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589A -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전송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전송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589A
KR20050032589A KR1020057001993A KR20057001993A KR20050032589A KR 20050032589 A KR20050032589 A KR 20050032589A KR 1020057001993 A KR1020057001993 A KR 1020057001993A KR 20057001993 A KR20057001993 A KR 20057001993A KR 20050032589 A KR20050032589 A KR 2005003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ideo content
terminal
text mess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니 루카 구그리엘미
지안루카 프란치니
클라우디오 란데
루카 보소네토
Original Assignee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05003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3Content adaptation, e.g. replacement of unsuitabl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SMS 메세지와 같은 문자 메세지를 송신자 단말기(18)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7);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문자 메세지와 비디오 컨텐츠를 통합하는 단계(16); 및 MMS 메세지의 형태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12,13,14)에 전송하는 단계(10)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종래 이동단말기(예를 들어, GSM)와 신세대 이동단말기(예를 들어, UMTS)의 가능한 공존 및 통합가능성이 보증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 전송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O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Related Sender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망상으로의 메세지 전송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범용이동통신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MS) 표준 또는 유럽형이동통신(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n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SM/GPRS) 표준에 따른 신세대 이동 단말기의 도입은 문자, 음성 및 영상(동영상)과 같은 여러가지 요소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content)를 갖는 메세지들을 단말기상에 전송 및 표현하게 한다. 상기 메세지들은 현재 멀티미디어 메세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로 표시된다.
상기 메세지를 전송하는 능력은 여러 종류의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상기 메세지는 줄어든 크기와 처리용량으로 인해, 복잡한 컨텐츠를 갖는 메세지를 생성하는데 이상적으로 적합하지 않는 이동전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 MMS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는 단말기가 현재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라고 하는 타입의 문자 메세지만을 생성할 수 있는 GSM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와 같이 구세대 단말기와 공존할 수 있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기술들은 현재 모든 유통되고 있는 단말기들이 교체되기 전에 상당히 오랫동안 공존하리라 생각하는 것이 합당하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써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기능식 구조 레벨들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각각 도 3a 및 도 3b로 표시되는 2부분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배열의 가능한 형태를 예시하는 기능식 블록도의 2가지 근접한 부분들을 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SMS 메세지와 같은 문자 메세지 전송능력을 갖는 단말기들과 MMS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들 사이의 공존 및 상호작용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설정된 특성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관련된 시스템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송신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 SMS 문자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 구세대 단말기가, MMS 단말기에 예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갖는 메세지를 생성하게 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순수한 문자 메세지를 멀티미디어 메세지로, 이로 인해, 순전히 문자로 구성된 시작 메세지(starting message)보다는 "더 풍부한" 메세지로 자동 변환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생산되고 등록상표 JoeXpress?渶? 인식되는 문자 또는 자연 음성에 기초한 3차원 캐릭터의 자동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대해, 참조문헌 EP-A-0 991 023, EP-A-0 993 197 및 WO-A-01/75805호를 참고하는 것이 유용하다. 당해 시스템은 처리된 문장을 발음하는 캐릭터의 움직임으로 문자나 기록된 음성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움직임은 또한, 얼굴표정과 신체동작으로, 구어(spoken word)와 연결되지 않은 움직임들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캐릭터 외모의 의인화(예를 들어, 머리카락 및 눈 색깔, 옷입는 방식 등),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시점(viewing point)의 이동, 배경음악과 같은 그 밖의 요소들을 다룰 수 있다. 모두가 제공된 입력 파라미터들의 제한된 수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구성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예를 들어, 시작 SMS 메세지에 포함된 문자를 기초로, MMS 단말기에 예정된 에니메이션을 생성하게 한다. 이 경우, 그 결과는, 자동 생성된 에니메이션들 중에서, 장면 설명부분("Synchronised Multimedia Intergration Language", SMIL) 및 메세지에 삽입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부분들과 같은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는 MMS 메세지이다.
MMS 단말기의 제 1 생성은 메세지 컨텐츠상에 꽤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특히, 비디오가 지원되지 않으며 메세지의 최대 크기가 30kBytes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작은 크기를 갖는 에니메이션을 생성된 MMS 메세지에 포함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비디오는 오히려 낮은 에니메이션 샘플링율(sampling ratio)을 사용하여 에니메이션되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표준에 따라 이미지로 변환된다.
또한, 본래의 문자는 열(sequence)의 여러 프레임들 사이로 세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100×80 픽셀 차수의 크기(현재 표시된 MMS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치수)를 갖는 에니메이션들로, 복잡한 모델과 시나리오를 가지며, 약 15초간 또는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내에서 더 큰 압축률을 허용하는 더 간단한 모델의 경우에는 더 길게 지속하는 에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세지의 총 크기가 (예를 들어, 30kBytes까지)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를 전송하는데 문제를 야기하며 제한되면, 단말기가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 보기동안, 음성 메세지 대신에, 메세지에 삽입된 멜로디를 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타입의 음향("벨소리 장치(ringer)")은 매우 작은 바이트 수로 포함될 수 있다.
메세지 크기의 엄격한 제한이 덜 한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프레임내에서 또는 프레임과 병행하여 문자 대신에, 예를 들어, 음성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에니메이션과 연결된 오디오를 전송하게 한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심지어 자연 음성으로부터 MMS 메세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니메이션은 음성 인식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결과에 의해 안내된다. 음성 합성기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인식기는 현재 해당기술분야에 이용가능하다.
에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MMS 메세지는 예를 들어, 소위 "로고(logos)" 및/또는 광고 표어를 삽입하는데 유용한 많은 문자, 멜로디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부분들을 유리하게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은 적어도 현재 본 발명의 가능한 사용을 위한 가장 흥미있는 적용 시나리오, 즉, GSM 이동단말기에서 SMS 메세지로서 생성된 문자 메세지를 UMTS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상으로 전송되어지는 MMS 메세지로 변환시키는 적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어떤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또한 달리 생성된 문자 메세지,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메세지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전송을 지원하도록 임의 타입의 네트워크상에서도 MMS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UMTS 네트워크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도면에서, 참조번호(10)는 MMS 릴레이(relay)/서버 기능을 가지고, 이 용도로 103으로 표시된 인테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101로 표시된 릴레이 기능을 갖는 서브모듈과 102로 표시된 서버기능을 갖는 서브모듈을 구비하는 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물론, 서브모듈(102, 103)도 또한 서로 일체로 될 수 있다.
참조번호(11)는 대신에 MMS 서비스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참조번호(11)는 실질적으로 MMS 서비스가 이용가능하도록 각 사용자에 대해 당해 전화번호(또는 등가의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 타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 베이스(11)는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모듈(10)에 연결된다.
참조번호(12 및 13)는 MMS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모듈(10)에 연결된 2명의 사용자를 나타낸다(이는 일반적으로 UMTS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12로 표시된 사용자는 모듈(10)이 배속된 네트워크에 직접 포함된 사용자이다. 따라서, 관련된 접속은 121로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직접 타입(direct type)이다.
대신에, 13으로 표시된 사용자는 명목상 또 다른 이동 네트워크에 배속한 사용자이다.
이 경우, 모듈(10)로의 연결은 직접적이지 않고, 131a 및 131b로 표시된 해당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모듈(10)과 유사한 부가모듈(10')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12)와 사용자(13)의 식별표시는 다중통신 네트워크들이 일반적인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또는 로밍(roaming) 시나리오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이 적용 가능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번호(14)는 MMS 메세지의 수신자으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모듈(10)에 연결된, 전자메일 서버와 같은, 서버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참조번호(15)는 각각의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모듈(10)에 연결된, MMS 메세지 서비스의 렌더링(rendering)을 빌링(billing)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기술된 시스템 구조와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은 전부가 해당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으로 간주되는 방안들에 해당한다. 이들 방안들은 이미 (UMTS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신세대 이동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내에서 MMS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사실에 기인하여, 본 명세서에 상기 구조와 요소들의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 하므로 더 하지는 않겠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중요한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인터페이스(161)를 통하여, SMS 메세지 관리 센터(17)(주로 두문자로 SMSC라고 함)로부터 들어오는 SMS 메세지와 같이 문자만의 메세지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갖는 메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모듈 또는 서브시스템(16)이 모듈(10)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있다. 모듈(10)에서의 가능한 또 다른 처리후에, 상기 메세지는 도 1에 표시된 사용자들(12, 13 및 14)과 같이 사용자들에게 전송되는 MMS 메세지의 형태로 모듈(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모듈(10)은 결정된 메세지 MMS가 다수의 수신자 또는 수령자 리스트에 전해지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SMS 메세지로부터, 한명의 수신자에게로 전송된 MMS 메세지의 생성에만 거의 전적으로 참조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당해 MMS 메세지가, 예를 들어 모듈(10)로 전송된 http 요청 또는 ftp 요청에 의해, 명시된 수령자 리스트에 제공되도록 용이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16)의 핵심(core)은 문자 또는 자연 음성에 의해 의인화된 가상적인 캐릭터들(virtual characters)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생성용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로는 상술한 JoeXpress?? system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캐릭터, 배경, 임의의 의인화(personalization), 컨텐츠가 만들어지는 포맷을 선택하게 한다. 선택된 파라미터들은 원하는 문맥과 포맷을 갖는 에니메이션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도 2의 흐름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송신자"로서 행동하는, 도 1에서 18로 표시된,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는 공정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18)는, 도 1에서 17로 표시된 센터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메세지를 처리할 수 있는 해당하는 센터에 SMS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를 갖는다.
200으로 표시된, 초기단계로부터 시작하면, 참조번호(202)는 사용자(18)가 자신의 단말기상에서 (이하 더 잘 예시된 특징들을 갖는) SMS 메세지를 작성하여, 상기 SMS 메세지에 MMS 특징들을 제공한 후, 상기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서비스에 연결된 전화번호로 상기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당해 서비스는 16으로 표시된 모듈에 의해 주로 실행되나, 몇가지 기능들은 모듈(10)에 의해, 가능하게는, 모듈(17)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서 204로 표시된 단계에서, 서비스 관리 기능 -이하 본질적으로 모듈(16)-은 수신된 SMS 메세지에 해당하는 MMS 메세지의 방출 요청을 생성한다. 이하에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요청은, 메세지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또한 수신자 단말기의 타입에 맞는 사용자의 식별자(identifier) 및 (가능하게는) 정보를 포함한다.
206으로 표시된 단계에서, 모듈(16)은 수신자 단말기의 그래픽 및 처리능력 특성에 맞는 MMS 메세지를 생성하며 수신된 요청을 처리한다. 208로 표시된 단계에서, 상기 MMS 메세지는 단말기(12, 13 또는 14)와 같이 수신자 단말기에 메세지를 전송하는 (모듈 10과 같은) 해당하는 MMS 센터로 전송된다.
단계 210은 상기 메세지가 MMS 표현의 대표적인 모드에 따라 수신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MMS 메세지를 읽는 단계로 전송이 종료되면, 시스템은 212로 표시된 종료 단계로 이동한다.
단계 202에서 사용자(18)에 의해 다이얼이 돌려지게 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전화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긴 전화번호(large account)"라고 하는 종류의 전용전화번호이다.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문자열은, 메세지 문자 뿐만 아니라, 또한 MMS 메세지의 수신자(도 1의 도면에서 사용자 12, 13 및 14)의 전화번호, 삽입되어 지는 메세지와 배경을 재현하는 가상 캐릭터와 같이 헤더에 어떤 정보를 포함한다.
마지막 2개의 정보 항들은 선택적이며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생략하는 경우, 해당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랜덤 선택 또는 기 정의된 선택으로, 모듈(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디폴트(default)). 따라서, 이는 상기 정보의 일부부만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만이 특정되면, 모듈(16)은 자동적으로 배경을 선택한다.
따라서, 서비스에 전송된 문자열은 대개 하기의 형태를 갖는다:
<수신자 전화번호>[<가상 캐릭터>[<배경>]]<문자 메세지>
단계 202에서, 메세지의 헤더는 메뉴(menu)에 의해 가상 캐릭터와 배경 및 주소록(address book)으로부터 수신자를 선택하게 하는 단말기(18)상에 있는 스크립트(script)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작성될 수 있다.
메세지가 수동으로 전화걸어지면, 문자열은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가상 캐릭터의 이름이나 배경을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는 자동적으로 수정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잘못된 정보를 대체한다.
상기 스크립트 기능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특히, 단말기의 가입자 식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에서) 각각의 단말기(18)에 원격으로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로드하는 가능성을 가지며,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일부의 이동전화 단말기에 제공된 기능들에 해당한다고 인식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 수차례 상술한 JoeXpress?? 시스템을 기초로 한, SMS 문자 포맷을 MMS 멀티미디어 포맷으로 변환하는 모듈은 바람직하기로 "문자 에니메이션(text animation)"이라고 하는 모드에 사용된다.
이 경우, SMS 메세지의 문자는 상기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선택된 가상 캐릭터의 말하기 동작을 자동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시 음성열(timed phonetic sequence)을 제공하는 음성 합성기(voice synthesizer)에 의해 처리된다. SMS/MMS 변환모듈에 입력으로서 제공된 문자는 표현 및 제스처(gestures)를 가상 캐릭터에 더하고 합성 음성을 변경시키며, 결과적으로 발생한 에니메이션에 영향을 끼치는 메타정보(meta-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정보는, 예를 들어, 하기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문자열로서 문장에 삽입된다:
<tag><action_type>[<par1>][<par2>]…[<parn>]
여기서,
<tag>는 메타정보를 합성되는 문장과 식별하는데 필수적이다;
<action_type>은 동작이 실행되어지는 것을 지정한다. 동작의 예로는 음성의 음색, 얼굴표정 또는 신체동작의 재현에서의 변화, 관점의 변화 등이다.
<par1-n>은 동작, 예를 들어, 얼굴표정의 지속시간의 변화를 변경하는 파라미터이다.
상위 레벨에서의 다른 표현은 소위 "이모티콘", 즉, 감정상태를 표현하는 문자 통신에 있어서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는 문자열로 구성된다. 이모티콘들의 예로는 ";-)", ":-)", ":-O" 등이다.
이모티콘들은 상술한 표현을 사용하여 의미적으로 같은 형태로 상기 시스템에 의해 변환된다. 이모티콘들에 대한 지지는 이모티콘들이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문장에 간단히 삽입되는 한편, 하위 레벨 표현으로서 동일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동기가 주어진다.
JoeXpress??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은, 3차원 정보가 간직되는지 여부에 따라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 다른 포맷들로 시스템에 의해 번역될 수 있는 3차원 모델의 에니메이션을 만든다.
예를 들어, MPEG-4 페이스 및 바디 에니메이션(Face and Body Animation) 파라미터 시퀀스, VRML(Virtual Reality Modelling Languqge) 에니메이션, 3D 스튜디오 맥스(Studio Max) 에니메이션 등이 제 1 카테고리에 속한다.
MPEG-1, MPEG-2, MPEG-4 비디오와 같은 비디오 코딩 포맷, 에니메이션 GIF는 제 2 카테고리에 속한다(엄격한 용어 의미에서 비디오 코딩 포맷은 아니지만, GIF-89a 포맷은 이미지 시퀀스를 생성하게 한다).
에니메이션의 오디오는 VRML 또는 에니메이션 GIF의 경우에서와 같이 비디오와 함께 또는 별개로 부호화될 수 있다.
전송 네트워크의 단말기에서의 한계로 인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메세지의최대 크기,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 및 에니메이션의 코딩 타입과 같은 제한들을 받는다.
이로 인해, 메세지의 문자 및 송신자의 식별자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전송되는 단말기의 타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말기 타입은 단말기의 종류(본질적으로, 저장 용량, 디스플레이 크기 등과 같은 특징들) 및 전송 네트워크로 인한 임의의 다른 제한들을 본질적으로 식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지는 MMS 메세지는 부여된 제한내에서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요건은 적어도 2가지 다른 방식으로 충족될 수 있다.
첫째 방식은, 단계 204에서 발생된, MMS 메세지가 메세지의 문자 및 송신자의 식별자 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메세지가 속해야만 하는 부류를 나타내는 정보, 즉, MMS 메세지가 예정되는 단말기의 타입과 이에 따른 성능 특성들을 또한 포함하도록 만들기 위한 요청에 대해 제공한다. 그런 후, SMS 문자 메세지를 통합하는 비디오 컨텐츠가 수신자 단말기 타입에 따라, 즉, MMS 메세지가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수신하는 MMS 단말기의 특성들과 직접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 방안이 채택되면, 모듈(16)은 수취인 식별자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단말기 타입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모듈(16)과 데이터베이스(11) 사이의 연결은 도 1이 참조하는 기준에 따라, 모듈(10)을 통해, 직접 타입이거나 간접 타입일 수 있다.
동일한 결과를 얻는 두번째 방식은 (SMS 메세지에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비디오 컨텐츠에 대해 표준이 되는 기준을 기초로 한 모듈(16)에 의해 생성되도록 제공되므로, 메세지가 전송되는 단말기의 타입과는 무관하다.
SMS 원문 메세지와 상기 표준 멀티미디어 비디오 컨텐츠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도출되는 멀티미디어 메세지는 모듈(16)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읽으며,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로부터 도출된 MMS 메세지를 "특수화(specialize)"하는 모듈(10)로 전송된다.
어느 한 또는 다른 방안을 채택하기 위한 선택은 주로 적용 고려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첫번째 방안은, 적어도 원칙적으로, 메세지가 수신자 단말기의 요건에 맞으면 폐기되는 정보의 발생을 일으키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은 모듈(16)이 데이터베이스(11)에 있는 단말기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보장하게 하는 필요성에 의해 상쇄된다.
두번째 방안은, 일반적으로 현재의 MMS 적용을 위해 이미 제공된, 모듈(10)의 레벨에서 데이터베이스(11)의 정보의 이용가능성을 활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현재의 MMS 적용에서, 모듈(10)은 이미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전송된 MMS 메세지의 특수성(specialization)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점은 이 방안이 폐기되는 정보의, 모듈(16)에 의한, 생성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의해 적어도 최소한으로 경감된다.
어떤 방안이 채택되더라도, 동일한 에니메이션은 실질적으로 다른 방식들에서도 MMS 메세지로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초당 적은 수의 프레임으로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프레임은 그 순간에 캐릭터에 의해 발음되는 메세지의 문자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별히 컴팩트한 표현은 상기 메세지 크기 제한이 특히 엄격하거나, 수신자 단말기가 비디오를 나타낼 수 없는 상황에 매우 적합하다.
대안으로, 압축된 오디오와 함께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능하게는 현장 오디오(scene audio)가 완비된, 합성된 음성이 메세지에 또한 포함된다. 이는, 메세지 크기가 동영상 및 오디오 트랙 모두를 포함할 정도로 충분히 크면, 비디오를 지원하지 않고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에 유용한 표현이다.
또 다른 대안은 오디오를 완비한 비디오 클립(video clip)에 의해 표현된다. 이 경우, 에니메이션은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와 이에 따라 에니메이션에 사용되는 더 많은 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비디오 코딩에 의해 제공되는 더 높은 압출률로 인해 그 움직임이 더 부드러울 수 있음이 달성된다. 이 방안은 비디오 코딩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에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메세지를 패키지하는 방식들은 단지 예이며, 상기 방식들은 결코 본 발명에 따른 방안에 의해 제공된 가능성들 포괄하는 것이 아님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설명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도 1에서 16으로 표시돈 모듈의 가능한 구조적 배열이제공된다.
블록 또는 모듈(300)은 실질적으로 단말기(18)에 의해 전송된 SMS 메세지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상에서 헤더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장의 첫째 부분은 수신자 단말기(예를 들어, 도 1의 도면을 참조로, 단말기 12, 13 또는 14)의 번호와, 선택적으로, 송신측 사용자가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고 싶은 캐릭터와 배경의 표시를 포함하는 헤더에 의해 표현된다. 이들 데이터는 분리문자(separator character)에 의해 실제 메세지로부터 구분된다.
메세지는 결과적으로 생성된 에니메이션에 영향을 끼치는 저레벨 또는 고레벨의 메타정보(예를 들어, 소위 이모티콘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장의 예로서, 하기의 스트링(string)을 고려할 수 있다:
"3356121180 모피어스 시골@"안녕! 나는 해변에 있어:-) 하지만, 나는 네가 없으니 심심해.\kyawn, 150".
상기 예에서, 사용된 분리문자는 문자@이다.
송신자의 식별자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수신자의 단말기 모델을 나타내는 스트링도 당해 메세지와 연관된다.
참조번호(302)는 JoeXpress?? 시스템을 기초로 한 바람직한 수단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캐릭터들의 리스트, 캐릭터들과 관련된 언어들, 이용가능한 시나리오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모듈(16)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302)는 또한 캐릭터와 배경의 3차원 모델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02)와 상호작용하는, 블록(300)은 메세지 헤더 정보로부터 수신자의 식별자 뿐만 아니라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캐릭터 및 배경을 추출한다.
그런 후, 블록(300)은 캐릭터 리스트, 음성, 이용가능한 배경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02)와 통신하고, 이들 정보가 수신된 SMS 메세지의 헤더에서 생략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에, 블록(300)은 자동적으로 교정 옵션을 선택한다.
블록(300)은 출력에서 하기의 데이터/정보를 생성한다:
기능이 이하에 더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추가블록(302)으로 전송되는 헤더가 없는 메세지의 문장("안녕! 나는 해변에 있어:-) 하지만, 나는 네가 없으니 심심해.\kyawn, 150");
에니메이션의 주인공인 캐릭터의 이름 P(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예에서, 상기 이름은 "모피어스");
캐릭터와 관련된 언어 L(예를 들어, 영어);
가상 캐릭터 P가 위치되는 시나리에 해당하는 배경 A(본 명세서에 고려된 예에서, 상기 배경은 "시골" 배경임); 그리고
수신자 D의 식별자(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번호 3356121180으로 구성됨).
블록(300)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 M의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블록(302)은 문장이 모듈(16)의 출력을 구성하는 MMS 메세지의 에니메이션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삽입될 것임을 동시에 결정하는 정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메타정보로 이모티콘을 변환시킨다.
따라서, 블록(302)의 출력은 저레벨 정보를 갖는 문장 TBS, 즉, 이모티콘이 저레벨 메타정보로 대치되는 문장("안녕! 나는 해변에 있어\ksmile 하지만, 나는 네가 없으니 심심해.\kyawn, 150")과, 캐릭터 및 이모티콘들에 의해 말해지는 것만을 보유하는("안녕! 나는 해변에 있어:-) 하지만, 나는 네가 없으니 심심해"), 모든 저레벨 정보가 제거되는 문장 TE로 모두 구성된다.
블록(302)에 의해 생성된 문장 TBS는 상술한 동작과 연계되는 타이밍(timing)을 얻는 방식으로 문장에 포함된 동작 리스트를 추출하고 음성 합성기(306)에 의해 사용되는 형태로 문장을 만드는 블록(304)으로 전송된다.
블록(304)은 저레벨의 메타정보가 음성 합성기(문자 대 음성)의 "태그(tag)" 로 대체되는 문장 TAG를 합성기(306)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들은 특정한 정보로서 합성기에 의해 식별되고, 합성된 음성을 변환시키거나 합성된 문장에서 태그와 연계된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s)를 합성기(306)로부터 얻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열이다. 상기 시간 인스턴트는 동작의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블록(304)은 또한 임의의 파라미터들을 갖추고, 문장에 포함된 동작의 리스트에 실질적으로 해당하는 신호 TA를 부가적인 출력으로서 생성한다.
수차례 상술한 SMS 메세지를 참조하면, 본래 포함된 2개의 동작들, 즉 웃음, 및 하품, 150.이 있다.
파라미터 150은 표준 지속시간에 대해 "하품"동작의 지속시간을 변경한다.
음성 합성기(306)는 블록(300)에 의해 생성된 신호 L에 의해 식별된 선택된 언어를 사용하여 블록(304)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TAG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킨다.
음성신호 뿐만 아니라, 블록(306)은 또한 구어의 움직임 구성의 기초로서 사용되는 시 음성열(timed phonetic sequence) FT을 생성한다. 시 음성열은 음소들이 말해지는 시간 인스턴트와 일체로 되는 구어문장을 구성하는 음성열이다.
대신에, V로 표시된 신호는 실제 합성된 음성신호이다.
참조번호 308 및 310으로 표시된 블록은 구어(spoken word)의 에니메이션과 비디오 컨텐츠에 사용되는 캐릭터의 해당하는 얼굴 및 신체 에니메이션을 감독하는 엔진이다.
블록(308)은 음성열 FT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며, 상기 음성열을 "비세믹(visemic)" 시퀀스(sequence)로, 즉, 말할 때 얼굴에 의해 만들어진 움직임으로 변환시킨다. 실감나는 움직임을 얻기 위해, 에니메이션 엔진은 인접한 음소의 상호 영향효과, 즉 동시조음 현상(co-articulation phenomenon)을 고려한다. 만들어진 움직임은 3차원적이며, 관련된 출력신호 AP는 3차원 형태로 그리고 캐릭터와는 별개로 구어의 움직임을 기술하는 에니메이션 파라미터들로 구성된다. 이는 이와 같은 파리미터들이 임의의 형태 및 복잡도를 갖는 캐릭터들, 즉 인간 및 그 이외에 연이어 적용될 수 있다.
얼굴 및 신체 에니메이션 엔진으로 사용되는 블록(310)은 합성기(306)에 의해 생성된, 동작의 타이밍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가상 합산 노드(virtual summation node)(312)에서 통합되는 블록(304)에 의해 생성된 신호 TA에 대응하는 동작 리스트를 기초로 동작한다.
블록(310)은 캐릭터와는 별도의 에니메이션 파라미터들의 형태로 얼굴 및 신체 움직임 열(squences)을 포함하는 추가 데이터베이스(314)와 조화로운 형태로 동작하므로, 블록(308)에 의한 파라미터 출력에 대해 유사하다. 이 예에서, "웃음"과 "하품" 열은 데이터베이스(314)로부터 끌어온 2가지 움직임이다.
얼굴 및 신체(310) 에니메이션 블록은 한 줄의 에니메이션 파라미터들을 만들어 캐릭터가 수행해야하는 다양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각각의 동작을 통합한다. 각각의 움직임들은 이와 연관된 임의의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변경된다. 움직임은 또한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세기, 지속기간, 스펙큐럴 특징(specular characteristics) 등에서 자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눈꺼풀을 깜박거리는 것과 같이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은 캐릭터에 의해 실행되는 몇몇 움직임들도 또한 추가된다.
블록(310)의 출력은, 캐릭터와는 별도로, 신호 AFC에 의해 3차원적으로 구어의 움직임을 기술하는 각각의 에니메이션 파라미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형태와 복잡도를 갖는 캐릭터들, 즉 인간 및 동물과 같은 그 밖의 것등에 연이어 적용될 수 있다.
316으로 표시되는 연이은 블록은 실감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구어(신호 AP)의 움직임과 다른 움직임(신호 AFC)을 혼합하는 임무를 갖는다. 블록(316)의 동작은 (글자 "P"와 같은) 파열음을 말하고 하품하는 것과 같이 대조적일 수 있는 움직임의 선호도를 고려하는 로직(logic)을 기초로 한다. 그에 따라 생성된 움직임은 3차원적이다.
블록(316)의 출력신호는 캐릭터와는 별개로 각각의 에니메이션의 신호 AIP에 의해 구성된다.
신호 AIP는 각각의 에니메이션(신호 AIP)를 블록(300)으로부터 추출된 신호 P를 기초로 선택된 캐릭터의 움직임으로 변환시키는 블록(318)으로 제공된다. 그에 따라 생성된 움직임은 모델의 토폴로지(topology)에 따른다. 캐릭터와 관련된 모델은,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2)에 포함된다.
블록(318)의 출력신호는 선택된 캐릭터의 움직임 열(sequences)을 식별하는 신호 ADP에 의해 구성된다.
당해 신호 ADP는 데이터베이스(302)로부터 직접 끌어온 캐릭터 및 배경에 대한 추가정보와 함께 블록(300)으로부터 나온 배경 정보(A)와 상기 신호 ADP를 병합하는 블록(320)으로 제공된다.
캐릭터의 에니메이션에 추가하기 위해 이 모두는 또한 객체의 움직임 또는 촬영위치의 변화로서 장면(신호 A)에 있을 수 있고 문장에서 메타 정보의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남아있는 에니메이션들을 포함한다.
블록(320)의 출력신호는, 픽셀 매트릭스(pixel matrix)로서, 캐릭터와 배경으로 구성되는 3차원 장면의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동작을 갖는, 렌더링 동작(rendering operation)을 맡는 블록(322)으로 보내지는 최종적인 3차원 에니메이션 신호(TRD)로 구성된다. 규칙적인 시간간격에서 얻은 상기 픽셀 매트릭스 열(sequence)이 상기 블록의 출력을 구성한다. 렌더링 블록(322)의 출력은 FV로 표시된 에니메이션의 비디오 프레임 열로 구성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샘플링비(sampling ratio)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형태로는 25Hz로 설정되는 파라미터이다.
신호 FV는 블록(302)에 의해 발생된 이모티콘 TE를 갖는 문장을 수신하는 추가 블록(324)에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블록(324)은 생성된 비디오 에니메이션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프레임들 사이로 상기 문장을 배분한다. 상기 동작은 선택적이며 오디오 없는 MMS 메세지, 즉, SMS 메세지가 문자와 에니메이션의 형태로 나타나는 MMS 메세지가 생성될 때 수행된다.
블록(324)의 출력은 캐릭터와 장면의 모든 움직임 집합에 의해 구성된다. 실제적으로 문장과 함께 비디오 프레임의 시퀀스에 해당하는 상기 신호 FVT는 입력으 로서, 신호 FVT 이외에, 또한 합성된 음성에 부속한 신호 V 뿐만 아니라 수신자의 단말기 타입에 부속하는 정보 TV를 수신하는 비디오 코팅 블록(326)에 제공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정보가 모듈(16)의 레벨에서 이용가능한 방안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정보는 일반적으로 수신자 단말기의 대역과 모델명(예를 들어, 쏘니 전자 T68i, 노키아 7650 등)을 나타낸다.
블록(326)은 이 경우 당해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나타내지는데 적합한 포맷으로 직접 비디오 클립을 만듦으로써 진행된다. 결정된 단말기 타입에 대한 비디오 클립의 적용은, 예를 들어, 프레임의 공간 해상도 및 시간 해상도와 오디오 채널이 삽입되는지 여부 등에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참조가 되는 방안은 이런 방식으로 생성된 비디오 컨텐츠를 갖는 SMS 메세지를 통합하기 위해 제공되어 모듈(16)에 의해 생성된 결과적으로 발생한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보여지는데 적합한 포맷에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또한 모듈(16)(및, 따라서, 본 명세서에 예시된 이 실시예에서는 블록(326))이 이런 종류의 임의의 "특수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조건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클립, 또는 일반적으로 들어오는 SMS 문자 메세지를 보완하는 비디오 컨텐츠는 표준 포맷으로, 즉,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함이 없이 생성된다.
그런 후, 수신자 단말기에 의해 실제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최종 MMS 메세지를 만드는 관련된 포맷 변환이 MMS 릴레이/서버 기능을 갖는 모듈(10)(도 1)에 맡겨진다.
그리고 나서,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제적으로는 예시인) 실시예에서, 블록(326)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압축된 포맷으로 비디오 클립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신호 VC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신호는, 입력에서 수반되는 멀티미디어 메세지로부터 시작하여, MMS 표준에 해당하는 메세지를 구성하는 블록(328)으로 전송된다.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기 위해, 블록(328)은 입력에서 블록(326)에 의한 신호 VC 출력 뿐만 아니라, 블록(302)에 의해 발생된 이모티콘을 갖는 문자에 해당하는 신호 TE, 블록(300)으로부터 온 수신자 D에 부속하는 신호, 및 송신자 S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송신자 S에 대한 정보는 본 명세서에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는 공지된 기준에 따른 도 1의 센터에서 나온 것이다.
모듈(10)로 전송되는 MMS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해, 블록(328)은 MMS 메세지에서 이전에 계산된 비디오 에니메이션을 삽입한다. 이는 바람직하기로는 장면 설명의 SMIL 언어를 사용하고 여러가지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는 단일 형태로 결합시키게 한다.
블록(328)은 또한 송신자, 수신자 및 주제에 대한 정보를 메세지 헤더에 삽입한다. 상기 주제는 이모티콘을 갖는 문자를 구성하는 제 1 캐릭터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블록(328)은 또한 "로고(logos)" 또는 광고로서 MMS 메세지에 삽입되는 이미지들의 모음에 의해, 또는 장면용 배경음악 또는 광고 CM송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악으로서 구성되는 추가 데이터베이스(330)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원리를 변경함이 없이, 본 발명의 수단 및 실시예의 세부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순전히 예로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것을 참조로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SMS에 의해, 예를 들어, 이메일 메세지의 형태와는 다르게 생성된 MMS 문자 메세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그리고 UMTS 네트워크와는 다른 MMS 메세지의 전송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유효하다.

Claims (36)

  1. 문자 메세지를 송신자 단말기(18)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7);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문자 메세지와 비디오 컨텐츠를 통합하는 단계(16); 및
    MMS 메세지의 형태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12,13,14)에 전송하는 단계(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세제를 SMS 메세지의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들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MMS 메세지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들에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들에 적합한 방식으로 상기 문자 메세지를 생성된 비디오 컨텐츠(326)와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들과는 별도로 결정된 비디오 컨텐츠를 상기 문자 메세지와 보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들에 대해 얻어지는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니메이션 이미지,
    배경 이미지; 및
    가변 시점(variable viewpoint)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그룹내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세지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 내의 상기 비디오 신호에 연결될 수 있는 음성 신호(V)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세지에 해당하는 상기 합성된 음성 신호를 말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로서 상기 에니메이션 이미지(308,31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문자 에니메이션 시스템(308,310)에 의해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세지를 배경음악(330)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2.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니메이션 이미지는 Hz 차수의 에니메이션 샘플링비(sampling ratio)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세지의 표현에 사용되는 가상 캐릭터(P);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배경(A)에 의해 구성되는 그룹내에서 선택되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수신자(17)를 고려하여, 상기 문자 메세지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와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선택을 위한 스크립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서, 상기 문자 메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오류의 자동 수정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문자 메세지에 메타정보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이모티콘의 형태로 상기 문자 메세지에 추가정보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가
    연결된 상기 문자 메세지의 각 부분들과 함께, 프레임들에 명령된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
    압축된 오디오에 의해 수반되는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 및
    오디오가 완비된 비디오 클립으로 구성되는 그룹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방법.
  19. 송신자 단말기(18)로부터 문자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자 모듈(17);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해, 비디오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302,314,330)와 상기 문자 메세지를 비디오 컨텐츠와 통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합모듈(326,328)을 갖는 처리세트(16); 및
    MMS 메세지의 형태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12,13,14)에 전송하는 전송모듈(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7)은 SMS 메세지의 형태로 문자 메세지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18)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특성들(TD)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수신자로서 예정된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타입을 검출하는 검출모듈(300;10); 및
    상기 MMS 메세지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들에 맞추는 모듈(16,326;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326,328)은 상기 문자 메세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에 맞는 방식으로 생성된 비디오 컨텐츠(326)와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326,328)은 상기 문자 메세지를 상기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된 비디오 컨텐츠와 통합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관련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의 특성에 맞추는 단계(10)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구성되게 하는 MMS 메세지(10) 전송용 모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니메이션 이미지;
    배경 이미지; 및
    가변 시점을 갖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그룹내에서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발생기 모듈(302,308,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5.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내의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연결될 수 있는 음성 신호(V)를 상기 문자 메세지로부터 합성하기 위한 음성 합성기(3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를 발음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로서 상기 에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운동생성모듈(308,310)에 상기 비디오 발생기 모듈(302,308,310) 및 상기 음성 합성기(306)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생성모듈(308,310)은 JoeXpress?? 시스템과 같은 문자 에니메이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8.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세지를 배경음악과 통합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합모듈(326,328)과 상호작용하는 배경음악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29.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326,328)은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를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0. 제 24 항, 제 26 항, 제 27 항 또는 제 29 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326,328)은 Hz의차수로 에니메이션 샘플링비로 에니메이션 이미지를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1. 제 19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7)은
    상기 문자 메세지의 표현에 사용되는 가상 캐릭터(P);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배경(A)에 의해 구성되는 그룹내에서 선택되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18)로부터 수신된 상기 문자 메세지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정보추출블록(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2. 제 1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정보 데이터베이스(302,314,330)와 상기 문자 메세지를 비디오 컨텐츠와 통합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합모듈(326,328)을 갖는 상기 처리세트(16)는
    상기 문자 메세지의 연관된 각각의 부분들과 함께, 프레임에 정렬되는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
    압축된 오디오가 완비되는 에니메이션 GIF 이미지; 및
    오디오가 완비된 비디오 클립(video clip)에 의해 구성된 그룹내에서 선택되는 멀티디미어 메세지를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3.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와 상기 수신자 단말기(12,13,14)를 선택하는 스크립트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4.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 상기 문자 메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오류 자동수정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5.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메타정보를 상기 문자 메세지에 연결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36.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18)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추가정보를 이모티콘의 형태로 상기 문자메세지에 연결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상의 메세지 전송시스템.
KR1020057001993A 2002-08-14 2003-08-04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전송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2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02A000724 2002-08-14
IT000724A ITTO20020724A1 (it) 2002-08-14 2002-08-14 Procedimento e sistema per la trasmissione di messaggi s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589A true KR20050032589A (ko) 2005-04-07

Family

ID=1145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993A KR20050032589A (ko) 2002-08-14 2003-08-04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전송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019636A1 (ko)
EP (1) EP1529392A2 (ko)
JP (1) JP2005535986A (ko)
KR (1) KR20050032589A (ko)
CN (1) CN1685686A (ko)
AR (1) AR042178A1 (ko)
AU (1) AU2003251688A1 (ko)
BR (1) BR0305776A (ko)
IT (1) ITTO20020724A1 (ko)
WO (1) WO200401958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82B1 (ko) * 2006-04-24 2007-09-07 (주) 엘지텔레콤 수신자 중심의 문자메시지 변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2802B1 (ko) * 2008-08-29 2011-03-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s 자동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3378B2 (en) * 2003-07-01 2008-04-22 Microsoft Corporation Transport system for instant messaging
US8171084B2 (en) * 2004-01-20 2012-05-0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 emoticons
US7730482B2 (en) * 2004-06-08 2010-06-01 Covia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programmatic dynamic creation of interoperability content
JP2006018390A (ja) * 2004-06-30 2006-01-19 Kinesics Inc 携帯電話や携行端末へのニュース情報提供方法
CN100337495C (zh) * 2004-07-08 2007-09-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发送图文混排彩信的实现方法
JP4541054B2 (ja) * 2004-07-09 2010-09-08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及び撮影装置
WO2006047347A1 (en) 2004-10-22 2006-05-04 Vidiator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3d graphical messaging
CN101080918A (zh) * 2004-12-14 2007-11-2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合成视频消息的方法和系统
US8035585B2 (en) * 2004-12-17 2011-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Graphic data files including illumination control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100641230B1 (ko) * 2004-12-23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개선 방법
US8509823B2 (en) 2005-10-05 2013-08-13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CN100394812C (zh) * 2005-10-25 2008-06-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彩信发送方法
IL173011A (en) * 2006-01-08 2012-01-31 Picscout Ltd Image insertion for cellular text messaging
TWI454955B (zh) * 2006-12-29 2014-10-01 Nuance Communications Inc 使用模型檔產生動畫的方法及電腦可讀取的訊號承載媒體
US7756536B2 (en) * 2007-01-31 2010-07-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animated SMS messages
CN101345776B (zh) * 2008-08-14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内容适配实现方法、内容适配服务器
US9532190B2 (en) * 2008-11-14 2016-12-27 Sony Corporation Embedded advertising in MMS stationery
US7853659B2 (en) * 2008-11-25 2010-1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esenting personalized, voice printed messages from online digital devices to hosted services
US8526988B2 (en) * 2008-11-30 2013-09-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circulating messages
US8719353B2 (en) * 2009-09-01 2014-05-06 Seaseer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messaging
CN102510558B (zh) * 2011-10-13 2018-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系统、发送模块与接收模块
US9779532B2 (en) * 2014-07-31 2017-10-03 Emonster, Inc. Customizable animations for text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5446B1 (it) * 1998-10-02 2003-02-11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per la creazione di modelli facciali tridimensionali apartire da immagini di volti.
IT1314671B1 (it) * 1998-10-07 2002-12-31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nimazione di un modellosintetizzato di volto umano pilotata da un segnale audio.
NO986118L (no) * 1998-12-23 2000-06-26 Multimedia Capital As FremgangsmÕte for interaktiv fordeling av meldinger
ES2245103T3 (es) * 1999-04-19 2005-12-16 Nokia Corporation Metodo para entregar mensajes.
FI112427B (fi) * 1999-11-05 2003-11-28 Nokia Corp Menetelmä langattoman päätelaitteen ominaisuuksien määrittämiseksi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ssa,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 ja multimediapäätelaite
IT1320002B1 (it) * 2000-03-31 2003-11-12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per l'animazione di un modello sintetizzato di voltoumano pilotata da un segnale audio.
KR100617237B1 (ko) * 2000-07-3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서비스(sm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이벤트 발생 방법
US6975988B1 (en) * 2000-11-10 2005-12-13 Adam Roth Electronic mail method and system using associated audio and visual techniques
AU2002216338A1 (en) * 2000-12-14 2002-06-24 Xcitel Ltd.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art messages by users of cellular phones
KR100377936B1 (ko) * 2000-12-16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정 아이콘 입력방법
US20020177454A1 (en) * 2001-05-23 2002-11-28 Nokia Mobile Phones Ltd System for personal messag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82B1 (ko) * 2006-04-24 2007-09-07 (주) 엘지텔레콤 수신자 중심의 문자메시지 변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2802B1 (ko) * 2008-08-29 2011-03-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s 자동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05776A (pt) 2004-10-05
WO2004019583A2 (en) 2004-03-04
ITTO20020724A1 (it) 2004-02-15
JP2005535986A (ja) 2005-11-24
ITTO20020724A0 (it) 2002-08-14
AR042178A1 (es) 2005-06-15
WO2004019583A3 (en) 2004-04-01
AU2003251688A1 (en) 2004-03-11
US20060019636A1 (en) 2006-01-26
EP1529392A2 (en) 2005-05-11
CN1685686A (zh)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2589A (ko)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 송신자 단말기상으로의 메세지전송방법 및 시스템
CN101622854B (zh) 提供和显示动画sms消息的设备和方法
US7103548B2 (en) Audio-form presentation of text messages
WO2009125710A1 (ja) メディア処理サーバ装置およびメディア処理方法
AU2007346312B2 (e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s for text to speech and text to facial animation conversion
US20020191757A1 (en) Audio-form presentation of text messages
FI115868B (fi) Puhesynteesi
US200801411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3D Graphical Messaging
CN1482787A (zh) 一种在即时通信工具和手机间实现多媒体短信互通的方法
JP2008544412A (ja) 文脈に基づいた自動的なメディア変換および生成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製品
US20090096782A1 (en) Message service method supporting three-dimensional image o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for
KR100733772B1 (ko) 이동통신 가입자를 위한 립싱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CN110012059B (zh) 电子红包实现方法以及装置
GB2376379A (en) Text messaging device adapted for indicating emotions
CN102946592B (zh) 一种移动终端收发信息的方法及系统
KR20080019842A (ko) 유명 인사의 동영상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0291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들 및 단순 패턴들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483824B (zh) 一种个性化定制媒体的方法、服务端和系统
CN101808297B (zh) 移动终端多媒体信息的收发方法和控制装置
KR10056494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변환방법
KR100646351B1 (ko) 장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이미지 생성 방법
CN117640604A (zh) 一种基于NaaS架构的实时通话智能特效生成方法及系统
JP2008054340A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CN117676009A (zh) 一种5g新通信动态背景生成方法及系统
Fahrmair et al. NVAS Implemented in NMN—Service Prototype and Enabler Use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