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783A -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83A
KR20050026783A KR1020030062920A KR20030062920A KR20050026783A KR 20050026783 A KR20050026783 A KR 20050026783A KR 1020030062920 A KR1020030062920 A KR 1020030062920A KR 20030062920 A KR20030062920 A KR 20030062920A KR 20050026783 A KR20050026783 A KR 2005002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door
fixing
transfer ba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409B1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03-006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4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고 해정시키는 데드볼트와, 데드볼트가 정지된 상태에서 데드볼트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데드볼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데드볼트에 결합되는 이송바와, 이송바의 이송을 위한 구동수단과, 도어가 잠김 및 해정되었을 때 데드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도어가 해정되는 방향으로 데드볼트가 이송되도록 이송바를 이송시키는 해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을 사용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저항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이 모터에 직접 전해지지 아니하므로 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지 아니하는 비상시에도 기구적인 방법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 Door lock having device for absorbing shock }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등의 현관문 등에 적용되는 잠금 장치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데드볼트를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에 외부 충격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아니하고, 데드볼트 이송 시 발생되는 저항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의 일종인 도어록(Door lock)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나 기업,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 lock)에는 래치볼트(latch bolt)(또는, 트리거 볼트(trigger bolt))와 데드볼트(dead bolt)를 갖는 모티스락(mortise lockset)이 적용된다.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는 모티스락의 측면에 출몰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어의 핸들과 회전 노브에 의해 조작된다.
도어록 등의 잠금 장치는 수동으로 잠금(locking)과 해정(unlocking)을 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 방식과,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잠금과 해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 방식 잠금 장치에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장치나 키패드(keypad device), 지문 인식기(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등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판단하는 전자식(또는 디지털식) 잠금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상용화 되어있다. 이와 같은 전자식 잠금 장치는 출입자 인증 과정이 전기, 전자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른 방식들에 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록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락 록킹 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락 록킹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티스락(10)의 데드볼트(20)의 구동을 위한 모터(40)를 모티스락(10) 내부에 장착하고, 모터(40)와 데드볼트(20) 사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인가 받아 상기 데드볼트를 직접 구동하기 위한 데드볼트 구동부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락(10)은, 내부에 장착된 모터(40)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반원 형태의 형상을 갖는 반원 형태의 피니언 기어(42)와, 데드볼트(20)에 연결되며 반원 형태의 피니언 기어(42)와 치합되는 래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있다.
모터(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반원 형태의 피니언 기어(42)가 회전하면 래크(30)가 직선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크(30)에 연결된 데드볼트(20)가 모티스락(10)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모티스락(10) 밖으로 나오는 입출(入出) 동작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도어록은 데드볼트(20)의 이송을 위하여 모터(40)를 회전시킬 때, 모터(40) 자체의 기동저항과 래크(30) 및 데드볼트(20)의 정지저항이 동시에 모터(40)로 인가되므로, 모터(40)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40)의 손상이 유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 돌출된 데드볼트(2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데드볼트(20)에 가해진 충격력이 래크(30)를 거쳐 그대로 모터(40)에 전달되므로, 모터(40)가 손상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도어록은 정전 및 배터리 방전과 같이 전력공급이 불가한 상황이 되면 잠금 및 해정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비상시 기계적인 방법으로 문을 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에 가해지는 저항을 분산시키고, 외부 충격이 모터에 직접 전해지지 아니하며, 비상시에는 기구적인 방법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는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은,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고 해정시키는 데드볼트와; 데드볼트가 정지된 상태에서 데드볼트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데드볼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데드볼트에 결합되는 이송바와; 이송바의 이송을 위한 구동수단과; 도어가 잠김 및 해정되었을 때 데드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외에도, 도어가 해정되는 방향으로 데드볼트가 이송되도록 이송바를 이송시키는 해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데드볼트는 일측면에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이송바는 결합홀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바는 결합홀을 따라 일정 거리 슬라이딩운동을 한 이후, 데드볼트를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바는 데드볼트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를 구비하고, 구동수단은 래크와 결합되어 래크를 이송시키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바는 이송방향과 평행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해제돌기를 구비한다. 이때, 고정수단은 이송바가 이송됨에 따라 제 1 해제돌기를 타고 넘어감이 가능하도록 제 1 해제돌기와 접촉되는 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 해제돌기와, 데드볼트로의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데드볼트는 도어를 해정시키도록 위치되었을 때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고정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해정고정홈과, 도어를 잠그도록 위치되었을 때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고정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고정홈이 형성된다.
고정수단은, 데드볼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한편에 치우치도록 고정돌기와 제 2 해제돌기를 구비하고, 반대편 끝단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 1 해제돌기 및 제 2 해제돌기의 접촉으로 인하여 고정수단이 회전하도록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한 쌍의 회전축을 구비한다.
또한, 도어록은, 도어가 해제되도록 데드볼트가 위치되었을 때의 결합돌기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후진 제한센서와, 도어가 잠기도록 데드볼트가 위치되었을 때의 결합돌기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진 제한센서를 추가로 구비한다.
해정수단은, 도어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송바를 이동시키는 해정막대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로 해정막대와 결합되는 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데드볼트는 해정막대가 이송바의 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해정막대의 관통이 가능한 구멍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구 또는 홈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슬릿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은, 전진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고 후진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해정시키는 데드볼트(100)와; 데드볼트(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데드볼트(100)의 전·후진 이송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데드볼트(100)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도록 데드볼트(100)에 결합되는 이송바(200)와; 데드볼트(100)가 전진 및 후진되도록 이송바(200)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00)과; 도어가 잠김 및 해정되었을 때의 데드볼트(100)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과; 도어(710)가 해정되는 방향으로 데드볼트(100)가 이송되도록 이송바(200)를 이송시키는 해정수단(500)이 추가로 구비된다.
데드볼트(100)는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결합홀(110)이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이송바(200)는 결합홀(110)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돌기(220)를 구비한다. 이때, 결합돌기(220)는 결합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홀(110)의 길이보다 짧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송바(200)는 결합홀(110)의 일측 끝단에 밀착될 때까지 일정 거리 슬라이딩운동을 한 이후 데드볼트(100)를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이송바(200)는 데드볼트(10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래크(210)를 구비하고; 구동수단(300)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전력을 인가 받아 모터축(320)을 회전시키는 모터(310)와, 모터축(32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래크(210)의 상단면에 기어결합구조로 결합되는 피니언(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310)가 기동되어 모터축(320)이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330)은 래크(2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바(200)를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바(200)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해제돌기(230)를 구비하며; 고정수단(400)은 데드볼트(100)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이송바(200)가 이송됨에 따라 제 1 해제돌기(230)의 상단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제 1 해제돌기(230)와 접촉되는 측면 및 상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해제돌기(420)가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반대편 끝단에는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축(430)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430)은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자전운동은 가능한 구조로 도어록의 내부 일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해제돌기(420)가 제 1 해제돌기(230)의 상단면을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있지만,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400)이 데드볼트(100)의 상단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고정수단(400)의 결합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데드볼트(100)의 측면이나 저면 등 다양한 위치로 적용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400)이 데드볼트(100)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고정돌기(410)가 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해정고정홈(120) 및 잠금고정홈(130)에 삽입되지만, 고정수단(400)이 데드볼트(100)의 측면이나 저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10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고정수단(400)에 외력을 인가되도록 스프링이나 기타 탄성체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추가로 요구된다.
고정수단(400)은 회전축(430)이 형성된 반대편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410)를 구비하고; 데드볼트(100)의 상단면에는 도어가 해정되도록 전진되었을 때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해정고정홈(120)이 형성되고, 도어가 잠기도록 후진되었을 때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고정홈(130)이 형성된다. 고정돌기(410)가 해정고정홈(120) 또는 잠금고정홈(130)에 삽입되면, 데드볼트(100)는 고정돌기(410)에 간섭되어 전진 및 후진 이송운동이 불가하게된다. 고정돌기(410)와 해정고정홈(120) 및 잠금고정홈(130)은 데드볼트(100)가 이송되지 못하도록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해정수단(500)은, 도어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송바(200)를 이동시키는 해정막대(510)와, 사용자가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로 해정막대(510)와 결합되는 키박스(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해정막대(510)와 키박스(520)의 결합구조는 기어결합을 이용하는 구조나 회전링크 결합을 이용하는 구조 등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라면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드볼트(100)는 해정막대(510)가 결합홀(110)을 관통하는 결합돌기(220)의 끝단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해정막대(510)의 관통이 가능한 홈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이 형성되고, 데드볼트(100)를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해정막대(510)는 데드볼트(100)와의 간섭 없이 결합돌기(220)에 직접 접촉되어 이송바(200)를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홈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은 해정막대(510)의 관통이 가능한 구멍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구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정막대(510)가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을 관통하여 결합돌기(220)에 접촉될 때까지의 스트로크 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결합돌기(220)의 끝단에는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에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보조돌기(22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조돌기(222)의 형상 및 길이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도어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 및 이송바가 후진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100) 및 이송바(200)가 후진되면, 고정돌기(410)는 해정고정홈(120)에 삽입되어 데드볼트(100)의 전진 및 후진을 제한한다. 종래의 도어록과 같이 데드볼트(100)가 모터축(320)과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1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력이 모터(310)로 직접 전달되므로 모터(310)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과 같이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수단(40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력은 고정수단(400)에 인가되고 모터(310)에는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모터(310)의 손상 우려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은, 도어가 해제되도록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이송바(200)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후진 제한센서(610)와, 도어가 잠기도록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이송바(200)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진 제한센서(620)를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바(200)는 후진 제한센서(610)와 전진 제한센서(620)가 제한하는 범위 이내에서만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진 제한센서(610)와 전진 제한센서(620)를 결합돌기(220)의 이동경로 하단부에 설치하여, 결합돌기(22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송바(200)의 이송거리를 한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a는 이송바의 전진이 시작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33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바(200)가 데드볼트(100)를 향하여 전진하게되어 제 1 해제돌기(230)가 제 2 해제돌기(420)에 접촉되면, 제 2 해제돌기(420)는 제 1 해제돌기(230)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고정수단(400)은 회전축(43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게되고, 고정돌기(410)는 해정고정홈(120)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5a는 데드볼트의 전진이 진행중일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송바(200)의 전진이 계속 진행되면 결합돌기(220)는 결합홀(110)의 일측 끝단에 접촉되고, 결합돌기(220)가 결합홀(110)의 일측 끝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바(200)의 전진이 지속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00)는 이송바(200)에 의하여 이송된다.
데드볼트(100)가 이송되는 동안, 고정돌기(410)는 해정고정홈(120)이나 잠금고정홈(130)에 삽입되지 아니하고 해정고정홈(120)과 잠금고정홈(13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을 하게된다.
도 6a는 도어가 잠기도록 데드볼트 및 이송바가 전진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10)가 잠겨지도록 데드볼트(100)가 전진되면 결합돌기(220)는 전진 제한센서(620)의 상향에 위치하게되고, 결합돌기(220)를 감지한 전진 제한센서(620)는 모터(3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이송바(200) 및 데드볼트(100)의 전진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410)는 잠금고정홈(130)에 삽입되어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데드볼트(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력은 고정돌기(410)에 전달되고 모터(310)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모터(310)가 손상되는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해정막대에 의하여 도어가 해정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드볼트(100)와 이송바(200), 구동수단(300), 고정수단(400)은 벽(720) 내부에 장착되고, 해정수단(500)은 도어(7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데드볼트(100)는 도어(7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되고, 데드볼트(100)가 돌출되는 부위의 도어(710)에는 벽(720) 외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100)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는 형상의 데드볼드 결합구(7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300)이 벽(720)의 내부로 인입되면 벽(720) 내부에 전선을 매설하여 구동수단(300)에 직접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도어록과 같이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드볼트(100)와 이송바(200), 구동수단(300), 고정수단(400)을 도어(710) 내부에 장착하고, 해정수단(500)을 벽(720) 내부에 장착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때, 구동수단(300)을 도어(710)에 장착하는 경우, 도어(710)의 힌지를 거치도록 전선을 매설하여 구동수단(300)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도 있지만, 힌지를 통하여 전선을 매설하는 방법은 작업상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동수단(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별도로 추가함이 바람직하다.
도 7a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710)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100) 전체가 벽(720)에 인입되어있는 상태로서, 도어(710)를 개방함에 있어서 아무런 간섭이 없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7a의 상태에서 구동수단(300)을 동작시켜 데드볼트(100)를 전진시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00)는 데드볼트 결합구(712)에 삽입되어 도어(710)는 잠겨진 상태가 된다. 이때, 해정막대(510)는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에 삽입되므로, 데드볼트(1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도 7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박스(520)를 회전시켜 해정막대(510)를 벽(720)을 향해 이송시키면, 해정막대(51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20)를 밀어 이송바(200)를 후진시키게 되고, 해정막대(510)의 이송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데드볼트(10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720) 내부로 인입되도록 후진된다.
데드볼트(100)의 후진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키박스(520)를 반대로 회전시켜 해정막대(510)를 완전히 도어(710) 내부로 인입시키게 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10)는 해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해정막대(510)와 키박스(520)의 결합구조는 기어결합을 이용하는 구조나 회전링크 결합을 이용하는 구조 등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라면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을 사용하면, 모터의 기동저항과 데드볼트의 정지마찰저항이 일정 시간간격을 두어 모터에 인가되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아니하므로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이 모터에 직접 전해지지 아니하므로 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지 아니하는 비상시에도 기구적인 방법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락 록킹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어가 해정되도록 데드볼트 및 이송바가 후진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4a는 이송바의 전진이 시작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5a는 데드볼트의 전진이 진행중일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어가 잠기도록 데드볼트 및 이송바가 전진되었을 때의 각 부 결합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반대편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해정막대에 의하여 도어가 해정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드볼트 110 : 결합홈
120 : 해정고정홈 130 : 잠금고정홈
140 : 해정막대 삽입슬릿 200 : 이송바
210 : 래크 220 : 결합돌기
230 : 제 1 해제돌기 300 : 구동수단
310 : 모터 320 : 모터축
330 : 피니언 400 : 고정수단
410 : 고정돌기 420 : 제 2 해제돌기
430 : 회전축 500 : 해정수단
510 : 해정막대 520 : 키박스
610 : 후진 제한센서 620 : 전진 제한센서
710 : 도어 712 : 데드볼트 결합구
720 : 벽

Claims (14)

  1.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고 해정시키는 데드볼트(100)와;
    상기 데드볼트(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데드볼트(100)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데드볼트(10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데드볼트(100)에 결합되는 이송바(200)와;
    상기 이송바(200)의 이송을 위한 구동수단(300)과;
    상기 도어가 잠김 및 해정되었을 때, 상기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100)는,
    일측면에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결합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바(200)는,
    상기 결합홀(1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홀(1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200)는,
    이송방향과 평행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해제돌기(2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이송바(200)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 1 해제돌기(230)를 타고 넘어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해제돌기(230)와 접촉되는 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 해제돌기(220)와, 상기 데드볼트(100)로의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410)를 구비하고;
    상기 데드볼트(100)는,
    상기 도어를 해정시키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해정고정홈(120)과,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고정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데드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10)와 상기 제 2 해제돌기(420)를 일측 한편에 치우치도록 구비하고, 반대편 끝단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해제돌기(230) 및 상기 제 2 해제돌기(420)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수단(400)이 회전하도록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한 쌍의 회전축(4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가 해제되도록 상기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이송바(200)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후진 제한센서(610)와, 도어가 잠기도록 상기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결합돌기(220)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진 제한센서(6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200)는,
    상기 데드볼트(10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21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래크(210)와 결합되어 상기 래크(210)를 이송시키는 피니언(330)과, 상기 피니언(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7. 이송운동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고 해정시키는 데드볼트(100)와;
    상기 데드볼트(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데드볼트(100)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데드볼트(10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데드볼트(100)에 결합되는 이송바(200)와;
    상기 이송바(200)의 이송을 위한 구동수단(300)과;
    상기 도어가 잠김 및 해정되었을 때, 상기 데드볼트(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과;
    상기 도어가 해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데드볼트(100)가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바(200)를 이송시키는 해정수단(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수단(500)은,
    상기 도어가 해정되도록 상기 데드볼트(10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송바(200)를 이동시키는 해정막대(510)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로 상기 해정막대(510)와 결합되는 키박스(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100)는,
    일측면에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결합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바(200)는,
    상기 결합홀(1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홀(1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200)는,
    이송방향과 평행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해제돌기(2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이송바(200)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 1 해제돌기(230)를 타고 넘어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해제돌기(230)와 접촉되는 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 해제돌기(220)와, 상기 데드볼트(100)로의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410)를 구비하고;
    상기 데드볼트(100)는,
    상기 도어를 해정시키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해정고정홈(120)과,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410)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410)의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고정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데드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10)와 상기 제 2 해제돌기(420)를 일측 한편에 치우치도록 구비하고, 반대편 끝단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해제돌기(230) 및 상기 제 2 해제돌기(420)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수단(400)이 회전하도록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한 쌍의 회전축(4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가 해제되도록 상기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이송바(200)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후진 제한센서(610)와, 도어가 잠기도록 상기 데드볼트(100)가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결합돌기(220)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진 제한센서(6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200)는,
    상기 데드볼트(10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21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래크(210)와 결합되어 상기 래크(210)를 이송시키는 피니언(330)과, 상기 피니언(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4.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100)는,
    상기 해정막대(510)가 상기 이송바(200)의 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해정막대(510)의 관통이 가능한 구멍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구 또는 홈 형상의 해정막대 삽입슬릿(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10-2003-0062920A 2003-09-09 2003-09-09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KR10053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20A KR100538409B1 (ko) 2003-09-09 2003-09-09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20A KR100538409B1 (ko) 2003-09-09 2003-09-09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83A true KR20050026783A (ko) 2005-03-16
KR100538409B1 KR100538409B1 (ko) 2005-12-22

Family

ID=3738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920A KR100538409B1 (ko) 2003-09-09 2003-09-09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4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322A (zh) * 2017-12-25 2018-06-15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行位后退的自锁机构及其自锁和解锁方法
CN109667474A (zh) * 2019-01-20 2019-04-23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推拉型门锁
CN111236752A (zh) * 2020-03-13 2020-06-05 陈国胜 一种锁具
CN111663301A (zh) * 2020-06-12 2020-09-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锁及洗衣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322A (zh) * 2017-12-25 2018-06-15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行位后退的自锁机构及其自锁和解锁方法
CN108162322B (zh) * 2017-12-25 2023-10-10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行位后退的自锁机构及其自锁和解锁方法
CN109667474A (zh) * 2019-01-20 2019-04-23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推拉型门锁
CN111236752A (zh) * 2020-03-13 2020-06-05 陈国胜 一种锁具
CN111663301A (zh) * 2020-06-12 2020-09-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锁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409B1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524B2 (en) Electronic deadbolt lock
KR100676550B1 (ko) 미끄럼 이동식 구동 기구를 갖춘 전기 드롭 볼트
US8522582B2 (en) Dual lock apparatus
US8562040B2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device intended for remote access control
US7591157B2 (en) Security lock arrangement
RU2509855C2 (ru) Верхняя система запирания пассивной дверной створки двустворчатой двери
CA2788958C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turning a lock to a desired orientation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US20110084506A1 (en) Locking System with Retractable Hook
US7637131B2 (en) Electronic cylinder internal key apparatus and method
JPS58127876A (ja) バネ負荷をかけられたデツド・ボルト集成体
KR100538409B1 (ko)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US20060144102A1 (en) Dual lock apparatus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CN108974189B (zh) 锁车机构和锁车桩
RU2151256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ок
US11982104B2 (en) Lock cylinder
KR100763820B1 (ko)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CN218759316U (zh) 一种电子推拉锁
RU2803585C2 (ru) Энергонезависимы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ок
EP4019719B1 (en) Locking device
KR200229620Y1 (ko) 화장실용 도어록 어셈블리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