로서의 윤활유 연량이 일부 혼합되었다고 해도, 동일 성분이기 때문에, 배기 가스 정화성이 저하하지 않는 한편, 윤활 성분이 왁스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am and the plunger are driven at a high speed to pressurize a large amount of fuel, even if the sealing property is increased, a part of the fuel flowing out of the fuel pressurizing chamber and the lubricating component present in the spring holding chamber are mixed. It is because it may become easy. That is, by employing a fuel lubrication system, even if the fuel to be pressurized in a large amount and the amount of lubricating oil amount as the lubricating component are partially mixed, since the same component is used, the exhaust gas purifying property does not decrease while the lubricating component is waxed. Thi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2.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2. accumulator fuel injector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용 펌프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계적 증압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100)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uel supply pump of 1st Embodiment is a part of the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100 of the mechanical pressure increase system which has the following structures.

즉, 도 1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용 펌프(103)는 연료 탱크(102)와, 이러한 연료 탱크(102)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펌프(저압 펌프)(104)와, 연료 공급용 펌프(고압 펌프)(103)와, 이러한 연료 공급용 펌프(103)로부터 압송된 연료를 축압하기 위한 축압기로서의 커먼 레일(106)과,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108)와, 연료 분사 장치(1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uel supply pump 103 includes a fuel tank 102, a supply pump (low pressure pump) 104 for supplying fuel of such a fuel tank 102, and a fuel supply. Pump (high pressure pump) 103, common rail 106 as an accumulator for accumulating the fuel pumped from such fuel supply pump 103,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 piston) 108, and fue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with the injection apparatus 110.

(1) 연료 탱크(1) fuel tank

도 11에 예시되는 연료 탱크(102)의 용적이나 형태는 예컨대 단위 시간당 유량이 500 내지 1,500리터/시간 정도의 연료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lume or shape of the fuel tank 102 illustrated in FIG. 11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for example, the flow rate per unit time can circulate fuel of about 500 to 1,500 liters / hour.

(2) 공급 펌프, 비례 제어 밸브 및 연료 공급용 펌프(2) Feed pumps, proportional control valves and pumps for fuel supply

공급 펌프(104)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02)내의 연료(경유)를 연료 공급용 펌프(103)로 압송하는 것이고, 공급 펌프(104)와 연료 공급용 펌프(103) 사이에는 필터(105)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공급 펌프(104)는 일 예이기는 하지만, 기어 펌프 구조를 갖고, 캠의 단부에 장착하며, 기어의 구동을 거쳐서, 캠축과 직접 연결 또는 적절한 기어비를 거쳐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1, the supply pump 104 pumps fuel (via diesel) in the fuel tank 102 to the fuel supply pump 103, and the supply pump 104 and the fuel supply pump 10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105 is interposed between). The feed pump 104, although one example, preferably has a gear pump structure,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cam, and is driven via a gear, directly connected to the camshaft or via an appropriate gear ratio.

또한, 공급 펌프(104)로부터 필터(105)를 거쳐서 압송된 연료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분사량 조정을 실행하는 비례 제어 밸브(FMU)(120)를 더 경유하여, 연료 공급용 펌프(103)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례 제어 밸브(120)는 예컨대 후술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의 제어에 의해, 코일(124)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앵커(125)의 위치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앵커(125)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앵커(12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피스톤(127)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피스톤(127)에 설치된 슬릿(122)과 연료 공급부(129) 사이의 연료 통과 면적을 변화시키고, 연료 공급용 펌프(103)에 있어서의 흡입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는 연료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el pumped from the feed pump 104 via the filter 105 further passes through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FMU) 120 that executes injection amount adjustment as shown in FIG. Is preferably supplied. Such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120 preferably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anchor 125 proportionally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124, for example, by control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iston 127 at the tip end of the anchor 125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anchor 125, between the slit 122 and the fuel supply unit 129 provided in the piston 127 The fuel passage area can be changed, and the fuel supplied to the intake valve (not shown) in the fuel supply pump 103 can be controlled.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펌프(104)로부터 공급된 연료는 비례 제어 밸브(120) 및 연료 공급용 펌프(103)에 대하여 압송되는 것 외에, 이러한 비례 제어 밸브(120)와 병렬적으로 설치된 오버플로우 밸브(OFV)(134)를 거쳐서, 연료 탱크(102)로 복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일부 연료는 오버플로우 밸브(134)에 장착된 오리피스(136)를 거쳐서, 연료 공급용 펌프(103)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압송되어, 베어링의 연료 윤활유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fuel supplied from the supply pump 104 is paralleled with such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120 in addition to being pumped to the proportional control valve 120 and the fuel supply pump 103.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fuel tank 102 via the overflow valve (OFV) 134 provided normal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ome of the fuel is pumped to a bearing (not shown) of the fuel supply pump 103 via an orifice 136 mounted to the overflow valve 134 and used as fuel lubricating oil of the bearing. .

또한, 연료 공급용 펌프(1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펌프(104)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고압으로 가압 처리하는 장치이며, 연료를 가압한 후, 고압 통로(107)를 거쳐서 커먼 레일(106)로 압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uel supply pump 103 is a device for pressurizing the fuel supplied from the supply pump 104 at a high pressure as described above. After pressurizing the fuel, the common rail 106 is passed through the high pressure passage 107.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onveyed by.

(3) 고압 통로(3) high pressure passage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용 펌프(103)의 출구, 또는 후술하는 커먼 레일(106)과, 연료 공급용 펌프(103)에 1방향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one-way valv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outlet of the fuel supply pump 103, the common rail 106 mentioned later, and the fuel supply pump 103. desirable.

이 이유는, 이러한 1방향 밸브에 의해, 연료 공급용 펌프(103)로부터 커먼 레일(106)로의 연료의 송액(送液)만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제어 밸브를 개방했을 때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커먼 레일(106)내의 압력이 저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such a one-way valve can enable only liquid feed of fuel from the fuel supply pump 103 to the common rail 106. Therefore, backflow when the solenoid control valve is open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pressure in the common rail 106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alling.

(4) 커먼 레일(4) common rail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6)에는 복수의 인젝터(분사 밸브)(110)가 접속되어 있고, 커먼 레일(106)에 의해 고압으로 축압된 연료를 각 인젝터(110)로부터 내연 기관(도시하지 않음)내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각 인젝터(1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인젝터 구동 유닛(Injector Driving Unit : IDU)을 거쳐서 그 토출량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IDU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로서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ical Controlling Unit : ECU)에 접속되어 있고, 이 ECU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A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injectors (injection valves) 110 are connected to the common rail 106, and the fuel accumulated at high pressure by the common rail 106 is discharged from each injector 110. It is preferred to spray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not shown). In addition, although each of these injectors 110 i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amount is controlled via an injector driving unit (IDU). This IDU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s a control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nd driven by the drive signal of the ECU.

또한, 커먼 레일(106)의 측단에는 압력 검지기(117)가 접속되어 있고, 이러한 압력 검지기(117)에 의해 얻어진 압력 검지 신호를 ECU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ECU는 압력 검지기(117)로부터의 압력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는 동시에, 검지한 압력에 따라 IDU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pressure detector 117 is connected to the side end of the common rail 106, an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such a pressure detector 117 to ECU. That is, when the ECU receives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detector 117,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electronic control valve (not shown) an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IDU according to the detected pressure.

(5) 피스톤 증압 장치(5) piston booster

또한,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로는, 도 1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155)와, 기계식 피스톤(154)과, 가압실(158)과, 전자 밸브(170)와, 순환로(157)를 포함하는 동시에, 기계식 피스톤(154)이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수압부(152)와, 비교적 소면적을 갖는 가압부(15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a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er piston),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cylinder 155, the mechanical piston 154, the pressurizing chamber 158, the solenoid valve 170, and the circulation path 157 are illustrate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chanical piston 154 includes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152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a pressing portion 156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즉, 실린더(155)내에 수용된 기계식 피스톤(154)이 상기 수압부(152)에 있어서 커먼 레일 압력을 갖는 연료에 의해 가압되어서 이동하고, 가압실(158)의 커먼 레일 압력, 예컨대 30㎫ 정도의 압력을 갖는 연료를, 또한 비교적 소면적을 갖는 가압부(156)에 의해 가압하며, 150㎫ 내지 300㎫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mechanical piston 154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155 is pressurized and moved by the fuel having the common rail pressure in the hydraulic pressure section 152, and the common rail pressure of the pressure chamber 158, for example, about 30 MPa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the fuel having a pressure by the press section 156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and to make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0 MPa to 300 MPa.

또한, 기계식 피스톤(154)을 가압하기 위해서, 커먼 레일 압력을 갖는 연료를 대량으로 사용하지만, 가압 후에는, 전자 구동식의 오버플로우 밸브(170)를 거쳐서, 연료 탱크 등으로 환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먼 레일 압력을 갖는 연료의 대부분은 기계식 피스톤(154)을 가압한 후, 연료 분사 장치의 전자 밸브(180)로부터 유출된 연료와 함께 연료 탱크 등으로 환류되어, 다시 기계식 피스톤(154)을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ssurize the mechanical piston 154, although the fuel which has a common rail pressure is used in large quantities,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a fuel tank etc. through the overflow valve 170 of an electromagnetic drive after pressurization. . That is, most of the fuel having the common rail pressure is pressurized by the mechanical piston 154, and then refluxed with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solenoid valve 180 of the fuel injection device to the fuel tank or the like, and the mechanical piston 154 is again returned. It is preferably used to pressurize.

한편, 가압부(156)에 의해 증압된 연료는 연료 분사 장치(연료 분사 노즐)(163)로 송액되고, 효율적으로 분사되어서, 연소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boosted by the pressurizing unit 156 is fed to the fuel injection device (fuel injection nozzle) 163, efficiently injected, and burned.

따라서, 이와 같이 피스톤 증압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커먼 레일을 과도하게 대형화하지 않고, 커먼 레일 압력을 갖는 연료에 의해, 효과적으로 기계식 피스톤을 가압할 수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piston booster in this manner, the mechanical piston can be effectively pressed by the fuel having the common rail pressure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common rail.

즉, 도 14에 모식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식 피스톤에 비교적 대면적의 수압부와 비교적 소면적의 가압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계식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고려함으로써, 가압 손실이 적고, 커먼 레일 압력을 갖는 연료를 소망값으로 효율적으로 증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먼 레일로부터의 연료(압력 : p1, 부피 : V1, 일량 : W1)를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수압부에 의해 받고, 비교적 소면적을 갖는 가압부를 구비한 기계식 피스톤에 의해, 보다 고압의 연료(압력 : p2, 부피 : V2, 일량 : W2)로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14, the mechanical piston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pressure receiving portion and a relatively small area pressing portion, while considering the stroke amount of the mechanical piston, the pressure loss is small, and the common rail pressur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crease the fuel having a desired value. More specifically, the fuel from the common rail (pressure: p1, volume: V1, work volume: W1) is received by a hydraulic pressure part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by a mechanical piston provided with a pressure part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High pressure fuel (pressure: p2, volume: V2, work volume: W2) can be used.

(6) 연료 분사 장치(6) fuel injector

(6)-1 기본적 구조(6) -1 basic structure

또한, 연료 분사 장치(연료 분사 노즐)(11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1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니들 밸브체(162)가 장착되는 장착면(164)과, 이 장착면(164)의 밸브체 접촉 부위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는 분사 구멍(165)을 갖는 노즐 몸체(163)를 구비하고, 니들 밸브체(162)의 리프트시에 장착면(164)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분사 구멍(165)으로 유도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rm of the fuel injection device (fuel injection nozzle)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a mounting surface 164 on which the needle valve body 162 is mounted, and this mounting surface ( It is provided with the nozzle body 163 which has the injection hole 165 formed downstream rather than the valve body contact site | part of 164, and is supplied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164 at the time of the lift of the needle valve body 162. FI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tructure which guides fuel to the injection hole 165. FIG.

또한, 이러한 연료 분사 노즐 시스템(166)은 스프링(161) 등에 의해 니들 밸브체(162)를 장착면(164)을 향해서 항시 가압해 두고, 니들 밸브체(162)를 솔레노이드(180)의 통전/비통전의 변경에 의해 개폐하는 전자 밸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nozzle system 166 presses the needle valve body 162 toward the mounting surface 164 at all times by the spring 161 or the like, and energizes the needle valve body 162 to the solenoid 18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olenoid valve type which opens and closes by a change of non-energization.

(6)-2 분사 타이밍 차트(6) -2 injection timing chart

또한, 고압 연료의 분사 타이밍 차트에 관한 것이고, 도 1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선(A)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2단계의 분사 상태를 갖는 연료 분사 차트를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related with the injection timing chart of a high pressure fuel, and as illustrated in FIG. 15, it is preferable to show the fuel injection chart which has a two-stage injection state as shown by the solid line A. FIG.

이 이유는, 커먼 레일 압력과,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에 있어서의 증압의 조합에 의해, 이러한 2단계의 분사 타이밍 차트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배기 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combination of the common rail pressure and the pressure increase in the piston booster (increase piston) can achieve such a two-stage injection timing chart, thereby increasing fuel combustion efficiency and exhaust gas. Because it can purif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 레일 압력과,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에 있어서의 증압의 조합에 의해, 도 15에서 점선(B)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연료 분사 차트를 도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show the fuel injection chart as shown by the dotted line B in FIG. 15 by the combination of a common rail pressure and the pressure increase in a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 piston).

또한,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종래의 분사 타이밍 차트는 도 15에서 점선(C)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저분사량의 1단계의 분사 타이밍 차트로 된다.In addition, when a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 piston) is not used, that is, the conventional injection timing chart becomes a low injection amount of one injection timing chart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C in FIG.

(7) 동작(7) operation

다음에,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용 펌프(103),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108) 및 연료 분사 밸브(1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분사 장치(연료 분사 노즐 시스템)(166)의 운전시에는, 연료 탱크(102)의 연료를 공급 펌프(104)로부터 연료 공급용 펌프(103)로 공급하고, 또한 연료 공급용 펌프(103)로부터 고압 연료를 고압 통로(107)에 대하여 압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uel supply pump 103, the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er piston) 108 and the fuel injection valve 110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at is, as shown in FIG. 11, during operation of the fuel injection device (fuel injection nozzle system) 166, the fuel of the fuel tank 102 is supplied from the supply pump 104 to the fuel supply pump 10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the high pressure fuel to the high pressure passage 107 from the fuel supply pump 103.

이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6)에 의해 50㎫ 정도로 축압되고, 또한 연료 분사 밸브(110)와의 사이에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108)가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150㎫ 이상의 고압 조건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3, it accumulates about 50 Mpa by the common rail 106, and the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 piston) 108 is provided between the fuel injection valve 110, for example, 150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on the high pressure conditions of MPa or more.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 형태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롤러(29)와 롤러 몸체(28)를 포함하는 태핏 구조체(6)로서, 롤러 몸체(28)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30b)을 상기 롤러 몸체(28)의 상면부로부터 비롤러부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한 태핏 구조체(6)이다. 이하, 태핏 구조체(6)의 기본적 구조 및 통과 구멍(30b)을 갖는 롤러 몸체(28)에 대하여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tappet structure 6 comprising a roller 29 and a roller body 28, as illustrated in FIGS. 16A-16C, which allows lubricant or fuel to pass through the roller body 28. Is a tappet structure 6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0b for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28 to a non-roller portion. Hereinafter, the roller body 28 which h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tappet structure 6 and the through-hole 30b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drawings suitably.

1. 기본적 구조1. Basic Structure

태핏 구조체(6)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쉘(shell)(27)과, 롤러 몸체(28)와, 롤러(29)로 구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캠 샤프트(3) 및 그것에 연결된 캠(6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쉘(27) 및 스프링 시트(10)를 포함하는 태핏 구조체(6)의 변형예, 도 19 및 도 20에 쉘(27)을 포함하는 태핏 구조체(6)의 변형예를 도시하지만, 각각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The tappet structure 6 is basically composed of a shell 27, a roller body 28, and a roller 29, as shown in Figs. 16A to 16C.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shaft 3 and the cam 60 connected thereto ar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addition, a modification of the tappet structure 6 including the shell 27 and the spring seat 10 in FIGS. 17 and 18, and a modification of the tappet structure 6 including the shell 27 in FIGS. 19 and 20. Although an example is shown, each can be used suitably.

여기서, 쉘(27)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고, 도 3에 도시하는 펌프 하우징(52)의 원주 공간(92b, 92c)의 주위면에 적합한 외주면을 갖는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쉘(27)의 주벽(周壁) 상부에는 안내핀이 삽입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슬릿부)(27a)가 설치되어 있고, 쉘(27)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태핏 구조체(6)가 승강시, 안내핀과 개구부(27a)가 협동하여 상기 태핏 구조체(6)의 동작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원주 공간(92b, 92c)의 축선을 따라 승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ll 27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hich opens in an up-down direction and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uitable for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paces 92b and 92c of the pump housing 52 shown in FIG. Moreover, the opening part (slit part) 27a for guide pin inser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wall of this shell 27, and is formed as a through hole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ell 27. It is preferable. This is because when the tappet structure 6 moves up and down, the guide pins and the openings 27a cooperat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axes of the circumferential spaces 92b and 92c so that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tappet structure 6 does not shift. Because.

또한, 쉘(27)의 내주면에는 롤러 몸체(28)의 상방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 1 돌기부(27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쉘(27)의 내주면에는 스프링(68)의 외주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돌기부(27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롤러 몸체(28)에 스프링 시트(26)의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롤러 몸체(28)의 형상을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protrusion part 27b for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er body 28 is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27. As shown in FIG.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protrusion part 27c for gui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68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27.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roller body 28 does not need to have a function of regulating the radial movement of the spring sheet 26, and the shape of the roller body 28 can be made simple.

한편, 롤러(29)는 표면 전체에 탄소 처리, 예컨대 카본 코팅 피막이 실시되어 있는 롤러 베어링(3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롤러(29)는 캠 샤프트(3)에 연통한 캠(60)의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유는, 롤러 베어링(30a)에 실시하는 탄소 처리에 의해, 롤러(29)와 롤러 베어링(30a) 사이의 접촉 이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러한 롤러(29)를 거쳐서 캠(60)의 회전력을 롤러 몸체(28)의 일부인 롤러 베어링(30a)으로 전달하며, 나아가서는 효율적으로 플런저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29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roller bearing 30a in which carbon treatment, for example, a carbon coating film is given to the whole surface. The roller 29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am 60 in communication with the cam shaft 3.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the carbon treatment applied to the roller bearing 30a, the contact movement state between the roller 29 and the roller bearing 30a can be controlled, and accordingly, the cam ( This is because the rotational force of 60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bearing 30a which is a part of the roller body 28, and furthermore, it can be efficiently converted in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lunger.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태핏 구조체(6)이면, 캠 샤프트(3)에 연통하는 캠(60)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복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고속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refore, with the tappet structure 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and reciprocate at a high speed for a long tim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am 60 communicating with the cam shaft 3.

2. 롤러 몸체2. roller body

(1) 기본적 구성(1) basic composition

롤러 몸체(28)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 본체(30)를 갖고, 쉘(27)내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전체가 베어링 강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원형 형상의 블록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4에 롤러 몸체(28)의 변형예를 나타내지만, 각각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A to 16C, the roller body 28 has a body main body 30, is mounted in the shell 27, and is formed by a block body having a planar circular shape made of a bearing steel as a whol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ddition, although the modification of the roller body 28 is shown in FIGS. 21-24, each can be used suitably.

또한,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 본체(30)에는 롤러(29)의 외주면에 적합한 내주면을 갖는 롤러 베어링(30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 본체(30)의 상면 중앙부에는, 플런저(54)에 대한 접촉부(30c)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몸체 본체(30)의 주연부에는 스프링 시트(26)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30d)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A, the body body 30 is provided with a roller bearing 30a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itable f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29. Moreover, the contact part 30c with respect to the plunger 54 protrudes integrally in the upper surfac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30. As shown in FIG.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 seat support part 30d which supports the spring seat 26 protrudes integrally in the peripheral part of this body main body 30.

(2) 통과 구멍(2) through hole

(2)-1 수(數) 및 형상(2) -1 number and shape

롤러 몸체에 설치하는 통과 구멍의 수 또는 형상은 특변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원형 통과 구멍을 1 내지 10개 범위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r shape of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for example, 1 to 10 circular through holes.

이 이유는, 이러한 통과 구멍의 수가 예컨대 1개이어도, 크기나 배치를 고려함으로써, 스프링측의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캠측에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통과 구멍의 수가 10개를 넘으면, 롤러 몸체에 있어서의 배치가 어려워지거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even if the number of such passage holes is one, for example, the spring an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on the spring sid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am side by considering the size and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such passing holes exceeds 10, it is because arrangement | positioning in a roller body may become difficult or formation may become difficult.

따라서, 통과 구멍의 수를 2 내지 8개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6개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nto the value in the range of 2-8 piece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in the range of 2-6 pieces.

또한, 롤러 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시트에 대하여도 통과 구멍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롤러 몸체의 통과 구멍의 수를 스프링 시트의 통과 구멍의 수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passage hole is also provided for the spring sheet located above the roller body, the number of passage holes of the roller body is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passage holes of the spring sheet.

또한, 통과 구멍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타원, 사각형, 이형, 또는 홈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passage hole is substantially circular, but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assage hole is preferably an ellipse, a square, a mold release, or a groove shape.

(2)-2 배치(2) -2 batch

또한, 롤러 몸체(28)에 설치하는 통과 구멍(30b)을, 도 16b 및 도 2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몸체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6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2개의 통과 구멍(30b)이 중앙의 돌기부(30c)에 대하여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the through hole 30b provided in the roller body 28 radially around a roller body, as shown to FIG. 16B and FIG.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B, two through holes 30b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rojection part 30c.

이 이유는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태핏 구조체의 조립 위상에 관계없이,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서 연통부를 용이하게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량의 연료라도, 연통부의 일부로서의 통과 구멍(30b)을 보다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ommunication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between the spring sheets regardless of the assembly phase of the tappet structure. Therefore, even a large amount of fuel can pass through the passage hole 30b as part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more quickly.

또한, 이러한 통과 구멍의 배치이면, 통과 구멍을 형성함에 대해서도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통과 구멍을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롤러 몸체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도 적어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passage holes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the passage holes. In addition, since the through-holes are arranged in this way, the decrease i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oller body is also reduced.

또한, 통과 구멍(30b)의 배치에 관하여, 도 16b 및 도 2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과 구멍(30b)을 롤러 몸체(28)의 상면부로부터 비롤러부, 예컨대 측면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through holes 30b, as illustrated in FIGS. 16B and 21, the through holes 30b are obliquely pass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28 to the non-roller portion, for example, the side portion. It is desirable to install so that.

이 이유는, 이렇게 통과 구멍(30b)이 배치되면, 롤러의 동작에 의해 폐쇄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라도, 이러한 통과 구멍을 거쳐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자유롭게 스프링 유지실과 캠실 사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through holes 30b are thus disposed, they are not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rollers. Therefore, even when the cam and the plunger are driven at a high spee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freely travel between the spring holding chamber and the cam chamber via these passage holes.

(2)-3 직경(2) -3 diameter

또한, 도 16b 및 도 21에 예시하는 통과 구멍(30b)의 직경은 단위 시간당 연료 통과량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과 구멍(30b)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을 0.5 내지 12㎜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hole 30b illustrated in FIGS. 16B and 21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el passage amount per unit time or the like. However, when the passage hole 30b is substantially circular, the diameter is 0.5 to 12.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mm range.

이 이유는,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이 0.5㎜ 미만인 값으로 되면,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자유롭게 왕래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연결된 피스톤 증압 장치(증압 피스톤)를 병용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50㎫ 이상의 고압 조건을 달성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hole becomes a value less than 0.5 mm, it may be difficult to freely travel between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Therefore, i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hieve high pressure conditions of 50 MPa or more, for example, in the accumulator type fuel injection device using a piston booster (pressure booster piston) connected to such a fuel supply pump.

한편,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이 12㎜를 넘으면, 롤러 몸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거나, 내구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eter of such a passing hole exceeds 12 mm, it is becau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roller body may fall, or durability may fall.

따라서, 이러한 통과 구멍의 직경을 1 내지 10㎜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6㎜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diameter of such a through hol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10 mm,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6 mm.

(3) 도통로(3) conduction path

또한, 도 21, 도 22a 및 도 22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통과 구멍(30b)을 롤러 몸체(28)의 상면부로부터 비롤러부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롤러 몸체(28)의 상면부로서, 통과 구멍(30b)의 개구부를 포함한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3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21, 22A, and 22B,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30b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non-roller portion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28, and the roller body 28 is provided. As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ductive path 33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to a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of the passage hole 30b.

이 이유는 이와 같이 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롤러 몸체(28)의 상면부에 있어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저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의 왕래가 자유롭게 되어,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대량의 연료유를 충분히 가압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forming the conductive path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from being stor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28, and as a result,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be freed, and the cam and plunger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fuel oil can be sufficiently pressurized even when the engine is driven at a high speed.

또한, 도 21, 도 22a 및 도 22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통과 구멍(30b)을 롤러 몸체(28)의 상변부로부터 비롤러부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30b)의 하방측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3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21, 22A, and 22B, the above-described passage hole 30b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non-roller portion from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roller body 28, and the passage hole 30b.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ductive path 35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t a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이 이유는 이렇게 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롤러 몸체(28)의 하방측에 있어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저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의 왕래가 자유롭게 되어,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대량의 연료유를 충분히 가압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forming the conductive path in this way, the lower side of the roller body 28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from being stored, and as a result,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freely move, thereby providing the cam and the plunger.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fuel oil can be sufficiently pressurized even when driven at a high speed.

따라서, 롤러 몸체의 상하 방향에 각각 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의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켜서, 연료 토출량을 대량으로 한 경우에도,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플런저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연료를 충분히 가압 처리 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conductive pa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ller body, the cam and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are driven at high speed, so that even when the fuel discharge amount is increased,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does not inhibit the operation of the plunger. Without this, the fuel can be sufficiently pressurized.

3. 접촉면3. Contact surface

또한, 롤러 몸체와 플런저의 접촉면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의 접촉면을 곡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contact surfaces of the roller body and the plunger, or any one of the contact surfaces, have a curved structure.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롤러 몸체(28)와 플런저(54)의 접촉면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의 접촉면을, 예컨대 그 곡률 반경을 30㎜ 내지 2,000㎜ 범위의 곡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both or either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roller body 28 and the plunger 54 shown in FIGS. 8A to 8C, for example,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in the range of 30 mm to 2,000 mm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structure.

이 이유는, 이러한 곡면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플런저와 롤러 몸체 사이의 편하중을 막고, 늘어붙음 또는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고, 플런저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증압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대응하기 위해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의 캠 및 플런저를 고속 구동시킨 경우에도, 플런저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연료를 충분히 가압 처리할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adopting such a curved structure, even when the cam and the plunger are driven at a high speed, the unloading load between the plunger and the roller body can be prevented, the occurrence of sticking or breakage can be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lunger can be improved. Because there is. That is, even when the cam and plunger in the fuel supply pump are driven at high speed in order to cope with the pressure-increasing pressure accumulating fuel injector, the durability of the plunger can be improved, and the fuel can be sufficiently pressurized. ha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에 의하면, 소정의 연통부를 설치함으로써, 플런저의 고속 구동에 있어서도, 스프링 유지실과 캠실 사이를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었다. 특히, 특정한 통과 구멍을 갖는 스프링 시트 및 태핏 구조체를 협동시킴으로써, 대량의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라도,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ortion, the lubricating oil or the lubricating fuel can be quickly and smoothly passed between the spring holding chamber and the cam chamber even at high speed driving of the plunger. . In particular, by cooperating the spring seat and the tappet structure having a specific passage hole, even a large amount of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can be passed quickly and smoothly.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용 펌프는 커먼 레일과 함께, 예컨대 대유량 연료를 이용하여, 피스톤 등을 거쳐서 기계적으로 연료를 증압하는 방식의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Amplified Piston Common Rail System : APCRS)에 사용되는 연료 공급용 펌프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fuel supply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Amplified Piston Common Rail System (APRSS) in which the fuel is mechanically boosted by means of a piston or the like with a common rail, for example, a large flow fuel. It can use suitably as a pump for fuel supply used.

또한, 본 발명의 태핏 구조체에 의하면, 소정의 통과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플런저의 고속 구동에 기인한 압력 맥동이 감소하는 동시에, 대량의 윤활용 연료라도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appe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passage hole, the pressure pulsation caused by the high speed drive of the plunger is reduced, and a large amount of lubricating fuel can be passed quickly and smoothly.

따라서, 본 발명의 태핏 구조체는 대유량 연료를 기계적으로 증압하는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공급용 펌프에 사용된 경우에도, 소정의 통과 구멍을 거쳐서, 대량의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스프링측과 캠측 사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가 플런저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플런저를 용이하게 고속 구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the tappe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used in the fuel supply pump of the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 that mechanically boosts the large flow rate fuel, passes through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and a large amount of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side and the cam side. Since the lubricating oil or the fuel for lubrication can be freely traveled, it is possible to easily drive the plunger at high speed without disturbing the operation of the plunger.

Claims (10)

태핏 구조체 및 스프링 시트를 구비한 연료 공급용 펌프에 있어서,A fuel supply pump having a tappet structure and a spring seat,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실과, 플런저를 승강시키기 위한 캠을 수용하기 위한 캠실 사이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communicating portion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between a spring holding chamber for holding a spring used to pull down the plunger and a cam chamber for accommodating a ca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lunger.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 시트가 상기 연료 공급용 펌프의 플런저를 끌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플런저를 고정하기 위한 플런저 장착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플런저 장착부 주위에, 상기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spring holding part for holding a spring used when the spring sheet pulls down the plunger of the fuel supply pump, and a plunger mounting part for fixing the plunger, and a part of the communicating part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art. As a passage,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통과 구멍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을 상기 플런저 장착부 주위에 방사상 또는 반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are provided, and the through holes are arranged radially or semi-radially around the plunger mounting portion.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태핏 구조체가 롤러와 롤러 몸체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롤러 몸체에 상기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tappet structure includes a roller and a roller body, and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s par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롤러 몸체에 통과 구멍을 복수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을 상기 롤러 몸체의 주위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in the roller body, and the through hole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body.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롤러 몸체에 상기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롤러 몸체의 상면으로서, 상기 통과 구멍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導通路)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s par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and the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assed to a position including an opening of the passage hole as an upper surface of the roller body.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of a through passage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롤러 몸체에 상기 연통부의 일부로서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과 구멍의 하방측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도통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is provided in the roller body at a location including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passage hole while providing a passage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as par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Characterized by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연료유의 일부를 윤활용 연료로서 사용하는 연료 윤활 시스템을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부가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fuel lubrication system employing a part of fuel oil as a lubricating fuel is employed,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 passes the lubricating fuel.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단위 시간당 유량이 500 내지 1,500리터/시간인 연료를 50㎫ 이상의 값으로 가압하기 위한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the accumulator fuel injection device for pressurizing the fuel having a flow rate per unit time of 500 to 1,500 liters / hour to a value of 50 MPa or more 연료 공급용 펌프.Fuel pump. 롤러와 롤러 몸체를 포함하는 태핏 구조체에 있어서,In a tappet structure comprising a roller and a roller body, 상기 롤러 몸체에 윤활유 또는 윤활용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상기 롤러 몸체의 상면부로부터 비롤러부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through hole for passing lubricating oil or lubricating fuel through the roller body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body to the non-roller portion. 태핏 구조체.Tappet structure.
KR1020047017619A 2002-10-29 2003-10-27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KR1006747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3763 2002-10-29
JP2002313763A JP2004150290A (en) 2002-10-29 2002-10-29 Pump for supplying fuel and tappet structure
JPJP-P-2003-00004013 2003-01-10
JP2003004013A JP2004218459A (en) 2003-01-10 2003-01-10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JP2003120627A JP2004324536A (en) 2003-04-24 2003-04-24 Fuel feeding pump and tappet structure
JPJP-P-2003-00120627 2003-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81A true KR20050042081A (en) 2005-05-04
KR100674772B1 KR100674772B1 (en) 2007-01-25

Family

ID=3223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619A KR100674772B1 (en) 2002-10-29 2003-10-27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57558B1 (en)
KR (1) KR100674772B1 (en)
AU (1) AU2003275677A1 (en)
WO (1) WO2004040121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42B1 (en) * 2012-04-19 2014-01-10 (주)모토닉 High-Pressure Pum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71897B1 (en) * 2012-09-05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igh pressure fuel pump improving lubr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068823A1 (en) * 2004-01-14 2007-12-27 ボッシュ株式会社 Fuel supply pump
EP2050956B1 (en) 2007-10-18 2012-12-12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Pump assembly
DE102008001871A1 (en) * 2008-05-20 2009-11-26 Robert Bosch Gmbh High-pressure fuel pump
DE102008043436A1 (en) * 2008-11-04 2010-05-06 Robert Bosch Gmbh Piston pump with a piston holder
DE102010063328A1 (en) * 2010-12-17 2012-06-21 Robert Bosch Gmbh high pressure pump
DE102012205747A1 (en) * 2012-04-10 2013-10-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ump element
EP2660459B1 (en) * 2012-05-03 2016-04-06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Load reduction
ITMI20122075A1 (en) * 2012-12-05 2014-06-06 Bosch Gmbh Robert PUMPING UNIT FOR FUEL SUPPLEMENT, PREFERABLY GASOI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4220881A1 (en) * 2014-10-15 2016-04-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oller tappe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er tappet device
CN104791094A (en) * 2015-03-11 2015-07-22 肖光宇 Piston reciprocating type single cylinder explosive motor
CN106065837B (en) * 2016-07-16 2018-07-27 肖光宇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ehensive reg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566U (en) * 1985-02-12 1986-08-22
JPH094542A (en) * 1995-06-20 1997-01-07 Nippondenso Co Ltd Fuel feeding device
US5775203A (en) * 1997-01-28 1998-07-07 Cummins Engine Company, Inc. High pressure fuel pump assembly
DE19729793A1 (en) *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Piston pump for high-pressure fuel supply
JP2001221131A (en) * 2000-02-07 2001-08-17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Mechanism for lubricating tappet for fuel injection pu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42B1 (en) * 2012-04-19 2014-01-10 (주)모토닉 High-Pressure Pum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71897B1 (en) * 2012-09-05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igh pressure fuel pump improving lubrication
US9200626B2 (en) 2012-09-05 2015-12-01 Hyundai Motor Company High pressure fuel pump having improved lubrication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4772B1 (en) 2007-01-25
EP1557558A1 (en) 2005-07-27
EP1557558B1 (en) 2018-01-31
AU2003275677A1 (en) 2004-05-25
EP1557558A4 (en) 2006-12-06
WO2004040121A1 (en)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469B2 (en)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KR100738778B1 (en)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KR100674772B1 (en)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JP3077738B2 (en) High pressure supply pump
KR100738770B1 (en) Fuel supply pump
US20050100466A1 (en) Fuel supply pump
US7513756B2 (en)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body
KR20050003405A (en) Fuel feed pump
JP2004218459A (en) Fuel supply pump and tappet structure
JP2007303430A (en) Pump for supplying fuel
JP2004150290A (en) Pump for supplying fuel and tappet structure
JP5218246B2 (en) High pressure fuel pump
JP5321432B2 (en) Fuel supply device
JP3835755B2 (en) Fuel supply pump
JP2004324546A (en) Pump for fuel supply
JP3750203B2 (en) High pressure supply pump
JP2004324537A (en) Pump for fuel supply and tappet structure
JP2004324536A (en) Fuel feeding pump and tappet structure
JP2004324535A (en) Pump for fuel supply and tappet structure
JP2001304069A (en) Fuel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