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704A - 4 circuit protection valve - Google Patents

4 circuit protection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704A
KR20050040704A KR1020040081651A KR20040081651A KR20050040704A KR 20050040704 A KR20050040704 A KR 20050040704A KR 1020040081651 A KR1020040081651 A KR 1020040081651A KR 20040081651 A KR20040081651 A KR 20040081651A KR 20050040704 A KR20050040704 A KR 2005004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utput port
valve body
check valv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4000B1 (en
Inventor
하토리겐지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0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36Other control devices or valves characterised by definite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Valve Housing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밸브 본체를 단일체 구조로 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하는 것. Providing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can maintain strong strength by having a valve body as a unitary structure.

4서킷 프로텍션 밸브(1)가 밸브 본체(3)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3)가 각각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9)와 제 2 본체부(11)를 형성하도록 굴곡부(13)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고, 제 1 체크밸브부(51) 및 제 2 체크밸브부(53)를 설치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54)가 굴곡부(13)의 외벽(87, 88)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1 has a valve body 3, the valve body 3 extends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5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respectively; A check valve opening for forming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51 and the second check valve portion 53, which is formed as a single body that is bent as a whole in the curved portion 13 to form the second body portion 11; 54 is formed at an accessible position from the outer walls 87 and 88 of the bent portion 13 without passing through other members.

Description

4서킷 프로텍션 밸브{4 CIRCUIT PROTECTION VALVE}4 CIRCUIT PROTECTION VALVE

본 발명은 차량용 4서킷 프로텍션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for a vehicle.

일본 특개 2000-264193호 공보에는, 종래의 차량용 4서킷 프로텍션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에어 계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서비스 브레이크, 파킹 브레이크, 클러치, 서스펜션 또는 다른 보조 기기 등을 에어압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차량에 있어서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64193 discloses a conventional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for a vehicl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ir system,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may be used in a vehicle in which service brakes, parking brakes, clutches, suspensions, or other auxiliary devices are operated by air pressure.

이러한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탱크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1차실(A1)에 제 1 피스톤 밸브(B1) 및 제 2 피스톤 밸브(B2)를 통하여 제 1 출력 포트(C1) 및 제 2 출력 포트(C2)를 접속하고 있다. This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is a 1st output port C1 via the 1st piston valve B1 and the 2nd piston valve B2 to the primary chamber A1 to which air is supplied from an air tank as shown in FIG. ) And the second output port C2 are connected.

또, 제 1 피스톤 밸브(B1)의 2차측(출력 포트(C1)) 및 제 2 피스톤 밸브(B2)의 2차측(제 2 출력 포트(C2))을 각각 제 1 체크밸브(D1) 및 제 2 체크밸브(D2)에 의한 2개의 보급 경로를 통하여 2차실(A2)에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2차실(A2)에 제 3 체크밸브(D3) 및 제 4 체크밸브(D4) 및 제 3 피스톤 밸브(B3) 및 제 4 피스톤 밸브(B4)를 통하여 제 3 출력 포트(C3) 및 제 4 출력 포트(C4)를 접속하고 있다. Moreover, the 2nd side (output port C1) of the 1st piston valve B1 and the 2nd side (2nd output port C2) of the 2nd piston valve B2 are respectively made into the 1st check valve D1 and 1st. While connecting to the secondary chamber A2 via two supply paths by the second check valve D2, a third check valve D3 and a fourth check valve D4 and a third piston are connected to the secondary chamber A2. The third output port C3 and the fourth output port C4 are connected via the valve B3 and the fourth piston valve B4.

따라서, 1차실(A1)에 공급된 에어는, 제 1 피스톤 밸브(B1) 및 제 2 피스톤 밸브(B2)를 거쳐서 제 1 출력 포트(C1) 및 제 2 출력 포트(C2)로 보내진다. 동시에, 제 1 피스톤 밸브(B1) 및 제 2 피스톤 밸브(B2)로부터 보내진 에어의 일부는, 제 1 체크밸브(D1) 및 제 2 체크밸브(D2)에 의한 보급 경로를 통과시켜서 2차실(A2)에 넣어진다. 또, 2차실(A2)로부터 제 3 체크밸브(D3) 및 제 3 피스톤 밸브(B3)를 통과시켜서 제 3 출력 포트(C3)에 보내지고 또한, 제 4 체크밸브(D4) 및 제 4 피스톤 밸브(B4)를 거쳐서 제 4 출력 포트(C4)에 보내진다. 도 12에서, 부호 E1, E2 및 F1, F2는 제 1 피스톤 밸브(B1) 및 제 2 피스톤 밸브(B2)의 1차측과 2차측을 접속하는 오리피스 및 체크밸브이다. Therefore, the air supplied to the primary chamber A1 is sent to the 1st output port C1 and the 2nd output port C2 via the 1st piston valve B1 and the 2nd piston valve B2.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air sent from the 1st piston valve B1 and the 2nd piston valve B2 passes the supply path by the 1st check valve D1 and the 2nd check valve D2, and the secondary chamber A2. Put in The third check valve D3 and the third piston valve B3 are passed from the secondary chamber A2 to the third output port C3, and the fourth check valve D4 and the fourth piston valve are also provided. It is sent to the fourth output port C4 via (B4). In Fig. 12, reference numerals E1, E2 and F1, F2 denote orifices and check valves connecting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piston valve B1 and the second piston valve B2.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0-26419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264193

그러나, 도 12에 도시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에서는, 제 1 체크밸브(D1) 및 제 2 체크밸브(D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및 이들 밸브에 의해 폐쇄하기 위한 유통 구멍(G1, G2 및 H3, H4)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12에서 밸브 본체(100)의 좌우측 방향으로부터 구멍뚫기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않된다. 그런데 체크밸브의 좌우 양측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멍뚫기 작업은 기술적으로 곤란하고, 가령 가능해도 구멍뚫기 작업에 방대한 코스트가 든다. However, in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shown in FIG. 12,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heck valve D1 and the second check valve D2, and flow holes G1, G2 and H3 for closing by these valves, In order to form H4), the drill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alve body 100 in FIG. 12. By the way, since the other member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a check valve, such a perforation operation is technically difficult, for example, even if it is possible, it costs enormous cost.

여기에서 실제로는, 도 12중의 가상선(K)으로 도시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을 2부품으로 하여 분할하여 작성하고, 체크밸브(D1, D2)를 수납하는 공간 및 유통 구멍(G1, G2 및 H3, H4)을 형성후에, 체크밸브를 조립해 넣으면서 2부품을 볼트(V1, V2)로 체결하여 밸브 본체(10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분할 구조에서는, 부품수의 증가에 의한 관리비의 증가나 제조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강도적으로도 문제가 있었다. In this case, in practice,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position shown by the imaginary line K in FIG. 12 are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space for storing the check valves D1 and D2 and the distribution holes G1, G2 and H3 are provided. And H4, after forming the check valve, the two parts are fastened with bolts V1 and V2 to form the valve body 100. However, in such a two-divided structure, not only does the management cost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but there is also a problem in strength.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체가 일체 구조이고,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maintaining a strong strength as a whol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입구 포트에 접속된 제 1 실과, 상기 제 1 실과 각각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각각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2 실과, 상기 제 2 실과 각각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이며, 상기 밸브 본체는, 각각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굴곡부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설치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가, 상기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subject,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is the 1st chamber connected to an inlet port, and the 1st chamber connected with the said 1st chamber, respectively through the 1st valve part and the 2nd valve part,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through a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a second check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third valve portion, respectively. And a valve body having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connected via a fourth valve portion, wherein the valve body extends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A check valve for form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ich is formed as a single body of the shape bent entirely in the bent,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check valve portion A and from the outer wall of the bend being formed in the accessible loc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other member.

또,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입구 포트에 접속된 제 1 실과, 상기 제 1 실과 각각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각각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2 실과, 상기 제 2 실과 각각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각각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가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에 항상 눌려서 상기 접속에 의한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제 1 실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가 각각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각각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에 연통할 수 있게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부는, 제 1 체크밸브체가 제 1 체크밸브시트에 눌려져 있고, 상기 제 1 밸브부가 개방했을 때에, 상기 제 1 체크밸브체가 제 1 체크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제 2 실에 연통할 수 있게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체크밸브부는 제 2 체크밸브체가 제 2 체크밸브시트에 눌려져 있고, 상기 제 2 밸브부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체크밸브체가 제 2 체크밸브시트부터 떨어져서 상기 제 2 실에 연통할 수 있게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각각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가 제 3 밸브시트 및 제 4 밸브시트에 항상 눌려져서 상기 접속에 의한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가 각각 제 3 밸브시트 및 제 4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서, 각각 상기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에 연통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각각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굴곡부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설치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가, 상기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Moreover,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is the 1st output port connected with the inlet port, the 1st output port connected with the said 1st chamber via the 1st valve part, and the 2nd valve part, respectively, A second sea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via a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a second check valve portion, and the third seal and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respectively. The valve body provided with the 3rd output port and the 4th output port connected via the said 1st valve part and the 2nd valve part, A 1st valve body and a 2nd valve body are respectively a 1st valve seat and a 2nd valve body.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second valve body are respectively the first valve seat and the second valve body when the valve seat is always pressed and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communication by the connection, and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is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Valve seat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is op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wherein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is pressed by the first check valve seat and the first valve portion is opened. The first check valve body is openab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hamber away from the first check valve seat, and the second check valve part is pressed by the second check valve seat. When the second valve portion is opened, the second check valve body is openab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hamber away from the second check valve seat, and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are respectively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fourth valve body is pressed against the third valve seat and the fourth valve seat at all times to close the communication by the connection,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is above a certain pressure. In this case,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fourth valve body are op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output port and the fourth output port, respectively, away from the third valve seat and the fourth valve seat, and the valve body is And a single body having a shape that is bent entirely in the bent portion so as to form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check valve portion are installed. The opening for the check valve is formed at a position accessibl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ent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other members.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체크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밸브 본체를 분할할 필요가 없고,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밸브 본체의 당해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직접 드릴 등으로 구멍뚫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또한 강한 강도를 유지한 밸브 본체 즉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valve body in order to form a hole for installing a check valve as in the prior art, and to directly drill from the outer wall of the bent portion of the valve body made of a single body. The hole dril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lve body, i.e.,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maintains a high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또,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태양에서, 상기 굴곡부는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태양에 의하면,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제 1 축방향 또는 제 2 축방향에 드릴 등으로 용이하게 체크밸브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in the said 1st or 2nd aspect, the said bending part is ben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1st axial direction and a 2nd axi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will be.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opening for a check valve can be easily formed in a 1st axial direction or a 2nd axial direction by a drill etc. from the outer wall of a curved part.

또,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태양에서, 상기 굴곡부는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이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전체 형상의 변화가 폭넓어지고, 사용 용도에 따라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과의 교차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4th aspect of this invention, in the said 1st or 2nd aspect, the said bend part is bent so that a 1st axial direction and a 2nd axial direction may cross at an obtuse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will 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in the overall shape of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becomes wider, and the crossing angle betwee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또,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상기 제 2 내지 제 4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상기 굴곡부로부터 떨어진 제 1 단부 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상기 굴곡부로부터 떨어진 제 2 단부 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태양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oreover, in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5th aspect of this invention, in any one of said 2nd-4th aspect, the said 1st valve part and the 2nd valve part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1st end part separated from the said bend part. A first valve body and a second valve body arranged and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urface mad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wherein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are the bent portions. And a third valve body and a fourth valve body disposed near the second end portion away from the second end and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urface mad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ct 4-circuit protection valve as a whole.

또,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상기 제 2∼제 5 태양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제 2 밸브부,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밸브 본체내의 상기 제 1 실 및 제 2 실 등으로 구성되는 압력매체 유로영역과, 이것들의 각 밸브부에서의 상기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각 가압수단의 배치 영역을 칸막이하는 다이어프램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태양에 의하면 각 밸브부를 구조 간단하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4th 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cerns on the 6th aspect of this invention, in any one of said 2nd-5th aspect, a said 1st valve part, a 2nd valve part, a 3rd valve part, and a 4th valve part A pressure medium flow path region composed of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 and the like in the valve body, and the first valve body, the second valve body,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fourth valve body in each of these valve parts are closed.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diaphragm partition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area of each pressurizing means which presses in a direction. According to this aspect, each valve part can be structured simply.

또,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는 상기 제 6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압력매체 유로영역측에, 상기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에 접리(接離)하여 압력매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 강화밸브부 및 제 2 강화밸브부가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압력매체의 플로우 방향에 대해 상기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의 개폐 동작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전체의 개폐 동작을 정밀도 좋게 실현할 수 있다. In the sixth aspect,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on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region side of the diaphragm. The first reinforcemen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valve portion, which are folded to the second valve seat and open and close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are further provided.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disposed upstream of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pressure medium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and the whole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The operation can be realized with high precis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사시도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a)(b)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밸브 개방시의 2개의 태양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의 (a) (b) (c)는, 각각 도 1의 IV(a) 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 동 IV(b)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 및 동(b)의 C-C선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Fig.3 (a) (b) is operation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wo aspects at the time of valve opening of a 4 circuit protection valve. (A), (b) and (c) of FIG. 4 respectively show the 4 circuit protection valves from the IV (a) direction of FIG. 1, the 4 circuit protection valves from the IV (b) direction, and FIG. CC line sectional drawing of (b).

도 5는 도 1의 V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VI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VII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a)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회로도이다. FIG. 5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 direction of FIG. 1. FIG. 6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I direction of FIG. 1. FIG. FIG. 7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II direction of FIG. 1.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7.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in Fig. 4A.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7.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서킷 프로텍션 밸브(1)(이하 간단히 밸브(1)이라고 함)는 밸브 본체(3)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밸브 본체(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직교하는 관계에 있는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9)와 제 2 본체부(11)를 일체 성형에 의한 단일체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밸브 본체(3)의 소재는, 알루미늄재, 합성수지인 폴리아세탈(POM)재나 나일론재를 들 수 있다. 제 1 본체부(9)와 제 2 본체부(1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굴곡부(13)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 본체(3) 즉 밸브(1)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L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서, 사출성형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체 구조의 밸브 본체(3)는, 종래의 이 종류의 밸브에 없었던 구조이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의 일부로 되어 있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valve 1) is composed mainly of the valve body 3, and the valve body 3 is each configu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ain body portion 9 and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11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5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in an orthogonal relationship are formed as a unitary body by integral molding. .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valve body 3 include aluminum materials, polyacetal (POM) materials and nylon materials which are synthetic resins. The 1st main body part 9 and the 2nd main body part 11 are integrated by the bending part 13,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valve main body 3, that is, the valve 1, is a single body of a shape bent in an L shape as a whole in this embodiment, and is formed by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valve body 3 having a single-piece structure having such a curved shape is a structure which does not exist in this type of valve in the prior art, and is a part of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1에서, 부호 4A는 후술하는 제 1 밸브부(25)의 커버, 부호 4B는 후술하는 제 2 밸브부(27)의 커버, 부호 4C는 후술하는 제 3 밸브부(67)의 커버, 부호 4D는 후술하는 제 4 밸브부(69)의 커버를 나타낸다. In FIG. 1, 4A is a cover of the 1st valve part 25 mentioned later, 4B is a cover of the 2nd valve part 27 mentioned later, 4C is a cover of the 3rd valve part 67 mentioned later, and 4D shows a cover of the fourth valve section 69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당해 밸브(1)의 사용방법(역할)을 도 2에 기초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밸브(1)는, 차량의 에어압 공급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에어 컴프레서(15)로부터 공급되고 에어 드라이어(17)를 통한 압축 공기를, 본 발명의 밸브(1)를 통하여 1예로서 4개의 에어축압장치(19a∼19d)에 분배하는 것이다. 그리고 밸브(1)는, 4개의 에어축압장치(19a∼19d)중 어느 하나에서 공기누설이 발생하여 감압되어도 다른 에어축압장치로 감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Before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role) of the valve 1 will be described first based on FIG. As shown in FIG. 2, the valve 1 constitutes a part of the air pressure supply mechanism of the vehicle, and is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 15 to supply compressed air through the air dryer 17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istributes to four air accumulators 19a-19d as an example through the valve 1. As shown in FIG. The valve 1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ecompression to other air accumulators even when air leakage occurs in any one of the four air accumulators 19a to 19d.

다음에 도 3의 동작 설명도에 기초하여 당해 밸브(1)의 기본 구성과 그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1)는 내부에 제 1 실(21)과 제 2 실(23)을 구비하고, 제 1 실(21)은 입구 포트(2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21)에는 2개의 밸브부, 즉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밸브부(25)는 가동의 제 1 밸브체(29)와, 이 제 1 밸브체(29)이 가압부재인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항상 눌려지는 제 1 밸브시트(31)를 구비하고, 제 2 밸브부(27)는 가동의 제 2 밸브체(30)와, 이 제 1 밸브체(30)가 다른 가압부재인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항상 눌려지는 제 2 밸브시트(33)를 갖추고 있다. Next, the basic structure of the said valve 1 and its operation principle are demonstrated based on the operation | movement explanatory drawing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valve 1 includes a first chamber 21 and a second chamber 23 therein, and the first chamber 21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2. Two valve parts, that is, the first valve part 25 and the second valve part 27, are formed in the first chamber 21. The 1st valve part 25 is equipped with the movable 1st valve body 29 and the 1st valve seat 31 which is always pressed by the coil spring 41 which is the pressurizing member. The second valve portion 27 is a second valve seat 33 which is always pressed by the movable second valve body 30 and the coil spring 41 which is another pressurizing member. Equipped)

상기 제 1 밸브체(29) 및 제 2 밸브체(30)는, 상기 코일 스프링(41)의 가압력보다도 제 1 실(21)내의 압력이 커졌을 때(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 각 밸브시트(31, 33)로부터 떨어져서 각 밸브부(25, 27)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서, 부호 37은 대기개방구를 나타내고, 이 대기개방구(37)는 코일 스프링실(39)을 대기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rst valve body 29 and the second valve body 30 are each valve seat (when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21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21 is greater than the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41 ( The valve sections 25 and 27 are opened apart from the sections 31 and 33. In Fig. 3,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an air opening port, and the air opening port 37 is for air opening the coil spring chamber 39.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의 하류측에는, 각각 제 1 유로(43) 및 제 2 유로(45)를 통하여 제 1 출력 포트(47) 및 제 2 출력 포트(49)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출력 포트(47) 및 제 2 출력 포트(49)에 이어지는 상기 제 1 유로(43) 및 제 2 유로(45)의 적소에는, 각각 제 1 체크밸브부(51) 및 제 2 체크밸브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체크밸브부(51)는 가동의 제 1 체크밸브체(55)와 제 1 체크밸브체(55)가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가압되어서 눌려지는 제 1 체크밸브시트(57)를 구비하고, 제 2 체크밸브부(53)는 가동의 제 2 체크밸브체(59)와, 제 2 체크밸브체(59)가 다른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가압되어서 눌려지는 제 2 체크밸브시트(6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체크밸브부(51) 및 제 2 체크밸브부(53)의 하류측은 제 3 유로(63)에서 합류하고 있고, 이 제 3 유로(63)는 제 2 실(23)에 연통해 있다. 제 1 체크밸브체(55)와 제 2 체크밸브체(59)는, 각각 제 1 출력 포트(47) 및 제 2 출력 포트(49)에서의 압력이 제 2 실(23)의 압력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체크밸브시트(57) 및 제 2 체크밸브시트(61)로부터 떨어져, 각 체크밸브부(51, 53)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valve portion 25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27, the first output port 47 and the second output port 49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43 and the second flow passage 45, respectively. Is formed. In place of the first flow passage 43 and the second flow passage 45 that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47 and the second output port 49,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51 and the second check valve portion, respectively. 53 is formed. The first check valve section 51 has a first check valve seat 57 in which the movable first check valve body 55 and the first check valve body 55 are pressed by the coil spring 42 to be pressed. The second check valve portion 53 is a second check valve seat 59 in which the movable second check valve body 59 and the second check valve body 59 are pressed and pressed by another coil spring 42 ( 61). The downstream side of the 1st check valve part 51 and the 2nd check valve part 53 is joined in the 3rd flow path 63, and this 3rd flow path 63 communicates with the 2nd chamber 23. As shown in FIG. When the pressure in the 1st output port 47 and the 2nd output port 49 i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2nd chamber 23, respectively, in the 1st check valve body 55 and the 2nd check valve body 59, respectively, Only the check valve parts 51 and 53 are opened apart from the first check valve seat 57 and the second check valve seat 61.

제 2 실(23)에는 2개의 밸브부, 즉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밸브부(67)는 가동의 제 3 밸브체(71)와, 제 3 밸브체(71)가 눌려지는 제 3 밸브시트(73)를 구비하고, 제 4 밸브부(69)는 가동의 제 4 밸브체(75)와, 제 4 밸브체(75)가 눌려지는 제 4 밸브시트(77)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밸브체(71) 및 제 4 밸브체(75)는 상기 제 1 밸브체(29) 및 제 2 밸브체(30)와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다. Two valve parts, that is, a third valve part 67 and a fourth valve part 69, are formed in the second chamber 23. The third valve portion 67 includes a movable third valve body 71 and a third valve seat 73 on which the third valve body 71 is pressed,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69 is movable. The 4th valve body 75 and the 4th valve seat 77 by which the 4th valve body 75 is pressed are provided. The third valve body 71 and the fourth valve body 75 have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e first valve body 29 and the second valve body 30.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의 하류측에는, 각각 제 4 유로(79) 및 제 5 유로(81)를 통하여 제 3 출력 포트(83) 및 제 4 출력 포트(8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출력 포트(47), 제 2 출력 포트(49), 제 3 출력 포트(83) 및 제 4 출력 포트(85)는 각각 도 2의 에어축압장치(19a∼19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각 밸브부(25, 27, 67, 69)의 상기 커버(4A, 4B, 4C, 4D)는 도시 생략되어 있다. Downstream of the third valve portion 67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69, the third output port 83 and the fourth output port 85 through the fourth flow path 79 and the fifth flow path 81, respectively. Is formed. The first output port 47, the second output port 49, the third output port 83, and the fourth output port 85 are connected to the air accumulators 19a to 19d in Fig. 2, respectively. 3, the said cover 4A, 4B, 4C, 4D of each said valve part 25, 27, 67, 69 is abbreviate | omitted.

이상이 밸브(1) 내부의 기본원리 구성이며, 이하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컴프레서(15)로부터 에어축압장치(19a∼19d)에 에어압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포트(22)에서의 압력이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를 폐쇄하는 코일 스프링(41)의 가압력을 상회하기 때문에, 제 1 밸브체(29) 및 제 2 밸브체(30)가 각 밸브시트(31, 33)로부터 떨어지고 압축 공기는 제 1 출력 포트(47) 및 제 2 출력 포트(49)를 통과하여 에어축압장치(19a, 19b)에 공급된다. 또 이 압력은 제 1 체크밸브부(51) 및 제 2 체크밸브부(53)에도 작용하여 이들 밸브부(51, 53)를 개방시킴으로써,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의 제 3 밸브체(71) 및 제 4 밸브체(75)가 각 밸브시트(73, 77)로부터 떨어지고, 압축 공기는 제 3 출력 포트(83) 및 제 4 출력 포트(85)를 통과하여 에어축압장치(19c, 19d)에도 공급된다. 에어 컴프레서(15)의 작동이 정지하면 각 밸브부(25, 27, 67, 69) 및 각 체크밸브부(51, 53)는 폐쇄되어, 에어축압장치(19a∼19d)내에 일정한 에어압이 축압된 상태가 된다. The above is the basic principle structure inside the valve 1, and the action is demonstrated below. When air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 15 to the air accumulators 19a to 19d, the pressure at the inlet port 22 is reduced by the first valve portion 25 and as shown in Fig. 3 (a). Since it exceeds the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41 which closes the 2nd valve part 27, the 1st valve body 29 and the 2nd valve body 30 fall from each valve seat 31,33, and pressurized air Is supplied to the air accumulators 19a and 19b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 47 and the second output port 49. This pressure also acts on the first check valve section 51 and the second check valve section 53 to open these valve sections 51 and 53, thereby allowing the third valve section 67 and the fourth valve section 69 to be opened. The third valve body 71 and the fourth valve body 75 are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s 73 and 77, and the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third output port 83 and the fourth output port 85 It is also supplied to the air accumulators 19c and 19d.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15 is stopped, the valve sections 25, 27, 67, and 69 and the check valve sections 51 and 53 are closed so that the constant air pressure in the air accumulators 19a to 19d is accumulated. It becomes a state.

가령, 상기와 같은 압축 공기의 공급 과정에 있어서, 에어축압장치(19a)에 에어 누설의 원인이 되는 구멍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에어축압장치(19a)에 통하는 제 1 출력 포트(47)에서의 압력은, 공기누설에 의해, 다른 에어축압장치(19b∼19d)에 통하는 제 2 출력 포트(49), 제 3 출력 포트(83) 및 제 4 출력 포트(85)에서의 압력보다 낮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 컴프레서(15)가 작동했을 때, 제 2 밸브체(30),제 3 밸브체(71) 및 제 4 밸브체(75)에 각 출력 포트(49, 83, 85)측으로부터 걸리는 압력이, 제 1 밸브체(29)에 제 1 출력 포트(47)(공기누설에 의해 압력저하)로부터 걸리는 압력보다 커지고 있기 때문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밸브체(30), 제 3 밸브체(71) 및 제 4 밸브체(75)쪽이 제 1 밸브체(29)보다도 빨리 각 밸브부(27, 67, 69)을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에어축압장치(19b∼19d)에 관해서는, 에어축압장치(19a)보다도 우선적으로 압축 공기가 충전되어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밸브부(25)도 그 후 개방되어 에어축압장치(19a)를 향하여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데, 상기 공기누설의 영향으로 제 1 출력 포트(47)에서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내려가, 즉시 제 1 밸브부(25)는 폐쇄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a hole causing air leakage is formed in the air accumulator 19a, the first output port 47 passing through the air accumulator 19a is provided.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ssure at the second output port 49, the third output port 83, and the fourth output port 85 through the other air accumulators 19b to 19d due to air leakage. When the air compressor 15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second valve body 30, the third valve body 71 and the fourth valve body 75 are caught from the output ports 49, 83, 85 on each side. Since the pressure is larg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valve body 29 from the first output port 47 (pressure drop due to air leakage),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valve body ( 30) and the 3rd valve body 71 and the 4th valve body 75 operate | move so that each valve part 27, 67, 69 may open earlier than the 1st valve body 29. FIG.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air accumulators 19b to 19d, compressed air is filled in preference to the air accumulator 19a, so that the function thereof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alve portion 25 is also opened thereafter, and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ward the air accumulator 19a. The pressure at the first output port 47 decreases instantly due to the air leakage, and immediately The first valve portion 25 is to be closed.

경보 램프 등으로 에어축압장치(19a)의 에어 누설을 알아 차린 운전수는, 이 상태에서 가까운 주유소 등으로 운전하는 동안은 에어축압장치(19b∼19d)의 에어압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주유소에서 에어축압장치(19a)의 에어 누설을 수리할 수 있다. The driver who notices the air leakage of the air accumulator 19a by the alarm lamp etc. can move using the air pressure of the air accumulators 19b-19d while driving to the gas station etc. which are close in this state. As a result, air leakage of the air accumulator 19a can be repaired at the gas station.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밸브(1)의 특징적 구성을, 도 1, 도 4(a) (b) (c), 도 5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기본구성과 동일기능 부분에 대해서는 각 도면중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3)는 각각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9)와 제 2 본체부(11)를 형성하도록 굴곡부(13)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이다. Next,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valve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 FIG. 4 (a) (b) (c), and FIGS. In addition, about 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al part which were demonstrated in FIG. 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rresponding part in each figur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body 3 has a bent portion to form a first body portion 9 and a second body portion 11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5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respectively. In Fig. 13, the shape is bent entirely.

그리고 상기의 제 1 체크밸브부(51) 및 제 2 체크밸브부(53)를 설치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54, 54)는, 도 1, 도 4(c)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13)의 외벽(87)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체크밸브용 개구(54, 54)는 굴곡부(13)의 외벽(87)으로부터 직접 드릴 등으로 구멍뚫기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용 개구(54, 54)는 도 4(c)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상기 제 1 실(21)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13)의 다른 외벽(88)으로부터, 마찬가지로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직접 드릴 등으로 구멍뚫기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제 2 실(23)과 연통을 도모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64, 64)가 형성되어 있다. 양 체크밸브용 개구(54, 64)는 당연히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체크밸브부(51)와 제 2 체크밸브부(53)는 동일한 구성으로 굴곡부(13)에 설치되어 있다. The check valve openings 54 and 54 for installing the first check valve part 51 and the second check valve part 53 are as shown in Figs. 1, 4 (c) and 7. Likewise, the outer wall 87 of the bent portion 13 is formed at an accessible position without passing through other members. That is, the check valve openings 54 and 54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drilling can be performed directly from the outer wall 87 of the bent portion 13 by a drill or the like. The check valve openings 54 and 54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21 as shown in Figs. 4 (c) and 7. In addition, from another outer wall 88 of the bent portion 13, a check valve opening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hamber 23 at a position where a punching operation can be directly performed through a drill or the like without passing through other members. (64, 64) are formed. The openings 54 and 64 for both check valves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naturally. 8, the 1st check valve part 51 and the 2nd check valve part 53 are provided in the bending part 13 with the same structure.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당해 체크밸브용 개구(54, 64)는, 종래와 같이 체크밸브 배치용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재를 분할할 필요가 없고, 굴곡부(13)의 외벽(87, 88)으로부터 직접 드릴 등으로 구멍뚫기 작업을 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이 구멍 뚫기 한 부분에 당해 체크밸브(51, 53)을 배열 설치함으로써, 당해 밸브 본체(3)를 분할하지 않고 단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또한 강한 강도를 유지한 밸브 본체(3)로 이루어지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c) 및 도 7에서, 부호 72는 체크밸브용 개구(64)의 입구를 막는 스틸 볼이며, 도 8에서, 부호 74, 74는 체크밸브용 개구(54)의 입구를 막는 지지 링이다. 또, 부호 76은 체크밸브 스토퍼, 부호 78은 밀봉용의 O링이다.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heck valve openings 54 and 64 do not need to divide a member in order to form an opening for check valve arrangement as in the prior art, and the outer walls 87 and 88 of the bent portion 13 do not need to be divided. It can form by performing a punching | drilling operation | work directly from a drill etc. directly. By arranging the check valves 51 and 53 in such a perforated portion, the valve body 3 can be formed in a single body without being divided. Thereby,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which consists of the valve main body 3 which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maintained strong intensity | strength can be provided. 4 (c) and 7, reference numeral 72 denotes a steel ball that blocks the inlet of the check valve opening 64, and in FIG. 8, reference numerals 74 and 74 block the inlet of the check valve opening 54. Support ring. Reference numeral 76 denotes a check valve stopper, and reference numeral 78 denotes an O-ring for seal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밸브부(25), 제 2 밸브부(27),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는, 밸브 본체(3)내의 상기 제 1 실(21) 및 제 2 실(23) 등으로 구성되는 압력매체(공기) 유로영역과, 이것들의 각 밸브부에서의 상기 제 1 밸브체(29), 제 2 밸브체(30), 제 3 밸브체(71), 제 4 밸브체(75) 및 이것들을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각 코일 스프링(41)의 배치 영역을 칸막이하는 다이어프램(35)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상기 압력매체 유로영역측에, 상기 제 1 밸브시트(31) 및 제 2 밸브시트(33)에 접리하여 압력매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 강화밸브부(101) 및 제 2 강화밸브부(107)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설치되어 있다. 제 1 강화밸브부(101) 및 제 2 강화밸브부(107)는, 양자 동일 구조이며, 밸브체(101)와, 이 밸브체(101)에 설치된 밸브 밀봉부(102)와, 이 밸브체(101)내에 설치된 오리피스 밸브(103) 및 오리피스 스프링(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밀봉부(102) 부분이 상기 밸브시트(31, 33)에 눌려져 유로를 막도록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lve portion 25, the second valve portion 27, the third valve portion 67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69 are the first in the valve body 3. The pressure medium (air) flow path region composed of the chamber 21, the second chamber 23, and the like, and the first valve body 29, the second valve body 30, and the third in each of these valve sections. The diaphragm 35 which partitions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area of the valve body 71, the 4th valve body 75, and each coil spring 41 which presses these in the closing direction is provided as shown to FIGS. 8-10. It is. The first valve portion 25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27 are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seat 31 and the second valve seat 33 on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region side of the diaphragm 35. The first reinforcement valve portion 101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valve portion 107, which fold to open and close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ar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s. The 1st strengthening valve part 101 and the 2nd strengthening valve part 107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the valve body 101, the valve sealing part 102 provided in this valve body 101, and this valve body. The orifice valve 103 and the orifice spring 104 which are provided in 101 are comprised. A portion of the valve seal 102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s 31 and 33 to close the flow path.

이것에 의해, 압력매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의 개폐 동작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의 개폐 동작을 정밀도 좋게 실현할 수 있다. There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said 1st valve part 25 and the 2nd valve part 27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rather than the 3rd valve part 67 and the 4th valve part 69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a pressure medium.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and therefore the entir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with high accuracy.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이 직교하고 있는데, 굴곡부(13)의 외벽(87, 88)으로부터 체크밸브용 개구의 구멍뚫기 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이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굴곡부가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axial direction 5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as to realize a hole drilling operation of the opening for the check valve from the outer walls 87 and 88 of the bent portion 13. The bend may be curved such that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intersect at an obtuse angle.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밸브부(25) 및 제 2 밸브부(27)는 상기 굴곡부(13)로부터 떨어진 제 1 단부(91)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밸브체(29) 및 제 2 밸브체(30)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밸브부(67) 및 제 4 밸브부(69)는 상기 굴곡부(13)로부터 떨어진 제 2 단부(89)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5)과 제 2 축방향(7)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3 밸브체(71) 및 제 4 밸브체(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체로서 컴팩트한 밸브(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valve portion 25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27 are disposed near the first end portion 91 away from the bend portion 13, and the first axial direction 5 is also provided. And a first valve body 29 and a second valve body 30 which ar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urface made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wherein the third valve portion 67 and the fourth valve body are provided. The valve portion 69 is disposed near the second end portion 89 away from the bend portion 13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urface mad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5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7. And a third valve body 71 and a fourth valve body 75 that are movable.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mpact valve 1 can be provided as a w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체크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밸브 본체를 분할할 필요가 없고,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밸브 본체의 당해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직접 드릴 등으로 구멍뚫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또한 강한 강도를 유지한 밸브 본체를 구비한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valve body in order to form a hole for installing a check valve as in the related art, and a dril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directly from the outer wall of the bent portion of the valve body made of a single body by a drill or the lik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having a valve body which does not increase the number of parts and maintains a strong strength.

도 1은 본 발명의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도 3은 (a) (b)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밸브 개방시의 2개의 태양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FIG. 3: (a) (b) is operation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wo aspects at the time of valve opening of a 4 circuit protection valve.

도 4는, (a)는 도 1의 IV(a)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 (b)는 동 IV(b)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 (c)는 (b)의 C-C선 단면도이다. 4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IV (a) direction of Fig. 1, (b)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IV (b) direction, (c) is (b) CC line cross-sectional view.

도 5는 도 1의 V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 direction of FIG. 1.

도 6은 도 1의 VI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I direction of FIG. 1. FIG.

도 7은 도 1의 VII방향으로부터 4서킷 프로텍션 밸브를 본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of the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from the VII direction of FIG. 1.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7.

도 9는 도 4(a)의 IX-IX선 단면도다.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of FIG. 4 (a).

도 10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7.

도 11은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회로도이다.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four circuit protection valve.

도 12는 종래의 4서킷 프로텍션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4 서킷 프로텍션 밸브 3밸브 본체1 4 Circuit Protection Valve 3 Valve Body

5 제 1 축방향 7 제 2 축방향5 1st axial direction 7 2nd axial direction

9 제 1 본체부 11 제 2 본체부9 First body part 11 Second body part

13 굴곡부 15 에어 컴프레서13 Bend 15 Air Compressor

17 에어 드라이어 19a∼19d 에어축압장치17 Air Dryer 19a ~ 19d Air Accumulator

21 제 1 실 22 입구 포트21 1st room 22 Entrance port

23 제 2 실 25 제 1 밸브부23 2nd chamber 25 1st valve part

27 제 2 밸브부 29 제 1 밸브체27 2nd valve part 29 1st valve body

30 제 2 밸브체 31 제 1 밸브시트30 2nd valve body 31 1st valve seat

33 제 2 밸브시트 35 다이어프램33 2nd valve seat 35 Diaphragm

37 개구 39 공간37 openings 39 spaces

41 코일 스프링 43 제 1 유로41 coil spring 43 1st flow path

45 제 2 유로 47 제 1 출력 포트45 2nd Euro 47 1st Output Port

49 제 2 출력 포트 51 제 1 체크밸브부49 2nd output port 51 1st check valve part

53 제 2 체크밸브부 54 체크밸브용 개구53 2nd check valve part 54 Opening for check valve

55 제 1 체크밸브체 57 제 1 체크밸브시트55 1st check valve body 57 1st check valve seat

59 제 2 체크밸브체 61 제 2 체크밸브시트59 Second check valve body 61 Second check valve seat

63 제 3 유로 67 제 3 밸브부63 3rd flow path 67 3rd valve part

69 제 4 밸브부 71 제 3 밸브체69 4th valve part 71 3rd valve body

73 제 3 밸브시트 75 제 4 밸브체73 3rd valve seat 75 4th valve body

77 제 4 밸브시트 79 제 4 유로77 4th valve seat 79 4th flow path

81 제 5 유로 83 제 3 출력 포트81 5th Euro 83 3rd Output Port

85 제 4 출력 포트 87 굴곡부의 외벽85 Fourth output port 87 Outer wall of the bend

89 굴곡부로부터 제 1 축방향을 떨어진 제 2 단부89 second end away from the ben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91 굴곡부로부터 제 2 축방향으로 떨어진 제 1 단부91 first end away from the ben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Claims (7)

입구 포트에 접속된 제 1 실과, The fir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let port, 상기 제 1 실과 각각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via a first valve portion and a second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각각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2 실과, A second se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via a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a second check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 2 실과 각각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로서,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comprising a valve body having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seal via a third valve portion and a fourth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밸브 본체는, 각각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굴곡부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설치하기 위한 체크밸브용 개구가, 상기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valve body is formed as a single body having a shape that is bent entirely in the bent portion so as to form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4.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wherein an opening for a check valve for installing a check valv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accessible from an outer wall of the curved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member. 입구 포트에 접속된 제 1 실과, The fir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let port, 상기 제 1 실과 각각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via a first valve portion and a second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와 각각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2 실과, A second se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via a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a second check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 2 실과 각각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And a valve body having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chamber via a third valve portion and a fourth val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각각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가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에 항상 눌려져서 상기 접속에 의한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제 1 실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가 각각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각각 상기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에 연통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고,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are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second valve body are always pressed against the first valve seat and the second valve seat, respectively, to close the communication by the connection. When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is above a certain pressure,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second valve body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valve seat and the second valve seat,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respectively. Openable, 상기 제 1 체크밸브부는, 제 1 체크밸브체가 제 1 체크밸브시트에 눌려져 있고, 상기 제 1 밸브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체크밸브체가 제 1 체크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 2 실에 연통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체크밸브부는, 제 2 체크밸브체가 제 2 체크밸브시트에 눌려져 있고, 상기 제 2 밸브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 2 체크밸브체가 제 2 체크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 2 실에 연통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고,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hamber away from the first check valve seat when the first check valve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check valve seat and the first valve portion is open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par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heck valve seat when the second check valve body is pressed by the second check valve seat and the second valve part is opened. Op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room, 상기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각각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가 제 3 밸브시트 및 제 4 밸브시트에 항상 눌려져서 상기 접속에 의한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가 각각 제 3 밸브시트 및 제 4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각각 상기 제 3 출력 포트 및 제 4 출력 포트에 연통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고,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fourth valve body are always pressed against the third valve seat and the fourth valve seat to close the communication by the connection, respectively. When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at a certain pressure or higher,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fourth valve body are separated from the third valve seat and the fourth valve seat,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the third output port and the fourth output port, respectively. Openable, 상기 밸브 본체는, 각각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굴곡부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된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를 설치하기 위한 채크밸브용 개구가, 상기 굴곡부의 외벽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억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valve body is formed as a single body having a shape that is bent entirely in the bent portion so as to form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check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opening for installing a check valve portion at a position accessible from an outer wall of the bent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ent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xial directio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이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ent portion is bent such that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intersect at an obtuse angle.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상기 굴곡부로부터 떨어진 제 1 단부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밸브체 및 제 2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상기 굴곡부로부터 떨어진 제 2 단부부근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으로 만들어지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3 밸브체 및 제 4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surf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are disposed near the first end portion away from the bent portion, and are mad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A first valve body and a second valve body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valve body, wherein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are disposed near a second end portion away from the bent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valve body.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comprising a third valve body and a fourth valve body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urface made in two axial directions.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제 2 밸브부, 제 3 밸브부 및 제 4 밸브부는 밸브 본체내의 상기 제 1 실 및 제 2 실 등으로 구성되는 압력매체 유로영역과, 이들 각 밸브부에서의 상기 제 1 밸브체, 제 2 밸브체, 제 3 밸브체, 제 4 밸브체 및 이것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각 가압수단의 배치 영역을 칸막이 하는 다이어프램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The pressure mediu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rst valve portion, the second valve portion, the thir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are composed of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 and the like in the valve body. The diaphragm which partitions a flow path area | region and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area of the said 1st valve body, the 2nd valve body, the 3rd valve body, the 4th valve body in these valve parts, and each pressurizing means which presses these in the direction which closes them is made.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characterized by hav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압력매체 유로영역측에, 상기 제 1 밸브시트 및 제 2 밸브시트에 접리하여 압력매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 강화밸브부 및 제 2 강화밸브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서킷 프로텍션 밸브. 7. The first reinforcement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seat and the second valve seat on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region side of the diaphragm to open and close the pressure medium flow path. A four-circuit protection valve further comprising a valve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ement valve portion.
KR1020040081651A 2003-10-27 2004-10-13 4 circuit protection valve KR1005840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6301 2003-10-27
JP2003366301A JP4507556B2 (en) 2003-10-27 2003-10-27 4 circuit protection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04A true KR20050040704A (en) 2005-05-03
KR100584000B1 KR100584000B1 (en) 2006-05-26

Family

ID=3464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51A KR100584000B1 (en) 2003-10-27 2004-10-13 4 circuit protection valv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07556B2 (en)
KR (1) KR100584000B1 (en)
CN (1) CN100594147C (en)
TW (1) TWI2387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281B2 (en) * 2006-03-20 2012-07-11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Multi-circuit protection valve
EP2674338B2 (en) * 2011-02-10 2021-10-27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Protection valve
CN103363150B (en) * 2013-08-08 2015-07-08 南京汽车集团有限公司 Four-circuit protective valve with air leakage closing protecting function
CN104142233B (en) * 2014-07-11 2016-08-17 杭州沃镭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our-loop protection valve opening pressure detecting device and detection method
CN105365803B (en) * 2015-12-10 2018-10-12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A kind of six loop protection valv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023Y1 (en) * 1966-06-22 1970-02-09
JPS502948Y1 (en) * 1968-09-05 1975-01-25
US3862782A (en) * 1973-07-27 1975-01-28 Berg Manufacturing Co Spring brake chamber control valve
JPS5419217A (en) * 1977-07-12 1979-02-13 Shinshiyuu Kikai Seisakushiyo Multiipurpose valve unit
JP2000264193A (en) * 1999-03-18 2000-09-26 Hino Motors Ltd Four-way protection valv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8793B (en) 2005-09-01
KR100584000B1 (en) 2006-05-26
CN100594147C (en) 2010-03-17
CN1611403A (en) 2005-05-04
JP2005127477A (en) 2005-05-19
JP4507556B2 (en) 2010-07-21
TW200516021A (en) 200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9250B (en) For the control cock with variable nozzle cross-sectional plane of automatic compressed air brake
US20080054208A1 (en) Elbow plug external sleeve valve
US20080271788A1 (en) Flow Rate Switching Type Flow Divider
KR102191059B1 (en) High pressure valve
KR20180071261A (en) Fluid control valve
WO2014203369A1 (en) Pressure control valve and control valve
CN102135196B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US5038671A (en) Control valve
KR100584000B1 (en) 4 circuit protection valve
US6141963A (en) Master cylinder
CN101815638A (en) Hydraulic power brake system
CN114715098B (en) Three-way electromagnetic valve and braking system for vehicle comprising same
US8453679B2 (en) Hydraulic valve device
KR102380430B1 (en) How valve assemblies, brake systems, and valve assemblies work
CN114619830B (en) Valve
US2981288A (en) Hydraulic control valves
JP2001027203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with hydraulic regenerative circuit
JP4743834B2 (en) Protection valve
US10619750B2 (en) Reverse flow check valve in hydraulic valve with series circuit
KR20200099466A (en) Solenoid valve and working machine
CN110067781B (en) Built-in valve for valve block
US10760596B2 (en) Proportional sequence valve with pressure amplification device
US20090229693A1 (en) Hydraulic valves with integral seals
CN101417652A (en) Dual seal brake control valve
KR101634113B1 (en) High pressure accumulator of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