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326A -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326A
KR20050027326A KR1020030063552A KR20030063552A KR20050027326A KR 20050027326 A KR20050027326 A KR 20050027326A KR 1020030063552 A KR1020030063552 A KR 1020030063552A KR 20030063552 A KR20030063552 A KR 20030063552A KR 20050027326 A KR20050027326 A KR 2005002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adio
toy
butt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181B1 (ko
Inventor
어석환
Original Assignee
어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석환 filed Critical 어석환
Priority to KR102003006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Toy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조종기의 송신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를 핸드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하는 한편, 핸드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버튼 정보를 무선 조종 완구에 대한 제어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무선 송신기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핸드폰(10)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 정보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분석된 상기 버튼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신호를 상기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를 종료하고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Handling Toy Using A Hand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핸드폰을 이용하여 무선 조종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완구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자동차, 보트, 비행기, 인형 등의 완구(이하, 간단히 "무선 조종 완구"라 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조종 완구는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의 수준을 넘어 고차원의 기술이 적용된 성인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조종 완구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무선 조종기와 한 세트가 되어 판매되고 있는 바, 상기 무선 조종기는 무선 조종 완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준비하여야 하는 필수 제품이지만, 일정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주머니 등에 넣어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야외에서 상기 무선 조종 완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참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큰 부피를 갖는 무선 조종기의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무선 조종 완구에 대한 흥미가 없어지게 되면 처치 곤란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 핸드폰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사용자의 연령도 초등학교 어린이들 이하로 내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상기 핸드폰을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각종 게임을 즐기는 수단으로도 이용하고 있다.
즉, 상기 핸드폰은 어린이들도 쉽게 지참하고 다닐 수 있는 소형의 제품으로써, 각종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수단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으로써, 상기 무선 조종기를 상기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어린이들이 보다 간편하게 무선 조종 완구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써, 무선 조종기의 송신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를 핸드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하는 한편, 핸드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버튼 정보를 무선 조종 완구에 대한 제어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무선 송신기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핸드폰(10)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 정보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분석된 상기 버튼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신호를 상기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를 종료하고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핸드폰(10)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의 고유 주파수 성분에 의해 발생된 톤(Tone)을 상기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를 종료하고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20)는 전송된 톤(Tone)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핸드폰(10)으로부터, 상기 핸드폰을 구성하는 버튼의 고유 주파수 성분에 의해 발생된 톤(Tone)이 전송된 경우, 상기 톤을 분석하여 눌려진 버튼의 정보를 파악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파악된 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일실시예 상태도로써, 핸드폰을 이용하여 무선 조종 자동차를 제어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며, 도 2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송신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로써, 도 1 에 도시된 핸드폰(10)과 무선 송신기(20)의 내부 구성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은, 핸드폰(10)의 이어폰 연결 잭에 무선 송신기(20)를 연결시킨 후 핸드폰(10)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를 통해 무선 조종 완구(30)로 전송하므로써, 상기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10)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을 도 2a 에 도시하였다. 즉,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10)은, 키패드의 각종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또는 문자 메세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연결하거나 각종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11), 각종 정보를 액정표시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 핸드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 이어폰 또는 상기 무선 송신기(20)를 연결하여 각종 정보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싱부(16) 및 상기 각 부(11, 13 내지 16)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는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송신기(20)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폰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싱부(16)로 부터 무선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21),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하기 위한 전파를 발생 및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23), 상기 인터페이싱부와 송신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 및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송신기(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를 통해 핸드폰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b 의 구성을 갖는 무선 송신기가 핸드폰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핸드폰은 일반적인 핸드폰 단말기 본체를 의미하는 것이나, 본 발명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응용 프로그램"이라 함)이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구동 가능한 핸드폰이어야 한다. 즉, 상기 핸드폰(10)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는 구동 시스템(OS ; Operating System) 또는 플랫폼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 인터넷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과 같은 핸드폰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5)로 다운로드 받은 후에 인스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핸드폰의 저장부(15)에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GVM 또는 브루(Brew) 등의 플랫폼을 기반으로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을 구현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상기 입력부(13)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각 버튼의 정보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싱부(16)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키패드의 각 버튼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특정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각 방향에 따른 버튼을 직접 설정하도록 한 후 해당 버튼의 입력 정보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무선 송신기(20)가 핸드폰(10)의 외부에 별도로 장착된 경우에는 이어폰 단자를 통해 버튼 입력 신호(이어폰 단자로 전달 가능한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로서 주로 음역대의 신호가 용이할 것임)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출력하며, 무선 송신기(20)가 핸드폰(10)에 내장된 경우에는 내장된 무선 송신기(20)의 인터페이싱부(21)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송신기(20)의 송신 방식은 RF(Radio Frequency) 방식 등을 채택하며, 송신 주파수는 일반적인 RF 주파수대역인 27MHz 혹은 40MHz 등을 사용한다. 즉, 무선 조종 완구는 아이에스엠(ISM : Industral, Scientific, Medical) 밴드내에서 정부가 승인, 고시한 무선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만 사용하여 제작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ISM 밴드란 국내에서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써, 국내의 ISM 밴드는 크게 1GHz 이상 대역과 1GHz 이하 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에서 1GHz 이하 대역으로 사용되는 ISM 밴드는 27MHz, 40MHz, 75MHz의 3채널이 존재하는데, 이중 모형기기의 무선 조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은 주로 27MHz 대역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0MHz 및 75MHz 대역으로 확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어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ISM 밴드가 허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장난감용 무선 조종기의 주파수는 ISM 밴드를 이용하여야 한다는 조건에 의해 상기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한정한 것이나 기술적으로는 상기 ISM 밴드가 아닌 영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기(20)의 송신 데이터 형식은 첫째로, 무선 송신기(20)의 일련번호와 사용자의 입력에서 발생한 데이터(실제적인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여러 핸드폰(10) 및 무선 송신기(20)간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로, 사용자의 입력에서 발생한 데이터(실제적인 제어 신호)만을 포함하거나 동일한 일련번호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무선 조종 완구(30)를 여러 핸드폰(10) 또는 무선 송수신기(20)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무선 송신기(20)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는 무선 조종 완구(30)에 내장되거나 그 외부에 별도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송신기(20)에서 송신한 신호 혹은 전파를 수신하고, 이를 연계될 전기 회로 등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신부는 수신된 신호 또는 전파에 따라 별도 입력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써, 핸드폰을 이용하여 무선 조종 완구를 조종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무선 송신기(20)가 핸드폰(10)의 이어폰잭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선 송신기(20)가 상기 핸드폰(10)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핸드폰으로 전송받아(핸드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생략) 인스톨시키고,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상기 무선 송신기(20)를 장착한 후 수신기가 내장된 무선 조종 완구(30)의 전원을 켜면, 동작 준비가 완료된다(302).
다음으로, 사용자가 핸드폰(10)에 인스톨되어 있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을 요청하게 되면, 제어부는(12)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된다(304).
이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각 버튼의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버튼 정보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싱부(16)를 통해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한다(306). 즉, 제어부(12)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입력된 버튼의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20)와 설정되어 있는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 송신기(20)는 상기 버튼에 해당되는 무선 조종 완구(20)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전파를 생성하여 송신부(23)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308). 즉, 핸드폰(10)의 각 버튼에 대하여 2번은 전진, 8번은 후진, 4번은 좌회전, 6번은 우회전, 1번은 11시방향으로 회전, 3번은 1시방향으로 회전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버튼이 입력되면 무선 송신기(20)가 그에 따른 제어신호(무선 전파)를 발생하는 것이다.
송신된 상기 무선 전파는 무선 조종 완구의 수신부로 송신되며, 상기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조종 완구(30)는 전후좌우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310).
이때, 입력된 버튼 정보를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는 과정(306)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에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입력된 버튼 정보를 인식한 후 각 버튼에 해당하는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입력된 각 버튼의 고유 주파수 신호를 핸드폰(1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싱부(16)를 통해 직접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보내면,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어부(22)가 해당 버튼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무선 전파를 송신부(23)를 통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첫번째 방법은 상기 각 버튼의 고유 주파수 신호를 핸드폰(10)의 제어부(12)가 인지하여, 그에 따른 무선 조종 완구(30)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보내면,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어부(22)가 송신부(23)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전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두번째 방법은 상기 각 버튼의 고유 주파수 신호를 핸드폰(1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직접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보내면,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어부(22)가 해당 버튼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무선 조종 완구(30)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송신부(23)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전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두번째 방법이 상기 첫번째 방법과 다른점은, 각 버튼의 고유 주파수 신호를 핸드폰(10)의 제어부(12)가 아니라 무선 송신기(20)의 제어부(22)가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유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신호일 수 있으나, 각 고유 주파수에 따른 개별적인 톤(Tone)이 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버튼에 따라 발생하는 고유 주파수는 고유의 톤(Tone)을 발생하며, 상기 제어부(12 또는 22)는 상기 톤을 분석하여 각 버튼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두번째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무선 송신기(20)가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버튼에서 발생된 톤(Tone)이 직접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2)가 상기 톤에 따른 버튼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들에 있어서, 눌려진 버튼이 통화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무선 조종 완구(30)에 대한 제어 신호 발생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미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놓아야 한다.
즉,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에서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2)는 입력된 버튼이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버튼 정보를 인지하거나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중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드폰의 송수신부(11)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일반적인 핸드폰 모드에서와 같이 벨소리를 울리는 한편 사용자가 통화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및 인터넷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에 무선 송신기를 결합한 후, 핸드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조종 완구를 간편히 조종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응용 범위를 확대할 경우 핸드폰을 이용하여 각종 가전 제품도 무선 조종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일실시예 상태도.
도 2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송신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Claims (3)

  1.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핸드폰(10)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 정보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분석된 상기 버튼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조종 완구(30)의 제어신호를 상기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2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를 종료하고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2.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핸드폰(10)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의 고유 주파수 성분에 의해 발생된 톤(Tone)을 상기 핸드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를 종료하고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20)는 전송된 톤(Tone)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3.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핸드폰(10)으로부터, 상기 핸드폰을 구성하는 버튼의 고유 주파수 성분에 의해 발생된 톤(Tone)이 전송된 경우, 상기 톤을 분석하여 눌려진 버튼의 정보를 파악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파악된 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조종 완구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파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KR1020030063552A 2003-09-15 2003-09-15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KR10055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552A KR100559181B1 (ko) 2003-09-15 2003-09-15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552A KR100559181B1 (ko) 2003-09-15 2003-09-15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326A true KR20050027326A (ko) 2005-03-21
KR100559181B1 KR100559181B1 (ko) 2006-03-10

Family

ID=3738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552A KR100559181B1 (ko) 2003-09-15 2003-09-15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90B1 (ko) * 2005-10-04 2006-11-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조종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컨트롤러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이동 통신망을통하여 제어되는 무선 조종 기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방법을 채용한 무선 컨트롤러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72958B1 (ko) * 2008-06-09 2010-08-09 옥윤선 전자기기 거치대
KR101016949B1 (ko) * 2008-06-09 2011-02-28 이상문 휴대폰 착신알림장치 및 그 방법
CN106453479A (zh) * 2016-08-02 2017-02-22 深圳因材施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产品与数据处理的交互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90B1 (ko) * 2005-10-04 2006-11-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조종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컨트롤러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이동 통신망을통하여 제어되는 무선 조종 기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방법을 채용한 무선 컨트롤러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72958B1 (ko) * 2008-06-09 2010-08-09 옥윤선 전자기기 거치대
KR101016949B1 (ko) * 2008-06-09 2011-02-28 이상문 휴대폰 착신알림장치 및 그 방법
CN106453479A (zh) * 2016-08-02 2017-02-22 深圳因材施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产品与数据处理的交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181B1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89452U (zh) 一种基于声波通信配对的无线音频系统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US20050176461A1 (en) Mod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7634785B (zh) WiFi系统、路由器和移动终端
CN108886653A (zh) 一种耳机声道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1277323A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多按钮控制耳机
CN104184496A (zh) 蓝牙数据/控制信息传输模块、互动式系统及其方法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CN104954078A (zh) 基于声波通信的控制及响应方法和装置
KR100559181B1 (ko) 핸드폰을 이용한 무선 조종 완구 제어 방법
CN107710779A (zh) 通讯耳机
KR200397845Y1 (ko)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CN109155803B (zh) 音频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JP3125481U (ja) 切替可能なマルチ接続機能を有するブルートゥースイヤホーン
US20100228367A1 (en) Data card for a computer system and related computer system
CN110381418B (zh) 扬声设备、中转设备以及移动终端
KR20030076955A (ko) 이동전화 이어폰잭 연결형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CN113014998B (zh) 音频输出方法、装置、电视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3968321U (zh) 耳机、可被寻找的手机及自寻找手机系统
KR200315146Y1 (ko) 녹음 저장된 음성정보의 동시 전송이 가능한 시계형생활무전기
CN114915355B (zh) 通信系统和电子设备
KR200501037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KR100722790B1 (ko)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KR200262557Y1 (ko) 음성변조가 가능한 송수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