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041A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041A
KR20050035041A KR1020030070871A KR20030070871A KR20050035041A KR 20050035041 A KR20050035041 A KR 20050035041A KR 1020030070871 A KR1020030070871 A KR 1020030070871A KR 20030070871 A KR20030070871 A KR 20030070871A KR 20050035041 A KR20050035041 A KR 2005003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ront cover
fastening
terminal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297B1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97B1/ko
Priority to CNB2004100572435A priority patent/CN100336376C/zh
Publication of KR2005003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고 양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키 인쇄회로기판의 메탈 돔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가 구비된 공용화 키패드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상기 공용화 키패드의 누름부를 누르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부가 구비되는 외관 키패드, 그리고 상기 외관 키패드의 버튼부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가 양측부에 형성된 데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모듈과, 상기 키패드 모듈을 프론트 커버에 교환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 상에 완전 형합되어 사용자가 기종 변경을 시도하기 전까지는 질릴 때까지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교환가능(changeable)한 키패드 구조는 슬라이드 타입의 변경구조로 되어 있으며, 변경 가능한 구조를 적용시키기 위해 키패드 모듈 및 공용화 키패드 구조를 도입하고 신뢰성 있는 체결성을 위해 체결용 스프링 장치가 채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키패드를 언제든지 손쉽게 취향에 맞게 바꾸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의 디자인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KEYPA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외관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키패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바꾸어 줄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단말기 자체의 교환 없이도 키패드를 바꾸어 줌으로써 디자인 변경의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그 단말기 본체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되며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고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는 폴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면에는 충방전을 위한 배터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일측 상단부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은 단말기 본체에 형합되는 키패드가 프론트 커버(front cover)에 완전 형합되어 별도의 품목으로 분리될 수 없으며 단말기 기종을 바꾸기 전에는 사용자가 질릴 때까지 기존 키패드를 계속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단말기 외관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키패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바꾸어 줄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단말기 자체의 교환 없이도 키패드를 바꾸어 줌으로써 디자인 변경의 효과를 살릴 수 있게 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단말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와 외관 키패드를 교환가능(changeable)하게끔 모듈화 시키고, 프론트 커버 상에 모듈화된 키패드가 형합되더라도 동작성에는 문제없게끔 별도의 공용 키패드를 체결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쉽게 이탈착 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타입으로 하여 신뢰성 있는 변경구조를 적용하고, 변경 후 체결감과 고정성을 주기 위하여 체결용 스프링과 같은 교체 용이형 체결수단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한 형태는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고 양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키 인쇄회로기판의 메탈 돔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가 구비된 공용화 키패드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상기 공용화 키패드의 누름부를 누르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부가 구비되는 외관 키패드, 그리고 상기 외관 키패드의 버튼부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가 양측부에 형성된 데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모듈과, 상기 키패드 모듈을 프론트 커버에 교환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프론트 커버의 양측 가이드홈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에 체결용 스프링이 각각 삽입되어 각 체결용 스프링의 내측단부가 프론트 커버의 양측 가이드홈 내측에 형성된 리브에 접촉 지지되고, 프론트 커버의 각 고정공으로 돌출되는 각 체결용 스프링의 중간 돌출부가 데코 플레이트의 가이드 돌기 내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 데코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폴더가 개방된 형태로 보인 사시도. 도 2에는 단말기 본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에는 단말기 본체의 부분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프론트 커버에 공용화 키패드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키패드 모듈의 사시도, 도 6에는 키패드 모듈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7에는 프론트 커버에 체결용 스프링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2의 A-A선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0)와, 그 단말기 본체(10)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개,폐되며 단말기 본체(10)를 보호하는 폴더(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하면에는 충방전을 위한 배터리(3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폴더(30)에는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화면(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프론트 커버(11) 내측에는 공용화 키패드(12)가 결합되고, 프론트 커버(11)의 외측으로 키패드 모듈(20)의 외관 키패드(21)와 데코 플레이트(22)가 결합되어 있으며, 공용화 키패드(12)의 내측으로는 키 인쇄회로기판(40)이 결합되고, 키 인쇄회로기판(40)에는 상기 공용화 키패드(12)에 의해 눌려 접속되는 메탈 돔 스위치(4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에는 다수개의 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공용화 키패드(12)에는 프론트 커버(11)의 통공(11a)으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키 인쇄회로기판(40)에 구비된 메탈 돔 스위치(41)를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누름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 키패드(21)에는 프론트 커버(11)의 통공(11a)으로 노출되는 공용화 키패드(12)의 누름부(12a)를 누르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2)에는 외관 키패드(21)의 버튼부(21a)가 노출되는 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는 공용화 키패드(12)와 형합되고 슬라이드 구조가 적용되어 키패드 모듈(20)의 변경을 쉽게 하여 주고 체결수단(50)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공용화 키패드(12)는 변경된 키패드 모듈(20)에 모두 대응될 수 있도록 적용되고, 상기 키패드 모듈(20)은 외관 키패드(21)와 데코 플레이트(22)가 하나의 세트로 다양한 형태의 외관을 위한 디자인을 적용함 모듈(module)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원하는 외관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가변성(changeable) 키패드로 구현된다.
상기 외관 키패드(21)는 외관상 보이는 키패드 부분으로서, 데코 플레이트(22)와 형합되어 모듈화되며, 데코 플레이트(22)의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2)는 프론트 커버(11)와 슬라이드 가이드 구조로 프론트 커버(11)와 형합되며, 상기 체결수단(50)에는 체결용 스프링(51)이 이용되어 키패드 모듈(20)의 체결과 신뢰성있는 형합을 도와준다.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데코 플레이트(22)는 프론트 커버(11)의 양측부에 가이드홈(11b)이 형성되고, 데코 플레이트(22)에는 양측부에 가이드 돌기(22b)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2b)가 가이드홈(11b)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수단(50)은 프론트 커버(11)의 양측 가이드홈(11b)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11c)에 체결용 스프링(51)이 각각 삽입되어 각 체결용 스프링(51)의 내측단부가 프론트 커버(11)의 양측 가이드홈(11b) 내측에 형성된 리브(11d)에 접촉 지지되고, 프론트 커버(11)의 각 고정공(11c)으로 돌출되는 각 체결용 스프링(51)의 중간 돌출부(51a)가 데코 플레이트(22)의 가이드 돌기(22b) 내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 데코 플레이트(22)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단말기 본체에 키패드 모듈을 분해하는 과정을 보인 작용설명도이고, 도 10은 단말기 본체에 다른 형태의 키패드 모듈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작용설명도로서, 도 1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는 프론트 커버(11)에 키패드 모듈(20)이 가이드홈(11b)과 가이드 돌기(22b)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되고, 프론트 커버(11)의 가이드홈(11b) 내측에 형성된 고정공(11c)에 삽입된 체결용 스프링(51)이 키패드 모듈(20)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키패드 모듈(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9의 상단 도면과 같이 단말기 본체(10)의 프론트 커버(11)에 결합된 도 5의 키패드 모듈(20)을 도 6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키패드 모듈(20)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도 9도 중간 및 하단 도면과 같이 프론트 커버(11)에서 키패드 모듈(20)에 힘을 가하여 길이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식으로 분리해 낸다.
이후, 도 10의 상단 도면과 같이 단말기 본체(10)의 프론트 커버(11)에 도 6에 도시된 키패드 모듈(20)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 10의 하단 도면과 같이 결합한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이 키패드는 단말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 상에 완전 형합되어 사용자가 기종 변경을 시도하기 전까지는 질릴 때까지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교환가능(changeable)한 키패드 구조는 슬라이드 타입의 변경구조로 되어 있으며, 변경 가능한 구조를 적용시키기 위해 키패드 모듈 및 공용화 키패드 구조를 도입하고 신뢰성 있는 체결성을 위해 체결용 스프링 장치가 채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키패드를 언제든지 손쉽게 취향에 맞게 바꾸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의 디자인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폴더가 개방된 형태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단말기 본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단말기 본체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프론트 커버에 공용화 키패드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키패드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키패드 모듈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프론트 커버에 체결용 스프링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2의 A-A선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단말기 본체에 키패드 모듈을 분해하는 과정을 보인 작용설명도.
도 10은 단말기 본체에 다른 형태의 키패드 모듈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작용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본체 11 : 프론트 커버
11a : 통공 11b : 가이드홈
11c : 고정공 11d : 리브
12 : 공용화 키패드 12a : 누름부
20 : 키패드 모듈 21 : 외관 키패드
21a : 버튼부 22 : 데코 플레이트
22a : 통공 22b : 가이드 돌기
40 : 키 인쇄회로기판 41 : 메탈 돔 스위치
50 : 체결수단 51 : 체결용 스프링
51a : 중간 돌출부

Claims (2)

  1. 다수개의 통공(11a)이 구비되고 양측부에 가이드홈(11b)이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10)의 프론트 커버(11)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키 인쇄회로기판(40)의 메탈 돔 스위치(41)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12a)가 구비된 공용화 키패드(12)와;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통공(11a)으로 노출되는 상기 공용화 키패드(12)의 누름부(12a)를 누르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부(21a)가 구비되는 외관 키패드(21), 그리고 상기 외관 키패드(21)의 버튼부(21a)가 노출되는 통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b)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22b)가 양측부에 형성된 데코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모듈(20)과;
    상기 키패드 모듈(20)을 프론트 커버(11)에 교환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50)은 프론트 커버(11)의 양측 가이드홈(11b)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11c)에 체결용 스프링(51)이 각각 삽입되어 각 체결용 스프링(51)의 내측단부가 프론트 커버(11)의 양측 가이드홈(11b) 내측에 형성된 리브(11d)에 접촉 지지되고, 프론트 커버(11)의 각 고정공(11c)으로 돌출되는 각 체결용 스프링(51)의 중간 돌출부(51a)가 데코 플레이트(22)의 가이드 돌기(22b) 내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 데코 플레이트(22)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20030070871A 2003-10-11 2003-10-1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565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71A KR10056529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CNB2004100572435A CN100336376C (zh) 2003-10-11 2004-08-26 便携终端的键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71A KR10056529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41A true KR20050035041A (ko) 2005-04-15
KR100565297B1 KR100565297B1 (ko) 2006-03-30

Family

ID=3479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71A KR10056529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5297B1 (ko)
CN (1) CN10033637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14B1 (ko) * 2005-12-29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175657B1 (ko) * 2005-11-21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와 그 키패드 어셈블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2782B (zh) * 2006-12-11 2010-09-22 集嘉通讯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
TWI352305B (en) 2007-10-25 2011-11-11 Htc Corp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
CN101425418B (zh) * 2007-11-01 2010-07-2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输入面板及运用此输入面板的可携式电子装置
CN101674349B (zh) * 2009-09-28 2012-02-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按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39095Y (zh) * 2000-09-12 2001-07-11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输入按键的固定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657B1 (ko) * 2005-11-21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와 그 키패드 어셈블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751214B1 (ko) * 2005-12-29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297B1 (ko) 2006-03-30
CN1606321A (zh) 2005-04-13
CN100336376C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50B1 (ko) 입력버튼 겸용 보호창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80105526A1 (en) Keypad coup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101124807B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带有两个输入装置的可旋转模块
JP2007097170A (ja) 携帯端末機
KR1005397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49292A1 (en) Radiotelephone
KR1005652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500404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
US7228111B2 (en) Keypad structure
KR100276497B1 (ko) 모듈화된 키패널과 그것이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383616B1 (ko)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427266B1 (ko) 휴대 단말기
JP2006066964A (ja) 携帯情報端末
CN216562864U (zh) 按键结构、终端保护套和终端设备
KR100523893B1 (ko) 삼중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14946Y1 (ko) 신호입력버튼부가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폰
KR100703394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개폐장치
KR200400099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구조
JP2001217566A (ja) 携帯電話のハウジングケース
KR20020078050A (ko) 장.탈착이 가능한 단말기의 케이스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232947Y1 (ko) 벨로우즈 버튼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53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