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878A -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878A
KR20050025878A KR1020030062843A KR20030062843A KR20050025878A KR 20050025878 A KR20050025878 A KR 20050025878A KR 1020030062843 A KR1020030062843 A KR 1020030062843A KR 20030062843 A KR20030062843 A KR 20030062843A KR 20050025878 A KR20050025878 A KR 2005002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ver
main body
air
filte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995B1 (ko
Inventor
오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9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커버 장착구조는, 본체(100)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흡입커버(440)와, 상기 흡입커버(440)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고정수단과, 상기 흡입커버(440)의 상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커버(440)의 전면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돌기(448)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단고정수단은, 상기 흡입커버(44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편(445)과;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삽입홈(44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고정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는 탄성돌기(442')가 구비된 장착돌기부(446)와, 상기 탄성돌기(442')가 수용되는 장착홈(446')이 형성된 돌기수용부(4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흡입커버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 Mounting structure of inlet cover in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겸비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인 공기흡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흡입커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가습기는 별도의 제품으로 제조되어 사용되어지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가습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이 하나의 제품에 모두 겸비된 제품이 나오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종래의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공기청정기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필터(2)및 이 메인필터(2)의 전방에 설치되는 흡입커버(3)를 포함하며, 본체(1)의 후부에는 가습기용 물탱크(4)와 분무통(5)이 내장되고 그 위에 후부커버(6)가 씌워진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5)의 상단에는 분무구(5a)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그 내부의 전방측에 공기흡입용 임펠러(1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조절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조작부(C)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작부(C)의 맞은편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방출그릴(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는 유색커버가 씌워진 디스플레이부(D)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부에는 임펠러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흡입구(12)의 전방으로는 장방형의 필터설치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부(13)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는 메인필터(2)의 양측이 걸려 끼워지는 걸림편(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설치부(13)의 하부와 상부측에는 상기 흡입커버(3)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와 상부 양측에 형성된 후크형의 걸림돌기(32)를 끼우기 위한 끼움구멍(15)과 탄성편(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 본체(1)와 흡입커버(3)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흡입커버(3)의 양측부 및 하부측이 본체(1)의 정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벌어져 틈새(g)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틈새(g)를 통해 외부공기가 임펠러(11)쪽으로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11)는 팬 모터(11a)에 축결합된 시로코 팬(17)이 회전하면서 시로코 팬(17)의 축방향 전방에 형성된 임펠러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점차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임펠러 하우징(18)의 방사방향으로 유도되어 방출구(19)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며, 임펠러 흡입구(12)의 전방에는 메인필터(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1)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메인필터(2)에서 여과처리되면서 실내와 공기청정기 본체(1)를 순환하므로 실내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18)의 하부 일측에는 가습기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방출구(1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조 방출구(19a)에는 가습기부의 분무통쪽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연결관(19b)의 일단이 끼워진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18)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방출구(19)에는 공기방출그릴(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방출그릴(G)의 하측에는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후측에는 가습기가 부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후방에 형성된 가습기부(40)에 물탱크(4)와 분무통(5)이 내장된다.
상기 분무통(5)의 하부측에는 상기한 임펠러 하우징(18)의 보조 방출구(19a) 일단에 연결된 연결관(19b)이 접속되는 공기입구(41)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없음을 감지하는 저수위 감지센서 및 초음파 가습 진동자와 살균램프 등이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서, 가습 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측에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고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후방측에는 가습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내부에서 탈취 및 살균된 다음 상방으로 토출되며, 가습공기 또한 상방으로 분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임펠러 흡입구(12)의 전방으로는 장방형의 필터설치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부(13)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는 메인필터(2)의 양측이 걸려 끼워지는 걸림편(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14)에 의해 메인필터(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입커버(3)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상기 메인필터(2)의 탈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필터설치부(13)의 하부와 상부측에는 상기 흡입커버(3)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와 상부 양측에 형성된 후크형의 걸림돌기(32)를 끼우기 위한 끼움구멍(15)과 탄성편(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2)과 탄성편(16)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커버(3)의 상단부와, 상기 필터설치부(13)의 상단부가 밀착되게 되므로 흡입커버(3)의 상측부는 공기청정기 본체(1)와 일정간격 이격되지 못하므로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커버(3)를 탈거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커버(3)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당겨야 하는데, 흡입커버(3)의 상단부가 공기청정기 본체(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흡입커버(3)의 양측단을 손으로 잡고 당기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이한 구조로 공기청정용 필터의 고정이 가능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는,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흡입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고정수단과, 상기 흡입커버의 상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커버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고정돌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고정수단은,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이 걸어져 고정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고정수단은,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돌기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부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수용부에는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는 탄성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돌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돌기가 수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흡입커버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가습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요부구성인 물탱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하부 평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인 흡입커버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9의 흡입커버가 본체 배면에 장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공기청정기는 전반부에는 가습기능을 가지는 가습부분이 구비되고 후반부에는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문의 하측과 상기 공기청정부문이 일체로 된 본체(1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되고, 이러한 공기청정부문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습몸체부(2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습몸체부(200) 상측에 물탱크(300)가 안착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물탱크(300)는 내부의 물 저장상태가 외부로부터 인식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우측 하단에는 물주입구(310)가 형성되고, 이러한 물주입구(310)를 물탱크뚜껑(320)이 차폐하고 있다.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중앙부에는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공급되는 관문이 되는 물공급홀(322)이 형성되고 이러한 물공급홀(322)의 내부에 밸브(324)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324)는 상기 물탱크(300)가 아래에서 상기 가습몸체부(20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개방하여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물탱크(300)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차폐한다.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상부에는 정수필터(330)가 장착된다. 상기 정수필터(330)는 물탱크(300) 내부의 물을 정수하여 하방으로 내려보내는 것으로, 주로 물속의 마그네슘, 칼슘, 이온 등의 불순물을 흡착해서 백분 상태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300)의 좌측 내부에는 분무통(350)이 형성된다. 상기 분무통(3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진동자(222)에 의해 발생되는 물입자가 상기 물탱크(300)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송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3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분무통(350)의 상단에는 분무구(3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분무구(360)는 내부에서 생성된 분무가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로, 사용자의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구(360)는 단수로 형성되는 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무구(360)가 형성되면 여러방향으로 동시에 분무가 가능하므로 실내의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탱크(300)의 전면부 상단은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함몰부(370)가 형성되며, 이러한 함몰부(370)를 좌우로 가로질러 탱크손잡이(3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손잡이(372)를 손으로 잡고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물탱크(300)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부터 착탈되는 것이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면 우측부에는 상기 물탱크(300)의 물탱크뚜껑(320)이 안착되는 뚜껑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안착부(210)는 하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개폐돌기(212)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돌기(212)는 상기 뚜껑안착부(210)에 물탱크뚜껑(320)이 안착되면 내부의 밸브(324)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물탱크뚜껑(320) 내부의 물공급홀(322)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통해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안착부(210)의 하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진 저면의 일측에는 물관통홀(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300)로부터 물공급홀(322)을 통해 뚜껑안착부(210)로 내려온 물은 상기 물관통홀(214)을 통해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면 좌측부에는 상기 물탱크(300)의 분무통(350) 하단이 안착되는 분무통안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의 중앙에는 무화입자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222)의 상단이 노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분무입자를 불어주는 공기의 토출 출구가 되는 송풍구(224)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26)가 일측에 더 구비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내부에는 전압을 분배하는 트랜스(230)와, 분무입자를 불어내는 소형의 송풍팬(240)과 송풍팬모터(242) 그리고, 상기 물탱크(300)로부터 물공급홀(322)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물을 상기 분무통안착부(220)로 안내하는 물공급호스(2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호스(250)의 중앙부분에는 가열히터(252)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가열히터(252)는 상기 물공급호스(250)의 중앙부를 일정부분 절개한 후 이러한 절개부분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파이프와 이러한 파이프를 감싸는 열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열선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가열되면 상기 파이프가 고온으로 되고 이러한 고온의 파이프의 열이 내부를 유동하는 물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호스(250)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가열히터(252)의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다음, 상기 진동자(222)에 의해 분무된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 분무되는 분무입자는 따뜻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찬 분무로 인한 감기 등의 질병에 걸리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콘트롤판넬(260)이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판넬(260)에는 다수개의 다이얼과 버튼이 구비되어 가습과 공기청정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270)가 결합되어 하부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면커버(410)가 설치되고, 이러한 상면커버(410)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인 공기방출그릴(G)이 장착되어진다. 즉,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412)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방출그릴(G)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00)의 후면 중앙부에는 공기흡입구(4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420)의 전방으로는 장방형의 필터설치부(4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부(430)에는 메인필터(432)가 헐겁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메인필터(4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엘레멘트형태의 항균필터(432')와, 상기 항균필터(432')의 후면에 형성되는 그라스 시트로 된 탈취필터(432")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2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후방에는 공기중의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이 1차적으로 필터링되는 망사조직을 갖는 프리필터(434)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메인필터(432)는 패키지 형태로 제작되어 소비자들도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커버(440)를 열고 상기 필터설치부(430)로부터 사용된 메인필터(432)를 빼내고 새것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공기흡입구(420) 후방에는 흡입커버(44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흡입커버(440)는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벌어져 있어 이 틈새(g)를 통해 외부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청정팬(450)쪽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커버(440)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고정수단과, 상기 흡입커버(440)의 상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는 상기 흡입커버(440)가 걸어져 장착되는 구조가 형성되는데, 상기 필터설치부(430)의 하측에 해당되는 본체(100) 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커버(440)의 걸림편(445)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삽입홈(4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설치부(430)의 측방에 해당되는 본체(100) 배면의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커버(440)의 장착돌기부(446)가 체결되는 돌기수용부(44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수용부(442)는 본체(100)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되도록 구성되며, 측면에는 흡입커버(440)를 고정하는 탄성돌기(442')가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탄성돌기(44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커버(440)가 장착되면 외측으로 일정부분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 즉, 상기 필터설치부(430)의 양측단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함몰부(443)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443)는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탈거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가 상기 필터설치부(4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443)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후방으로 탈거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커버(440)는 상기 필터설치부(430)의 크기와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데, 전면 하단에는 상기 본체(100) 배면에 형성되는 삽입홈(441)에 삽입되는 걸림편(445)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445)은 상기 흡입커버(44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다음, 하방으로 다시 수직 절곡되어져 있다.
상기 흡입커버(440)의 양측단에는 상기 돌기수용부(442)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부(446)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부(446)는 상기 흡입커버(44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탄성돌기(442')가 수용되는 장착홈(446')이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446')은 상기 탄성돌기(442')의 선단과 대응되게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커버(440)의 중앙부에는 필터고정돌기(44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고정돌기(448)는 상기 흡입커버(440)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고정돌기(448)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전방으로 압착시켜 프리필터(434)와 상기 흡입커버(440)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틈새(g)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흡입구(420)의 전방에는 청정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청정팬(450)이 설치된다. 상기 청정팬(450)의 일측에는 청정팬모터(452)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청정팬(450)의 외부에는 팬하우징(454)이 청정팬(45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4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공기배출구(412)를 통해 상방으로 대부분 토출된다.
한편,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도 일부 흡입된다. 즉, 상기 가습몸체부(200)와 공기청정부문 사이에 형성되는 베리어(460)의 하단 일측에는 보조방출구(46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보조방출구(462)를 통해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가습몸체부(200)로 유입되어 상기 송풍팬(240)에 의해 상기 송풍구(224)로 토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반부에 구비되는 가습부문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에 물이 소정량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판넬(260)의 각종 다이얼과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가습상태를 설정하면 상기 물탱크(300)의 물이 상기 정수필터(330)를 거치면서 정수되어 하방으로 내려온다.
상기 정수필터(3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은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물공급홀(322)을 통해 상기 물공급호스(250)로 유입된다. 상기 물공급호스(2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열히터(252) 부분을 통과하면서 열전달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따뜻해진 물은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도달한다.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도달한 물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222)에 의해 무화입자로 변형된다. 즉, 상기 초음파 진동자(222)에 전압이 인가되면 대략 1.63MHz정도의 초음파가 발생하여 진동자(222)가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고인 물의 수면에 분수상의 수주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주 선단부의 분자가 서로 충돌하여 미세한 입자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반적으로 무화 현상(霧化 現狀)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상기 송풍팬모터(242)에 정격전압이 인가되면 송풍팬모터(24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와 결합되어 있는 송풍팬(240)이 송풍팬모터(242)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여 바람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40)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이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의 송풍구(224)를 통해 토출된 다음, 상기 분무통(350)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무화 현상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물의 입자가 공기속에 함유되어 상기 송풍구(224)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점차 감소되어 없어지면, 상기 수위센서(226)가 물 없음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자(222)의 발진 및 가열히터(25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분무를 중단시킨다.
다음으로, 후반부에 형성되는 공기청정부문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흡입커버(4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틈새(g)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일차적으로 큰 이물이 상기 프리필터(434)에 의해 걸러진 다음 이차적으로 상기 메인필터(432)에 의해 이물이 여과된다.
상기 메인필터(4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구(420)를 통해 상기 청정팬(4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청정팬모터(452)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하고 이와 동일축으로 결합된 청정팬(450)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방사방향으로 유도되고 이러한 공기는 상기 청정팬하우징(454)에 안내되어 상측의 공기배출구(412)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안내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청정팬하우징(454)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방출구(462)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부(2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무의 이동에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능이 수행되면 실내의 공기가 프리필터(434)와 메인필터(432)를 거쳐 이물질이 여과되고 공기중의 세균 및 각종 바이러스균 등이 살균되며 담배연기를 비롯한 각종 악취가 탈취된 후, 상기 본체(100)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방출그릴(G)을 통해 다시 실내로 방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므로 공기청정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본체(100)에서 방출되는 공기는 풍량과 그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활한 공기청정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습기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판넬(260)에 구비되는 가습다이얼을 세팅시켜주면 되며, 이때 가습부문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청정부문의 프리필터(434)와 메인필터(432)를 거친 후 공급되므로 물만이 아니라 공기까지도 살균, 탈취 및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이므로 보다 청정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습장치에서 사용자는 사용도중에 메인필터(432)를 교체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흡입커버(440)를 열고 상기 필터설치부(430)로부터 장기간 사용된 메인필터(432)를 빼내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흡입커버(440)의 측단부를 손으로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흡입커버(440)의 장착홈(446')이 상기 돌기수용부(442)의 탄성돌기(442')로부터 미끄러지면서 탈거되고, 다음으로 상기 흡입커버(440)를 상바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흡입커버(440)의 걸림편(445)이 상기 삽입홈(44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 배면에 형성된 함몰부(443)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상기 프리필터(434)와 메인필터(432)를 집어낸다. 그 다음, 새로운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상기 필터설치부(430)에 삽입한 다음 상기 흡입커버(440)를 장착한다.
상기 흡입커버(440)의 창착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가 상기 필터설치부(430)에 삽입된 다음, 상기 흡입커버(440)의 걸림편(445)을 상기 삽입홈(441)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커버(440)의 상단을 들어올려 전방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커버(440)의 장착돌기부(446)가 상기 돌기수용부(442)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돌기(442')는 상기 장착돌기부(446)의 측면에 의해 측방으로 밀려 들어가다가 상기 장착홈(446')에 안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품으로 공기청정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청정기능이 후반부에 구비되므로 흡입커버는 본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흡입커버의 하단은 걸림편에 의해 본체에 걸어지고, 상단은 탄성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커버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흡입커버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을 본체의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흡입커버의 상단을 전방으로 밀면 탄성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흡입커버의 장착이 완료되고, 반대로 흡입커버의 탈거를 위해서는 흡입커버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상단이 분리되며 연이어 흡입커버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하단도 완전히 탈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흡입커버의 전면에 필터고정돌기가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본체에 별도의 필터고정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되며, 공기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흡입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필터고정돌기는 메인필터와 프리필터의 후면을 전방을 향해 누르게 되므로 메인필터와 프리필터가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필터고정돌기에 의해 프리필터와 흡입커버의 전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간격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흡입커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흡입커버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외부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요부구성인 물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흡입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본체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흡입커버가 본체 배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가습몸체부
210. 뚜껑안착부 212. 개폐돌기
214. 물관통홀 220. 분무통안착부
222. 진동자 224. 송풍구
226. 수위센서 230. 트랜스
240. 송풍팬 250. 물공급호스
252. 가열히터 260. 콘트롤판넬
270. 하부케이스 300. 물탱크
310. 물주입구 320. 물탱크뚜껑
322. 물공급홀 324. 밸브
330. 정수필터 350. 분무통
360. 분무구 410. 상면커버
412. 공기배출구 420. 공기흡입구
430. 필터설치부 432. 메인필터
434. 프리필터 440. 흡입커버
441. 삽입홈 442. 돌기수용부
442'. 탄성돌기 445. 걸림편
446. 장착돌기부 446'. 장착홈
448. 필터고정돌기 450. 청정팬
452. 청정팬모터 454. 팬하우징
460. 베리어 462. 보조방출구
G. 공기방출그릴

Claims (6)

  1.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흡입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고정수단과,
    상기 흡입커버의 상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커버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고정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수단은,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이 걸어져 고정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수단은,
    상기 흡입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돌기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부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부에는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는 탄성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돌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돌기가 수용되는 장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흡입커버 장착구조.
KR1020030062843A 2003-09-08 2003-09-08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101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843A KR101012995B1 (ko) 2003-09-08 2003-09-08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843A KR101012995B1 (ko) 2003-09-08 2003-09-08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878A true KR20050025878A (ko) 2005-03-14
KR101012995B1 KR101012995B1 (ko) 2011-02-10

Family

ID=3738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843A KR101012995B1 (ko) 2003-09-08 2003-09-08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71A (ko) * 2013-04-05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036B1 (ko) 2011-09-05 2013-11-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기의 필터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06B1 (ko) * 1995-12-21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10001964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에어컨 실내기의 도어그릴 개폐구조
JP2002340362A (ja) *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前面グリル取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71A (ko) * 2013-04-05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995B1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647B2 (en) Air purifier
KR101004555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WO2006007225A2 (en)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6550072B1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JP3854938B2 (ja) 空気浄化装置を備えた調理器
JP2018044762A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2023762B1 (ko) 가습공기정화 장치
KR101012995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WO2008034049A1 (en) Centrifugal fan for a compact air purifier
KR20050024042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1003634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JP2018028233A (ja) 便座装置
KR20050025504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0607261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050025879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에어토출그릴 장착구조
KR101004563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CN215113200U (zh) 一种热水器
KR20050025505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전원코드 체결구조
KR10057531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200226528Y1 (ko) 다용도 공기청정기
KR20050024044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050024043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CN217763744U (zh) 一种加湿器
KR100564489B1 (ko) 공기청정기의 전면판넬 구조
KR100564477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