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700A -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700A
KR20050027700A KR1020030064060A KR20030064060A KR20050027700A KR 20050027700 A KR20050027700 A KR 20050027700A KR 1020030064060 A KR1020030064060 A KR 1020030064060A KR 20030064060 A KR20030064060 A KR 20030064060A KR 20050027700 A KR20050027700 A KR 2005002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assenger
distance
operating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307B1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탑승 상태 및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여 에어백의 전개 방향 및 전개 압력을 조절하여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차량이 소정의 속도를 검출하여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면 승객 감지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승객 감지 센서에서 조수석에 승객의 탑승이 감지되면 거리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센서의 측정값과 에어백의 작동 범위 값을 비교하여 승객의 탑승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된 승객의 탑승상태에 해당하는 에어백의 작동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The air-bag operational method which it follows in on-board condition of the passenger}
본 발명은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탑승 상태 및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여 에어백의 전개 방향 및 전개 압력을 조절하여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 및 추돌시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에어백은 가스가 저장되는 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자동차에 충격력이 발생되면, 탱크에 충입된 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가스는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되므로 그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므로 승객의 상해를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은 일정한 방향 및 압력으로 팽창되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운전자는 어느 정도 일정한 자세로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게 되므로 에어백에 의하여 보호를 받을 수 있지만 조수석에 설치된 에어백은 승객의 탑승 상태와는 무관하게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므로 조수석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격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하여 수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수석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도 승객의 종류(어린이 또는 성인)와는 무관하게 동일한 압력으로 작동되므로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에는 에어백에 의하여 상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은 운전석의 운전자와는 다르게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지 않게 되므로 좌석의 어느 일측에 탑승할 경우에는 에어백이 승객을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종류 및 승객의 탑승 자세를 판단하고 부적절한 자세로 탑승한 승객에게 음성 또는 문자등의 수단으로 경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 승객의 종류 및 자세에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 압력 및 팽창 방향을 조절하여 차량에 충격력이 전달되어 에어백이 팽창할 경우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은 차량이 소정의 속도를 검출하여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면 승객 감지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승객 감지 센서에서 조수석에 승객의 탑승이 감지되면 거리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센서의 측정값과 에어백의 작동 범위 값을 비교하여 승객의 탑승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된 승객의 탑승상태에 해당하는 에어백의 작동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탑승 상태를 검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할 경우 그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속도가 설정속도(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최저속도)이상으로 주행하는 가를 확인한다.
차량이 설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면 조수석 에어백을 작동 대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조수석에 설치된 승객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조수석에 승객이 탑승하였는가를 확인한다.
상기 과정에서 조수석에 승객이 탑승한 경우 그 승객의 탑승 자세를 확인하기 위하여 거리 센서를 작동시킨다.
상기 거리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서 승객의 탑승 상태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거리 센서를 작동시켜 거리 센서와 승객의 거리를 측정하되, 정확한 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거리 센서를 수 차례 반복 작동시켜 측정값의 평균 거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평균거리와 최대거리(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한 거리센서와 승객 사이의 최대거리)를 비교하여 평균거리가 최대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승객이 거리 초과 자세로 탑승한 경우이므로 승객 및 운전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거리 초과 자세에 해당하는 경고(문자, 램프, 음성 등)를 한다.
그리고 상기 평균거리가 최대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평균거리와 최소거리(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한 거리센서와 승객 사이의 최소거리)를 비교하여 평균거리가 최소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승객이 거리 근접 자세로 탑승한 경우이므로 승객 및 운전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거리 초과 자세에 해당하는 경고(문자, 램프, 음성 등)를 한다.
또한 상기 평균거리가 최소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승객이 정상 자세로 탑승한 상태이며, 상기 승객의 탑승 상태가 판단되면 그 판단된 승객의 탑승 상태에 해당하는 정보는 에어백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에어백 컨트롤 유닛으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에어백 유닛은 에어백의 전개 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객의 탑승상태가 정상 자세일 경우에는 에어백을 정상작동 상태로 대기하고, 승객이 정상 자세로 탑승하지 않은 경우 거리 근접 자세인가를 확인하여 거리 근접 자세인 경우에는 승객이 에어백에 의해서 상해를 입지 않도록 에어백을 저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승객이 거리 근접 자세로 탑승하지 않은 경우 거리 초과 자세인가를 확인하여 거리 초과 자세인 경우에는 에어백의 작동 압력이 증가되도록 에어백을 고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게 된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거리 초과 자세가 아닌 경우 승객의 탑승 자세가 에어백 작동 한계 범위 이내인가를 확인하여 작동 한계 범위 이내에 탑승한 경우 에어백을 고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고 작동 한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에어백이 전개되어도 승객을 보호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수리비 절감을 위하여 에어백의 전개를 금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수석의 승객 탑승 유/무는 물론, 탑승한 승객의 자세에 따라서 에어백의 전개 압력을 조절하여 차량 충돌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 함은 물론 불필요한 에어백의 전개를 방지하여 수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탑승 상태를 검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3)

  1. 차량이 소정의 속도를 검출하여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면 승객 감지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승객 감지 센서에서 조수석에 승객의 탑승이 감지되면 거리 센서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센서의 측정값과 에어백의 작동 범위 값을 비교하여 승객의 탑승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된 승객의 탑승상태에 해당하는 에어백의 작동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의 탑승 자세를 확인하는 과정은 거리 측정 센서를 수 차례 작동시켜 승객의 거리를 일정 회수 반복 측정하고 측정값의 평균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평균거리와 최대 설정거리를 비교하여 평균거리가 큰 경우 거리 초과 자세로 판단하여 경고 및 에어백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거리와 최대 설정거리를 비교하여 평균거리가 최대 설정거리보다 작을 경우 평균거리와 최소 설정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평균거리가 최소거리보다 작을 경우 거리 근접 자세로 판단하여 경고 및 에어백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평균거리가 최소거리보다 클 경우 정상 자세로 판단하여 에어백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전개 압력 조절 과정은 승객의 탑승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자세로 탑승할 경우 에어백을 정상작동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정상 자세로 탑승하지 않은 경우 거리 근접 자세인가를 확인하여 거리 근접 자세인 경우 에어백을 저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거리 근접 자세로 탑승하지 않은 경우 거리 초과 자세인가를 확인하여 거리 초과 자세인 경우 에어백을 고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거리 초과 자세가 아닌 경우 에어백 작동 한계 범위 이내에 승객이 탑승하였는가를 확인하여 작동 한계 범위 이내에 탑승한 경우 에어백을 고압 작동 상태로 대기하고 작동 한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에어백의 전개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KR10-2003-0064060A 2003-09-16 2003-09-16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KR10053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060A KR100534307B1 (ko) 2003-09-16 2003-09-16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060A KR100534307B1 (ko) 2003-09-16 2003-09-16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700A true KR20050027700A (ko) 2005-03-21
KR100534307B1 KR100534307B1 (ko) 2005-12-08

Family

ID=3738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060A KR100534307B1 (ko) 2003-09-16 2003-09-16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5540A (zh) * 2020-04-13 2022-09-30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乘员保护方法、装置、系统、终端及存储介质
KR20220134196A (ko) * 2021-03-26 2022-10-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25B1 (ko) * 2012-06-01 2014-03-06 곽승찬 자동 조명 회로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5540A (zh) * 2020-04-13 2022-09-30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乘员保护方法、装置、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5135540B (zh) * 2020-04-13 2023-10-31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乘员保护方法、装置、系统、终端及存储介质
KR20220134196A (ko) * 2021-03-26 2022-10-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307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8064B2 (ja) 搭乗者拘束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6416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utilizing a correlation between an occupant-associated center and a distance to an occupant-associated surface
CN111216670B (zh) 用于自主车辆的膝部气囊装置及控制其操作的方法
US20060213714A1 (en) Object detection system, protection system, and vehicle
US6804595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EP1208021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150060146A (ko)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전개 시스템 및 방법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KR100581044B1 (ko) 승원 구속 시스템
US79055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impact deployment of air bag
US71504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of a passenger-side airbag
KR100534307B1 (ko)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EP2141051B1 (en) Air bag arrangement
KR101372549B1 (ko) 에어백제어장치 및 방법
US20020079679A1 (en) Automatic impact severity compensation system
JP3945365B2 (ja) 車両用シート荷重検出装置
KR10236859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132850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00003479A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JP2000225915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090125371A (ko) 에어백 제어시스템
KR100599561B1 (ko) 차량 탑승객의 착석 상태 측정 장치
KR20220104934A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573058B1 (ko)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