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731A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31A
KR20050026731A KR1020030062343A KR20030062343A KR20050026731A KR 20050026731 A KR20050026731 A KR 20050026731A KR 1020030062343 A KR1020030062343 A KR 1020030062343A KR 20030062343 A KR20030062343 A KR 20030062343A KR 20050026731 A KR20050026731 A KR 20050026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information
user
agent
information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824B1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6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8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등록한 대상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해주기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의 등록, 원격제어 처리, 및 공간정보 제공을 수행하고,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키기 위한 공간정보 서버;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의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여 그 원격제어 결과를 반환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반환받은 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의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ITS METHOD FOR SPACE INFORMATION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라틴어로 '모든 곳에 있다'는 뜻을 가진 단어로서, 정보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유비쿼터스는 최근 각종 정보기술 전시회 및 컨퍼런스에서 최대 화두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실세계의 각종 사물들과 물리적 환경 전반, 즉 물리공간에 걸쳐 컴퓨터들이 편재되게 하되, 사용자에게는 겉모습이 드러나지 않도록 일상적인 환경 내에 효과적으로 심어지고 통합되도록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실제로 각종 전시회에서는 무선 랜과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기기가 선보이고 있으며, 이미 미국, 일본 등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관련 분야의 선점을 위한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마크 와이저(Mark Weiser 1952~1999)에 의하여 처음 제시되었는데, 그는 사람을 포함한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정의하였다. 마크 와이저의 생각에 따르면 가까운 미래에는 컴퓨터들이 현실 공간 전반에 걸쳐 편재되고, 이들 사이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음새 없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하는 환경이 구현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가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현실 세계와 효과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마크 와이저에 의해 처음 제시된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은 이제 그가 상상하지 못했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처음에 마크 와이저는 단순히 물리공간에 편재된 컴퓨팅과 네트워킹을 상상했으나, 컴퓨팅 기능과 네트워킹 기능이 상존하는 물리공간은 더 이상 기존의 물리공간만은 아니다. 지능화된 물리공간은 전자공간과 융합하여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거대한 변혁을 가져오고 있으며, 제 3 공간의 등장이 바로 그것이다. 제 3 공간이 새로운 문명이 이뤄지는 공간이라면, 그 공간을 떠받쳐주는 기술을 포괄해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에 의한 미래사회를 홈, 자동차, 사무실 등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미래형 홈은 잠자는 동안에도 스마트 잠옷과 스마트 침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화장실 문을 여는 순간 손잡이에 장착된 센서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스마트 변기는 가족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체크한 후, 그 결과를 주치의에게 전달하여 필요한 경우 원격진료를 받도록 조치한다. 아침에 챙겨야 하는 서류나 물건은 스마트 태그를 이용하여 점검한다.
스마트 자동차는 도로 교통 상황을 즉시에 파악해 최단 시간에 사무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차에 문제가 발생한 때는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격검진을 받도록 하거나, 위치 정보망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정비소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사에 도착하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스마트 문을 통해 사무실로 들어간다. 사무실에서 실감형 화상회의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동료와 업무를 보거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사무실이나 빌딩 내에 있는 동료를 찾아내고 정보를 공유한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기술은 홈, 자동차, 사무실 환경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곳곳에서 활용될 수 있다. 바쁜 출근 시간에 지갑, 자동차 열쇠 등과 같이 찾기 힘든 작은 물건의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주거나, 이동통신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적당한 식당을 찾을 수도 있다. 또한, 스카트 태그를 골프공에 부착하면 골프장에서 골프공의 위치 추적은 물론 골프공이 맞는 순간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타격을 위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가상 시나리오에 포함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응용 서비스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 영역이 확대되어 생활 공간 속의 사물(생활기기, 변기, 가전기기, 주방기기, 자동차, 사무용품, 식품, 장난감, 인형, 화분 등)들까지 지능화, 네트워크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보이지 않게 산소처럼 사용자를 지원한다.
둘째, 보이지 않게 사물에 심어진 센서, 칩, 태그, 라벨은 사용자의 의식적인 명령뿐만이 아니라 의도까지 반영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의 상황 정보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인식, 추적, 통신한다.
셋째, 현재의 유선 인터넷과 웹 기술을 넘어 무선 인터넷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해 실감형 정보를 현실 세계에 증강한다.
넷째, 사용자는 PDA와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를 넘어 입는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차세대 휴대기기를 사용한다.
한편,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 및 컴퓨터들이 수집한 각종 환경 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컨텍스트를 알아내는 유비쿼터스 에이전트의 역할이 요구된다. 즉, 정보 수집, 처리, 통신 등의 기능을 지닌 각각의 컴퓨터들 사이를 기능적,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저장 및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이 상호 연동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정보통신 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들간의 통신과 접속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었으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사물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등은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도래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단순한 의사 소통(통신)과 접속 여부 정보 뿐만이 아니라, 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사물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원격지의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람과 사람뿐 아니라 사람과 사물이 교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등록한 대상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해주기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의 등록, 원격제어 처리, 및 공간정보 제공을 수행하고,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키기 위한 공간정보 서버;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의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여 그 원격제어 결과를 반환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반환받은 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의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공간정보 서버가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설정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리스트 및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상태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후,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공간정보 서버가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설정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리스트 및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상태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는 제 3 기능;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후,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은, 공간정보 서버(11),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 사용자 에이전트(13),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 및 메시징 서버(15)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는 기존에 존재하던 로케이션 서버(16) 및 수집된 공간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푸시(Push)형 응용 서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형 응용 서버(17)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의 관리 대상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순간에 자동적으로 다양한 지능형 정보(예를 들어, 위치 기반의 날씨 및 뉴스, 맞춤형 광고, 차량 및 집의 불법 침입 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 보고 등을 포함)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게 푸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시징 서버(15)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메시징 서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에게 공간정보 및 지능형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먼저, 공간정보는 크게 물리공간정보와 전자공간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특정 대상의 전자공간정보란 사이버공간에 존재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웹 검색 정보, 뉴스, 커뮤니티의 경험 정보 등을 포함)를 의미한다. 한편, 특정 대상의 물리공간정보는 물리적 실체가 존재하는 대상의 정보로서, 대상의 정체성 정보(이름, 주소, 유무선 전화번호, 메일/메신저 주소 등을 포함) 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 정보(통신접속 상태 정보, 위치 정보, 건강 상태 정보, On/Off 상태 정보, 측정 정보, 상태 외부제어 정보 등을 포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때, 상태 외부제어 정보란 외부 접근 허용 여부, 또는 외부 노출 허용 여부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지정된 그룹에게만 정보 접근을 허용하는 형태로 설정되며 특정 대상의 공간정보 구성요소마다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의 물리공간정보를 살펴보면, 통신접속 상태정보(접속중), 위치 정보(서울, 우면동 A 건물), 건강 상태 정보(양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물리공간정보의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에 정의된 상태 외부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 노출 여부가 제공된다. 즉, 홍길동의 상태 외부제어 정보는 통신접속 상태정보(외부로부터 어떤 연결도 원치 않음), 위치 정보(회사동료에게만 노출 허용), 건강 상태 정보(가족에게만 노출 허용)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물의 물리공간정보는 통신접속 상태, 위치, On/Off 상태 등의 상태 정보와 사물 소유자가 설정한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사물이란 사람을 제외한 동식물과 무생물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는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의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변경된 공간정보가 있으면 공간정보 서버(11)에 공간정보 변경 요청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공간정보 서버(11)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한다.
공간정보 서버(11)는 대상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시키며, 그 갱신 정보를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거쳐 사용자 에이전트(13)로 통보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는 공간정보 서버(11)로부터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에이전트(13)에게 전달되는 모든 공간정보 및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에이전트(13)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전달받아 공간정보 서버(11)로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반환받은 후 사용자 에이전트(13)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는 단말에 존재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공간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단말로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로부터의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공간정보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정보 서버(11)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 및 대상 관리부(24)를 포함한다.
먼저,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에 등록된 대상(사람, 사물)들에 대한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로부터 통보받아,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시켜 등록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는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로부터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받으면, 변경된 공간정보의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외부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게만 변경된 공간정보를 통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는 특정 대상의 상태 외부제어 정보가 변경되면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통하여, 상기 대상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들에게 변경된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받아, 이를 해당 대상을 관리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로 전달하여 원격제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원격제어 요청에 따른 실행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를 요청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전송하는 동시에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시켜 원격제어 실행 결과가 반영되도록 한다.
대상 관리부(24)는 사용자가 공간정보를 교류하기 원하는 대상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대상 관리부(24)를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공간정보를 수신할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의 정보(연결 주소, 단말의 형태, 소유자 등)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관리부(24)는 사용자가 등록한 대상 및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와 공간정보를 교류할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할당한다. 이러한 모든 정보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는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의 제어에 따라 등록된 전체 대상들에 대한 최신의 공간상태 정보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에는 등록된 대상 별로, 각 대상의 공간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설정된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 정보, 등록한 대상의 공간정보를 수신할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 정보, 및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와 공간정보를 교류하기 위하여 할당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는,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 및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는 일정 주기로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변경된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는 기존에 존재하는 로케이션 서버(16) 및 센서 네트워크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공간정보 수집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승용차의 위치 정보는 로케이션 서버(16)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지만, 승용차 내부의 잠금 장치 또는 전등 등의 상태는 센싱 기능에 통신 기능이 결합된 센서 네트워크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는 주기적으로 수집한 공간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만 공간정보 서버에 이를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간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위치의 상태 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는 대상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대상의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에 기준치 이상으로 접근한 경우, 대상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 도로에서 기준치 이상으로 벗어난 경우 등에 위치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는 자동차의 위치 상태 이외에도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공간정보 변경 사항(네트워크 접속 상태,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 전등의 온/오프 상태, 노부모의 건강 상태 등)을 공간정보 서버(11)에 즉시 통보한다.
한편,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는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와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는 물리적으로 같은 장소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는 공간정보 전송부(42) 및 공간정보 제어부(41)를 포함한다.
먼저, 공간정보 전송부(42)는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 또는 푸시형 응용서버(17)로부터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게 전달되는 모든 공간정보 및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정확하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공간정보 전송부(42)는 공간정보나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즉시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전달하지만, 어떤 이유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간정보 또는 메시지를 "미수신" 상태로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 또는 메시지를 재전송해 준다.
그리고, 공간정보 제어부(41)는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및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입력받아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 및 공간정보 상태관리부(22)로 각각 전달하고, 그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는 하나의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만을 전담하여 관리한다.
한편,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에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 제공되는 공간정보는 버디 리스트(Buddy List), 사물 리스트(Thing List), 및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 관리된다. 즉, 버디 리스트(Buddy List)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등록/관리하는 목록이고, 사물 리스트(Thing List)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사물들을 등록/관리하는 목록이며,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 착발신된 공간정보 및 지능형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목록이다.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와 마찬가지로 버디 리스트(Buddy List), 사물 리스트(Thing List), 및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 공간정보를 관리하며, 지속적으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와 통신하여 최신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는 상기 세가지 리스트로 구성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를 통하여 대상 관리부(24)에 접속한 후,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공간정보를 수신할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의 정보(연결 주소, 단말의 형태, 소유자 등)를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대상 관리부(24)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대상 및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와 공간정보를 교류할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설정 정보는 모두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다.
이러한 등록 과정을 거친 후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를 통하여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를 통하여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면(121),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는 상기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버디 리스트(Buddy List), 사물 리스트(Thing List), 및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와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 제공하고(122),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123),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가 없으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가 있으면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 전송한다(12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가 주기적으로 도 5와 같은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공간정보 수집/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상태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 대상의 공간정보가 변경되었으면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공간정보 서버(11)로 통보한다(501).
그러면, 공간정보 서버(11)는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한 후, 공간정보가 변경된 대상을 관리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한다(50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가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입력받아 공간정보 서버(11)로 전달한다(601).
그러면, 공간정보 서버(11)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에 반환한다(602).
그러면,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는 공간정보 서버(11)로부터 반환받은 결과를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통보한다(603).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보다 상세한 동작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공간정보 수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의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 중에서 순서에 따라 하나의 대상을 선택한다(701). 그리고, 상기 선택된 대상의 현재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702), 변경 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703), 변경 사항이 없으면 "705" 과정으로 진행하고, 변경 사항이 있으면 공간정보 서버(11)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한다(704).
이후, 모든 대상이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여(705), 모든 대상이 처리되었으면 종료하고, 모든 대상이 처리되지 않았으면 "701" 과정으로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공간정보 서버의 공간정보 변경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공간정보 서버(11)의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가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의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31)로부터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받아(801), 상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한다(802).
그리고,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조사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을 확인한 후,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전송부(42)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에게 공간정보 변경 사항이 전달되도록 한다(80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제어부(41)가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 특정 대상의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전달받으면(901), 공간정보 제어부(41)는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공간정보 서버(11)의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로 전달하고(902),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는 상기 전달받은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대상의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갱신한다(903).
이후,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가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결과를 상기 특정 대상을 등록한 모든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전송부(42)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통보한다(90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제어부(41)가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부터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받으면(101), 이를 공간정보 서버(11)의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로 전달한다(102).
그러면,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검색하여 원격제어 요청을 처리할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를 선택하고(103), 상기 선택한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12)의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에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한다(104).
그러면,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는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실행한 후(105), 그 원격제어 결과를 공간정보 서버(11)의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에 반환한다(106).
그러면, 공간정보 서버(11)의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는 상기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32)로부터 반환받은 원격제어 결과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테베이스(21)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처음 원격제어 요청을 접수한 사용자 포함)에 해당하는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전송부(42)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통보한다(107).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통보된 요청 처리 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14)의 공간정보 전송부(42)가 공간정보 서버(11)(공간정보 상태 관리부(22) 또는 공간정보 원격제어부(23))로부터 요청 처리 결과(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결과, 원격제어 결과)를 통보받으면(111),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현재 응답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여(112), 응답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공간정보 서버(11)로부터 통보받은 요청 처리 결과를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로 전송하고 "수신" 상태로 처리한다(113).
한편, 상기 확인 결과(112), 응답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공간정보 서버(11)로부터 전달받은 요청 처리 결과를 "미수신" 상태로 저장하여(114) 이후에 사용자 에이전트(단말)(13)가 응답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면(115) 저장하고 있던 "미수신" 상태의 요청 처리 결과를 재전송하고 "수신" 상태로 처리한다(116).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순한 통신 기능과 접속 여부 정보만을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 달리, 사람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사물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관리 대상의 상태에 따른 지능형 서비스 푸싱 및 원격지의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사람과 사람뿐 아니라 사람과 사물이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공간정보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중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공간정보 수집/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공간정보 수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공간정보 서버의 공간정보 변경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에이전트(단말)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통보된 요청 처리 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공간정보 서버 12 :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13 : 사용자 에이전트(단말) 14 :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15 : 메시징 서버 16 : 로케이션 서버
17 : 푸시형 응용 서버 21 :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22 :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 23 : 공간정보 원격제어부
24 : 대상 관리부 31 :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
32 :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 41 : 공간정보 제어부
42 : 공간정보 전송부

Claims (14)

  1.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의 등록, 원격제어 처리, 및 공간정보 제공을 수행하고,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키기 위한 공간정보 서버;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의 공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여 그 원격제어 결과를 반환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반환받은 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의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서버는,
    등록된 각 대상들에 대한 공간상태 정보 및 상태 외부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대상의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받아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키고,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기 위한 공간정보 상태관리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에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하고, 그 원격제어 실행 결과를 반환받아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킨 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를 요청한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송하기 위한 공간정보 원격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상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상기 등록된 대상에 설정된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대상 관리부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는,
    주기적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로 통보하기 위한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 및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로부터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여 그 원격제어 결과를 반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는,
    상기 공간정보 상태관리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송하기 위한 공간정보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특정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 요청 및 상태 외부제어 요청을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 및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로 각각 전달하여 그 결과를 반환받은 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정보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전송부는,
    상기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응용서버로부터 전달(푸시)되는 지능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를 통하여, 상기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버디 리스트(Buddy List), 사물 리스트(Thing List), 및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 및 각 리스트의 대상에 대한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전송부는,
    상기 공간정보 상태관리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송시에,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간정보를 "미수신" 상태로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 가능한 상태가 되면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8.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공간정보 서버가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설정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리스트 및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상태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후,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가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서버의 대상 관리부가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할당하는 제 6 단계;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버디 리스트(Buddy List), 사물 리스트(Thing List), 및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와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가 있는지 확인하여, "미수신" 상태의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재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 중에서 순서에 따라 하나의 대상을 선택하는 제 9 단계;
    상기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가 상기 선택된 대상의 현재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변경 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가 모든 대상이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모든 대상이 처리되었으면 종료하고, 모든 대상이 처리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9 단계로 진행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공간정보 서버의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상기 공간정보 모니터링 에이전트로부터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받아,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가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 처리 과정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공간정보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특정 대상의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사항을 통보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의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 14 단계;
    상기 공간정보 상태 관리부가 전달받은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결과를 상기 특정 대상을 등록한 모든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공간정보 전송부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15 단계;
    상기 공간정보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의 공간정보 원격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6 단계;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가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원격제어 요청을 처리할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의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에 원격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제 17 단계;
    상기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대상에 대한 원격제어를 실행한 후, 그 제어 결과를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에 반환하는 제 18 단계; 및
    상기 공간정보 원격제어부가 상기 공간정보 제어 에이전트로부터 반환받은 원격제어 결과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테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특정 대상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공간정보 전송부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19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통보받은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의 상기 공간정보 전송부가 상기 공간정보 서버(공간정보 상태 관리부 또는 공간정보 원격제어부)로부터 요청 처리 결과(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결과, 원격제어 결과)를 통보받는 제 20 단계;
    상기 공간정보 전송부가 현재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의 확인 결과,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통보받은 요청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전송하고 "수신" 상태로 저장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제 21 단계의 확인 결과,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요청 처리 결과를 "미수신" 상태로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가 응답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미수신" 상태의 요청 처리 결과를 재전송한 후 "수신" 상태로 저장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방법.
  14. 프로세서를 구비한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에,
    공간정보 서버가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대상들을 등록하고, 등록한 대상의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 정보,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설정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대상들에 대한 리스트 및 그에 따른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대상들의 공간정보를 수집한 후 상태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통보하는 제 3 기능;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에이전트로부터 통보받은 공간정보 변경 사항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후, 갱신한 공간정보에 대하여 노출이 허용된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공간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부터 특정 대상의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정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공간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요청 또는 상태 외부제어 정보 변경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공간정보 관리자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로 통보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62343A 2003-09-06 2003-09-06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43A KR101017824B1 (ko) 2003-09-06 2003-09-06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43A KR101017824B1 (ko) 2003-09-06 2003-09-06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31A true KR20050026731A (ko) 2005-03-16
KR101017824B1 KR101017824B1 (ko) 2011-02-28

Family

ID=3738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43A KR101017824B1 (ko) 2003-09-06 2003-09-06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82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19B1 (ko) * 2005-06-01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3963B1 (ko) * 2005-12-08 2007-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6554B1 (ko) * 2006-07-25 2007-09-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1988B1 (ko) * 2005-12-08 2007-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6800B1 (ko) * 2006-06-16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가제트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92014B1 (ko) * 2006-06-15 2008-01-04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0852221B1 (ko) * 2006-12-08 200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이용한 착용형 컴퓨터 및 그 방법
KR100995797B1 (ko) * 2007-07-20 2010-11-2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원격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프록시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2144810A2 (en) * 2011-04-19 2012-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orage spac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and server threrfor
KR101218593B1 (ko) * 2011-01-27 2013-01-22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48730B2 (en) 2011-02-08 2018-04-17 S-Printing Solution Co., Ltd. Social network system with access provis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29B1 (ko) * 2001-04-17 2004-11-08 (주)인포캐스트 인터넷 등재 정보의 자동 수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4722A (ko) * 2003-07-15 2003-08-02 주식회사 로보피아 피.디.에이. 기반의 무선 홈 정보가전 제어 시스템 구축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19B1 (ko) * 2005-06-01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3963B1 (ko) * 2005-12-08 2007-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1988B1 (ko) * 2005-12-08 2007-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2014B1 (ko) * 2006-06-15 2008-01-04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0776800B1 (ko) * 2006-06-16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가제트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56554B1 (ko) * 2006-07-25 2007-09-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2221B1 (ko) * 2006-12-08 200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이용한 착용형 컴퓨터 및 그 방법
KR100995797B1 (ko) * 2007-07-20 2010-11-2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원격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프록시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218593B1 (ko) * 2011-01-27 2013-01-22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48730B2 (en) 2011-02-08 2018-04-17 S-Printing Solution Co., Ltd. Social network system with access provis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2144810A2 (en) * 2011-04-19 2012-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orage spac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and server threrfor
WO2012144810A3 (en) * 2011-04-19 201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orage spac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and server threr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824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881B2 (ja) エンティティを識別する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方法及びエンティティを識別する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772928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178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348023A (zh) 使能时区敏感应用的世界时钟
Anastasopoulos et al. Towards a reference middleware architecture for ambient intelligence systems
Sankar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A survey on empowering technologies, research opportunities and applications
KR20070010230A (ko)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홈 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Preuveneers et al. Internet of things: A context-awareness perspective
CN101821994A (zh) 情境感知无线信息系统和方法
Ji et al. CrowdSensing: A crowd-sourcing based indoor navigation using RFID-based delay tolerant network
Schrooyen et al. Real time location system over WiFi in a healthcare environment
Hussain et al. Monitoring user activities in smart home environments
Kim et al. An indoor location tracking based on mobile RFID for smart exhibition service
Lee et al. System architecture for context-aware home application
Alsulami et al. Zigbee technology to provide elderly people with well-being at home
JP3826735B2 (ja) 分散システムによ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分散システムを構成する機器
Strobbe et al. Integrating loc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for novel personalised applications
Waluyo et al. Utilising push and pull mechanism in wireless e-health environment
JP2011258109A (ja) センシング方法およ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loarea et al. LED smart illumination with RFID indoor positioning
Vázquez et al. An interaction model for passively influencing the environment
Yadav et al. A survey of growth and opportunity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Global Scenario
Garg et al. Smart applications of Context services using Automatic adaptive module and making Users Profiles
Al-Awami et al. Vehicle to Infrastructure in a Semi Dynamic Environment Based on A Novell IoT 7th Layers Framework
Kim et al. A middleware architecture for dynamic reconfiguration of agent collaboration spaces in indoor location-awar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