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893A -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893A
KR20050023893A KR1020030061455A KR20030061455A KR20050023893A KR 20050023893 A KR20050023893 A KR 20050023893A KR 1020030061455 A KR1020030061455 A KR 1020030061455A KR 20030061455 A KR20030061455 A KR 20030061455A KR 20050023893 A KR20050023893 A KR 2005002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racket
housing
vehicle
retain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6823B1 (en
Inventor
박준섭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823B1/en
Publication of KR2005002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8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8Snap-fit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PURPOSE: A level regulating device for a lamp of a vehicle is provided to prevent load from being applied on a vertical regulating unit by supporting load with a pivot unit and a horizontal regulating unit and to restrict a reflecting mirror from being separated by vibration and shock due to firm combination of a ball joint unit. CONSTITUTION: A level regulating device for a lamp of a vehicle is composed of a housing(2) mounted to the vehicle; a bending bracket(1') to which at least one lamp assembly is installed; and a pivot unit, a horizontal regulating unit(50), and a vertical regulating unit(40) for connecting the bending bracket and the housing in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re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bracket. A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s contacted at right angle with a line that the center of gravity applied on the bending bracket is extended vertically. The pivot unit and the horizontal regulating unit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by a bolt fixing unit and coupled to the bending bracket by a ball joint unit. The third position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bracket. The vertical regulating unit is fixed and linked to the bending bracket. The bending bracket is moved longitudinally by an actuator.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Level control device for vehicle lamps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본 발명은 차량의 가감속 여부에 상관없이 일정한 조명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램프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강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레벨 조절을 위한 수직조절부분에 걸리는 하중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한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a constant lighting state regardless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level adjustment is not only strongly coupled to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the lamp. It relates to a level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configured to minimize the load on the vertical adjustment portion for.

일반적으로 차량은 예컨대 야간 운행시 전방의 대상물을 잘 보도록 하는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예컨대 차량의 전방을 조명하는 헤드램프 등과 같은 등화장치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조명되도록 배치되는데, 차량의 운행시 특히 가속중이거나 감속중일 때는 조명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변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이 가속중인 경우, 그 반대편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차에게는 가속중인 차량에서 발광되는 조명의 광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눈부심이 심해지게 된다. 반대로, 차량이 감속중인 경우에는 광량이 감소되어 전방의 가시거리가 짧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function for viewing the object in front of the night when driving at night, and an equalizing device for inform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other vehicles or other road users. For example, an equalizer such as a headlamp for illuminating the front of a vehicle is generally arranged to be illuminated in a constant direc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light to be illuminated is relatively chang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particularly durin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That is, when the vehicle is being accelerate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being accelerated is increased in the driving vehicle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other side, and as a result, the glare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vehicle is decelerating,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amount of light decreases and the visible distance in front becomes short.

이러한 차량의 가감속에 따른 조명 광량의 변화를 보상하여 항상 일정한 조명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 다이나믹 자동 레벨링(Dynmic auto leveling)이라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이 다이나믹 자동 레벨링 기술은, 차량의 가감속 상태에 따라서 차량의 헤드램프가 조명하는 방향이 위 아래로 약간씩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가속 중인 경우에는 헤드램프를 약간 아래로 향하게 조절하고 감속 중인 경우에는 헤드램프를 약간 위로 향하게 조절하게 되면, 상술한 광량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이 크게 해소될 수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amount of illumination light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so that a constant lighting state is always maintained, a technique called dynamic auto leveling has been introduced. This dynamic automatic leveling technique is such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lamp of the vehicle illuminates slightly up and dow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vehicle. If the headlamp is slightly lowered when accelerating and the headlamp is slightly upward when decelerat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described light quantity change can be largely solved.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의 예로는, EP 0 537 569 B1에 개시된 장치가 있는데, 그 개략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헤드램프 조립체(100)에는 하우징(2)과 전방의 대체로 투명한 렌즈 커버(3)에 의해 한정되는 램프 공간 내에 램프 및 광을 모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1)이 설치된다. 헤드램프의 조명 방향은 반사경(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반사경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피봇수단(미도시됨)과 수평조절수단(20) 및 수직조절장치(10)를 포함한다. 피봇수단과 수평조절수단(20)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한다. 수평조절수단(20)은 긴 막대기 형태의 바디(24)를 가지며, 반사경의 상부 홀더(5)에 삽입되는 볼(22)이 일단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 결합으로 고정된다. 다른 일단에는 고정 캡(27)이 형성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 캡(27)이 홀더(7)에 대해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사경의 수평상태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경의 하단에는 수직조절수단(10)이 장착된다. 수직조절수단은 액추에이터(16)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바디(14)가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8)에 삽입되고, 역시 반사경 하단에 형성된 홀더(6)에 삽입되는 볼(12)에 의한 볼 조인트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가감속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16)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반사경이 하단측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단의 피봇수단 및 수평조절수단의 볼 조인트 결합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여, 원하는 방향으로의 램프 조명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An example of such a level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lamp is the device disclosed in EP 0 537 569 B1, the schematic structure of which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a headlamp assembly 100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1 for collecting and reflecting lamps and light in a lamp space defined by a housing 2 and a generally transparent lens cover 3 in front. do. The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headlamp is mad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1.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includes a pivoting means (not shown), a horizontal adjusting means 20 and a vertical adjusting device 10.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20 have a generally similar structure.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20 has a long bar-shaped body 24, the ball 22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der 5 of the reflector is formed at one end is fixed to the ball joint coupling. At the other end, a fixed cap 27 is formed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holder 7 formed in the housing. By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cap 27 engages with respect to the holder 7, the horizontal state of the reflector can be manually adjusted. And the lower end of the reflector is mounted with a vertical adjustment means (10).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is a ball joint by a ball 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der 8 formed in the housing, the body 14 forward or backward by the actuator 16, and also inserted into the holder 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flector It is fixed by a bond. Accordingly, when the actuator 16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tate of the vehicle, the reflector moves forward or backward at the lower side, and as a result, the ball joint coupling of the upper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By rotating based on the reference, the lamp illumination direction in the desired direction can be adjust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 레벨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반사경이 회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포함시킨 볼 조인트 결합구조가 진동이나 충격에 약하여 탈거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통상적으로 차량에서는 엔진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불규칙한 도로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등이 대체로 금속재질의 차체를 통하여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볼 조인트 결합구조를 진동에 강하게 개량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By the way, in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level adjusting device, the ball joint coupling structure included in order to allow the reflecting mirror to be rotatabl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remove because it is weak to vibration and impact. In general, in a vehicle, shock generated by an engine or the like and an impact generated by an irregular road surface is generally transmitted through a metal body. Therefore, there is a demand that the ball joint coupling structure must be strongly improved against vibration.

더 나아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수직조절수단에 반사경에 걸리는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원하는 방향으로의 램프 조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헤드램프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절은 매우 미세한 각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에 가해지는 신호 레벨 또는 신호 펄스의 세기도 미세한 변화를 하게 된다. 그런데,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여야 할 부품에 하중이 이미 실려있는 상태가 되면, 액추에이터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가해지는 힘이 이미 실려있는 하중과 상쇄되어, 결과적으로 반사경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Furthermore, when a load applied to the reflector is applied to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operated by the actu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mp adjustment operation in the desired direc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That is, since the adjustment of the headlamp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ade at a very fine angle,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actuator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pulse is also changed slightly. However, when the load is already loaded on the component to be moved by the actuator, the force applied to finely adjust by the actuator cancels the load already loaded, and as a result, adjustment of the reflector is not performed.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레벨 조절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면서 하중의 분포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진 새로운 차량용 램프의 자동 레벨 조절 장치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있었다.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automatic lamp control device for a new vehicle lamp, which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level control device, which is resistant to vibrations and shocks, and has a favorable load distrib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 레벨 조절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ehicle lamp level 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pose a new vehicle lamp level control device having additional advantag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떠한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반사경이 하우징에서 분리 또는 탈거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lam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or is not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housing even under vibration or shock in any vehicle driving st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조명되는 빛의 과도한 떨림을 줄여주는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level of a lamp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that attenuates vibrations transmitted from a vehicle body to reduce excessive shaking of illuminated l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경의 변형을 유발하는 힘의 전달없이 방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lam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 adjustment can be made without the transmission of the force causing the deformation of the reflec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이 상단에서 모두 지지되고 하단에 걸리는 하중이 최소화된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lam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end is minimized.

상술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램프 조립체가 탑재되는 벤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을 제 1 위치에서 연결하는 피봇수단과 제 2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평조절수단 및 제 3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직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 조립체의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는 상기 벤딩 브라켓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이 두 위치의 중간은 상기 벤딩 브라켓에 걸리는 무게중심이 수직으로 연장된 선과 수직으로 만나며,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볼트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볼 조인트수단에 의해 상기 벤딩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벤딩 브라켓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벤딩 브라켓에 고정 연결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벤딩 브라켓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볼트 수단에 의해 수평조절이 보다 미세하고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진동에 강하며 하중의 분포가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ounted to a vehicle and a bending bracket on which at least one lamp assembly is mounted, the pivot means connecting the bending bracket and the housing i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It provides a device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lamp assembly having a horizontal adjustment means for connecting at and a vertical adjustment means for connecting at a third posi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re at the top of the bending bracket. Located in the side, the middle of these two positions ar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line extend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ending bracket,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by bolt fixing means, ball joint means Is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by; The third position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bending bracket,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bending bracket back and forth by an actuator. Accordingly, not only the leveling can be made finer and more satisfactorily by the bolt means, but also a stronger coupling is possible, thereby providing a device which is resistant to vibration and whose load distribution can be preferably adjusted.

여기서,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볼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홀더에는 하중을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하단측에 전달되는 하중이 최소화되거나 아예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one end fixed by the bolt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a holder formed in the housing is fixed. The holder is formed with ribs to help support the load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can be minimized or not caught at all.

상기 볼 조인트 수단은,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구체의 볼이 상기 하우징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각각 전진 삽입됨으로써 상기 볼이 상기 리테이너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볼이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후진하지 못하게 더 결합하는 후크 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어떠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ball joint means, the ball of the sphe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end of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so that the ball is rotatably coupled in the retainer Here, the hook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prevent the ball from retracting from the retainer. Therefore, it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removed by vibration or shock of any vehicle.

상기 리테이너는 후크걸림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성이 증가되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볼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벽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전진 장착될 때 및 상기 공간 내에서 회동하기 쉽게 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더 가지게 됨으로써 차체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이 램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tainer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by hooking.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ssembly work is easy to increase the assembly work. Furthermor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a wall defin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ll of the retainer, giving flexibility to the retainer so that it is easy to rotate when the ball is forward mounted and within the space. Accordingly, the vibration and shock generated by the vehicl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amp by further having a function of absorbing vibration.

또한, 상기 수직조절수단에는 상하로 굽혀지는 관절부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직조절수단에 걸리는 하중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기 관절부에서 그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관절부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 joint portion bent up and down. Accordingly, even when there is a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the load can be absorbed by the joint portion. Furthermore, the joint part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it further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조립체(200)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헤드램프 조립체(200)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2)과 전방의 투명 커버(3)에 의해 한정되는 램프 공간을 가지는데, 이 공간 내에 및 적어도 하나의 램프 조립체가 탑재되는 벤딩 브라켓(1')이 포함된다. 이 벤딩 브라켓(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램프의 레벨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헤드램프 조립체 및 벤딩 브라켓을 거론하지만, 본 발명이 이런 부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당업자라면 잘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헤드램프 조립체(200)의 조명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도 2의 상단/하단을 상단 및 하단이라고 지칭한다.2 and 3 schematically show th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headlamp assembly 200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eadlamp assembly 200 has a lamp space defined by a housing 2 mounted on a vehicle and a transparent cover 3 in front of it, in which a bending bracket 1 'is mounted and at least one lamp assembly is mounted. ) Is includ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ending bracket 1 ', the level of the lamp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headlamp assembly and the bending bracket are discussed below,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component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headlamp assembly 200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top / bottom of Figure 2 is referred to as the top and botto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는 상기 벤딩 브라켓(1')의 세 위치에서 상기 벤딩 브라켓과 하우징(2)을 연결하는 세 개의 구성부품을 포함한다. 이 구성부품은, 상기 벤딩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을 제 1 위치에서 연결하는 피봇수단(60)과 제 2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평조절수단(50) 및 제 3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직조절수단(40)이다. 이 세 구성부품에 있어 새로운 점은, 벤딩 브라켓과 연결되는 볼 조인트 결합 부분에 있어 진동에 강하며 조립성이 증가된 새로운 구조를 채용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하우징과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 볼트 수단을 채용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벤딩 브라켓에 걸리는 램프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하중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상단의 두 구성부품에만 걸리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는 특징도 가진다.The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components for connecting the bending bracket and the housing 2 at three positions of the bending bracket 1 '. This component is a pivot means 60 connecting the bending bracket and the housing in a first position, a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 connecting in a second position and a vertical adjusting means 40 connecting in a third position. . What's new in these three components is the new structure, which is resistant to vibrations and increases in assembly, in the ball joint joint to the bending bracket. Furthermore,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bolt means are employed in the portion to be combined with the housing. In addition, it has a feature that a structure is adopted so that most of the load, preferably all of them, are applied only to the two components at the top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lamps applied to the bending bracke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에 있어서, 피봇수단(60) 및 수평조절수단(50)은 벤딩 브라켓(1')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이 두 위치의 중간은 상기 벤딩 브라켓에 걸리는 무게중심이 수직으로 연장된 선과 수직으로 만난다. 그리고 피봇수단(60) 및 수평조절수단(50)은 볼트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2)에 연결되고, 볼 조인트수단에 의해 벤딩 브라켓(1')에 연결된다.In the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means 60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5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nding bracket 1 ', the middle of these two positions is the bend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racket meets the vertically extending line. The pivot means 60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5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2 by bolt fixing means, and to the bending bracket 1 'by ball joint means.

더 구체적으로, 피봇수단(60) 및 수평조절수단(50)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한다. 즉, 일단에서 볼 조인트 결합구조를 위한 대체로 둥근 형태의 볼(62, 52)이 형성된다. 이 볼(62, 52)은 벤딩 브라켓(1')의 상단측 홀더(34, 35)에 고정되는 리테이터(61, 5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볼(62, 52)에서 연장된 바디(64, 54)는 형태가 변형된 바디부분(65, 55)을 더 가지는데, 이 변형된 바디부분(65, 55)에는 너트 구멍이 형성되며, 하우징(2)에 고정 형성된 홀더(39, 3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홀더(39, 37)에 삽입된 바디는 볼트(67, 57) 및 와셔(68, 67)에 의해 하우징(2)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볼트 고정수단(67, 68; 57, 58)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 하우징(2)에 일체로 또는 단단하게 조립 고정되어 형성된 홀더(39, 37)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벤딩 브라켓(1')에 걸리는 램프 조립체의 하중이 모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수평조절을 하는 경우에도 볼트를 회전시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거리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More specifically, the pivot means 60 and the leveling means 50 have a generally similar structure. That is, at one end, generally round balls 62 and 52 are formed for the ball joint coupling structure. The balls 62 and 52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tainers 61 and 51 fixed to the upper holders 34 and 35 of the bending bracket 1 '. The bodies 64, 54 extending from the balls 62, 52 further have deformed body parts 65, 55, which are formed with nut holes, housings 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ders 39 and 37 which are fixed to (2). The body inserted into the holder 39, 37 is firmly fixed to the housing 2 by bolts 67, 57 and washers 68, 67. Thus, the part fixed by the bolt fixing means 67, 68; 57, 58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ders 39 and 37 formed integrally or rigidly and fixedly fixed to the housing 2, whereby the bending bracket 1 ' All of the load of the lamp assembly may be supported. In addition, even when manually adjusting the horizontal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at any time by rotating the bolt forward or backward.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37, 38)에 피봇수단 및 수평조절수단의 바디(55, 65)가 삽입된 형태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피봇수단의 경우, 홀더에 삽입된 바디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둥근 외주를 가진 바디에 형성된 키(652)와 이에 대응하는 원통형 보링을 가지는 홀더(39)의 키홈이 맞물림으로써 바디(65)가 홀더(39)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수평조절수단의 경우에는, 사각 단면의 홀더(37) 및 이에 대응하는 바디(55)를 사용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수평조절수단(50)은 좌우로 어느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격이 존재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바디(55)의 일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조절수단의 일단에 결합하여 있는 벤딩 브라켓이 움직일 때, 바디(55)가 홀더(37) 내에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홀더(37, 39)와 하우징(2) 사이에는 하중을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리브(372, 392)가 형성됨으로써 하단 측에 전달되는 하중이 최소화되거나 아예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form in which the bodies 55 and 65 of the pivoting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are inserted into the holders 37 and 38 formed in the housing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In the case of the pivoting means, the body inserted into the holder is preferably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key 652 formed in a body having a round outer circumference and a key groove of a holder 39 having a cylindrical boring corresponding thereto are engaged so that the body 65 does not move in the holder 39.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there is shown a configuration using a holder 37 and a corresponding body 55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50 preferably has a form in which the play is present to allow a certain amount of movement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open spa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55 so that the body 55 can be flexibly moved in the holder 37 when the bending bracket coupl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is moved. Consists of. Furthermore, ribs 372 and 392 are formed between the holders 37 and 39 and the housing 2 to help support the load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is minimized or not caught at all.

도 5를 참조하면, 볼 조인트 수단은, 피봇수단(60){수평조절수단(50)도 유사한 구조이다}의 일단에 형성된 구체의 볼(62)이 하우징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 리테이너(61)에 전진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볼(62)은 일단 리테이너(61) 내부로 삽입되면 전진이나 후진이 불가능하지만, 일정한 범위에서 회동가능하다. 이때, 볼(62)의 전면에는 리테이너(61)와 후크결합함으로써, 볼(62)이 후진하지 못하게 더 결합하는 후크(62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어떠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all joint means includes a retainer 61 in which a ball 62 of a sphere formed at one end of the pivoting means 60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 has a similar structure)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Can be formed by forward insertion. Once the ball 62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61, it is impossi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but can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At this time, by hooking the retainer 6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ll 62, a hook 622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ball 62 is further prevented from going backward. Therefore, it can be fixed so as not to remove the vibration or shock of any vehicle.

더 나아가, 리테이너(61)도 후크걸림에 의해 하우징(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후크수단(616)이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조립성이 증가되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1)가 볼(62)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벽(612)에 다수의 홈(618)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전진 장착될 때 및 상기 공간 내에서 회동하기 쉽게 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리테이너(61)는 중심의 베이스(614)를 기준으로 일측에 후크(616)가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의 홈(618)을 가지고 볼을 수용하는 공간을 만드는 벽(612)이 형성된 구조를 한다. 이에 따라, 차체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하우징을 통해 리테이너(61)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리테이너(61)의 유연성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진동에 강한 램프 조립체가 가능하게 한다.Furthermore, the retainer 61 can also be coupled to the housing 2 by hooking. Hook means 616 is further provided for this purpos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ssembly work is easy to increase the assembly work. Furthermor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grooves 618 are formed in the wall 612 that defines the space in which the retainer 61 accommodates the balls 62 so that the balls are mounted forward and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gives flexibility to the retainer to facilitate rotation in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retainer 61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ok 6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er base 614 and a wall 612 is formed to have a space for receiving balls with a plurality of grooves 618 at the other side. Do Accordingly, the impact force generated in the vehicle body and transmitted to the retainer 61 through the housing can be absorbed by the flexibility of the retainer 61, resulting in a lamp assembly resistant to vibra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벤딩 브라켓(1')의 하단측에 수직조절수단(40)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 수직조절수단(40)은 일단에서 벤딩 브라켓(1')에 고정 연결되며, 타단에서는 하우징(2)에 상대적으로 액추에이터(46)에 의해 벤딩 브라켓(1')을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이동하는 바디(42,44)를 구비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it is shown that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40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bending bracket 1 ′.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4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1 'at one end and moved to move the bending bracket 1' forward and backward by the actuator 46 relative to the housing 2 at the other end. Body 42, 4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수직조절수단(40)의 바디에는 관절부가 형성된다. 이 관절부는 상하로 굽혀지는 관절부가 더 구비되며, 바디의 연장 방향 즉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의 힘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으며, 위에서 밑으로 또는 밑에서 위로 향하는 힘에만 응답하여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수직조절수단에 걸리는 하중이 미약하게나마 존재하는 경우라도, 그 하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이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에 작용하기 전에, 상기 관절부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40 is formed with a joint. The joint pa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joint part that is bent up and down, and does not respond to the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that i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in response only to the for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bottom to top. Accordingly, even if a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is present in a slight state, the downward force by the load can be absorbed by the joint before acting on the motor or the actuator.

더 나아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절부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품(442, 42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립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추가로 갖는다. 즉, 수직조절수단(40)의 바디는 액추에이터(46)에서 연장되어 나온 제 1 부재(44)와 벤딩 브라켓(1')에 연결되는 일단(422)을 구비하는 제 2 부재(42)를 포함한다. 두 부재(44, 4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삽입 고리(442) 및 삽입 홈(424)이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7의 두 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여 도 8의 중간 결합 상태로 되고, 다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9의 최종 결합 상태로 되는 과정이 보여진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7-9, the joint is preferably composed of two parts 442 and 424 that are detachably coupled. In this case, it further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That is, the body of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40 includes a first member 44 extending from the actuator 46 and a second member 42 having one end 422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1 '. do. Insertion rings 442 and insertion grooves 424 may be correspondingly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two members 44 and 42 are connec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wo members of FIG. 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intermediate engagement state of FIG. 8 is rotated, and the process of turning to the final engagement state of FIG. 9 is shown.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2) 및 볼트(57, 67)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이 모두 조립된 상태의 헤드램프 조립체가 후방에서 보는 사시도로서 보여진다. 도 11에는 도 10에 볼트(57, 67)가 하우징(2) 없이 장착된 모습을 역시 후방에서 보여준다. 도 12에는 도 10의 조립체가 하우징(2)에 장착된 모습을 이번에는 전방의 투명 렌즈 커버(3)가 없는 상태로 전방에서부터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10, the headlamp assembly is shown a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with all the parts except the housing 2 and the bolts 57 and 67 assembled. FIG. 11 also shows the bolts 57, 67 mounted in FIG. 10 without the housing 2 from the rear. FIG. 12 shows the assembly of FIG. 10 mounted on the housing 2 from the front with no front transparent lens cover 3 this time.

이상과 같은 구조를 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는 진동 및 충격에 강할 뿐만 아니라 하중의 분포를 적절히 조절하여 레벨 조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양호한 장치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level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only resistant to vibration and shock, but also provides a good device capable of smoothly adjusting the load by adjusting the distribution of loads.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을 변형하고 수정하며 조합한 다른 실시예들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conceive of other embodiments that modify, modify, and combine the various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에 따르면, 상단의 피봇수단과 수평조절수단이 모든 하중을 지지하게 됨으로서, 하단의 수직조절장치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볼 조인트 수단의 결합상태가 강하여 어떠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진동을 완충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 차체 떨림에 따른 램프의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등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직조절장치에 걸리는 하중이 최소화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고 램의 레벨 조절시 오작동 등이 방지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at the top to support all the load, thereby preventing the load on the vertical adjustment device at the bottom do. In addition, the strong coupling state of the ball joint means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removed by any vibration or shock as well as buffer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vibration of the lamp caused by the vehicle body vibration. 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retainer and the like is easy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Furthermore, 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vertical adjustment device, the size of the actuator can be reduced and a significant effect is prevented when the ram level is adjust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evel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evel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피봇수단 및 수평조절수단의 구조를 위에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of the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피봇수단 또는 수평조절수단의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를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holder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pivot means or leveling means of the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피봇수단 또는 수평조절수단의 볼 조인트 부분을 더 자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ball joint portion of the pivot means or leveling means of the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볼 조인트 부분에서 리테이너의 구조를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the retainer in the ball joint portion of Figure 4;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수직조절장치의 구조 및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7 to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vertical adjustment device of the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구조를 가진 헤드램프 조립체를 뒤에서 보여주는 사시도.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from behind showing a headlam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of a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조절 장치의 구조를 가진 헤드램프 조립체를 앞에서 보여주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front of a headlam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of a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벤딩 브라켓 34,35,36 : 브라켓부 홀더1 ??: Bending bracket 34,35,36: Bracket holder

37, 38, 39 : 하우징부 홀더 40 : 수직조절수단37, 38, 39: housing portion holder 40: vertical adjustment means

42,44 : 연결부재 46 : 액추에이터42,44: connection member 46: actuator

50 : 수평조절수단 60 : 피봇수단50: horizontal adjustment means 60: pivot means

51,61 : 리테이너 52, 62 : 볼51,61: Retainer 52, 62: Ball

54, 55, 64, 65 : 바디 57, 67 : 볼트54, 55, 64, 65: body 57, 67: bolt

Claims (7)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2) 및 적어도 하나의 램프 조립체(80)가 탑재되는 벤딩 브라켓(1')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을 제 1 위치에서 연결하는 피봇수단(60)과 제 2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평조절수단(50) 및 제 3 위치에서 연결하는 수직조절수단(40)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 조립체의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Pivoting means (60) and a bending bracket (1 ') on which the housing (2) mounted on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lamp assembly (80) is mounted, and connecting the bending bracket and the housing in a first position; In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lamp assembly having a horizontal adjusting means 50 connecting in two positions and a vertical adjusting means 40 connecting in a third position: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는 상기 벤딩 브라켓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이 두 위치의 중간은 상기 벤딩 브라켓에 걸리는 무게중심이 수직으로 연장된 선과 수직으로 만나며,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볼트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볼 조인트수단에 의해 상기 벤딩 브라켓에 연결되며;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nding bracket, and the middle of these two positions meets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ly extending lin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ending bracket, wherein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are bolts. Connected to the housing by fastening means and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by ball joint means;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벤딩 브라켓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벤딩 브라켓에 고정 연결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벤딩 브라켓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The third posi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side of the bending bracket,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ending bracket, configured to move the bending bracket back and forth by an actuato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The level control apparatus of the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볼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더(37, 39)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2. The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ivot means and said horizontal adjustment means ar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holders (37, 39) formed in said housing, one end being fixed by said bolt fix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수단은, 상기 피봇수단 및 상기 수평조절수단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구체의 볼(52, 62)이 상기 하우징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 리테이너(51, 61)에 각각 전진 삽입됨으로써 상기 볼이 상기 리테이너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볼이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후진하지 못하게 더 결합하는 후크 수단이 더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3. The ball joint mean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all joint means is provided with retainers (51, 61) in which balls (52, 62) of the spheres respectively formed at one end of the pivot means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means are mou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Each of the ball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tainer by being forwardly inserted, wherein hook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prevent the ball from retracting from the retai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후크걸림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retainer is coupled to the housing by hook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볼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벽에 다수의 홈(618)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전진 장착될 때 및 상기 공간 내에서 회동하기 쉽게 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5. The retainer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618 are formed in a wall defin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ll of the retainer, so that the retainer is flexible to facilitate rotation when the ball is forward mounted and within the space. To give, the level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lamp.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절수단에는 상하로 굽혀지는 관절부가 더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The device for adjusting the level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further includes a joint portion bent vertical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차량 헤드램프의 레벨 조절 장치.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articulation portion consists of two parts detachably coupled.
KR10-2003-0061455A 2003-09-03 2003-09-03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KR100516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455A KR100516823B1 (en) 2003-09-03 2003-09-03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455A KR100516823B1 (en) 2003-09-03 2003-09-03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893A true KR20050023893A (en) 2005-03-10
KR100516823B1 KR100516823B1 (en) 2005-09-26

Family

ID=3723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455A KR100516823B1 (en) 2003-09-03 2003-09-03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8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2012A1 (en) * 2019-03-18 2020-09-23 HELLA Saturnus Slovenija d.o.o. Articulated element between the light source carrier frame and the leveling motor in a headlight of a mot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44B1 (en) 2022-04-08 2022-11-25 손성근 Aiming device for automotive lamp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2012A1 (en) * 2019-03-18 2020-09-23 HELLA Saturnus Slovenija d.o.o. Articulated element between the light source carrier frame and the leveling motor in a headlight of a motor vehicle
CN111706824A (en) * 2019-03-18 2020-09-25 黑拉萨图尔努丝斯洛文尼亚有限责任公司 Hinge element between a light source carrier frame and a levelling motor in a vehicle headlamp
US11312291B2 (en) 2019-03-18 2022-04-26 Hella Saturnus Slovenija d.o.o. Articulated element between the light source carrier frame and the leveling motor in a headlight of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823B1 (en) 200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8896A (en) Aiming mechanism for vehicular headlamp
US6234655B1 (en) Automobile headlamp having light distribution switching mechanism
EP0605172B1 (en) Adjusting and support apparatus for a lamp unit
US20090154190A1 (en) Apparatus for aiming led headlamp
GB2414788A (en) Headlamp with tilting light source units
EP2100767A1 (en) Vehicle headlamp
JP2663310B2 (en) Automotive headlights
GB2035533A (en) Mounting for a trafficator and a headlamp
US5707134A (en) Vehicular lamp
JP2750645B2 (en) Aiming adjustment device for automotive headlights
KR100516823B1 (en) Apparatus for level adjusting of vehicle lamp
US6910789B2 (en) Reflector-movable headlamp
CN1130514C (en) Lamps for vehicle
US5453902A (en) Headlamp having improved mounting of inner lens
US5060127A (en) Motor vehicle headlamp
US5762415A (en) Lamp assembly
CN113154332A (en) Lamp dimming mechanism and vehicle lamp assembly
JP2000195326A (en) Headlight of movable unit type for automobile
JP2011238408A (en) Headlight for vehicle
CN214369903U (en) Lamp dimming mechanism and vehicle lamp assembly
CN212172065U (en) Cab of excavator
JP2829486B2 (en) Headlights for vehicles
WO2024004540A1 (en) Road surface depicting device for vehicle
US6969184B2 (en) Adjustable headlight
JPS5832164Y2 (en) Headlight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