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739A -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739A
KR20050031739A KR20030067993A KR20030067993A KR20050031739A KR 20050031739 A KR20050031739 A KR 20050031739A KR 20030067993 A KR20030067993 A KR 20030067993A KR 20030067993 A KR20030067993 A KR 20030067993A KR 20050031739 A KR20050031739 A KR 2005003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curity card
terminal
security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035B1 (ko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35B1/ko
Priority to CN 200410037237 priority patent/CN100490354C/zh
Publication of KR2005003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35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장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이용하여 소지하고 있는 은행보안카드 내용 또는 신규 발급받을 은행보안카드 내용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소지하는 다수의 보안카드를 휴대하지 않아도 그 내용을 알수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안카드에 대한 내용이 입력된 장문메시지(L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를 이동 통신 사업자(기지국)와 은행 간에 기 협약된 전화번호로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단말기에서 파싱/저장하여 그 저장된 내용을 격자셀 형태의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보안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METHOD FOR SAVING BANK SECURITY CARD USING CHARACTER MESSAGE}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장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이용하여 소지하고 있는 은행보안카드 내용 또는 신규 발급받을 은행보안카드 내용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소지하는 다수의 보안카드를 휴대하지 않아도 그 내용을 알수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의 발전과 초고속통신망의 보급으로 인해 일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던 업무를 인터넷을 통해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 인터넷뱅킹은 고객이 직접 은행까지 갈 필요 없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만 있으면 어디에서나 은행업무을 가능하게 하였다.
인터넷뱅킹이란, 인터넷을 통해 각 은행의 홈페이지에 접속, 온라인상의 가상창구에서 각종 은행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자은행서비스로서, 해당 은행에서의 실명확인을 통한 약정채결과, 인터넷뱅킹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아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자신의 개인컴퓨터에서 해당 은행의 온라인창구, 즉 인터넷뱅킹서비스를 위한 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이후 인터넷뱅킹의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서(Certificate)를 발급받아야 한다. 인증서란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신분증으로 전자서명 검증키와 이를 소유하는 자연인 또는 법인과의 귀속관계 등을 인증기관이 확인증명한 전자적 정보로서, 현재 일상 거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종의 인감증명과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하여 입출금 거래 내역 및 이체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은행에서 인터넷뱅킹서비스 신청시 사용자의 계좌를 보호할 수 있는 보안카드를 지급하고, 인터넷뱅킹을 통한 이체기능은 그 보안카드에 기재된 내용을 입력하여야만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보안카드는 각 계좌마다 하나씩 지급되고, 그 내용 또한 오직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수의 계좌를 가지고, 그 모든 계좌에 대해서 인터넷뱅킹을 사용한다면, 각각의 계좌에 해당하는 많은 보안카드를 소지하게 되며, 보안카드가 많아질수록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인 숫자 배열로 이루어진 보안카드의 내용을 암기할 수도 없고, 조심스럽게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인터넷뱅킹서비스를 위한 보안카드는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불규칙적인 숫자 배열로 이루어진 보안카드의 내용을 암기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조심스럽게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보안카드에 대한 내용이 입력된 장문메시지(L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를 이동 통신 사업자(기지국)와 은행 간에 기 협약된 전화번호로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단말기에서 파싱/저장하여 그 저장된 내용을 격자셀 형태의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보안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 내용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상기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메시지인지 보안카드 신규 발급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에 보안코드 메시지를 의미하는 구분번호(CID)를 추가하고, 그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카드 신규 발급을 위한 메시지이면 은행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여 그 사용자에 대한 신규 발급 보안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데이터에 보안코드 메시지를 의미하는 구분번호(CID)를 추가한 후 기 설정된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이면 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카드정보를 파싱(해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보안카드 정보 데이터를 격자셀로 이루어진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메시지인지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일반메시지와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에 대한 판단은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상기 기지국과 은행 간의 협의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인지의 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보안카드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된 셀은 보안코드 및 그 보안코드가 위치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 관련 메시지는 장문메시지(LMS)이거나 멀티미디어메시지(MM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셀로 표시된 보안카드정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의 보안코드 확인은 키패드를 통한 번호 입력 또는 방향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문메시지(LMS)를 통해 보안카드의 내용 또는 보안카드를 발급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된 보안코드 관련 메시지의 내용을 파싱(해석)하여 격자셀로 이루어진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 또는 은행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보안카드 데이터를 장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기지국(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은행서버(30)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메시지 관련메뉴에 진입하고, 저장하고자하는 보안코드 메시지 및 기 협약된 은행측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20)에서 상기 보안코드 메시지 및 은행측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 내용에 따라 은행서버(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보안카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보안코드 데이터를 LMS 또는 MMS로 변환하고, 구분번호(Content ID : CID)를 추가하여 단말기(10)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보안코드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를 파싱(parsing)한 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된 보안카드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10)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보안카드정보 데이터가 격자셀로 이루어진 시각화된 테이블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보안코드 메시지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보안카드의 보안코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새로운 보안카드를 발급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메시지인 아니면 보안코드 메시지인지에 대한 판단은,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자 전화번호가 이동 통신 사업자와 은행간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 전화번호와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기(10)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인지의 여부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CID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럼,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장문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소지한 보안카드의 보안코드 내용을 단말기(10)에 저장하기 위해 기 설정된 포맷으로 은행명과 그 보안카드에 적힌 번호와 보안코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거나(도3a), 자신이 소지하지 않은 보안카드를 신규로 발급받아 단말기(10)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주민번호 등을 입력한다(도3b). 이때, 상기 두가지 경우, 즉, 자신이 소지한 보안카드 내용을 단말기(10)에 저장하는 경우와 신규의 보안카드 내용을 발급받아 저장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가 단말기(10)에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발신 메시지 메뉴 또는 보안 관련 메뉴에 보안카드를 신규로 받을 수 있는 항목을 구성하고, 그 항목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기지국(20)에서 상기 신규 보안카드 발급에 대한 메시지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가 추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보안카드 관련 내용을 입력하고, 수신자 전화번호로 이동 통신 사업자와 은행 간에 협의된 전화번호, 예를 들어, 00은행은 24523532, XX은행은 35235235 와 같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20)은 상기 단말기(10)에서 송신한 데이터(보안카드 내용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일반메시지인지 판단하고, 일반메시지가 아닌 경우 보안카드 신규 발급에 대한 메시지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지 판단한다.
상기 일반메시지인지에 대한 판단은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로 판단한다. 즉, 수신측 전화번호가 은행과 협의된 전화번호이면, 보안코드 관련 메시지로 판단한다.
또한, 수신된 메시지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지 아니면 보안카드 신규 발급에 대한 메시지인지의 판단은 단말기(10)에서 송신시 메시지의 소정 영역에 포함된 데이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시지 종류 판단에 대한 데이터의 길이 및 위치 그리고 그 값은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카드 신규 발급에 대한 메시지이면, 즉, 수신된 메시지가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이면, 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은행 서버(30)로 송신한다.
은행 서버(3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보안카드 데이터를 검색/확인하고, 그 사용자에 대한 신규 보안카드 데이터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20)은 은행서버(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규 보안카드 데이터를 LMS 또는 MMS 포맷으로 변환하고, 보안코드 메시지를 의미하는 CID를 추가하여 단말기(10)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도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 경우에도 그 수신된 메시지를 LMS 또는 MMS 포맷으로 변환하고, 보안코드 관련 메시지를 의미하는 CID를 추가하여 단말기(10)로 송신한다.
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CID를 통해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카드정보 데이터를 파싱(해석)하여 단말기(10) 내부 메모리(미도시)의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보안카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항목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며, 이 과정은 입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단말기(10)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가 일치 할 때까지 계속된다. 사용자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저장된 보안카드정보 데이터는 도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셀로 이루어진 시각화된 테이블 형태로 도시되며, 그 셀은 하나의 보안코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셀이 선택되면 그 셀에 대한 번호와 그 번호에 해당하는 보안코드가 표시창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창에 격자셀로 표시된 보안카드정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의 보안코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향키 또는 키패드(미도시)에서 번호를 직접입력함으로써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 또는 신규 발급받고자 하는 보안카드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어 타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사업자와 연계된 모든 은행의 보안카드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카드에 대한 내용이 입력된 장문메시지(L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를 이동 통신 사업자(기지국)와 은행 간에 기 협약된 전화번호로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단말기에서 파싱/저장하여 그 저장된 내용을 격자셀 형태의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보안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일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 통신 단말기 20:기지국
30:은행서버

Claims (7)

  1. 단말기에서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 내용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상기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메시지인지 보안카드 신규 발급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에 보안코드 메시지를 의미하는 구분번호(CID)를 추가하고, 그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카드 신규 발급을 위한 메시지이면 은행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여 그 사용자에 대한 신규 발급 보안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데이터에 보안코드 메시지를 의미하는 구분번호(CID)를 추가한 후 기 설정된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보안코드 메시지이면 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카드정보를 파싱(해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보안카드 정보 데이터를 격자셀로 이루어진 시각화된 테이블로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메시지인지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메시지와 보안카드 관련 메시지에 대한 판단은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상기 기지국과 은행 간의 협의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인지의 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보안카드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된 셀은 보안코드 및 그 보안코드가 위치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 관련 메시지는 장문메시지(LMS)이거나 멀티미디어메시지(M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셀로 표시된 보안카드정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의 보안코드 확인은 키패드를 통한 번호 입력 또는 방향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KR20030067993A 2003-09-30 2003-09-30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KR10053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7993A KR100533035B1 (ko) 2003-09-30 2003-09-30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CN 200410037237 CN100490354C (zh) 2003-09-30 2004-04-29 利用文字信息的银行安全卡保存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7993A KR100533035B1 (ko) 2003-09-30 2003-09-30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39A true KR20050031739A (ko) 2005-04-06
KR100533035B1 KR100533035B1 (ko) 2005-12-02

Family

ID=3467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7993A KR100533035B1 (ko) 2003-09-30 2003-09-30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33035B1 (ko)
CN (1) CN10049035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52B1 (ko) * 2005-03-0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은행 보안카드 정보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은행 보안카드 정보 처리 방법
KR100777813B1 (ko) * 2005-12-28 2007-11-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터넷 뱅킹용 소프트 보안카드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0412B (zh) * 2012-10-22 2017-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虚拟南向接口的实现方法、装置及物联网管理平台
KR101812240B1 (ko) 2015-06-30 2017-12-27 주식회사 부산은행 사용자단말과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뱅킹용 보안카드 정보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422A (en) * 1995-05-31 1998-01-13 At&T Transaction authorization and alert system
JP2001306987A (ja) * 2000-04-25 2001-11-02 Nec Corp 携帯電話機によるカード利用承認方法、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装置
CN1370002A (zh) * 2001-02-12 2002-09-18 王迪 用个人数字移动电话机实现信用卡功能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52B1 (ko) * 2005-03-0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은행 보안카드 정보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은행 보안카드 정보 처리 방법
KR100777813B1 (ko) * 2005-12-28 2007-11-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터넷 뱅킹용 소프트 보안카드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4501A (zh) 2005-04-06
KR100533035B1 (ko) 2005-12-02
CN100490354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80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on of wireless e-commerce transactions
CN100468469C (zh) 电子钱包
CN100362786C (zh) 在无线网络中执行保密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CN101496344B (zh) 网上银钱支付和身份确认的带自设认证算式的方法和系统
US7565321B2 (en) Telepayment method and system
KR100858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사용자인증 방법 및 장치
US20030191721A1 (en)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communication devices to secure a commercial transaction over a network
CA24197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on of wireless e-commerce transactions
CA24197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on of wireless e-commerce transactions
US8412634B2 (en) Authenticating method
JP2002074188A (ja) 会員情報登録方法および装置、会員認証方法および装置、サーバコンピュータ
CN101790166A (zh) 基于手机智能卡的数字签名方法
CN11051567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030187795A1 (en)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 transaction
CN101184107A (zh) 网上交易系统及利用该系统进行网上交易的方法
KR100533035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은행보안카드 저장 방법
KR100582389B1 (ko) Rf 결제시 중간 이벤트를 차단하는 모바일 커머스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6610966A (zh) 一种信息提供方法及装置
CN102546540B (zh) 数据处理方法
CN204557575U (zh) 一种银行自助终端装置及认证系统
CN104636910A (zh) 移动手持终端、支付系统以及支付方法
US8464328B2 (en)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data read in a terminal station by a server
KR20130036262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KR20030032123A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그 접속 방법
KR20010093576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시 신용카드의 일부 번호와 이동 통신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및 지불거래를 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