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826A -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 Google Patents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826A
KR20050035826A KR1020040036509A KR20040036509A KR20050035826A KR 20050035826 A KR20050035826 A KR 20050035826A KR 1020040036509 A KR1020040036509 A KR 1020040036509A KR 20040036509 A KR20040036509 A KR 20040036509A KR 20050035826 A KR20050035826 A KR 20050035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4841B1 (en
Inventor
김선채
Original Assignee
김선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채 filed Critical 김선채
Priority to EP0402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1524749A3/en
Priority to US10/960,939 priority patent/US20050078423A1/en
Priority to JP2004298674A priority patent/JP2005119652A/en
Publication of KR20050035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8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전원 공급 제어기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있어서, (1)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와, (2)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전자 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powered from a battery of a vehicle. The power supply controller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apparatus, comprising: (1) a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fluctuation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2) if the voltage fluctuation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powered from a battery of a vehicle.

차량이 출시된 후 소위 애프터 마켓(after market)에서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자동차의 파워 아웃렛(power outlet) 소위 시가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방법과, 자동차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방법이 있다.After the vehicle is launched, the so-called after-market powers the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vehicle, which are powered by the vehicle's power outlet, the so-called cigar jack, and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ere is a way to get power by connecting directly.

파워 아웃렛 전원은 전압(12V 또는 24V)과, 접지(ground)로 구성된다. 통상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는 이와 같은 파워 아웃렛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의 전원 케이블을 파워 아웃렛에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파워 아웃렛의 전원 온/오프는 차량의 점화스위치의 키 위치에 따라 제어된다. 즉 점화 스위치의 키가 ACC, 또는 ON의 위치에 있으면 파워 아웃렛의 전원은 온(ON)되고, 점화 스위치의 키가 OFF 또는 START 위치에 있으면 오프(OFF)된다. 따라서 파워 아웃렛은 별도의 전원 제어 즉, 온/오프 제어가 필요없다.The power outlet power supply consists of a voltage (12V or 24V) and ground. Electronic devices typically used in vehicles are connected to such power outlets to receive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can be supplied by inserting a hands-free power cable into the power outlet. The power on / off of the power outle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That is, when the key of the ignition switch is in the ACC or ON positio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outlet is turned on, and when the key of the ignition switch is in the OFF or START position, the power outlet is turned off. Therefore, the power outlet does not need a separate power supply control, that is, on / off control.

한편, 차량의 전자 장치가 전원을 공급받는 또 다른 방법으로 자기 진단 커넥터(On-Board Diagnostic Connector) 전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Meanwhile, another method of receiving power from an electronic device of a vehicle is to use an on-board diagnostic connector power.

도 1에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10)의 접속 포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통상 16번 포트를 통해서 차량의 배터리 전원(12V 또는 24V)을 공급받는다. 케이블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대응 커넥터가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10)에 연결되고 타단부의 커넥터가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같은 차량내 전자 장치에 접속되는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10)의 16번 포트를 통해서 차량내 전자 장치로 차량의 배터리 전원이 공급된다.1 illustrates a connection port of the vehicle-side self-diagnosis connector 10, which is typically supplied with battery power (12V or 24V) of the vehicle through port 16. A corresponding connec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side self-diagnosis connector 10 and the connector 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in-vehicle electronic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telematics terminal. Port 16 provides battery power to the vehicle's electronics.

이러한 자기 진단 커넥터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점화스위치의 키 위치와 무관한 전원이다. 즉, 항상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내의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이 자기진단 커넥터 전원을 이용하면, 별도의 전원 제어 즉 온/오프 제어가 필요하다.Since the self-diagnosis connector power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e self-diagnosis connector power is independent of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n other words, power is always maintained. Therefore, when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for example, a telematics terminal or the like uses a self-diagnostic connector power source, separate power supply control, that is, on / off control is required.

점화 스위치에 연동하여 전원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점화 스위치에 와이어링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경우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를 수정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공 비용이 소요된다.It is also possible to add wiring to the ignition switch in order to allow power control in conjunction with the ignition switch, but in this case the wiring harness must be modified, which is very cumbersome and costly to construc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의 배터리 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하는 자기진단 커넥터 전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점화스위치의 키 위치에 따라서 전원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원 공급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ower supply controller which is controlled on / off of th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n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lf-diagnosis connector power is used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한 차량내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있어서, (1)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와, (2)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전자 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in-vehic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which includes: (1) a battery voltage variation that detects a voltage variation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batter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voltage variation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점화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ACC 위치로 이동할 때, 차량내의 다양한 전기 부하들로 인해서 통상 100~150 msec 동안 차량의 배터리에 급격한 전압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전원 제어기에 의하면, 이러한 급격한 전압 변동을 감지하여, 비로소 전자 장치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gnition switch is moved from the off state to the ACC position, a sudden voltage fluctuation occurs in the battery of the vehicle for 100 to 150 msec due to various electrical loads in the vehicle, which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ler detects this sudden voltage fluctuation. Thus, battery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점화 스위치가 온일 때에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점화 스위치가 오프일 때에는 역시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도 중단되기 때문에 차량의 자기 진단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 전자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 제어를 매우 원활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is also stopped when the ignition switch is turned off. The on / off control o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to be supplied with power, can be performed very smoothly and simply.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내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기는, (1) 차량의 점화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전원 차단을 지시하는 전원 차단 지시부와, (2) 상기 전원 차단 지시부에 의해 점화 스위치의 오프 상태가 검출되고 전원 차단이 지시되면 상기 배터리 전원의 상기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ler of the in-vehic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1) a power off instruction unit for detecting an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and instructing power off;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cut-off unit which cuts off power supply of the batter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is detected and the power cut-off is instructed.

상기 전원 차단 지시부는 차량의 여러 제어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점화 스위치의 키가 오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원 차단부가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차량내 전자 장치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적기에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cut-off indicator detects the key of the ignition switch being moved to the off position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control devices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cut-off unit cuts off the battery power supply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Power can be cut off from the battery in a timely manner.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파워 다운 모드(power down mode)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출력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includes a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voltage variation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wherein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The electronic device outputs a signal for releasing a power dow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voltage change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이러한 전원 공급 제어기에 의하면,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파워 다운 모드(power down mode)로 진입하게 되어 있는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파워 다운 모드 해제 신호 입력단에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의 출력을 연결함으로써 전원 공급(파워 다운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전압 변동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즉 차량의 점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파워 다운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전자 장치내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power supply controller, the output of the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down mode releas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micro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automatically enters the power down mode when the ignition switch is turned off. In this way, power supply (power down mode) control can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voltage variation of the battery is above a certain level, that is, when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is moved to the on position, the microcontrol unit in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the electronic device by outputting a signal for canceling the power down mode to the electronic device. You can control it.

한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 공급 제어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전압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의 가동 신호(actuating signal) 예를 들어, 하이 신호(하이 액티브인 경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전원 공급 제어기측 회로 소자 즉 제1 트랜지스터 TR1에서의 발열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voltage regulator for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to the use vol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voltage signal inputted to the voltage regulator as an actuating signal of the voltage regulator, for example, a high signal (when it is high activ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controller side circuit element, that is, the first transistor, is used.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heat generation at TR1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제어기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in-vehic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내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1)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와,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량내 전자 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 of the in-vehic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30 for detecting a voltage variation of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of a vehicle, and a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And a power control unit 40 for supplying the battery power to the in-vehic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voltage variation detected by 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는 자기 진단 커넥터(10)의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의 전압 변동을 검출한다. 배터리 전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화 스위치를 조작하여, 예를 들어 키를 OFF 상태에서 ACC(ON, START) 위치로 이동시키면 차량내의 다양한 전기적 부하들로 인하여 약 100~150 msec 동안 배터리에 급격한 전압 변동이 발생한다.The battery voltage change detection unit 30 detects a voltage change of the vehicle battery supplied through the power terminal of the self-diagnosis connector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perates the ignition switch and moves the key to the ACC (ON, START) position from the OFF state, for example, the battery voltage is suddenly changed to about 100 to 150 msec due to various electrical loads in the vehicle. Voltage fluctuations occur.

전원 제어부(40)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에서 배터리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인 것으로 검출되면,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동작되도록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한다.When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30 detects that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control unit 40 supplies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elematics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1)는 또한, 차량내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검출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차단 지시부(50)와, 전원 차단 지시부(50)로부터 출력된 전원 공급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전원 차단 지시부(5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con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municates with an in-vehicle control device to detect an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and outputs a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cutoff.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ut-off unit 60 which receives the power supply cutoff signal output from the indicator unit 50 and cuts off the battery power supply. In general, the power cut indication unit 50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전원 차단 지시부(50)는 점화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 진단 커넥터(10)에 연결된 제어 장치, 예를 들어 ECU(Engine Control Unit)와 자기 진단 통신부(70)를 통해 통신한다.The power off indication unit 50 communicates with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self-diagnosis connector 10, for example, an ECU (Engine Control Unit) and a self-diagnosis communication unit 70 to detect an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do.

자기 진단 통신부(70)는 자기 진단 커넥터(10)와 연결되어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원 차단 지시부(50)는 차량의 제어 장치와 통신을 함으로써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의 키가 OFF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전원 차단 지시부(50)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차단부(60)는 전원 차단 지시부(50)에서 출력된 전원 공급 차단 신호에 따라서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에서 전원 제어부(4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킨다.The self-diagnosis communication unit 70 is connected to the self-diagnosis connector 10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e power cutoff indication unit 50 may detect ke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gnition switch by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When the key of the ignition switch is placed in the OFF state, the power cutoff indicator 50 detects this and outputs a power supply cutoff signal. The power cutoff unit 60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voltage change detection unit 30 to the power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utoff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cutoff indicating unit 50.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는 애노드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D1과, 캐소드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 D2와, 일단이 제1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콘덴서 C1과, 이미터가 콘덴서 C1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제2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TR1와, 일단이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이미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 저항 R1과, 일단이 제1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2 저항 R2를 포함한다.The battery voltage change detection unit 30 includes a first diode D1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battery, a second diode D2 having a cathode connected to the battery, a capacitor C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first diode D1 and the other end grounded; A first transistor TR1 having an emitter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capacitor C1 and a bas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D2, and one end connected to an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other en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The first resistor R1 is connected, and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D2.

전원 제어부(40)는, 제2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컬렉터와, 접지되어 있는 이미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 TR2와, 일단이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4 저항 R4와, 일단이 제2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3 저항 R3에 연결되는 제5 저항 R5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컬렉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5 저항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저항을 포함한다.The power control unit 40 includes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D2, a second transistor TR2 including an emitter grounded, and a fourth end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other end grounded. A resistor R4, a fifth resistor R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resistor R3,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fth resistor. And a third resistor connected thereto.

전원 차단부(60)는 제5 저항 R5에 연결되는 컬렉터와 접지되어 있는 이미터를 포함하는 제3 트랜지스터 TR3와, 일단이 제3 트랜지스터 TR3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타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6 저항 R6와, 일단이 제3 트랜지스터 TR3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타단이 전원 차단 지시부의 단자에 연결되는 제7 저항 R7을 포함한다.The power cut-off unit 60 includes a third transistor TR3 including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fifth resistor R5 and an emitter grounded, and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hird transistor TR3 and ground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seventh resistor R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hird transistor TR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power cutoff indicator.

도 4a에는 도 3의 회로 중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전압 Va, Vb, Vc를 측정한 실측 데이터를 표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으로서 50 msec이고, 세로축은 한눈금당 10V이다.(단 도 4b에서는 한 눈금당 5V) 제일 윗 상태 선도가 전압 Va를 가리키고, 중간 상태 선도가 전압 Vb을 가리키고, 제일 아래 상태 선도가 전압 Vc(단, Vc의 그래프는 도 3에서 전원 제어부(40), 전원 차단부(60)의 회로가 없는 경우의 출력을 도시한 것임)를 가리킨다. 각각의 숫자 우측의 화살표 수준이 각 전압의 기준값인 0 V이다. 각 그래프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은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가 오프인 상태이고, (b)로 표시된 부분은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가 ACC (ON, START)인 상태이다. 그리고 도 4b에는 두 개의 상태 선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위의 것이 Va 전압이고, 아래 것이 Vb전압이다.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선도는 가장 위의 것이 Va 전압이고, 중간 것이 Vb 전압이며, 가장 아래의 것이 Vd 전압이다.4A is a graph showing measured data obtained by measuring voltages Va, Vb, and Vc of the voltage fluctuation detecting unit 30 in the circuit of FIG. 3. The horizontal axis is 50 msec as time, and the vertical axis is 10V per division (only 5V per division in FIG. 4B). Vc (wherein, the graph of Vc shows the output when there is no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and the power interrupting unit 60 in FIG. 3). The arrow level to the right of each number is 0 V,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voltage. In each graph, the part indicated by (a) is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s off, and the part indicated by (b) is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s ACC (ON, START). In addition, two state diagrams are shown in FIG. 4B, the upper one being Va voltage and the lower one being Vb voltage. In the state diagram shown in FIG. 4C, the uppermost one is the Va voltage, the middle one is the Vb voltage, and the lowermost one is the Vd voltage.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가 오프일 때에는 배터리의 전압 변동이 거의 없으며, 전압 Va, Vb는 제1 다이오드 D1에 의해 차량의 상시 전원인 배터리가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로서 도 4a의 (a) 부분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대략 13.4V이다.(이 전압은 정상 배터리의 경우 충전 상태에 따라 승용차인 경우 9V 내지 16V의 범위를 가진다.) 그리고 출력 신호인 전압 Vc는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 전압차(Va-Vb)가 대략 1V 이하이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 TR1이 오프되고 도 4a의 (a) 부분에 표시된 것처럼 0V이다. 즉 차량의 점화 스위치의 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When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s off, there is almost no voltage change in the battery, and voltages Va and Vb are cases in which the battery, which is the constant power of the vehicle, is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first diode D1. As indicated, it is approximately 13.4V. (This voltage ranges from 9V to 16V for passenger cars,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for normal batteries.) And the output signal voltage Vc is the voltage between the emitter and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Since the difference Va-Vb is approximately 1V or less,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and is 0V as indicated in part (a) of FIG. 4A.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is in the off stat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is direct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이러한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가 ACC(ON, START) 위치로 이동하면 차량내 다양한 전기 부하들로 인하여 약 100~150 msec 동안 배터리에 급격한 전압 변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압 Va, Vb, Vc가 변동하게 된다.When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s moved to the ACC (ON, START) position in this off state, a sudden voltage fluctuation occurs in the battery for about 100 to 150 msec due to various electric loads in the vehicle, which causes voltages Va, Vb, and Vc. Will fluctuate.

전압 Va는 콘덴서 C1에 충전된 전압과 제1 다이오드 D1의 극성으로 인하여 저항 R1, R2 및 제2 다이오드 D2를 통하여 배터리쪽으로 도 4b의 (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변동한다. 반면에 Vb에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도 4b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전압 변동이 발생한다. 이 때,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 전압차 Va-Vb가 일정 전압(약 1V) 이상 유지되고 이시간 동안 제1 트랜지스터 TR1이 온되므로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 Vc(단, Vc의 그래프는 도 3에서 전원 제어부(40), 전원 차단부(60)의 회로가 없는 경우의 출력을 도시한 것임)는 일정시간 동안 그 전압이 변동하게 된다.The voltage Va gradually changes toward the battery through the resistors R1, R2 and the second diode D2 due to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1 and the polarity of the first diode D1 as shown in Fig. 4B (a). On the other hand, since no capacitor is connected to Vb, a sudden voltage change occurs as shown in part (b) of FIG. 4B. At this time, since the voltage difference Va-Vb between the emitter and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is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voltage (about 1V) and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n during this time, the output as shown in (b) of FIG. 4A. The voltage Vc (wherein the graph of Vc shows the output when there is no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and the power interrupting unit 60 in FIG. 3) is changed in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도 3에서 전원 제어부(40), 전원 차단부(60)의 회로가 있는 경우는 제1 트랜지스터 TR1이 온된 순간 출력신호인 Vd 전압이 제2 트랜지스터 TR2를 온시켜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 전압차(Va-Vb)를 계속해서 일정 전압 이상으로 유지하므로 Vd 전압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대략 12V를 출력한다.In FIG. 3, when there is a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and the power disconnecting unit 60, the voltage Vd, which is an output signal at the moment when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urns on the second transistor TR2 to emit an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TR1. Since the voltage difference Va-Vb between the bases is continuously maintained above a certain voltage, the Vd voltage continues to output approximately 12V as shown in FIG. 4C.

이렇게 하여 일정한 전압을 Vd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자기 진단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를 온(on)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at Vd,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lf-diagnosis connector of the vehicle and direct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can be turned on.

한편, 점화 스위치의 키 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측의 전원 차단부측 단자를 통해 전압 Ve에 제3 트랜지스터의 동작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3 트랜지스터 TR3가 온되고, 이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 TR2가 오프된다. 결국 제1 트랜지스터 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의 전압차 Va-Vb가 소정의 전압 이하로 되어 출력 신호인 Vc 전압이 0V로 된다. 따라서 전원 제어부(40)가 비활성화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key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is applied to the voltage Ve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ower interrupt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side. As a result, the third transistor TR3 is turned on, thereby turning off the second transistor TR2. As a result, the voltage difference Va-Vb between the emitter and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oltage, and the voltage Vc as the output signal becomes 0V. Therefore, the power control unit 40 is deactivated to stop the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전압 Vd를 전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전압 예를 들어 5V로 변환시켜주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100)가 전원 제어부(40)의 출력단에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voltage regulator 100 is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40 to convert the output voltage Vd into a voltage usable in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5V. do.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제어부(40)의 출력 전압을 전압 레귤레이터(100)의 가동 신호(actuating signal, 액티브 하이인 경우, 만약 액티브 로우인 경우는 반전하여 사용)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공급 제어기(1)측의 트랜지스터 즉 제1 트랜지스터 TR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저감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controller 40 may be used as an actuating signal of the voltage regulator 100 (if it is active high, if it is active low, it is invert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eat generated in the transistor on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 side, that is, the first transistor TR1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제어기(1) 중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의 출력 전압 Vc를 전자 장치(3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200; MCU)의 파워 다운 모드(power down mode)를 해제시키는 외부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전체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의 회로만을 사용하여 그 출력단과 전자 장치(300)의 MCU(200)의 파워 다운 모드 해제 신호 입력단을 연결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output voltage Vc of the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ion unit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by the microcontrol unit 200 (MCU)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It can be used as an external signal to turn off the power down mode. In this case, the entire circuit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only the circuit of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is used to connect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ower down mode releas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MCU 20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이 형태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의하면, 오프되었을 때에 파워 다운 모드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간단한 회로에 의하여 차량의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위치에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복잡한 와이어링 하니스 수정 등의 작업이 필요없다.According to this type of power supply controller,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is to enter the power down mode when it is turned off can be controlled by a simple circuit in conjunction with the on / off position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There is no need for complicated wiring harness modifications as in the prior art.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의 또 다른 회로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7 shows an example of another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회로도는, 전압 레귤레이터(100)를 포함한 것으로서 전원 차단부를 제너 다이오드와 저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회로 역시 전술한 전원 공급 제어기(1) 회로와 대동소이한 기능을 수행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파워 다운 모드를 해제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때에는, 도 7의 회로 중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30)만을 추출하여 그 출력 전압 Vc'을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파워 다운 모드 해제 신호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한다. 특히, 본 회로도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 TR1 또는 제2 트랜지스터 TR2가 저항 내장형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회로도와 차이가 있다.This circuit diagram includes the voltage regulator 100, and the power cut-off part is composed of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This circuit also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controller 1 circuit, and when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release the power down mode of the micro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Only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ion unit 30 is extracted from the circuit so that the output voltage Vc 'is input to the power down mode releas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micro control unit.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circuit diagram, the first transistor TR1 or the second transistor TR2 differs from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3 in that a resistor-embedded transistor is used.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됨이 명백하며, 도면 또는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drawings or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improvements, changes, or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진단 커넥터를 거쳐서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와이어링 하니스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의 온/오프를 차량의 점화스위치의 키 조작에 동기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a battery through a self-diagnostic connector, the on / off of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is synchronized with the key operation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wiring harnes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by.

또한, 점화스위치 오프시에 파워 다운 모드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 장치의 경우에는, 그 파워 다운 모드를 해제하는 외부 신호를 차량의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연동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차량 배터리의 전원 공급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supposed to enter the power down mode when the ignition switch is turned off, an external signal for releasing the power down mode can be input in conjunction with the on / off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1은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접속부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ion part of the vehicle side self-diagnosis connecto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와 자기진단 커넥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and a self-diagnostic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회로의 전압 변동을 도시한 그래프.4A-4C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variation of the circuit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의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상태의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기의 상세 회로도.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있어서,In the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와,A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variation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전자 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기.And a power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the batter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voltage variation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det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점화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차단 지시부와,The power cut-off instruction unit for detecting an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상기 전원 차단 지시부에 의해 점화 스위치의 오프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배터리 전원의 상기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기.And a power cut-off unit which cuts off power supply of the batter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off state of the ignition switch is detected by the power cut-off indication unit.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기에 있어서,In the power supply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동이 소정의 수준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파워 다운 모드(power down mode)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기.The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or outputs a signal to release the power dow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voltage fluctuation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fluctuation det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제어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기.The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regulator for converting an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to a use vol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전압 신호를 레귤레이터의 가동 신호(actuating signal)로 사용하는, 전원 공급 제어기.The power supply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voltage signal input to the regulator is used as an actuating signal of the regulator.
KR10-2004-0036509A 2003-10-14 2004-05-21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KR100494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3937A EP1524749A3 (en) 2003-10-14 2004-10-07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battery of vehicle
US10/960,939 US20050078423A1 (en) 2003-10-14 2004-10-12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battery of vehicle
JP2004298674A JP2005119652A (en) 2003-10-14 2004-10-13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battery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88 2003-10-14
KR20030071588 2003-10-14
KR1020040033346 2004-05-12
KR20040033346 2004-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26A true KR20050035826A (en) 2005-04-19
KR100494841B1 KR100494841B1 (en) 2005-06-13

Family

ID=3723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09A KR100494841B1 (en) 2003-10-14 2004-05-21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8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4B1 (en) * 2007-05-14 2008-05-23 유장호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4B1 (en) * 2007-05-14 2008-05-23 유장호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841B1 (en)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8423A1 (en)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battery of vehicle
CN108400642B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bidirectional charger and electric vehicle
US70157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data and power transmission
JP4387391B2 (en) Power storage device
KR101066915B1 (en) Method for detecting on/off change for starting power in in-vehicle electronic device
JP2008114678A (en) Vehicular power source device
US6757145B2 (en) Power supply system by use of vehicle
KR100494841B1 (en) Controller for Electric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Where Battery of Vehicle Supplies Electric Power
JP2003047150A (en) Power supply circuit
US5933010A (en) Device to detect charging condition of a storage battery
US75219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errors in charging lines
US6924737B2 (en) Vehicle engine status detection mechanism for presenting engine status to third-party automotive accessories
US2007009668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for electric vehicle
CN111824014B (en) Vehicle 12V storage battery low-power prompting method and system and vehicle
KR101835096B1 (en) Similar accessory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a battery regular power and acceleration sensor of the vehicle diagnostic connector and method thereof
JP3480692B2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in-vehicle device
US78225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identifier for the type of a generator to a control unit of a motor vehicle
KR102163945B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JP2001133539A (en) Radar detection system
KR10038841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time of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15510B1 (en) Sensing device of cars start time
CN110031692B (en) Method and circuit for assisting vehicle-mounted equipment in accurately identifying ACC (active control) state
KR101022628B1 (en) fuse box for vehicle
KR890005537Y1 (en) Voice alarm device and interface circuit of vehicles dashboard
KR200600547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ec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