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119A -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119A
KR20050037119A KR1020030072558A KR20030072558A KR20050037119A KR 20050037119 A KR20050037119 A KR 20050037119A KR 1020030072558 A KR1020030072558 A KR 1020030072558A KR 20030072558 A KR20030072558 A KR 20030072558A KR 20050037119 A KR20050037119 A KR 2005003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holder
switch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07535B1 (en
Inventor
목무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535B1/en
Publication of KR2005003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5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그 일단이 체결된 리프트의 타단이 테일게이트의 안쪽 면에 차체의 전/후방으로 길게 부착된 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조절기에 체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조절기를 상기 레일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리프트가 테일게이트에 체결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lift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is long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tailgate to the front /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moves along the rail. As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adjuster, the height of the tailgate is adjusted by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lift is fastened to the tailgate while moving the adjuster to the front / rear of the rail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가 용이하게 개방됨과 더불어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리프트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gate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trunk and tailgat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opened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lif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changed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It relates to an op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the tailgat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후방의 공간을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trunk or tailgat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utilize the spa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의 개방은 차체 방향 선단이 힌지 고정된 테일게이트 및 트렁크도어를 상기 힌지를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 보편적이다.The opening of the trunk and tailgate is generally such that the tailgate and the trunk door of which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is hinged are opened or closed by pivoting the hinge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또, 근래에 상기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테일게이트 및 트렁크도어에 리프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 등을 상부로 회동시킴에 있어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상부로 이동되어 개방된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리프트의 지지력에 의해 정지되도록 설정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by installing a lift on the tail gate and the trunk door to facilitate the opening of the trunk and tail gate to allow the user to move without applying a lot of force in rotating the tail gate to the upper, of course, The tailgate moved upward and opened is set to be stoppe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lift in the open position.

여기서, 상기 리프트는 압축가스 등의 반력을 갖는 물질이 삽입됨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고정력이 폐지됨과 동시에 상기 테일게이트가 상부로 이동되려는 반력을 받게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최 정점에 위치되어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리프트의 반력에 상기 테일게이트가 지지된다.Here, as the lift is insert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action force, such as compressed gas, the fixed force of the tailgate is abolished and at the same time the tailgate is subjected to the reaction to move upward, the tailgate is located at the top and opened Even in the state, the tailgate is support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lift.

그러나 상기와 같이, 테일게이트가 리프트의 반력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테일게이트를 내려 눌러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폐쇄를 이루도록 되는 바, 상기 테일게이트가 높게 개방된 경우,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적절히 파지하지 못 하거나, 소정 이상의 압력을 가할 수 없을 정도로 되어 상기 테일게이트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s the tailgate is support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lift, the user pushes the tailgate down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o achieve the closing of the tailgate. When the tailgate is opened high, the user ta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ate is not properly gripped or the pressure cannot be applied at a predetermined level, making the use of the tailgate inconvenient.

또한, 종래 구조에 따른 테일게이트는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출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사용자 중에서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는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내부로 머리를 숙이고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자 중에서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폐쇄조작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does not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adapted to the various body conditions of the user, a relatively tall user of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ow the head inside the open tailgate, among the users A relatively short user has a problem in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ailgate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는 높이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ailgate open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선단이 체결된 조절기가 테일게이트의 안쪽 면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er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ift is moved and fixed along the rail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tailgate long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레일의 선단이 수직으로 굴곡되어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조절기의 하우징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rail is bent vertically to form a guide, and the guide groove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guid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of the regulator so that the guide is inserted and supported.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레일의 중앙부에 조절구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 조절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더가 상기 조절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and a hold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djus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조절기에 스프링의 반력을 억압하면서 삽입되는 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와 상기 홀더에 걸쳐 지렛대가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삽입에 따라 상기 지렛대가 작동되어 상기 홀더를 조절구에서 이탈시켜 상기 조절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is inserted into the regulator while suppress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spring is installed, the lever is installed across the switch and the holder is operated the leve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switch to adjust the holder Breaking away from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3)가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3)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리프트(2)에 의해 지지되는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에 높이조절장치(3)가 부착된다.1 shows that the height adjust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gate 1, and FIGS. 2 to 6 show the height adjust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3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gate 1 supported by the lift 2.

상기 테일게이트(1)는 자동차의 차체 후방의 개구면을 덮어 막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일게이트(1)의 전방 일단이 상기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 결합된 일단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tail gate 1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of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he front end of the tail gate 1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coupled end axis To be installed.

상기 리프트(2)는 그 일단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테일게이트(1)의 높이조절장치(3)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그 내부에 반력을 갖는 압축가스 또는 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상기 차체 및 테일게이트(1)에 접합된 양단을 상호 가압하도록 형성된다.One end of the lift 2 is rotatably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lift 2 is rotatably fixed to the height adjusting device 3 of the tailgate 1, and a compressed gas or spring having a reaction force therein. It is provided so as to mutually press the both ends join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tailgate (1).

상기 높이조절장치(3)는 상기 테일게이트(1)의 전/후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레일(10)과, 하우징(20)과, 덮개(30)와, 링크(40)와, 지렛대(50)와, 스위치(60)와, 홀더(70) 및 지지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device 3 is installed in the front / rear of the tail gate 1 is installed, the rail 10, the housing 20, the cover 30, the link 40, the lever ( 50, the switch 60, the holder 70, and the support plate 80 are comprised.

상기 레일(10)은 상기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에 차체에 대해 전/후방으로 길게 배열되어 부착되며, 상기 리프트(2)가 접하는 차체의 일측에 부착된다. 또, 상기 레일(10)은 가이드(11)와, 조절구(12)와, 체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ail 1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gate 1 in a long direction in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in contact with the lift 2. In addition, the rail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11, the adjustment hole 12, and the fastening portion (13).

상기 레일(10)은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에 부착되며, 그 양단이 수직으로 굴곡되어 격벽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격벽의 선단이 재차 중심방향으로 수직 굴곡되면서 상기 가이드(11)가 형성되어 그 일측면 중앙부만이 개방된 직사각형 관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ail 10 forms a plate shape and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tail gate 1, and both ends thereof are vertically bent to protrude into a partition wall shape, and the guide of the partition wall is vertically bent again toward the center direction. (11) is formed and is formed in the rectangular tubular shape in which only one side center part is opened.

상기 조절구(12)는 상기 레일(10)의 테일게이트(1) 접합면 중앙부에 상기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원형으로 개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조절구(12)의 간격이 일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증가되거나 축소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그 중심부의 간격이 외측부의 간격보다 넓거나 좁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unit 12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joint surface of the tail gate 1 of the rail 10 is opened in a circular shape and satisfies all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in this embodiment It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as to, depending 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interval of the control opening 12 is gradually increased or reduced in one direction, the center interval is formed to be wider or narrower than the interval of the outer portion Of course it can be.

상기 체결부(13)는 상기 레일(10)의 양끝단에서 판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상기 테일게이트(1)와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거나 용접이 가능하도록 판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The fastening part 13 protrudes outward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rail 10 and bolt holes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be bolted to the tail gate 1 or protruded in a plate shape to enable welding. The par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gate (1).

상기 하우징(20)은 그 일면이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11)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한 쌍의 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20)은 링크홀(22)과 스위치홀(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링크홀(22)은 후술하는 링크(40)가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링크(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개구된다.One side of the housing 20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a pair of guide grooves 21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guide 11 so that the guide 11 is inserted and supported on both sides thereof. ) Is formed. In addition, the housing 20 includes a link hole 22 and a switch hole 23, and the link hole 22 has a cross section of the link 40 such that a link 4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and protrudes. It is opened in the same rectangle as the shape.

또한, 상기 링크홀(22)은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면 반대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홀(23)은 후술하는 스위치(60)가 삽입되도록 상기 링크홀(22)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상기 하우징(20) 외측면에서 내부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함몰 및 개구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ink hole 2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the switch hole 23 is formed with the link hole 22 so that the switch 6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s recessed and opened.

상기 덮개(30)는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면을 덮어 막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후술하는 홀더(70)가 관통되도록 홀더홀(31)이 형성된다.The cover 30 is formed to form a rectangular plate shape so as to cover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 holder hole 31 is formed so that the holder 7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링크(40)는 상기 덮개(30)의 일측 중앙부에서 직사각형의 봉형상을 이루고 상기 덮개(3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리프트(2)의 핀홀과 핀으로 열결되도록 핀홀이 개구된다. 또, 상기 링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가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링크홀(22)을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소정폭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link 40 forms a rectangular rod shape at on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30 and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ver 30, and the pinhole is connected to the pinhole and the pin of the lift 2. Open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link 40 includes the housing 20 through a link hole 22 formed in the housing 20 while the cove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 It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width outward.

상기 지렛대(50)는 후술하는 스위치스프링(61)과 홀더(70)의 일측단에 걸쳐지도록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30)의 안쪽면 중앙부에서 상기 덮개(3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지렛대받침(51)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렛대받침(51)의 선단은 반원형 단면을 이루고 형성되며, 이 지렛대받침(51)의 선단이 상기 지렛대(50)의 중앙부에 핀 등을 매개로 접합되어 상기 지렛대(50)가 상기 지렛대받침(51)의 선단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The lever 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so as to span one end of the switch spring 61 and the holder 70 to be described later, perpendicular to the cover 30 in the inner center of the cover 30 Plate-like in the direction is coupled to be rotatable to the tip of the projecting lever support (51). Here, the tip of the lever support 51 is formed to form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the tip of the lever support 51 is joined to the center of the lever 50 via a pin or the like so that the lever 50 is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 The tip of 51 can be rotated about an axis.

상기 스위치(6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안쪽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봉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스위치홀(2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하우징(20)의 스위치홀(23)에 삽입됨과 더불어 사용자가 누르도록 된 판 형상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표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하우징(20)의 스위치홀(23)에 삽입됨과 더불어 봉 부분의 선단이 상기 덮개(30)의 안쪽면에 체결된 스위치스프링(6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된다.The switch 6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rod is protru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er to be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23 of the housing 20. In addition, the switch 60 is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23 of the housing 20 and is installed such that a plate-shaped portion which is pressed by the user is expres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 In addition, the switch 60 is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23 of the housing 20 and the tip of the ro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witch spring 61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 do.

이때,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 선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60)의 봉 부분선단이 상기 하우징(20)의 스위치홀(23)을 통해 삽입되고, 이 삽입된 스위치(60)의 선단이 상기 덮개(30)의 안쪽면에 체결된 스위치스프링(61)의 끝단에 걸쳐진 지렛대(50)의 일측면에 접해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탄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od end of the switch 60 is inserted into the rod end of the switch 60 through the switch hole 23 of the housing 20. The tip of the switch 6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ever spring 50 across the end of the switch spring 61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 by elasticity of the switch spring 61 Supported.

상기 홀더(70)는 상기 덮개(30)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더홀(31)에 삽입되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끝단에 상기 스위치(60)의 형성과 유사한 판이 상기 봉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홀더(70)는 상기 하우징(20)의 중앙부 안쪽면에 채결된 홀더스프링(71)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홀더(70)가 항상 상기 홀더홀(31)의 방향으로 밀리도록 체결되며,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이 상기 홀더홀(3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70)가 덮개(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holder 70 is formed in a rod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31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30, the plate similar to the formation of the switch 60 at the end thereof is perpendicular to the rod It is formed by bonding. In addition, the holder 7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holder spring 71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20 so that the holder 70 is alway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holder hole 31. Is fastened,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der hole 31 is formed so that the holder 70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이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선단에 걸쳐진 지렛대(50)의 타단이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과 홀더홀(31)의 사이에 걸쳐져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을 상기 홀더스프링(71)의 탄력을 억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3 and 5,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one end of which extends across the tip of the switch spring 61, is disposed between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and the holder hole 31. As shown in FIG.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is supported while supporting the elasticity of the holder spring 71.

상기 지지판(80)은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1)과 상기 덮개(30)의 사이 지점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에서 상기 하우징(20)이 삽입되는 레일(10)의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다.The support plate 80 is formed to protrude and form a plate outward from the point between the guide groove 21 and the cover 30 of the housing 20, the housing 20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0 ) Is protru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10 is inserted.

또, 상기 지지판(80)은 상기 하우징(20)에서 상기 레일(10)의 안쪽면 상/하 모서리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 일지점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사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이 레일(10)의 내부에서 이동됨이 용이하도록 탄력적인 재질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80 protrudes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0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10 in the housing 20. And the housing 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which can be slidably moved so as to be easily moved inside the rail 10.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a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tailgat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조절기(4)가 레일(10)에 끼워지면서 상기 레일(10)의 가이드(11)가 상기 조절기(4) 하우징(20)의 가이드홈(21)에 끼워져 그 상/하단이 지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adjuster 4 is fitted to the rail 10, the guide 11 of the rail 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1 of the adjuster 4 housing 2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supported. do.

또,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1)과 레일(10)의 가이드(11)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레일(10)의 가이드(11)에 지지되면서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된다.In addition, a minute gap is formed between the guide groove 21 of the housing 20 and the guide 11 of the rail 10 so that the housing 20 is supported by the guide 11 of the rail 10 freely. To be moved.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가이드(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의 안쪽면 중앙부에 체결된 홀더스프링(7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홀더(70)가 하우징(20)의 개방면을 덮어 막은 덮개(30)의 홀더홀(31)을 통해 탄력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30)의 외측으로 돌출된 홀더(70)의 봉 부분이 상기 가이드(11)에 끼워진 덮개(30)의 외측에 배열된 다수개의 조절구(12) 중 어느 한 조절구(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holder 70,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older spring 71 fasten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while the housing 20 is fitted to the guide 11, is an open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 rod portion of the cover 30 is elastically protruded through the holder hole 31 of the cover 30 covering the cover 30, and the rod portion of the holder 70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 30 is fitted to the guide 11. 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penings 12 arranged on the outside.

상기 홀더(70)가 상기 조절구(12)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홀더(70)가 조립된 홀더홀(31) 및 덮개(30)와 하우징(20)이 상기 홀더(70)의 고정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기(4)가 상기 레일(10)의 일지점에 고정된다.As the holder 70 is fixed to the adjusting hole 12, the holder hole 31, the cover 30, and the housing 20, to which the holder 70 is assembled, ar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holder 70. The regulator 4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rail 10.

상기 조절기(4)가 상기 레일(10)의 일 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기(4)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링크(40)에 차체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리프트(2)가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A lift in which one end of the adjuster 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er 4 is fixed at one point of the rail 10 to a link 40 protruding outward of the adjuster 4 housing 20 ( 2) is fastened so that it can rotate through a pin.

따라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1)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테일게이트(1)의 차체 고정력을 폐지하면 상기 차체에 고정된 리프트(2)의 내부 압축가스 등이 팽창되면서 상기 리프트(2)의 길이가 확장되고, 상기 리프트(2)가 확장되면서 상기 리프트(2)의 선단에 체결된 조절기(4)에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조절기(4)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조절기(4)가 고정된 레일(10)에 전달되고, 상기 레일(10)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레일(10)이 부착된 상기 테일게이트(1)의 안쪽면을 밀어 상기 테일게이트(1)를 상기 차체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s required to open the tailgate 1, when the body body holding force of the tailgate 1 is abolished, the internal compressed gas of the lift 2 fixed to the vehicle body is expanded and the lift 2 Is extended, the lift (2) is extended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gulator (4)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lift (2),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gulator (4) is fixed to the regulator (4)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ails 10 to push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gate 1 to which the rails 10 are attached to separate the tailgate 1 from the vehicle body. do.

또, 상기 테일게이트(1)의 개방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변경해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기(4)를 상기 레일(10)을 따라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프트(2)가 최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차체와의 각도를 변경시켜 상기 테일게이트(1)의 개방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gate 1 needs to be changed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the adjuster 4 is moved forward or rearward along the rail 10 by the user's selective manipulation. By changing the angle with the vehicle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lift 2 is extended to the longest,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 gate 1 is adjusted.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조절기(4)가 이동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레일(10)에 고정된 조절기(4)의 하우징(20) 외측으로 돌출된 스위치(60)를 누르고, 상기 스위치(60)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스위치(60)가 상기 하우징(20)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위치(60)가 하우징(20)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60) 봉 부분이 접한 지렛대(50)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controller 4 is mov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60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20 of the controller 4 fixed to the rail 10, the switch 60 As is pressed, the switch 6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20, and the switch 6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20, so that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is moved to the housing 20. ) Is moved inside, and one end of the lever 50 in contact with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is moved inside the housing 20 as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is moved into the housing 20. I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이때,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에 의해 눌려지는 지렛대(50)는 상기 덮개(30)에 체결된 스위치스프링(6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탄력이 억압되면서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수축된다.In this case, the lever 50 pressed by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is moved by the switch 60 in a state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witch spring 61 fastened to the cover 30. As the elasticity of the switch spring 61 is suppressed, the switch spring 61 is con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상기 지렛대(50)의 일단이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렛대(50) 받침에 의해 지렛대(50)의 타단이 상기 덮개(3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As one end of the lever 5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ver 30 by the support of the lever 50.

상기 지렛대(50)의 타단이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렛대(50)의 타단이 걸쳐진 홀더(70)의 판 부분 안쪽에 상기 지렛대(50) 타단에서 힘이 전달되어 상기 홀더(70)가 상기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As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to the inside of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spread over the holder ( 7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id 30.

이때,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은 홀더스프링(7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는바, 상기 지렛대(50)의 이동에 따른 가압력이 상기 홀더스프링(71)의 탄력을 억압하면서 상기 홀더(70)를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older spring 71, the pressing for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50 suppresses the elasticity of the holder spring 71 while holding the holder ( 7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ver (30).

상기 홀더(70)가 상기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더(70)의 봉이 상기 레일(10)의 조절구(12)에서 이탈되고, 상기 홀더(70)가 레일(10)의 조절구(12)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홀더(70)가 취부된 조절기(4)가 상기 레일(10)의 가이드(11) 상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된다.As the holder 7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rod of the holder 70 is released from the adjusting opening 12 of the rail 10, the holder 70 is rail 10 The controller 4, on which the holder 70 is mounted, may be freely moved on the guide 11 of the rail 1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adjusting hole 12 of the).

상기 조절기(4)의 홀더(70)에 의한 고정력이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기(4)가 상기 레일(10)의 가이드(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10)의 형상을 따라 소정폭 이동되고, 상기 조절기(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스위치(60)에 대한 가압력을 폐지하게 된다.The rail 10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er 4 is supported by the guide 11 of the rail 10 by a selective manipulation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force by the holder 70 of the adjuster 4 is abolished. A predetermined width is moved along the shape of), and the user who moves the adjuster 4 to a desired position cancels the pressing force on the switch 60 held by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스위치(60)에 대한 가압력이 폐지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이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탄력을 억압하고 있던 억압력이 폐지되고,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억압력이 폐지되면서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이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확장에 의해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선단에 접한 지렛대(50)의 일단이 상기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렛대(50)의 일단이 이동되면서 상기 지렛대(50)의 일단에 접한 상기 스위치(60)의 봉 부분이 상기 하우징(2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 상기 스위치(60)가 최초 위치로 이동된다.As the pressing force of the switch 60 of the user is abolished, the pressing force of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suppressing the elasticity of the switch spring 61 is abolish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witch spring 61 is eliminated. The cover spring 61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ver 30 while being closed, and one end of the lever 50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witch spring 61 by the expansion of the switch spring 61 is the cover. The rod portion of the switch 60 which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30 and the one end of the lever 50 is in contact with the one end of the lever 50 is pushed outward of the housing 20 so that the switch 6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또, 상기 스위치스프링(61)의 확장에 의해 지렛대(50)의 일단이 덮개(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지렛대(50)의 타단이 지렛대받침(51)을 축으로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회동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lever 5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ver 30 by the expansion of the switch spring 61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the cover 30 around the lever support 51 as the shaft 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상기 지렛대(50) 타단이 덮개(30)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지렛대(50) 타단이 지지하고 있는 홀더(70)의 판 부분에 대한 가압력이 폐지되고, 상기 홀더(70)에 대한 지렛대(50)의 가압력이 폐지됨에 따라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에 의해 억압된 홀더스프링(71)이 상기 하우징(20)의 안쪽면에서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홀더스프링(71)이 확장되면서 상기 홀더스프링(71)의 선단에 접한 상기 홀더(70)의 판 부분이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As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pressing force on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lever 50 is abolished, and the lever 50 against the holder 70 is closed. As the pressing force of) is closed, the holder spring 71 suppressed by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the holder spring 71 ),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70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holder spring 7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상기 홀더(70)가 상기 덮개(30)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홀더(70)의 봉 부분이 상기 덮개(30)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레일(10)의 조절구(12) 중에서 또 다른 조절구(12)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기(4)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레일(10) 부에 재차 고정된다.As the holder 7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rod portion of the holder 70 protrudes outward of the cover 30, and at the same time, another of the adjusting holes 12 of the rail 10. The adjuster 4 is inserted into the adjuster 12 and fixed to the rail 10 at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again.

따라서, 상기 조절기(4)가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차체에 연결된 리프트(2)가 상기 링크(40)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2)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2)에 의해 개방되는 테일게이트(1)의 개방 높이가 조절된다.Therefore, as the lift 2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s connected to the link 40 at the position where the adjuster 4 is move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ift 2 i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lift 2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gate 1 which is opened by it is adjusted.

또,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판(80)이 상기 레일(10)의 상/하 모서리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조절기(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절기(4)의 이동시에 레일(10)의 가이드(11) 등 타부재와의 간섭이 저감되고, 상기 지지판(8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기(4)의 레일(10) 내에서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80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20 is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rail 10, so that when the adjuster 4 is moved, the adjuster 4 is moved.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such as the guide 11 of the rail 10, is reduced, and the movement in the rail 10 of the regulator 4 is performed smoothly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8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가 리프트의 설치각도 변화에 따라 변경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 g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if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의 조절기 스위치에 대한 단순조작만으로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를 변경하도록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gate only by a simple operation on the adjuster switch of the us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부분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tailgate portion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부분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 switch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부분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d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 - 테일게이트 2 - 리프트1-Tailgate 2-Lift

3 - 높이조절장치 4 - 조절기3-Height adjuster 4-Adjuster

10 - 레일 11 - 가이드10-rail 11-guide

12 - 조절구 13 - 체결부12-Adjuster 13-Fasteners

20 - 하우징 21 - 가이드홈20-housing 21-guide groove

22 - 링크홀 23 - 스위치홀22-link hole 23-switch hole

30 - 덮개 31 - 홀더홀30-Cover 31-Holder Hole

40 - 링크 50 - 지렛대40-Link 50-Crowbar

51 - 지렛대받침 60 - 스위치51-Crowbar Support 60-Switch

61 - 스위치스프링 70 - 홀더61-switch spring 70-holder

71 - 홀더스프링 80 - 지지판71-Holder Spring 80-Support Plate

Claims (2)

테일게이트의 안쪽면에 부착되고, 그 중앙부에 다수개의 조절구가 개구되며, 상기 테일게이트에 부착된 면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2회 굴곡되어 그 중앙방향으로 굴곡된 가이드가 형성된 레일;A rail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tailgate, a plurality of adjustment openings being open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guide bent two times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surface attached to the tailgate to be curved in the center direction thereof; 상기 레일의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그 양측면에서 상기 가이드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그 바깥면 일측에 링크홀이 개구되며, 상기 바깥면 타측에 스위치홀이 개구되며, 상기 링크홀과 스위치홀이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룬 하우징;Guide groove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uide shape and recessed inwardly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fitted to the guides of the rails, and a link hole is opened at on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witch hole is opened at the other outer surface thereof. A box-shaped housing in which an opposit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link hole and the switch hole is formed is opened;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에 덮어지도록 판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앙부에 홀더홀이 개구된 덮개;A cover in which a holder hole is opened at a center thereof in a plate shape so as to cover an open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덮개의 상기 하우징 링크홀 형성방향 일측 안쪽면에서 봉형상을 이루고 상기 덮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차체에 결합된 리프트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A link that forms a rod shape at on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link hole forming direction of the cover and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ver so that one end of a lift coupled to the vehicle body is rotatable; 상기 하우징의 스위치홀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외측으로 판 형상부분이 표출되고, 봉 부분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체결된 스위치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는 스위치;A switch inserted into the switch hole of the housing to expose a plate-shape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rod portion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witch spring faste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상기 덮개의 홀더홀에 삽입되어 봉 부분이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레일의 조절구에 삽입되고, 판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안쪽면에 체결된 홀더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는 홀더;A holder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of the cover, the rod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 and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of the rail, and the plate portion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 holder spring faste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스위치와 홀더의 사이 지점의 덮개 안쪽면에서 판형상으로 돌출된 지렛대받침에 의해 그 중심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렛대받침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면서, 그 일단이 상기 스위치스프링의 선단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홀더의 판 부분 안쪽에 접하도록 된 판 형상의 지렛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is protruded in a plate shap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etween the switch and the holder so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rotatable about the shaft, and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witch spring. Opening height adjustment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plate-shaped lever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late portion of the hold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상기 레일의 안쪽 모서리부에 이르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An opening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protrudes from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reach the inner edge of the rail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KR10-2003-0072558A 2003-10-17 2003-10-17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KR100507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58A KR100507535B1 (en) 2003-10-17 2003-10-17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58A KR100507535B1 (en) 2003-10-17 2003-10-17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19A true KR20050037119A (en) 2005-04-21
KR100507535B1 KR100507535B1 (en) 2005-08-17

Family

ID=3724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58A KR100507535B1 (en) 2003-10-17 2003-10-17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5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607A (en) * 2018-01-30 2018-07-06 深圳市奥天星汽车配件有限公司 The electronic opening/closing system of automobile tru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607A (en) * 2018-01-30 2018-07-06 深圳市奥天星汽车配件有限公司 The electronic opening/closing system of automobile tru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535B1 (en)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2443A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vehicular storage device
KR20130102132A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JP2016205128A (en) Guide device for sliding door
US20070145760A1 (en) Vehicle door container holder
US6899364B2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KR100507535B1 (en) Adjust the height Device of tail gate for an Automobile
JPH11270211A (en) Door-opening stopper device for automobile
JP2013542349A (en) Sliding door roller guides and arrangement of sliding door roller guides in furniture
KR100507534B1 (en) Pressure Device of Door Checker for an Automobile
KR200156281Y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nsole box of an automobile
KR100535764B1 (en) structure of stopper in a glove box
JP7323398B2 (en) Primary lever for wiper blade
KR100525637B1 (en) Rear shelf trim assembly
KR100535494B1 (en) A preventive device of open a door for an Automobile
KR100328985B1 (en) quarter glass regulator for a motor vehicle
KR200456509Y1 (en) Open angle control device of the window
KR100527134B1 (en) Hood opening angle regulation structure in an automobile
KR100521931B1 (en) A 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for an automobile
JPS6214304Y2 (en)
KR200145330Y1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rm rest for a car
KR100535601B1 (en) Locking device for tail gate of truck
KR0115990Y1 (en) A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n armrest in a car
JPS6114537Y2 (en)
JP4429485B2 (en) Front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for in-vehicle equipment
KR200184217Y1 (en) Hin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