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443A -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443A
KR20050027443A KR1020030063718A KR20030063718A KR20050027443A KR 20050027443 A KR20050027443 A KR 20050027443A KR 1020030063718 A KR1020030063718 A KR 1020030063718A KR 20030063718 A KR20030063718 A KR 20030063718A KR 20050027443 A KR20050027443 A KR 2005002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peaker
voice coil
magn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식
임준우
홍천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7443A/ko
Publication of KR2005002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의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내면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부착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조립되어 상하로 떨림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표면에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판을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Diaphragm for Micro Speaker and Micro Speak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Voice Coil)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Diaphragm)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의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음압 중에서 비교적 낮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간의 귀에 가까이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들을 흔히 리시버(Receiver)라고 하고, 이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음압이 크고 인간의 귀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사용하는 것들을 스피커(Speaker)라고 한다.
이와 같은 스피커의 자기회로(Magnetic Circuit)는 각각 철금속 성분으로 된 요크 내에 마그네트와 상부 플레이트(Upper Plate)를 이용하여 공극 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직각으로 자속(磁束, Magnetic Flux)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보이스코일은 진동판에 접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기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최근에 이르러 스피커는 고에너지 마그네트의 상용화 및 미소 구조물의 성형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소형 경량화 추세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소형 경량화 및 고성능화가 실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동통신용 단말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사용이 확대되고 그 크기의 소형화로 인해 그에 사용되는 부속물의 크기 또한 소형화되어 종래의 설계기술로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공간을 가진 프레임(11), 상기 프레임에 내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네트(14), 상기 마그네트(14)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13), 상기 마그네트(14)에 부착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5), 상기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외측단부가 고정되는 음향 발생용 진동판(17), 상기 진동판(17)의 하단에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고정된 보이스코일(16), 상기 프레임(11)의 개방 단부를 덮는 보호판(18), 및 상기 프레임(11)의 외측면 일측에 접합되는 PCB 기판(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성에 있어서, 진동판은 상하 진동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용하여, 스피커의 음향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을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판은 진동판의 분할 진동을 막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의 표면에 동심원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17)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판(17)의 떨림시 발생되는 진동에 대비하여 진동판(17)의 표면에 형성된 동심원의 단면이 파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스피커 음의 발생시, 진동판의 분할 진동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으로, 진동판은 진동판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과 진동판이 휘어질 때 발생하는 작용, 반작용에 의한 반발력 및 내부의 공기탄성에 의한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진동판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원활한 진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은, 일반적으로, 고분자 재질의 얇은 필름 원재료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성형되며, 이러한 재질의 특성상 진동판의 진동시 분할 진동이 일어나 이상음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스피커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경박·단소하면서도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에 대한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어서, 보다 부드러운 음색을 내도록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충실한 신호재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저주파수의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진동판 전체 두께를 얇게 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면 해결할 수 있다. 즉, 진동판의 두께를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도록 두껍게 할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음의 신호재생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을 안게 된다. 그러나, 진동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소재가공 및 작업공정상 매우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의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판 표면에 코팅제를 부분도포하여 진동판의 분할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분할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률을 극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진동판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제의 두께를 이용하여 최소 공진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음의 재생대역이 확보되어 우수한 음향 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은,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에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음향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은 PEN(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는 경계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는 경계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진동판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에 도포된 코팅제에는 색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제의 두께로서 최소 공진주파수(f0)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내면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부착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조립되어 상하로 떨림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표면에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판을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공간을 가진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요크(130)와, 상기 요크(13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140)와, 상기 마그네트(14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50)와,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조립되어 상하로 떨림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표면에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음향 발생용 진동판(170)과, 상기 진동판(170)에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진동판(170)을 진동시키는 보이스코일(160)과, 상기 프레임(110)의 개방 단부를 덮는 보호판(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는 내면에 공간을 가진 프레임(110)의 내부에 요크(130)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마그네트(140) 및 진동판(170)을 고정하여 스피커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프레임(110)의 후면부 일정위치에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120)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진동판(170)이 떨릴 때 외부와 공기를 통하게 하여 그 진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요크(130)는 프레임(110)의 하단에 자기회로의 하나로서 자력선이 통과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자력선의 흐름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며, 자기회로는 요크(130), 마그네트(140) 및 상부 플레이트(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크(130)가 마그네트(140) 및 상부 플레이트(150)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요크(130)에 마그네트(140)와 상부 플레이트(150)를 설치하고, 마그네트(140)와 상부 플레이트(150)의 외부에는 보이스코일(160)이 부착된 진동판(170)을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 접착한다.
상기 마그네트(140)는 상기 요크(130)의 상단에 구성되어 자기회로 내의 강력하고 지속적인 직류 자속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40)는 희토류 자석의 하나인 네오디뮴(Neodymium, Nd) 마그네트(Magnet, 磁石)로서, 자기 에너지가 매우 강하고, 경박·단소한 첨단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Nd 마그네트 타입의 스피커는 주로 노트북 컴퓨터, 소형 퍼스널 컴퓨터, 슬림형 컴퓨터 또는 LCD 모니터 등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170)은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프레임(110)의 상면에 조립되어 상하로 자연스럽게 떨림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여기서,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17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170)에 다양한 형태로 코팅제(175)를 도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170)의 중심부 즉, 보이스코일이 접착되는 경계의 내측 표면에 부분적으로 코팅제(175)를 도포한 것이다.
도 5b에는 스피커용 진동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진동판(170)에 도포되는 코팅제(175)를 진동판(170)의 내측에 도포하는 대신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는 경계 외측에 도포한 것이다.
또한, 도 5c는 진동판(170) 전체에 코팅제(175)를 도포한 진동판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코팅제가 도포된 진동판은 진동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코팅제에 의해 유연성이 증가되어, 진동판의 전기적 신호에 잘 대응할 수 있고 저주파수 대역에서 균형있는 소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음압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인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드), PEI(Poly Ether 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 PEN(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드) 등을 이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ET 소재는 스피커의 출력 음질은 좋으나, 진동판의 물성이 약하여 신뢰성 테스트에서 진동판이 깨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EN 소재는 스피커의 음질은 좀 떨어지나, 소재의 물성이 뛰어나며, PEI 소재는 PET와 PEN의 중간적인 성향을 뛰고 있다.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부드러운 음색을 내도록 저주파수 대역에서 충실한 신호재생이 필요하며, 이러한 저주파수의 음을 발생시키려면 진동판의 저역 대역을 강화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진동판 전체 두께를 얇게 하여 유연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진동판의 전체 두께를 너무 얇게 하면 진동판에 큰 진동이 일어날 때 진동판이 꺾여질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유연성 있는 진동판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은 PEN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진동판을 성형하고 그 위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는 PEN 소재의 장점, 즉 좋은 신뢰성을 만족하면서 스피커의 출력 음질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진동판의 반복적인 진동에 대한 신뢰성이 좋은 PEN 소재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유연성을 가해줌으로써 PET 소재와 같은 음질면에서의 강점을 살려주게 된다.
즉, 자기회로의 작용시 발생하는 진동판의 상하운동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도포로 진동판이 크게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저주파수 대역에서도 균형있는 소리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음압을 더욱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판은 상기 소재들의 사용으로 그 두께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통상적으로, 10㎛, 13㎛, 16㎛, 19㎛, 25㎛, 38㎛, 50㎛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소 공진주파수가 700Hz 정도로 요구될 때는 19㎛ 두께를 갖는 소재를 사용하고, 800Hz 정도에서는 25㎛ 두께의 소재를 사용하여 진동판을 형성한다. 즉, 스피커의 최소 공진주파수는 진동판의 두께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진동판은, 최소 공진주파수를 보다 더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750Hz의 최소 공진주파수를 요구하는 스피커의 경우, 19㎛의 소재에 소정 두께의 코팅제를 도포하여 진동판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최소 공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제로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먼저 진동판을 성형한 후 코팅제를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진동판에 도포되는 코팅제에 여러 가지 색소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어낼 수 있다. 이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제품의 외부 색상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진동판(170)에 접착된 보이스코일(160)에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코일(160)은 상부 플레이트(150)의 외경과 요크(130) 사이에서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진동판(170)과 함께 상·하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에 형성된 에어홀(120)이 스피커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진동판(170)의 상·하 진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즉, 외부로부터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보이스코일(16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는 교류이므로 보이스코일(16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보이스코일(160)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마그네트(140)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면, 마그네트(140)와 보이스코일(160) 간에는 서로 밀어내는 일종의 척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보이스코일(160)은 마그네트(140)로부터 상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보이스코일(160)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마그네트(140)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면, 마그네트(140)와 보이스코일(160) 간에는 서로 잡아당기게 되는 인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보이스코일(160)이 마그네트(140) 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판(180)은 출력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외부로 전달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압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상기 보호판(180)은 진동판(17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부직포를 더 부착하여 과도한 공진에 의한 진폭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하측에는 PCB 기판(190)이 접합되며, 상기 PCB 기판(190)에는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의 홈을 통해 보이스코일(160)의 인출선이 상기 단자 중 중앙의 단자에 접점되고, 나머지 단자를 통해 외부의 음성 및 멜로디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이크로 스피커는 통상 외부로부터 와이어를 통해 교류전류가 인가되어 상부 플레이트(150), 사각 마그네트(140), 요크(130)로 이루어진 자기회로 내의 보이스코일(160)에 자계가 형성된다. 마그네트(140)의 상측인 N극으로부터 나온 자력선은 상부 플레이트(150), 보이스코일(160) 및 요크(130)를 차례로 지나 다시 마그네트(140)의 하측인 S극으로 향하는 자계를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보이스코일(160)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에 의한 자속을 이용하여 스피커 기능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신호가 상기 보이스코일(160)에 인가되면 상기 요크(130)를 통하는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속과, 상기 진동판(170)과 함께 상하로 연동되는 보이스코일(16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서로 반응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발생된 음향은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장착된 보호판(180)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게 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나타낸 주파수 응답 그래프를 도시한다.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Hz)를 Y-축은 음압(dB)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가 도포된 진동판을 사용한 스피커(실선)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점선)와 유사한 응답주파수에서, 2dB 높은 출력음압(약 86dB)을 가지고, 최저 공진주파수(fo)가 종래보다 100㎐정도 낮아짐으로써, 종래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저음에서의 둔탁한 소리를 부드러운 음질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의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 표면에 코팅제를 부분도포하여 진동판의 분할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분할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률을 극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제의 두께를 이용하여 최소 공진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음의 재생대역이 확보되어 우수한 음향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나타낸 주파수 응답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0: 프레임 12, 120: 에어홀
13, 130: 요크 14, 140: 마그네트
15, 150: 상부 플레이트 16, 160: 보이스코일
17, 170: 진동판 18, 180: 보호판
19, 190: PCB 기판

Claims (8)

  1. 스피커의 보이스코일(Voice Coil)이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진동되는 진동판(Diaphragm)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스피커 진동판에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음향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PEN(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는 경계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보이스코일이 부착되는 경계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표면에 도포된 코팅제는 진동판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에 도포된 코팅제에는 색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의 두께로서 최소 공진주파수(f0)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8. 내면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네트(Magnet);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부착되어 자기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조립되어 상하로 떨림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표면에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접착되어 자기장에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판을 보호하는 보호판(protector)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030063718A 2003-09-15 2003-09-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27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18A KR20050027443A (ko) 2003-09-15 2003-09-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18A KR20050027443A (ko) 2003-09-15 2003-09-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43A true KR20050027443A (ko) 2005-03-21

Family

ID=3738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718A KR20050027443A (ko) 2003-09-15 2003-09-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74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26B1 (ko) * 2006-07-20 2008-05-07 나혜연 소형 스피커용 진동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26B1 (ko) * 2006-07-20 2008-05-07 나혜연 소형 스피커용 진동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296B1 (ko) 듀얼 음원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 변환기
CN101677422B (zh) 具有双悬片的动态微型扬声器
JP2002531037A (ja) ムービング磁石構造を有する電気−音響変換器及びその変換方法
KR20150004079A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트랜스듀서의 성능 개선 장치
US9497547B2 (en) Speaker structure
CN111164989A (zh) 混合扬声器
US10820113B2 (en) Speaker
CN103248988A (zh) 具有n-分磁结构的扬声器设备
KR20190123992A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KR20110051642A (ko) 리본형 스피커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CN208940210U (zh) 按键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KR100503011B1 (ko) 소형 스피커
WO2018176660A1 (zh) 混合扬声器单体以及扬声器模组
KR19990073516A (ko) 무빙자석구조를갖는전기-음향변환기및전기-음향변환방법
CN110572751B (zh) 扬声器组件、扬声器组件的组装方法以及发声设备
KR20050027443A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100401000B1 (ko) 리시버가 결합된 스피커
KR101775427B1 (ko) 스피커 유닛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1710187B1 (ko)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050021102A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0480207B1 (ko) 마이크로 스피커 진동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