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527A - 다기능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527A
KR20050029527A KR1020030065834A KR20030065834A KR20050029527A KR 20050029527 A KR20050029527 A KR 20050029527A KR 1020030065834 A KR1020030065834 A KR 1020030065834A KR 20030065834 A KR20030065834 A KR 20030065834A KR 20050029527 A KR20050029527 A KR 2005002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water supply
backrest
supply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to KR1020030065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527A/ko
Publication of KR2005002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배변, 배뇨, 샤워, 세면 등을 침상에서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등받이의 상단에 머리거치홈을 형성하여, 환자가 침상에서 보다 편안한 자세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 양측의 팔걸이를 스프링이 내장된 삽탈식 지지대로 절첩되도록 하여 사용중 환자나 간병인의 손 또는 팔이 등받이와 팔걸이 사이에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샤워기에 연결된 물공급관이 침대본체내로 삽탈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주면을 깨끗하게 정돈할 수 있으며, 샤워기의 사용 후 물공급관의 처리를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딩식 좌변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변기를 사용중이거나 변기내에 신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변기의 이동을 방지하므로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하고, 서랍식 세면대에 설치된 회전밸브의 연결부를 세면대의 외부에 설치하므로서, 세면대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밸브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데스크와 세면대에 연결된 급,배수관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이동데스크의 이동시 급,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용 침대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환자용 침대{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s}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배변, 배뇨, 샤워, 세면 등을 침상에서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에 머리거치홈을 형성하고 양측 팔걸이의 절첩구조를 개선하여 머리감기가 용이하며 팔걸이의 절첩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권취식 샤워기를 설치하여 미관상 보기가 좋고 사용이 편리하며, 슬라이딩식 좌변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좌변기의 오동작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서랍식 세면대의 회전밸브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세면대에 연결되는 급,배수관을 이동데스크에 고정시켜 이동데스크의 이동시 급,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다기능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침대에는 환자의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보조원이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간이 변기를 침대 하부에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소변을 해결하곤 하였다.
그러나, 화장실까지 이동하기에는 환자 자신이나 보조원의 고충이 크고,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악취가 많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간이 변기를 치우는 사람에게 위생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대에는 환자의 샤워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환자가 세면장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2003년 특허출원 제11944호 및 200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3109호와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양측에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팔걸이가 구비된 등받이와; 냉,온수의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와; 구동수단 및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식 좌변기와; 회전밸브가 설치된 서랍식 세면대를 구비한 이동데스크가 설치된 다기능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므로서,
환자가 주변사람들의 도움 없이도 배뇨 및 배변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상에서 샤워 및 세면이 가능하여 환자를 보다 편안하게 하고 간병인의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는 다기능 환자용 침대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자용 침대는,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세워 환자가 기댄상태에서 머리를 감을시 머리가 등받이의 후측으로 젖혀지지 않아 물이나 비눗물이 안면쪽으로 흘러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와이어에 의해 절첩되는 양측 팔걸이는 장기간 사용시 팔걸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늘어나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상에 설치된 샤워기의 연결관이 본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연결관을 정리하는 데 큰 불편함이 있었고,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좌변기는 좌변기를 사용중이거나 좌변기내에 손이나 팔 등의 신체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오작동이 발생하여 환자나 간병인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되며,
서랍식 세면대에 설치된 회전밸브의 연결부위가 세면대 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밸브의 설치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서랍식 세면대에 연결된 급,배수관이 연질로 형성되어 침대본체의 내부로 직접연결되기 때문에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데스크를 이동시 급,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등받이의 상단에 머리거치홈을 형성하여, 환자가 침상에서 보다 편안한 자세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 양측의 팔걸이를 스프링이 내장된 삽탈식 지지대로 절첩되도록 하여 사용중 환자나 간병인의 손 또는 팔이 등받이와 팔걸이 사이에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팔걸이의 고장을 방지하고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다기능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샤워기에 연결된 물공급관이 침대본체내로 삽탈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주면을 깨끗하게 정돈할 수 있으며, 샤워기의 사용 후 물공급관의 처리를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식 좌변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변기를 사용중이거나 변기내에 신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변기의 이동을 방지하므로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식 세면대에 설치된 회전밸브의 연결부를 세면대의 외부에 설치하므로서, 세면대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밸브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데스크와 세면대에 연결된 급,배수관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이동데스크의 이동시 급,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용 침대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로이다.
침대본체(1)의 상면 일측에 등받이(2)를 등받이회전축(11)으로 결합하고, 등받이(2) 양측에 팔걸이(3)를 팔걸이회전축(14)상에 설치하며; 침대본체(1)의 일측면에 샤워기(7)를 설치하고; 침대본체(1)의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식 좌변기(6)를 설치하며; 침대본체(1)의 상면에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데스크(4)를 설치하고; 내부에 회전밸브(10)가 구비되고 이동데스크(4)에 삽탈되는 서랍식 세면대(5)로 구성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등받이와 팔걸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설명도이다.
등받이(2)의 상측 뒷면에 팔걸이회전축(14)을 설치하여 등받이(2) 양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에 각각 팔걸이(3)를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등받이회전축(11)의 후측 침대본체(1)와 팔걸이회전축(14) 후측의 팔걸이(3)를 내부에 스프링(15)이 내장된 삽탈식 지지대(12)로 연결하고, 등받이(2)의 상단 중앙부에 머리거치홈(13)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등받이 및 팔걸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환자의 머리를 감기기위해 등받이(2)를 일정한 각도로 세운 후 머리거치홈(13)에 환자의 목을 거치시켜 머리를 뒤로 젖히고 머리를 감기는 것인데, 이렇게 머리를 감기게 되면 물이나 비눗물 등이 환자의 안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머리를 감은 폐수가 등받이(2) 후측의 침상으로 낙하하여 배수되므로 환자가 누워있는 침상은 깨끗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2)를 회전시켜 승강시 팔걸이회전축(14)에 결합된 양측 팔걸이(3)도 함께 회전하여 침대본체(1)와 수평을 유지하므로서 환자가 양팔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침대본체(1)와 팔걸이(3)를 연결하고 있는 삽탈식 지지대(1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삽탈식 지지대(12)는 내부에 스프링(15)이 내장되어 있고, 스프링(15)이 내장된 측의 지지대(12)는 등받이회전축(11) 후측의 침대본체(1)상에 연결되고, 스프링(15)에 의해 탄설되어 삽탈되는 측의 지지대(12)는 팔걸이회전축(14) 후측의 팔걸이(3) 저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등받이(2)를 상승시에는 팔걸이(3)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지지대(12)를 삽입시키게 되고, 등받이(2)를 하강시에는 지지대(12)가 삽입되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팔걸이(3)를 강제 회전시켜 등받이(2)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의 등받이(2) 및 팔걸이(3)는 절첩시 등받이(3)와 팔걸이(3)사이에 환자나 간병인의 손 또는 팔이 끼더라도 삽탈식 지지대(12)가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5)의 탄발력과 복귀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므로 부상당할 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샤워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3a는 전체측면도이고, 도3b는 작동설명도이다.
침대본체(1)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만 탄발력에 의해 자동회전되는 통상의 일방향 권취롤(16)을 설치하고, 이에 샤워기(7)의 물공급관(18)을 권취하여 샤워기(7)는 침대본체(1)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샤워기(7)와 일방향 권취롤(16) 사이의 침대본체(1) 상에는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일측에 스프링(21)이 탄설된 압지레버(17)를 설치하여 압지레버(17)의 마찰면(19)이 물공급관(18)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9는 냉,온수 조절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샤워기는 사용시 샤워기(7)를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일방향 권취롤(16)에 권취되어 있던 물공급관(18)이 일방향 권취롤(16)의 탄발력을 이기면서 침대본체(1)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물공급관(18)이 인출시에는 회전축(20)에 결합되어 경사상으로 설치된 압지레버(17)의 경사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압지레버(17) 마찰면(19)의 저항을 받지 않지만, 인출작동이 정지되면 일방향 권취롤러(16)가 탄발력에 의해 역회전하여 물공급관(18)을 순간적으로 본체내로 당기게 되므로 물공급관(18)의 이동방향이 압지레버(17)의 경사방향과 일치되므로 마찰면(19)의 저항에 의해 물공급관(18)이 인출된 상태로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출되어 있던 물공급관(18)을 다시 본체(1)내로 내입시에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압지레버(17)를 눌러 압지레버(17)의 마찰면(19)을 물공급관(18)과 분리시켜 마찰저항을 해지시키므로서 일방향 권취롤(16)의 탄발력에 의해 물공급관(18)이 일방향 권취롤(16)에 권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샤워기(7)에 연결된 물공급관(18)을 일방향 권취롤러(16)와 압지레버(17)에 의해 침대본체(1)의 내부로 삽탈되게 하므로서 침대의 외관을 단순화하여 보기좋게 할 뿐만아니라 샤워기(7)의 사용 후 물공급관(18)의 정리를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4a는 슬라이딩식 좌변기의 일실시예에 감지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4b는 슬라이딩식 좌변기의 회로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좌변기(6)가 위치되는 침대본체(1)의 개구부 일측면에 감지센서(23)를 설치하고, 이를 리미트스위치(24)의 신호를 전송받아 구동수단(25)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감지센서(23)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수단(25)을 제어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식 좌변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침대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38)가 구동수단(25)에 설치된 뚜껑(22)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상면이 평평한 상태로 일반 침대와 같이 사용하다가, 환자가 소변이나 대변을 보고자 할 때에는 뚜껑(22)이 결합된 구동수단(25)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구동수단(25)을 작동시키므로서 뚜껑(22)을 하강시켜 개구부(38)를 개방시킨다.
뚜껑(22)이 하강하면서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24)에 접촉되면서 뚜껑(22)은 하강작동을 멈추게 됨과 동시에 이동대의 후측에 설치된 또 다른 구동수단(25)을 작동켜 이동대를 이동시키므로서 이동대상의 좌변기(6)가 개구부(38)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좌변기(6)가 개구부(38)에 위치되어 환자가 용무를 마치고나면 다시 스위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이동대를 원위치시키고, 뚜껑(22)을 상승시켜 개구부(38)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좌변기(6)가 개구부(38)에 위치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보거나 좌변기(6)의 내부에 손이나 팔 등 신체일부가 삽입시에는 이를 개구부(38) 일측면에 설치된 감지센서(23)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므로서, 복귀스위치가 작동되더라도 구동수단(25)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좌변기(6)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가, 좌변기(6)내에 다른 물체가 없는 것을 감지한 후 좌변기(6)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좌변기(6)의 이동으로 인한 불편함과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세면대에 회전밸브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a는 측단면도이고, 도5b는 작동설명도이다.
서랍식 세면대(5)의 밸브결합부(30)를 외측으로 돌출형성하여 단부에 캡(31)을 결합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급수관(26)이 연결되는 유로(32')를 돌출형성하며, 회전밸브(10)를 세면대(5)의 내측으로부터 밸브결합부(30)에 삽입하여 회전밸브(10)의 유로(32)상에 형성된 배출공(29)이 밸브결합부(30)의 유로(32')와 일치되게 설치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7은 배수관, 28은 배수공이다.
본 발명의 회전밸브가 설치된 세면대를 사용하여 환자가 세면을 하고저 할 때에는, 우선 이동데스크를 이동수단에 의해 환자측으로 이동시킨 후, 세면대(5)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서랍식 세면대(5)가 데스크본체와 세면대(5)측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환자측으로 돌출된다.
세면대(5)가 돌출되어 내부의 회전밸브(10)가 노출되면, 회전밸브(10)를 손으로 잡고 상측직각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밸브(10)의 유로(32)상에 형성된 배출공(29)과 밸브결합부(30)의 유로(32')를 일치시키므로서 급수관(26)을 통해 밸브결합부(30)의 유로(32')내로 공급되는 물을 회전밸브(1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밸브(10)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물은 서랍식 세면대의 충전공간에 충전시켜 사용 후 배수공(28)을 개방시키므로서 배수관(27)을 통해 배수시키는 것이다.
환자가 세면을 마치고 물을 잠그고저 할 때에는 상기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밸브(10)를 회전시켜 회전밸브(10)의 유로(32)상에 형성된 배출공(29)을 밸브결합부(30)의 유로(32')로부터 이탈시켜 밸브결합부(30)의 내주면에 의해 차단되게 하므로서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회전밸브(10)가 수평으로 회전되면서 세면대(5)내로 내입되므로 세면대(5)를 다시 데스크본체의 삽탈공간내로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서랍식 세면대(5)에 회전밸브(10)와 배수공(28)을 설치하고 이에 급수관(26)과 배수관(27)을 연결하여 구성하므로서, 환자가 침상에서 세면대(5)를 이용한 세면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회전밸브(10)와 세면대(5)간의 연결부위가 세면대(5)의 외측에 형성되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고, 밸브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에 세면대가 구비된 이동데스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6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6b는 작동설명도이다.
서랍식 세면대(5)가 구비된 이동데스크(4)와 침대본체(1)내의 체인(37)을 연결하는 브라켓(33)상에 경질의 파이프로된 배수관(35)과 급수관(36)을 고정시키고, 배수관(35)의 상단과 세면대(5)의 배수공을 연질의 배수관(27)으로 연결하고, 급수관(36)의 상단과 세면대(5)의 밸브결합부를 연질의 급수관(26)으로 연결하며, 브라켓(33)에 고정된 배수관(35)과 급수관(36)의 하단부는 브라켓(33)이 왕복되는 가이드공(34)내로 절곡하여 침대본체(1)내의 급,배수관과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데스크를 사용시에는, 이동스위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모터(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37)을 회전시키므로서 환자가 편안하게 식사를 하거나 세면을 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데스크(4)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체인(37)에는 이동데스크(4)의 받침대(8) 바닥면이 결합되는 브라켓(33)이 설치되어 있어 체인(37)의 이동에 따라 브라켓(33)이 가이드공(34)을 따라 왕복하면서 이동데스크(4)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동데스크(4)가 이동됨과 동시에 브라켓(33)에 고정되어 있는 급수관(36)과 배수관(35)이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급,배수관(36)(35)의 하단부는 가이드공(34)내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이동데스크(4)가 이동되더라도 급수관(36)이나 배수관(3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33)상에 고정된 급,배수관(36)(35)과 서랍식 세면대(5)는 연질의 급,배수관(26)(27)으로 연결되어 있어 세면대(5)의 삽탈시 방해를 받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데스크(4)와 급,배수관(36)(35)을 함께 이동되게 하므로서, 이동데스크(4)의 작동시 급,배수관(36)(3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대의 외관을 보기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등받이의 상단에 머리거치홈을 형성하여, 환자가 침상에서 보다 편안한 자세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 양측의 팔걸이를 스프링이 내장된 삽탈식 지지대로 절첩되도록 하여 사용중 환자나 간병인의 손 또는 팔이 등받이와 팔걸이 사이에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샤워기에 연결된 물공급관이 침대본체내로 삽탈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주면을 깨끗하게 정돈할 수 있으며, 샤워기의 사용 후 물공급관의 처리를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딩식 좌변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변기를 사용중이거나 변기내에 신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변기의 이동을 방지하므로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하고, 서랍식 세면대에 설치된 회전밸브의 연결부를 세면대의 외부에 설치하므로서, 세면대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밸브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데스크와 세면대에 연결된 급,배수관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이동데스크의 이동시 급,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용 침대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등받이와 팔걸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샤워기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3a는 전체측면도이고,
도3b는 작동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4a는 슬라이딩식 좌변기의 일실시예에 감지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4b는 슬라이딩식 좌변기의 회로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 환자용 침대의 세면대에 회전밸브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a는 측단면도이고,
도5b는 작동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에 세면대가 구비된 이동데스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6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6b는 작동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본체 2 : 등받이
3 : 팔걸이 4 : 이동데스크
5 : 세면대 6 : 좌변기
7 : 샤워기 8 : 받침대
10 : 회전밸브
11 : 등받이회전축 12 : 지지대
13 : 머리거치홈 14 : 팔걸이회전축
15 : 스프링 16 : 일방향권취롤
17 : 압지레버 18 : 물공급관
19 : 마찰면 20 : 회전축
21 : 스프링 22 : 뚜껑
23 : 감지센서 24 : 리미트스위치
25 : 구동수단 26 : 급수관
27 : 배수관 28 : 배수공
29 : 배출공 30 : 밸브결합부
31 : 캡 32,32' : 유로
33 : 브라켓 34 : 가이드공
35 : 배수관 36 : 급수관
37 : 체인 38 : 개구부
39 : 냉,온수 조절밸브

Claims (1)

  1. 침대본체(1)의 상면 일측에 등받이(2)를 등받이회전축(11)으로 결합하고, 등받이(2) 양측에 팔걸이(3)를 팔걸이회전축(14)상에 설치하며; 침대본체(1)의 일측면에 샤워기(7)를 설치하고; 침대본체(1)의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식 좌변기(6)를 설치하며; 침대본체(1)의 상면에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데스크(4)를 설치하고; 내부에 회전밸브(10)가 구비되고 이동데스크(4)에 삽탈되는 서랍식 세면대(5)로 구성된 다기능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등받이(2)의 상측 뒷면에 팔걸이회전축(14)을 설치하여 등받이(2) 양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에 각각 팔걸이(3)를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등받이회전축(11)의 후측 침대본체(1)와 팔걸이회전축(14) 후측의 팔걸이(3)를 내부에 스프링(15)이 내장된 삽탈식 지지대(12)로 연결하고, 등받이(2)의 상단 중앙부에 머리거치홈(13)을 형성하고;
    침대본체(1)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만 탄발력에 의해 자동회전되는 통상의 일방향 권취롤(16)을 설치하고, 이에 샤워기(7)의 물공급관(18)을 권취하여 샤워기(7)는 침대본체(1)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샤워기(7)와 일방향 권취롤(16) 사이의 침대본체(1) 상에는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일측에 스프링(21)이 탄설된 압지레버(17)를 설치하여 압지레버(17)의 마찰면(19)이 물공급관(18)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좌변기(6)가 위치되는 침대본체(1)의 개구부 일측면에 감지센서(23)를 설치하고, 이를 리미트스위치(24)의 신호를 전송받아 구동수단(25)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감지센서(23)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수단(25)을 제어토록 하고;
    서랍식 세면대(5)의 밸브결합부(30)를 외측으로 돌출형성하여 단부에 캡(31)을 결합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급수관(26)이 연결되는 유로(32')를 돌출형성하며, 회전밸브(10)를 세면대(5)의 내측으로부터 밸브결합부(30)에 삽입하여 회전밸브(10)의 유로(32)상에 형성된 배출공(29)이 밸브결합부(30)의 유로(32')와 일치되게 설치하며;
    서랍식 세면대(5)가 구비된 이동데스크(4)와 침대본체(1)내의 체인(37)을 연결하는 브라켓(33)상에 경질의 파이프로된 배수관(35)과 급수관(36)을 고정시키고, 배수관(35)의 상단과 세면대(5)의 배수공을 연질의 배수관(27)으로 연결하고, 급수관(36)의 상단과 세면대(5)의 밸브결합부를 연질의 급수관(26)으로 연결하며, 브라켓(33)에 고정된 배수관(35)과 급수관(36)의 하단부는 브라켓(33)이 왕복되는 가이드공(34)내로 절곡하여 침대본체(1)내의 급,배수관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1020030065834A 2003-09-23 2003-09-23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20050029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34A KR20050029527A (ko) 2003-09-23 2003-09-23 다기능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34A KR20050029527A (ko) 2003-09-23 2003-09-23 다기능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527A true KR20050029527A (ko) 2005-03-28

Family

ID=3738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834A KR20050029527A (ko) 2003-09-23 2003-09-23 다기능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5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4446A (zh) * 2018-12-12 2019-03-01 广东东品美容医疗科技有限公司 多功能理疗床
CN111544234A (zh) * 2019-08-28 2020-08-1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卧床患者床上洗头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4446A (zh) * 2018-12-12 2019-03-01 广东东品美容医疗科技有限公司 多功能理疗床
CN109394446B (zh) * 2018-12-12 2023-10-20 广东东品美容医疗科技有限公司 多功能理疗床
CN111544234A (zh) * 2019-08-28 2020-08-1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卧床患者床上洗头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101908213B1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KR20000058591A (ko) 환자용 침대
JPH1119003A (ja) 局部洗浄装置と手洗器
CN211186983U (zh) 一种坐式淋浴设备座椅装置
KR20050029527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CN215605327U (zh) 多功能坐便椅
CN212662135U (zh) 一种家用护理床
KR200336171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 안전구조
WO2022192345A1 (en) Mobile washing station
KR200336169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등받이구조
CN203107475U (zh) 一种多功能护理椅
KR200336170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샤워기 설치구조
KR200336172Y1 (ko) 다기능 환자침대용 서랍식 세면대의 회전밸브 설치구조
JP2002227434A (ja) 介護用住宅
US5603130A (en) Sanitary seat
KR20040064576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JPH101481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KR200336173Y1 (ko) 다기능 환자침대용 이동데스크의 급,배수관 설치구조
CN217232116U (zh) 一种自动冲水的蹲坐两用马桶
US20020088056A1 (en) Lying arrangement
CN211186986U (zh) 一种用于坐式淋浴设备的折叠椅及坐式淋浴设备
KR101858013B1 (ko) 비데용 2단 커버시트
JP2005118127A (ja) 洗面カウンタ及び洗面化粧台
KR20110109332A (ko)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커버 안전장치가 구비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