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640A -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640A
KR20050032640A KR1020030068537A KR20030068537A KR20050032640A KR 20050032640 A KR20050032640 A KR 20050032640A KR 1020030068537 A KR1020030068537 A KR 1020030068537A KR 20030068537 A KR20030068537 A KR 20030068537A KR 20050032640 A KR20050032640 A KR 2005003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upling block
port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학
Original Assignee
이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학 filed Critical 이병학
Priority to KR102003006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640A/ko
Publication of KR2005003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허리띠에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으로 위치하여 벨트에 걸어지도록 구부린 턱과, 상기 턱에 이어지는 걸림공간을 구비한 클립체와, 상기 클립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하는 결합홈에서 결합분리 시 슬라이드되며 고정력을 보유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상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되는 슬라이드홈에서 고정력을 보유하며 이탈방지편을 선단에 구비한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기기를 허리띠, 핸드백, 가방, 손가방등에 꺼내기 쉬운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수신시에 핸드폰의 수신음을 용이하게 들을 수 있고, 발신자와 통화하기 위하여 핸드폰을 꺼내는 동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는 클립의 탄력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가방이나 주머니등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a portable fixed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통신기기를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려 할때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클립에 의해서 가방 또는 핸드백이나, 의복의 주머니등에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이동통신기기는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외부의 크기와 두께가 작아지고 얇아져서 가방 및 핸드백이나 주머니등에 넣어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한 것이 현실정이다.
이러한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성은 편리한 대신 발신자로부터 보내온 신호가 수신되면 벨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때 발생되는 감지 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보관하고 있는 가방, 핸드백, 주머니등에서 꺼내어 발신자와 통화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기기를 보관위치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작은 크기와 얇은 두께로 쉽게 꺼내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로 인하여 수신을 개통하기 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수신자와 연결되지 못한 상태로 발신음이 끊기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처럼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크가가 작고 얇아 짐에 따라서 특히, 주머니의 휴대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목걸이형태의 휴대기구를 이동통신기기의 케이스에 연결하어 휴대와 동시에 수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목걸이 형태의 휴대기구에 이동통신기기를 연결하여 다니게 되면 이동 통신기기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의 가슴부위에서 이동통신기기가 덜렁 덜렁 흔들리게 되어 휴대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에 탄력을 보유한 클립을 제공하여 탄력에 의해 보관위치에서 안전하게 보관되며, 수신음 확인시 보관위치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으로 위치하여 벨트에 걸어지도록 구부린 턱과, 상기 턱에 이어지는 걸림공간을 구비한 클립체와, 상기 클립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하는 결합홈에서 결합분리 시 슬라이드되며 고정력을 보유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상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되는 슬라이드홈에서 고정력을 보유하며 이탈방지편을 선단에 구비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이동통신기기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중 휴대고정장치의 이탈방지부재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이동통싱기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고정장치는 도 1처럼 휴대용 이동통신기기(100)의 뒷면에 위치하여서 후면케이스(110)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을 갖추는데, 먼저 이동통신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상단을 파내어 상방향으로 삽입과 분리가 가능한 슬라이드홀(120)을 형성하되, 삽입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홀(120)내에 안내턱(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홀(120)에는 삽입된 휴대고정장치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홈(122)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케이스(110)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휴대고정장치는 후면케이스(110)의 슬라이드홀(120)로 삽입되고 분리되는 결합블럭(200)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블럭(200)에는 슬라이드홀(120)에서 결합,분리될 때 안내턱(121)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편(201)을 양측면에 돌출형성하고, 후면에는 가방, 핸드백 및 의복 주머니, 또는 허리띠 등에 탄력적으로 걸어질 수 있는 턱(212)과 걸림공간(211)이 일체로 구비된 클립체(210)를 설치한다.(도 2)
그리고, 상기 결합블럭(200)에는 슬라이드홀(120)에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선택적으로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이탈방지부재(220)를 형성한다.(도 2)
상기 이탈방지부재(220)는 결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요홈(224)을 상면에 형성하고, 이탈방지부재(220)의 전면에는 후면케이스(110)의 슬라이드홀(120)에 형성된 고정홈(122)과 안정된 결합상태를 이루는 고정편(222)을 돌출 형성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220)가 결합블럭(220)에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양측면에 이동편(221)을 돌출시켜 형성한다.(도 3)
이러한 구성의 이탈방지부재(220)는 결합블럭(200)의 상면에 형성한 슬라이드홈(202)에 결합되는 데,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어 별도의 코일스프링(223)을 이탈방지부재(220)와 결합블럭(202)의 슬라이드홈(202)사이로 설치한다. (도 3)
상기 슬라이드홈(202)에는 전면에 제어턱이 돌출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홈(202)으로 삽입된 이탈방지부재(220)의 저면이 이에 걸려 수리를 위해 분해하기 전에는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결합블럭(200)을 이동통신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홀(120)로 삽입하는 상태로 이동통신기기(100)에 휴대고정장치가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같이 상기의 결합블럭(200)을 이동통싱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홀(120)로 삽입시키면 결합블럭(200)의 가이드편(201)이 슬라이드홀(120)의 안내턱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블럭(200)의 상단에 위치한 이탈방지부재(220)의 요홈(224)을 당기면서 누르면 결합블럭(200)을 후면케이스(110)의 슬라이드홀(120)에 완전하게 삽입되고, 이때 요홈(224)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223)의 탄력에 의해 이탈방지부재(220)는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선단의 고정편(222)이 슬라이드홀(120)에 형성된 고정홈(122)으로 삽입된다. 이로써 결합블럭(200)은 후면케이스(110)과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블럭(200)이 이동통신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에 설치되면 클립체(210) 선단은 후면케이스(110)면을 누르게 된다.(도 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기기(100)를 원하는 곳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클립체(210)를 가방의 주머니, 핸드백의 포켓, 의류의 주머니, 벨트등에 걸리게 하면 걸림공간(211)과, 턱(212)은 자체의 탄성 반발력으로 걸리는 대상물을 누르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통신기기(100)에 불특정한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클립체(210)의 탄성반발력으로 보관된 장소에 밀착상태를 이루는 작용에 의하여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분실되거나, 떨어뜨리는 경우가 최대한 감소된다.
상기 보관중인 이동통신기기(100)에 발신자로부터 보내온 신호음이 감지되면 사용자는 클립체(210)의 턱(212)부분에 힘을 가하여 들어주는 상태에서 이동기기(100)를 빼내면 보관장소로부터 이동통신기기(100)는 자유롭게 된다.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기기(100)를 개통시켜 발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동통신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에 결합하는 휴대고정장치의 클립체(210)는 결합블럭(200)의 상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220)를 요홈(224)에 힘을 걸어 뒤로 밀어주면 성단의 고정편(222)이 후면케이스(110)의 고정홈(122)으로부터 분리되므로 결합상태가 해제상태를 이루어 결합블럭(200)을 후면케이스(110)에 결합하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6)
(실시예 1)
이동통신기기(100)의 후면 케이스(110)에 형성하는 슬라이드홀(120)로 삽입되고, 분리되도록 형성하는 결합블럭(200)에 이탈방지부재(220)를 형성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20)를 형성함에 있어, 먼저 후면케이스(110)와 맞닿는 결합블럭(200)의 경사면중앙에 오목한 슬라이드홈(202a)을 형성하고, 반구형상의 고정편(222a)이 중앙으로 돌출되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홈(202a)양측으로 삽입되도록 90° 각으로 절곡된 리드편(221a)을 형성하여 이탈방지부재(220a)를 형성한다.(도 7)
그리고, 후면케이스(110)에 형성하는 슬라이드홀(120)의 고정홈(122a)은 상기 반구형상의 고정편(22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구성에서 이탈방지부재(220a)를 구비한 결합블럭(200)은 이동통싱기기(100)의 후면케이스(1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홀(120)로 끼워질 때 가이드편(201)이 안내턱을 따라 슬라이드홀(122)을 이동하면서 경사면 중앙의 슬라이드홈(202a)에 위치한 반구형상의 고정편(222a)이 슬라이드홀(120)의 표면에 닿아 내측으로 탄력이동하는 상태로 되고, 고정홈(122a)에 이르면 이탈방지부재(220a)의 자체 탄성력으로 원형의 고정홈(122a)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는 자체의 탄력으로 슬라이드홀(120)면과 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 불특정한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이탈되지 않으며, 결합블럭(220)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여 후면케이스(110)의 상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탈방지부재(220)의 반구형상의 고정편(222a)이 슬라이드홀(120)의 고정홈(122)에서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드홀(120)에서 결합블럭(200)은 이탈되어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된다.(도 8)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싱기기의 후면 케이스의 상면에서 보관하기에 용이하고 안전한 구조의 클립체를 구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기기를 꺼내기 쉽고, 보관하는 위치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분실과 떨어뜨리는 상태를 최대한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수신시에 보관위치에서 손쉽게 꺼낼 수 있어 통화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결합부재에 탄력을 보유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므로 결합상태의 용이함과, 결합후 상태가 매우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이동통신기기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휴대고정장치의 이탈방지부재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휴대고정장치를 이동통싱기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중 이탈방지부재에 대한 이동통신기기와 결합된 일실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중 이탈방지부재에 대한 이동통신기기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일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이동통신기기 본체 110...후면케이스 120...슬라이드홀
122...고정홈 200...결합블럭 201...가이드편
202...슬라이드홈 210...클립체 211...걸림공간
212...턱 220...이탈방지부재 221...이동편
222...고정편 223...스프링

Claims (3)

  1.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으로 위치하여 일단이 벨트에 걸어지도록 구부린 턱과, 상기 턱에 이어지는 걸림공간을 구비한 클립체와, 상기 클립체의 타단에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케이스 상단에 형성하는 슬라이드홀에서 결합분리 시 슬라이드되며 고정력을 보유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을 오목하게 파내어 되는 슬라이드홈에서 탄성력을 보유하며 상기 슬라이드홀의 고정홈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서 되는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결합블럭의 상면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코일스프링과 후면케이스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외력을 가하는 요홈 그리고, 슬라이드홈에서 안내되는 이동편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결합블럭의 경사면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후면케이스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고정편을 중앙에 구비하고. 양단에는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리드편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 고정장치.
KR1020030068537A 2003-10-02 2003-10-02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KR2005003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37A KR20050032640A (ko) 2003-10-02 2003-10-02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37A KR20050032640A (ko) 2003-10-02 2003-10-02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40A true KR20050032640A (ko) 2005-04-08

Family

ID=3723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37A KR20050032640A (ko) 2003-10-02 2003-10-02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909091U (zh) 可穿戴设备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WO2018112689A1 (zh) 一种具有蓝牙耳机的可穿戴设备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US10955730B2 (en) Multi-configuration mounting system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KR20050032640A (ko)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휴대고정장치
EP1672888A1 (en) Accessory with speaker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2200002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earpiece holder with one-handed operation
US83254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KR200274175Y1 (ko) 이동통신기기 부착용 손목밴드
JP3240474U (ja) 携帯端末用カバー
JPH11207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200178343Y1 (ko) 이어 마이크 세트
JP7304474B1 (ja) 携帯端末用カバー
KR200369786Y1 (ko) 목걸이줄 연결구
KR200482498Y1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CN215769524U (zh) 可穿戴设备
CN213906896U (zh) 终端设备及蓝牙耳机
CN211554651U (zh) 智能手表
CN211558811U (zh) 一种电子烟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KR200441310Y1 (ko) 휴대기기에 장착되는 핸드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