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658A -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658A
KR20050036658A KR1020030072371A KR20030072371A KR20050036658A KR 20050036658 A KR20050036658 A KR 20050036658A KR 1020030072371 A KR1020030072371 A KR 1020030072371A KR 20030072371 A KR20030072371 A KR 20030072371A KR 20050036658 A KR20050036658 A KR 2005003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ower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658A/ko
Publication of KR2005003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에서 외부노출단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본 발명은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에서 외부노출단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은 도 1a와 같이 이온(Li-ion)으로 이루어지는 셀(104)과, 과충전 및 과방전에 대비하여 배터리 팩의 전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106), 출력단자(108)로 구성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의 접촉단자(102)를 통해 배터리 팩이 장착된다.
배터리 팩의 전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106)를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참조하면, 보호회로(106)는 배터리 팩의 전원인 전원부(200), 제어부(202), 방전 제어 스위치(204), 충전 제어 스위치(206), 온도 검출을 위한 소자(2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202)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착/탈됨에 상관없이 방전 제어 스위치와 충전 제어 스위치(206)가 쇼트(short)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과충전 및 과방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과충전이 인지되면 충전 제어 스위치(206)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하고, 과방전이 인지되면 방전 제어 스위치(204)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02)로는 세이코사(seiko instrument)의 S-8321칩이 사용된다.
또한, 출력단자(108)는 배터리 팩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출력단자(208), 온도 검출을 위한 온도검출단자(210), 전용 배터리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단자(212), 그라운드 단자(214)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착/탈됨에 상관없이 보호회로(106)에서 전원부(200)의 전원이 출력단자(208)로 출력되어 접촉 단자의 전원은 탈착 시에도 그대로 출력 전압이 나오고 있으므로 휴대나 취급 시에 금속물과 이물질에 의해 쇼트(short)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었다.
상기한 도 2와 같은 보호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촉단자(512)를 하나 더 추가하여 이 추가된 단자의 상태를 검출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이면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1a와 같은 배터리 팩의 출력단자(208, 210, 212, 214)에 접촉단자(302)를 더 구비한다. 또한, 배터리 팩은 전원제어를 위한 보호회로(3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회로(304)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304)와 출력단자(208, 210, 212, 214)에 전원 제어를 위해서 접촉단자(302)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접촉단자(302)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 시에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접촉단자(302)를 통해 그라운드 단자(214)와 연결되도록 하여 배터리 팩이 이를 검출하여 전원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제어회로(420)를 더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은 추가적인 단자가 필요하므로 공간적인 면에서 불리하다. 현재 초슬림(slim)화 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팩 뿐만 아니라 단말기 본체에도 큰 공간을 소모하게 되어 설계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 체인(chain)형 목걸이 등과 함께 보관 시 이 제어 단자도 함께 쇼트(short)되면 역시 열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는 존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팩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 팩의 전원출력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전원출력단자가 금속물에 닿으면 쇼트(Short)나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 화재나 폭발 및 인체 상해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원 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은 추가적인 단자가 필요하므로 공간적인 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체인형 목걸이 등과 함께 보관 시 제어 단자도 함께 쇼트(short)되면 역시 열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탈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시에 방전 제어 스위치와 충전 제어 스위치를 동시에 턴 오프(turn off)시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제어 단자 추가없이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탈 감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원제어장치는 착/탈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안전성과 누설전류를 위하여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시에 배터리 출력 단자의 전원을 제어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의 쇼트(Short)와 누설 전류를 방지하여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단말기에서 분리될 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off)시켜 안전성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또는 충전기에 장착되는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팩 내부에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충전기와의 착/탈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로 홀 스위치(Hall switch)(500)를 삽입하고, 도 5b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는 배터리 팩의 홀 스위치(Hall switch)(600)와 대응되는 부분에 자석(504)을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자석(504)은 배터리 팩의 착/탈 감지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또한, 도 5c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 이외에도 충전기에 배터리 팩의 홀 스위치(Hall switch)(600)와 대응되는 부분에 자석(504)을 삽입하여 충전기에 장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 배터리 팩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 배터리 팩을 착/탈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의 자석과 이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내부의 홀 스위치(500)를 구비한 후, 단말기에서 배터리 팩이 분리될 시에 자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off)시키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50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502)는 전원부(604), 착/탈 감지부(500), 전원 제어부(600), 방전 제어 스위치(606), 충전 제어 스위치(608), 그라운드 단자(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단자(208)는 배터리 팩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인 전원출력단자, 온도검출단자, 전용 배터리 인식단자를 포함한다. 전원부(604)는 일반적으로 이온(Li-ion) 배터리를 사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 착/탈 감지부(500)는 도 5a의 홀 스위치(hall switch)로 도 5b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자석(504)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됨을 감지하여 전원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면 본체(100)의 자석에 의해 배터리 팩의 착/탈 감지부(500)를 동작시켜 착/탈 감지부(500)의 출력이 로우(low)로 전원 제어부(600)로 출력되고,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리되면 착/탈 감지부(500)의 출력이 하이(high)로 전원 제어부(600)에 출력된다.
이를 수신한 전원 제어부(600)는 감지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 장착됨을 알리는 감지신호이면,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단말기 본체에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600)는 감지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서 분리됨을 알리는 감지신호이면,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의 전원은 차단되게 된다. 이때, 착/탈 감지부(5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 장착됨을 알리는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제어부(600)는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를 둘 다 쇼트(short) 즉, 턴 온(turn on)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때 각각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는 원래의 기능인 과방전과 과충전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원 제어부(600)는 과충전 및 과방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과충전이 인지되면 충전 제어 스위치(608)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하고, 과방전이 인지되면 방전 제어 스위치(606)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전원 제어부(600)로는 맥심(Maxim)사의 DS-276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착/탈 감지부(5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 분리됨을 알리는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제어부(600)는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를 둘 다 오픈(open) 즉, 턴 오프(turn off)시켜 출력 단자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장작되지 않은 상태의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의 쇼트와 누설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단말기에서 분리될 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내부의 보호회로(502)에 착/탈 감지부(500)를 구비하며, 구체적으로 착/탈 감지부(500)는 홀(hall)효과를 이용한 홀 스위치(hall switch)와 이를 동작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된 자석(504)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보호회로(502)를 참조하면, 전원부(604), 전원 제어부(600)와 전원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인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자석(504)을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500)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는 MOSFET로 구성되고, 착/탈 감지부(500)는 홀 스위치(Hall effect switch)로 구성된다.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될 시에는 본체(100)의 자석(504)에 의해 배터리의 홀 스위치(500)를 동작시켜 홀 스위치(500)의 출력이 로우(low)가 되어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단말기 본체(100)에 공급되게 한다. 즉,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되면 착/탈 감지부(500)는 본체(100)의 자석(504)에 의해 본체(100)에 장착됨을 인지하고 장착 감지신호를 전원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이를 수신한 전원 제어부(600)는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를 둘 다 쇼트(short) 즉, 턴 온(turn on)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원부(604)의 전원을 단말기 본체(100)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서 분리될 시에는 배터리의 홀 스위치(500)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어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서 분리되면 착/탈 감지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로부터 분리됨을 인지하고, 분리 감지신호를 전원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이를 수신한 전원 제어부(600)는 방전 제어 스위치(606)와 충전 제어 스위치(608)를 둘 다 오픈(open) 즉, 턴 오프(turn off)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서 분리될 시에는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원부(604)의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시에 방전 제어 스위치와 충전 제어 스위치를 동시에 턴 오프(turn off)시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켜 안정성을 높인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착/탈 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충전기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충전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모두 오픈(open)시켜 배터리 팩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시에 방전 제어 스위치와 충전 제어 스위치를 동시에 턴 오프(turn off)시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 팩이 외부의 금속물이나 이물에 의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제어 단자 추가 없이도 배터리 전원을 제어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3b는 종래의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종래의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또는 충전기에 장착되는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 가능한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Claims (10)

  1.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와,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착/탈 감지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를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감지부는,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구동부가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됨을 인지하여 장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리됨을 인지하여 분리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탈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장착신호이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모두 쇼트(short)시키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분리신호이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모두 오픈(ope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6.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동부를 구비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 수납부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상기 구동부가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됨을 인지하여 장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리됨을 인지하여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착/탈 감지부와,
    상기 착/탈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장착신호이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모두 쇼트(short)시키고,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분리신호이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모두 오픈(ope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8.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를 동작시키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분리됨이 감지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9.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착/탈됨을 감지하기 위한 착/탈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터리 착/탈 감지부를 동작시키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장착신호이면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모두 쇼트(short)시켜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분리신호이면 상기 충전 및 방전 제어스위치를 모두 오픈(open)시켜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KR1020030072371A 2003-10-16 2003-10-16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50036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371A KR20050036658A (ko) 2003-10-16 2003-10-16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371A KR20050036658A (ko) 2003-10-16 2003-10-16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658A true KR20050036658A (ko) 2005-04-20

Family

ID=3723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371A KR20050036658A (ko) 2003-10-16 2003-10-16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6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38B1 (ko) * 2005-10-12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회로 장치
WO2019085234A1 (zh) * 2017-10-31 2019-05-09 深圳易马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及其电池防拆卸保护电路
WO2022019602A1 (ko) * 2020-07-24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의 전압 측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38B1 (ko) * 2005-10-12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회로 장치
WO2019085234A1 (zh) * 2017-10-31 2019-05-09 深圳易马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及其电池防拆卸保护电路
WO2022019602A1 (ko) * 2020-07-24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의 전압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1547A (ko) 배터리 보호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CN102055221B (zh) 电池组
JPH10112939A (ja) 電源切替回路
US6115277A (en) Battery charger adapter for military vehicles
US81438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harging a battery power supply unit for a bicycle electronic device
KR101093982B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50107032A (ko) 배터리 팩
EP1343241B1 (en) A battery protection circuit
JPH07241040A (ja) 電池パック及び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方式
US7923968B2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rechargeable power supply device
JP2002208443A (ja) パック電池
KR20050036658A (ko)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JP5288435B2 (ja) 二次電池パック
JPH1028334A (ja) 二次電池パックおよび充放電システム
EP1227533A2 (en) Secondary battery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an overdischarge of the same
KR100580381B1 (ko) 2차전지의과충전방지회로
KR100579414B1 (ko) 전지팩용 보호회로 장치
KR100548431B1 (ko)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KR20180092062A (ko)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JP3829307B2 (ja) 制御端子付き電池パック
KR20180097345A (ko) 배터리 보호회로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200728Y1 (ko) 전원용 커패시터의 전력사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장치
KR1014211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50078285A (ko) 배터리 팩의 충방전 회로
JP2002330546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