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297A -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297A
KR20050035297A KR1020057003879A KR20057003879A KR20050035297A KR 20050035297 A KR20050035297 A KR 20050035297A KR 1020057003879 A KR1020057003879 A KR 1020057003879A KR 20057003879 A KR20057003879 A KR 20057003879A KR 20050035297 A KR20050035297 A KR 2005003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nic device
current consumption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엘스홀츠
부르크하르트 마이쉬케
하르트무트 슈뢰터
안제이 트레빗츠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3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합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동안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은 제어 및 검출되고,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는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 소자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을 제어 및 검출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제어 유닛에 결합하고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소비 전류를 제어 및 조정하기 위한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는 대개 최소화되어야 할 것이다. 컴퓨터나 PC(퍼스널 컴퓨터), 랩톱(laptop),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또는 이동 전화와 같은 여러 전자 장치들에서는 데이터 교환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즉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이용된다. 최소한의 소비 전류를 고려하는 동시에, 응답능력, 즉 이러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능력 또한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PC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단말기 프로그램 또는 팩스 프로그램과 같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표준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에 맞지 않아도 동작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최소 소비 전류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청구항 5항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응하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청구항 1항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합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며, 상기 방법이 실시되는 동안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이 제어 및 검출되고,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가 제어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가 전자 장치에서의 데이터 생성에 의해 제어된다.
종래에 공지된 바에 따르면, 이동무선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가 사전설정된 절전 모드이면 활성화되지 않는다. 역으로 말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동작 또는 활성화시에 전자 장치는 항상 절전 모드를 벗어난 상태이다. 즉,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일단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에도 더 이상 절전 모드로 자동 복귀하지 못하고, 활성화중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취했던 모드로 고정된다. 이는 예컨대 이동 전화에서 데이터 전송 없이 6배에 이르는 소비 전류를 초래한다. 지금까지는 특수 명령에 의한 절전 모드 제어만이 가능하였다. GSM 명세 3GPP TS 07.07 V7.7.0(2001/12)에 따라 명령이 차단되고 전자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AT+CFUN"으로 표시되면,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 또 다른 전환 방식은 제어 라인을 이용하여 장치의 케이블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케이블 연결이 존재하는 동안에는 절전 모드가 중단되고, 데이터케이블이 제거되면서, 즉 케이블 연결이 중단되면서 다시 절전 모드가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이 제어 라인에 의해서 제어 및 검출된다. 제어 라인은, 장치가 추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데이터 전송 관련 원격스테이션(remote station)에 지시하는 신호 라인이다. 전자 장치가 GSM 모듈일 경우에, 상기 모듈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제어 라인을 갖는 직렬 인터페이스로 형성되고, 이를 RS232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이와 같은 제어 라인은 RS232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예컨대 "송신 클리어(Clear to Send; CTS)"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고, 프린터(printer)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확인(Acknowledge; ACK)"이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흐름 제어는 데이터 흐름 내에 포함된 제어 부호(Xon/Xoff)와 같은 명령에 의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흐름 제어를 소프트웨어 흐름 제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흐름 제어에 의해서 또는 한 애플리케이션의 전자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의 제어 및 검출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이러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응답할 수 있는데, 데이터 전송의 검출이 끝나면 비활성화되거나 더 이상 응답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전송이 검출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고, 데이터 전송이 검출되면 전자 장치는 절전 모드에 있지 않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장치는 절전 모드로 및/또는 절전 모드로부터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절전 모드에 있지 않다. 데이터 생성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곧 바로 절전 모드로 자동 복귀한다.
전자 장치에서 별도로 실시되었던 두 개의 방법, 즉 전자 장치의 절전 공학 및 데이터 흐름 제어가, 데이터 생성에 의해 제어되는 절전 방법이 전개되던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서로 효과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적어도 다음과 같은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의 제어 및 검출을 위한 제어 유닛; 및
제어 유닛과 결합하고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소비 전류를 제어 및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 조절 유닛.
바람직하게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제어 라인을 갖는 인터페이스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GSM 모듈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절전 모드가 주어진다. 전자 장치가 이러한 절전 모드로 존재할 때, 전류 소모가 최소화된다.
GSM 모듈에서는 상기 모듈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직렬 인터페이스, 소위 제어 라인을 갖는 인터페이스로 형성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RS232 인터페이스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GSM 모듈의 경우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소위 GSM 페이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된다. "페이징(paging)"이란 이동무선망 기지국의 전송 정보를 가리키는데, 상기 전송 정보는 개별 이동국에 시스템 관련 정보들을 전달해야만 한다. 이 경우에 GSM 모듈이 이동무선망으로부터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는 기간은 이동무선망에 의해 정해진다. 이 때문에 GSM 모듈은 잠시 동안 최소 소비 전류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또한, 소위 "송신 클리어(CTS)" 제어 라인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대기 모드가 신호화된다. 예컨대 SMS나 콜셋업(call setup)과 같은 모바일 착신(mobile terminated) 이벤트(event)가 발생할 경우에는, GSM 모듈이 최소 소비 전류 상태, 즉 절전 모드를 자동으로 벗어나서, 이를 "송신 클리어(CTS)" 제어 라인을 이용하여 신호화하여, GSM 모듈이 이벤트 이후에 다시 이전 상태, 즉 절전 모드로 복귀한다. 단, 이는 설정된 제어 라인(CTS)에서 애플리케이션이 GSM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 한에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더 이상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조정가능한 시간, 예컨대 2초가 흐르면, GSM 모듈이 최소 소비 전류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측에서의 활성화 또는 매칭은 필요하지 않다. 즉, 명령 또는 제어 라인에 의한 GSM 모듈의 절전 모드로의 복귀 및 절전 모드로부터의 벗어남이 수행될 필요는 없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또 다른 장점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GSM 모듈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GSM 페이징 주기의 시간에 따른 흐름이 도시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페이징"이라는 개념은 이동무선망 기지국의 전송 정보를 가리키는데, 상기 전송 정보는 이동무선망에 의해 정해진 2.12초 후에 시스템 관련 정보로서 소위 "페이징 메시지" 형태로 GSM 모듈로 전달된다. 도 1의 상부 영역에는 "페이징 메시지"가 주기적인 구형파 신호(square wave signal) 형태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형태가 도시된다. 도 1의 하부 영역에는 적합한 소비 전류 상태와 관련한, GSM 모듈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동작개시 또는 응답의 적합한 시간특성이 도시된다. 도 1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시간특성을 보면, 첫 번째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GSM 모듈에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GSM 모듈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동작을 개시하고 GSM 모듈이 최소 소비 전류 상태, 즉 절전 모드를 벗어나서, 소비 전류가 더 높은 일종의 대기 모드(엷은 회색 음영으로 표시됨)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에 소위 제어 라인 "송신 클리어(CTS)"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GSM 모듈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대기 모드가 신호화된다. 이와 같은 예에서 애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된 데이터의 시작을 "첫 번째 문자(character)"라고 표시하고, 전송된 데이터의 끝을 "최종 문자"라고 표시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대기 모드에서 더 오래 지속된다. 더 이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조정가능한 시간, 즉 2초가 지나면, GSM 모듈이 다시 최소 소비 전류 상태, 즉 절전 모드(도 1에서 짙은 음영으로 표시됨)가 된다. "페이징 메시지"가 다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면, GSM 모듈이 잠시 동안, 즉 20ms 동안 절전 모드를 벗어나서, 더 이상의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복귀된다. 이 경우에 대략 5ms 동안의 짧은 완화 시간(relaxation time)이 한번 더 지나간다. 애플리케이션 측에서의 매칭은 필요하지 않다.

Claims (8)

  1.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합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실시되는 동안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 및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제어 라인을 이용하여 제어 및 검출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 제어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절전 모드가 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이 검출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절전 모드를 벗어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절전 모드로 및/또는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자동 전환되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 제어 방법.
  5.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의 제어 및 검출을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결합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 전송에 따라 소비 전류를 제어 및 조정하기 위한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제어 라인을 갖는 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GSM 모듈인, 전자 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가 최소 소비 전류 상태인, 전자 장치.
KR1020057003879A 2002-09-06 2003-09-03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050035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4065A DE10244065A1 (de) 2002-09-06 2002-09-06 Verfahren zur Stromverbrauchssteuerung bei einem elektronischen Gerät
DE10244065.4 2002-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297A true KR20050035297A (ko) 2005-04-15

Family

ID=3172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879A KR20050035297A (ko) 2002-09-06 2003-09-03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52079A1 (ko)
EP (1) EP1535137A2 (ko)
KR (1) KR20050035297A (ko)
CN (1) CN1682176A (ko)
AU (1) AU2003277799A1 (ko)
DE (1) DE10244065A1 (ko)
WO (1) WO20040254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1954A1 (en) * 2004-12-03 2006-06-08 Motorola, In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the playback of multimedia messages
WO2009084016A2 (en) * 2007-12-31 2009-07-09 Makarand Hari Joshi A device with gsm chip for measuring and recording and transferring the electrical parameters & burning hours of cfl lamp
DE102008048468A1 (de) * 2008-09-24 2010-04-08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erfahren, Telefon, Telekommunikationsanlage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Energieverbrauchs eines Telefons
TWI411331B (zh) * 2009-04-23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具有省電功能的網路系統之裝置及相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1221A (fi) * 1994-03-15 1995-09-16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atkaviestinjärjestelmän radiopuhelimen tehonkulutuksen pienentämiseksi ja matkaviestin
US6311282B1 (en) * 1996-02-27 2001-10-30 Fujitsu Person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evice with status display
US6044069A (en) * 1997-10-29 2000-03-28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station
US6026494A (en) * 1998-04-21 2000-02-15 Xircom, Inc. Algorithm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n auto-negotiating ethernet transceiver
US6438375B1 (en) * 1999-03-04 2002-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rdinating different types of messages sent to mobile radio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35702A1 (en) * 2000-09-21 2002-03-21 Su-Fang Chu Method for automatically wake up a computer system to receive message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to make the computer system enter into the suspend mode
GB2373966B (en) * 2001-03-30 2003-07-09 Toshiba Res Europ Ltd Mode monitoring & identification through distributed radio
JP2003186579A (ja) * 2001-12-19 2003-07-04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JP3711100B2 (ja) * 2002-09-30 2005-10-26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出力装置、及び消費電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5445A3 (de) 2004-09-23
AU2003277799A1 (en) 2004-04-30
DE10244065A1 (de) 2004-03-18
US20060052079A1 (en) 2006-03-09
EP1535137A2 (de) 2005-06-01
WO2004025445A2 (de) 2004-03-25
CN1682176A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312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processors
KR101162384B1 (ko)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05577A (ja) 無線lanの省電力方法
RU2008149251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нициацией режима ожидания подвижной станции в системе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доступа
EP1225780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02359884A1 (en) An improved control - hold mode
EP1698193A1 (en) Communication unit energy conserv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095400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enabling or disabl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KR101008497B1 (ko)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대기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JP4396817B2 (ja) 複数cpu構成の通信機能付き携帯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35297A (ko) 전자 장치의 소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011451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携帯端末装置
US20040029527A1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15579B1 (ko) 무선랜 카드의 전력 관리 방법
KR101094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H10145865A (ja) 通信携帯端末
JPH10133788A (ja) 電源制御機能付き無線型情報入力装置
JPH10126465A (ja) 無線携帯端末における情報処理部の起動方式
KR100622875B1 (ko) 수신 대기 시간 향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5295000A (ja) 無線通信端末
JP2005260434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0059246A (ja) 間欠受信動作を行なう通信機器の制御方法
JPH09326756A (ja) 受発光制御装置
KR20070092011A (ko) 이브이디오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EP1089466A1 (en) Infra-red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