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511A -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511A
KR20050027511A KR1020030063797A KR20030063797A KR20050027511A KR 20050027511 A KR20050027511 A KR 20050027511A KR 1020030063797 A KR1020030063797 A KR 1020030063797A KR 20030063797 A KR20030063797 A KR 20030063797A KR 20050027511 A KR20050027511 A KR 2005002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ocking system
portable information
d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7511A/ko
Publication of KR2005002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정보단말기의 확장이 가능한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는 도킹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입출력포트가 구성되어지고, 또한 휴대정보단말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나뉘어진 분류에 기초한 기본적인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대정보단말기의 다른 기능은 도킹시스템을 통해서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는 휴대 편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도킹시스템에 의해서 본체의 기능을 얼마든지 확장하여 사용 가능하므로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Foream docking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본 발명은 휴대정보단말기의 확장이 가능한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정보단말기는, 개인 휴대 단말기이다. 상기 휴대정보단말기는, 디지털 문화로 산업 문화가 발전되면서 개인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기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휴대정보단말기는, 개인의 일정, 연락처, 할 일 등의 개인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외에도 문서와 각종 데이터, 무선 데이터 통신 등을 할 수 있는 이동 정보 단말기로 이용되어진다. 즉, 휴대정보단말기는, 이동성을 중점으로 둔 모바일 컴퓨팅이 가능한 기기이다.
이와 같이 휴대정보단말기는, 작고 휴대하기 편리한 개인용 단말기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반면 작은 크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도 많은 편이다. 특히, 입출력수단으로 몇개의 버튼과 스타일러스 펜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많다. 또한 이동기기로 크기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종래 휴대정보단말기는 확장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서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환경에 대한 인식이 모바일 환경으로 발전되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형, 축약 기술이 발전되어 고부가 가치의 소형의 다양한 이동 단말기들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정보단말기는 최소기능만으로 구현하여 크기를 줄이고, 부가기능은 도킹시스템을 통해서 구현되어지는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도킹시스템을 이용하면, 다양한 탈/장착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확장에 제한적이었던 메모리 등의 저장장치나 배터리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정보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사용목적이나 용도가 뚜렷하게 몇가지로 구분되기 때문에, 목적에 맞도록 휴대정보단말기를 몇가지로 상품 분류하고, 각 휴대정보단말기의 확장기능은 도킹시스템을 사용하여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정보단말기의 기능 확장을 위한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은, 외부장치와 연결되어서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입출력포트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롬, 램과;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포트와; 상기 구성들과 연관되어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 구성되는 휴대정보단말기와,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기능 확장을 위하여 메모리와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입출력포트를 통해서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는 도킹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킹시스템은, 키보드와, SD 카드 슬롯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시스템이 연결되고 있는 휴대정보단말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디스플레이부(1)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에 스타일러스 펜(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본체(7)의 하단부에는 몇가지 기능에 따른 신호 입력 버튼부(5)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7)는, 휴대정보단말기의 상품 분류에 따라서 상이한 기본적인 기능만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도킹시스템(11)과 연결되어져서 사용되어진다. 상기 도킹시스템(11)은, 카드(3)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롯(9)을 구비하고 있다. 즉,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상기와 같은 도킹시스템(11)을 이용하여 기능 확장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에서 도킹시스템(11)의 기능 확장을 도시하는 제어 구성도이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g)에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포트(7a)와 무선 포트(7b), 롬(7e)과 램(7c),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7h), 입력신호 및 각종 처리신호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7d), 각종 버튼부(7i)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 1a와 도 1b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간단한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간이 키보드(7j) 등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g)에 연결되어진다.
즉,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신호처리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구비되야 하는 기본 기능 구현을 위한 구성만으로 구성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체(7)에 도킹시스템(11)과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포트(7f)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입출력포트(7f)는, USB 포트 또는 직렬 포트를 이용한다.
상기 도킹시스템(11)에는, SD카드 슬롯(11b), 배터리(11d), 메모리(11c), 컴퓨터와 같이 키신호 입력을 편리하게 하는 키보드(11a) 등의 여러가지 디바이스들이 구비되어진다. 이 외에도 마이크 기능, 비디오/오디오 신호 출력 기능 등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 되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는, 본체(7)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7g)는, 롬(7e)에 저장되어진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상태로 시스템의 초기상태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에 표시된 초기 화면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 또는 버튼부(7i)를 통해서 자신이 사용하기 원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7g)는 사용자가 불러들인 프로그램을 램(7c)에 임시 저장시킨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수행된 데이터는 램(7c)에 저장되거나 무선포트(7b) 또는 적외선포트(7a)를 통해서 외부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는, 그 자체만으로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본체(7)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도킹시스템(11)을 연결하여 필요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에서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찾아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로딩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의 동작 제어 흐름도이다.
휴대정보단말기의 본체(7)와 도킹시스템(11)을 도 1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한다(제 100 단계). 다음에 도킹시스템(11)의 연결을 마이크로프로세서(7g) 측으로 알리기 위한 도킹스위치를 온 시킨다(제 110 단계). 상기 제 110 단계는, 도킹스위치는, 버튼부(7i)에 구비하거나 본체(7)와 도킹시스템(1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도킹시스템(11) 일측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킹스위치의 선택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7g)에 제공되어진다.
마이크로프로세서(7g)는,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도킹스위치가 온 동작되면, 입출력포트(7f)를 통해서 도킹시스템(11) 내부의 각 디바이스 포트를 탐색하여,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검색한다(제 120 단계). 그리고 탐색된 디바이스가 검출되어지면(제 130 단계), 인식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시스템에 로딩시킨다(제 140 단계).
이후, 사용자는 장착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서 확장된 인터페이스로 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제 150 단계). 이렇게 확장된 시스템에 따라서 휴대정보단말기는, 메모리, 배터리 등의 확장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그리고 나머지 기능들은 도킹시스템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에는 도킹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입출력포트가 구성되어지고, 또한 휴대정보단말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나뉘어진 분류에 기초한 기본적인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대정보단말기의 다른 기능은 도킹시스템을 통해서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도킹시스템은, 휴대정보단말기에 구비된 입출력포트를 통해서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는, 부가적인 기능없이 단순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가볍고, 저가의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킹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로 사용하는 기능의 휴대정보단말기 본체와,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도킹시스템에 의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기능들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정보단말기는 휴대 편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도킹시스템에 의해서 본체의 기능을 얼마든지 확장하여 사용 가능하므로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가 도킹시스템과 연결되고 있는 배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의 제어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플레이부 3 : 카드
5 : 버튼부 7 : 본체부
9 : 슬롯 11 : 도킹시스템

Claims (2)

  1. 외부장치와 연결되어서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입출력포트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롬, 램과;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포트와;
    상기 구성들과 연관되어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 구성되는 휴대정보단말기와,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기능 확장을 위하여 메모리와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입출력포트를 통해서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는 도킹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시스템은, 키보드와, SD 카드 슬롯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KR1020030063797A 2003-09-15 2003-09-15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KR20050027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97A KR20050027511A (ko) 2003-09-15 2003-09-15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97A KR20050027511A (ko) 2003-09-15 2003-09-15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11A true KR20050027511A (ko) 2005-03-21

Family

ID=3738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797A KR20050027511A (ko) 2003-09-15 2003-09-15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75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15B1 (ko) * 2005-12-29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이동 단말기
WO2008137331A1 (en) * 2007-05-03 2008-11-13 Motorola, Inc. Content item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100880001B1 (ko) * 2007-12-05 2009-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정보 검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15B1 (ko) * 2005-12-29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이동 단말기
WO2008137331A1 (en) * 2007-05-03 2008-11-13 Motorola, Inc. Content item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100880001B1 (ko) * 2007-12-05 2009-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정보 검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80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es, and an accessory device comprising a keypad and a display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KR100991475B1 (ko)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US8385075B2 (en) Successively layered modular construction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TWI397302B (zh)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US7706850B2 (en) Integrated detachable PDA and cellular phone
KR100862345B1 (ko) 휴대 전자 시스템
CN113115294B (zh) 一种手写笔连接方法及蓝牙系统
US744026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06868B2 (en) Multi-function touch pen for computerized apparatus
TWI230522B (en) Wireless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ans thereof
KR20040007056A (ko) 무선모뎀 휴대폰
US20090094384A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for expanding usage function
KR20190011456A (ko) 입력 장치 활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050027511A (ko) 휴대정보단말기의 도킹시스템
KR0165197B1 (ko) 휴대형개인정보통신단말기
US6801812B2 (en) Input apparatus of a hand-hel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US7941190B2 (en) Mobile phone
KR101988604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US20080293457A1 (en) Mobile phone
EP1153341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splay shared by different electronic modules
JPH07311737A (ja) 無線通信機付き電子機器
KR200341120Y1 (ko)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전화
KR200379674Y1 (ko) 핸드폰
KR20020074027A (ko) 개인 휴대 정보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