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163A - Dmb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Dmb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163A
KR20050033163A KR20030069122A KR20030069122A KR20050033163A KR 20050033163 A KR20050033163 A KR 20050033163A KR 20030069122 A KR20030069122 A KR 20030069122A KR 20030069122 A KR20030069122 A KR 20030069122A KR 20050033163 A KR20050033163 A KR 20050033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input
user
output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163A/ko
Publication of KR2005003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163A/ko

Link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휴대가 가능한 DBM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TTS(Text To Speaker)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음성으로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 보조기능을 갖는 DBM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 상기 DAB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엠펙-4 디코더 및 스피커를 구비한 DMB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 입력 및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엠펙-4 디코더에서 출력되던 영상신호 출력화면을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으로 절환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원하는 문장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 해당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DMB를 이용하여 영상/음성 출력 이외에도 청각장애인이나 농아 등의 장애인의 의사표시를 위해 문장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MB 및 그 제어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성이 편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약칭함) 수신기를 이용한 장애인을 위한 의사표현 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는 차세대 디지털 방송의 표준안으로 자리잡고 있는 새로운 방송기술로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기술(Digital Radio Broadcasting, 이하 DRB라 약칭함)을 응용하여, 엠펙-4 비디오/오디오를 함께 송신하여 디지털 티브이를 이동 중에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차세대 방송기술이다.
즉, DMB는 휴대성이 편리한 장비이므로 대부분의 사용용도가 차량 거치, 야외 혹은 이동중의 시청을 고려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송기술을 사용한 수신기를 만들 경우, 기존의 고정식 디지털 티브이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청자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저장 장치를 이용한 방송의 저장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DM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DM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반적인 DMB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101)와, 상기 DAB 수신기(101)에서 수신된 채널별 엠펙-4 영상 및 음성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채널 디코더(102)와, 상기 채널 디코더(102)에서 처리된 엠펙-4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 하는 엠펙-4 디코더(103)와, 상기 엠펙-4 디코더(103)를 통해 디코딩 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4)와, 상기 엠펙-4 디코더(103)를 통해 디코딩 된 엠펙-4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DAB 수신기(101)에서 수신된 MP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5)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06)와, 저장부(1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DMB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DAB 디코더(101)는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엠펙-2 오디오 신호는 별도의 신호처리 없이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하고, 엠펙-4 오디오 신호는 상기 채널 디코더(102)를 거쳐 노이즈를 제거시킨 후 상기 엠펙-4 디코더(103)를 통해 디코딩 된 신호가 상기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DAB 디코더(101)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상기 채널 디코더(102)를 통해 노이즈 신호가 제거된 후 상기 엠펙-4 디코더(103)를 통해 디코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DMB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만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은 없었다.
또한, 들을 수는 있으나, 말을 하지 못하는 장애인(벙어리)이나,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장애인(농아)등의 청각 장애인은, 타인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때, 전적으로 수화 혹은 필담(筆談)을 통할 수밖에 없을뿐더러, 필담을 통한 의사표현에는 계속 쓸 수 있는 종이류와 필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또 자주 사용하는 표현의 경우 미리 준비된 표현 카드 등이 있으나, 해당하는 표현을 사용할 경우 카드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더러, 표현을 조금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다시 써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한 DBM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TTS(Text To Speaker)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음성으로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 보조기능을 갖는 DBM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 상기 DAB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엠펙-4 디코더 및 스피커를 구비한 DMB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 입력 및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엠펙-4 디코더에서 출력되던 영상신호 출력화면을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으로 절환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원하는 문장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 해당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문장입력창과, 상기 문장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문장표시창으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의 제어방법은 DAB 수신기, 엠펙-4 디코더, 저장부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DMB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DAB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문장입력 및 표시를 위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문장을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장입력 및 표시를 위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문장입력을 위한 키 입력창과, 상기 키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창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문장을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장을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 성별, 나이, 조건, 취향 및 음색등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사용자 성별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남성음성 출력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된 문장을 남성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여성음성 출력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된 문장을 여성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B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MB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101)와, 상기 DAB 수신기(101)를 수신된 채널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채널 디코더(102)와, 상기 채널 디코더(102)의 신호를 입력받아 엠펙-4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 하는 엠펙-4 디코더(103)와, 상기 엠펙-4 디코더(10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4)와, 상기 DAB 수신기(101)에서 출력되는 MP2 오디오 신호 또는 엠펙-4 디코더(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5)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입력부(300)와, 상기 외부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 및 출력 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입력부(300)는 탈 부착이 가능한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DMB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 청각장애인이나, 농아를 위한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DMB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문장입력을 원할 경우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모드절환 명령에 따라 문장 입력 및 표시를 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은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의 소정영역에 표시되는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외부 입력부(30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00)에 기 저장된 문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장은 TTS(Text To Sound) 기능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람의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음성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감정에 따라 적절한 음색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DMB의 제어방법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S101∼S102).
이어서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문장입력 및 표시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04).
그리고 문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 결과(S105), 문장입력이 있었으면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한다(S106). 이때, 문장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또는 외부입력을 통한 문장입력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5), 문장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 저장된 문장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기 저장된 문장을 선택하였으면 선택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출력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8), 사용자가 음성출력을 선택하였으면 남성인지 여성인지 설정여부에 따라 해당 음성으로 표시되는 문장을 출력한다(S109∼S111).
그리고 사용자가 모드 오프를 선택하면 디지털 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112∼S1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는 청각장애인의 불편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나, 어느 만큼 그 불편의 정도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즉, DMB의 디스플레이부(200)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함으로써, 평소에는 디지털 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나, 필요시 문장입력 및 문장표시를 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자주 쓰는 표현의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500)에 저장해 놓고, 필요시 검색기능을 통해 원하는 문장을 선택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문장은 문장 입력시 소리로 바꾸어주는 TTS(Text To Sound) 기능을 이용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의사표현을 할 수 있으며, TT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등 조건과 취향에 맞추어 가장 적절한 음색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가 가능한 DMB를 이용하여 영상/음성 출력 이외에도 청각장애인이나 농아 등의 장애인의 의사표시를 위해 문장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문장입력 및 출력 이외에도 음성으로 출력이 가능함에 따라 장애인의 성별 및 나이, 감성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셋째, 매번 문장입력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저장한 후 이를 불러내어 출력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DM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MB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MB를 나타낸 전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DAB 수신기 102 : 채널 디코더
103 : 엠펙-4 디코더 200 :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05 : 스피커 300 : 외부 입력부(키보드)
400 : 제어부 500 : 저장부

Claims (8)

  1.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AB 수신기, 상기 DAB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엠펙-4 디코더 및 스피커를 구비한 DMB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 입력 및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엠펙-4 디코더에서 출력되던 영상신호 출력화면을 문장입력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으로 절환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원하는 문장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 해당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문장입력창과, 상기 문장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문장표시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장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4. DAB 수신기, 엠펙-4 디코더, 저장부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DMB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DAB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모드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문장입력 및 표시를 위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문장을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DMB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입력 및 표시를 위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문장입력을 위한 키 입력창과, 상기 키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문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창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문장을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장을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DMB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 성별, 나이, 조건, 취향 및 음색등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성별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남성음성 출력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된 문장을 남성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여성음성 출력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된 문장을 여성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DMB의 제어방법.
KR20030069122A 2003-10-06 2003-10-06 Dmb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3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9122A KR20050033163A (ko) 2003-10-06 2003-10-06 Dmb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9122A KR20050033163A (ko) 2003-10-06 2003-10-06 Dmb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163A true KR20050033163A (ko) 2005-04-12

Family

ID=3723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9122A KR20050033163A (ko) 2003-10-06 2003-10-06 Dmb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1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837B1 (ko) * 2011-02-11 2012-03-26 한창준 무선 휴대용 디지털 파워앰프
KR101341729B1 (ko) * 2006-11-24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검색장치 및 그 검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29B1 (ko) * 2006-11-24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검색장치 및 그 검색방법
KR101129837B1 (ko) * 2011-02-11 2012-03-26 한창준 무선 휴대용 디지털 파워앰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78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keypad function guidance for remote controller used therefor
EP20488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ound volume control method
KR100604016B1 (ko) 소리레벨 제어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86080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in electronic device
US20080300012A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thereof
US2004019413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ral presentation of program guide
KR20050033163A (ko) Dmb 및 그 제어방법
KR1007352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JP4728841B2 (ja) 提示情報出力装置
KR100896417B1 (ko) 인간 청각 특성을 이용한 복수 채널 오디오 동시 제공 장치및 방법
KR20040036466A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49600B1 (ko) 졸음 방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H04126479A (ja) Tv付き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50010105A (ko) 음성 메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2472A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1001000B1 (ko) 시각장애자를 위한 선호채널 서비스 방법
KR100548604B1 (ko) 어학 학습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학습방법
KR200346508Y1 (ko) 오디오출력제어장치
KR960010467B1 (ko) 온 타임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표시 겸용 음성표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JP2003189119A (ja) 音量設定装置
KR970068534A (ko) 바이오리듬에 따른 화질/음질변경장치(apparatus for alteration of sound/video signal level according to bio-rhythm in television)
KR20030047472A (ko) 수화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48283A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20090053318A (ko) 영상표시 기기의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