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895A -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895A
KR20050037895A KR1020030073175A KR20030073175A KR20050037895A KR 20050037895 A KR20050037895 A KR 20050037895A KR 1020030073175 A KR1020030073175 A KR 1020030073175A KR 20030073175 A KR20030073175 A KR 20030073175A KR 20050037895 A KR20050037895 A KR 2005003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synchronous
synchronou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824B1 (ko
Inventor
김현욱
김영락
김남건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8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원할한 로밍이 가능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에 관한것으로, 전원 투입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초기 접속 이동통신망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는 1단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미리 소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여 동기 이동통신망과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2단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핸드오버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하인지를 판단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2단계에서 설정한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활성화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5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원활한 핸드오버를 수행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원할한 로밍이 가능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이다.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은 유럽을 중심으로 비동기 서비스환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 서비스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 표준으로 IMT-2000 서비스를 북미, 유럽 중심으로 각각 발전시키고 있다.
동기식(Synchronous) IMT-2000 서비스는CDMA2000 1x, CDMA2000 1x EV-DO로 서비스 형태가 발전하고 있고, 비동기식(Asynchronous) IMT-2000서비스는 WCDMA UMTS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간의 로밍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을 원활히 로밍할 수 있도록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원할한 로밍이 가능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을구비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초기 접속 이동통신망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는 1단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미리 소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여 동기 이동통신망과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2단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핸드오버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하인지를 판단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2단계에서 설정한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활성화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동기망인 WCDMA 망(1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101) 및 상기 무선국(101)을 제어하는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02)와, 상기 RNC(102)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지피알에스 서비스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03)과, GPRS망(105)을 통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인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0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RNC(102)에는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04)가 접속되고, 상기 MSC(104)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107)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107)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108)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110)가 접속된다.
한편, 동기망인 CDMA2000 망(2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01)과, 상기 BTS(20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02)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204)와 상기 PDSN(204)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이하 'DCN'이라 칭함)(209)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SC(203)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205)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205)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206)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208)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은 각각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HLR(110 및 208)을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의 HLR(듀얼 스택 홈위치등록기)를 이용하여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이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을 스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1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43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420)와, 동기식 및 비동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440)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는 무선송신을 위한 동기 무선송신부(432)와, 무선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수신부(433)와, 동기 모뎀부(434)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무선송신부(432) 및 동기 무선수신부(433)의 일측은 듀플렉서(43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동기 모뎀부(434)와 접속된다.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420) 역시 무선송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신부(422)와, 무선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와, 비동기 모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송신부(422)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의 일측은 듀플렉서(42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 모뎀부(424)와 접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공통 모듈(440)은,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 및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각 모뎀부(424 및 434)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이하 'DPRAM'이라 칭함)(441 및 442)과, 상기 DPRAM(441 및 442)과 접속되며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 및 비동기 통신의 전반적인 제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44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443)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444)와, 주변장치의 접속을 위한 I/O장치(445) 및 전력제어를 위한 전력제어모듈(이하 'PWM'이라 칭함)(446)이 접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에서는 동기무선장치(CDMA2000)(430)는 파킹모드로 설정되고, 비동기 무선장치(WCDMA)(420)는 활성화성태로 설정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에서는 비동기 무선장치(WCDMA)(420)는 파킹모드로 설정되고 동기 무선장치(CDMA2000)(430)는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기동에 따른 접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초기 전원이 투입(S10)되면 메인 프로세서(443)는 우선적으로 비동기 통신을 선택한다. 이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443)는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활성화시키고(S20), 동기 무선장치(430)를 파킹모드로 설정한다(S30).
단계 S20 및 S30에서 메인 프로세서(443)는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동기 무선장치(430)을 파킹 시킨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접속요청을 수행한다(S40).
단계 S40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는 상기 접속요청에 따라서 비동기 HLR(110)에 위치등록을 요청하고(S51), 비동기 HLR(110) 은 위치등록에 따른 응답을 회신한다(S52).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상기 접속요청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60). 이때 응답메시지에는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400)의 메인프로세서(443)는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상기 단계 S60에서의 응답을 수신한 후 접속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S71). 이때 메시지에는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기 무선장치(430)의 정보를 포함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상기 단계 S71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비동기 HLR(110)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기 무선장치(430)의 정보를 저장(S72)한다. 이때 비동기 HLR(110)은 상기 단계 S72에서의 정보를 동기 이동통신망의 HLR(208)로 전송하고(S73), 동기 HLR(208)은 비동기 HLR(1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S74)함으로써 핸드오버에 대비를 한다.
그리고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단계 S71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80)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접속설정이 완료되는데, 이동통신단말(400)은 접속설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 접속설정확인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전송한다(S90).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상기 접속설정 확인정보를 승인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S100)함으로써 모든 접속설정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통신망으로부터 동기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6은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접속한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을 벗어나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인데, 도시한 △R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과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이 겹쳐지는 구간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이 겹쳐지는 구간인 △R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가 소정값(V1) 이하로 낮아지는 상태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현재 파킹되어 있는 동기 무선장치(430)를 활성화 시키는데, 이때에는 비동기/동기 무선장치(420 및 430) 모두가 활성화 상태가 된다.
상기 활성화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의 세기가 핸드오버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V2) 이하가 되면 이동통신단말은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동통신단말은 활성화되어 있는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파킹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메인 프로세서(443)는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활성화 시키고 동기 무선장치(430)는 파킹모드로 설정한다(S110).
그리고 이동통신단말(400)의 메인 프로세서(443)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가 소정값(V1) 이하로 낮아지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단계 S120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신호가 소정값 이하로 낮아졌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으로 이동한다고 판단하고 메인 프로세서(443)는 파킹모드인 동기무선장치(430)를 활성화하고 동기 이동통신망(200)과 접속설정을 수행한다(S141). 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동기 HLR(208)로 위치등록이 발생한다(S142). 이때 동기 HLR(208)은 도 5에 도시한 단계 S74에서 저장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단말(400)의 핸드오버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해 수신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가 핸드오버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V2)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50).
단계 S150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V2)이하라고 판단되면 단계 S141에서 설정하였던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접속을 활성화 시킨다(S160).
그리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현재 접속을 해제하고(S170),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파킹모드로 제어(S180)함으로써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설명한 비동기 HLR(110)과 동기 HLR(208)은 하나의 HLR, 즉 하나의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에 의하면,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초기 전원투입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초기 접속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원활한 핸드오버를 수행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망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기동에 따른 접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통신망으로부터 동기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
도 7은 도 6에 따른 핸드오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비동기 이동통신망 200:동기 이동통신망
400:이동통신단말 410:안테나
420:비동기 무선장치 430:동기 무선장치
440:공통모듈 443:메인 프로세서

Claims (8)

  1.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을구비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초기 접속 이동통신망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는 1단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미리 소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여 동기 이동통신망과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2단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핸드오버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하인지를 판단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2단계에서 설정한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활성화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전원 투입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는 비동기 활성화 단계,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접속요청을 수행하는 접속 요청 단계,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접속요청에 따른 위치등록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로 수행하고 그 응답을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접속수행단계, 상기 접속수행단계에서의 응답을 이동통신단말이 수신하고 접속 설정완료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접속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행단계에서의 응답메시지는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완료단계는 상기 접속수행단계에서의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가능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무선장치의 정보를 상기 접속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완료단계는, 상기 접속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동기 무선장치의 정보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가 상기동기 무선장치의 정보를 동기망의 홈위치등록기로 전달/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접속완료단계 후 현재 완료된 접속설정 확인정보를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접속설정 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승인하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과 접속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설정에 따라 동기 홈위치등록기에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 한 후 비동기 무선장치의 파킹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R1020030073175A 2003-10-20 2003-10-20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KR10100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175A KR101004824B1 (ko) 2003-10-20 2003-10-20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175A KR101004824B1 (ko) 2003-10-20 2003-10-20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895A true KR20050037895A (ko) 2005-04-25
KR101004824B1 KR101004824B1 (ko) 2010-12-29

Family

ID=3724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175A KR101004824B1 (ko) 2003-10-20 2003-10-20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15B1 (ko) * 2005-12-30 2007-06-2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인터넷 모드와 무선랜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모드단말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100746412B1 (ko) * 2005-12-28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셀 구분 코드를 이용한 다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재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260B1 (en) * 1999-07-07 2002-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12B1 (ko) * 2005-12-28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셀 구분 코드를 이용한 다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재선택 방법
KR100732315B1 (ko) * 2005-12-30 2007-06-2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인터넷 모드와 무선랜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모드단말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824B1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7826846B2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487419B (zh) 通訊技術
WO2003096594A3 (en) Handover in a hybrid communications network
IL201102A (en) Quick hsdpa service cell change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US8072940B2 (en) 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37114A1 (en) Wireless data session handoff using location update message
EP15377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with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612685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KR100993454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과 그 제어방법
KR101004824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US7848754B2 (en)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7969944B2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511487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646226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
KR20050066135A (ko) WCDMA망에서 cdma 2000 1x 망으로 핸드오프를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89953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 방법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CN117641611A (zh) 通信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KR20050046290A (ko)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