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985A -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985A
KR20050022985A KR1020030059983A KR20030059983A KR20050022985A KR 20050022985 A KR20050022985 A KR 20050022985A KR 1020030059983 A KR1020030059983 A KR 1020030059983A KR 20030059983 A KR20030059983 A KR 20030059983A KR 20050022985 A KR20050022985 A KR 20050022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disk
disk drive
hard
bas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연
박세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985A/ko
Publication of KR2005002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7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8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disk drives,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06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21)과 커버(24)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커버(24)로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22)을 구비하며,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20)과; 상기 내부공간(22)에 측면이 중력방향 상하로 세워지게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22)이 개구되는 방향으로 외부와의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31,33)가 노출되는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는 상기 내부공간(22)이 개구된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변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장착과 탈착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Hard disk driv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전자제품 내에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서는 대용량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예를 들면 컴퓨터나 디지털비디오레코더(DVR:Digital video recoder} 등이 있다.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전자제품내에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디지털비디오레코더의 경우에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개략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제품인 디지털비디오레코더(1)의 외관을 캐비넷(3)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3)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넷(3)의 내부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5)가 다수개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가 여러층으로 구비된다. 대략 캐비넷(3)의 선단 중앙에 4개가 적층되고, 그 좌측에 2개가 기본으로 적층되고, 필요에 따라 2개가 더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의 후면에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1)의 다른 부품과의 신호연결을 위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들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예를 들면 전원의 연결을 위한 것과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 있다.
상기 캐비넷(3)의 외관 양측면에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1)가 설치되는 곳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레일(7)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의 전면 양단에는 손잡이(8)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8)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1)가 설치되는 곳에 삽입하거나 빼낼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캐비넷(3)의 전면 일측에는 디지털비디오레코더(1)의 조작을 위한 부분을 차폐하는 전면도어(9)가 일측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5)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하부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로 전달되어 상부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가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5)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메인보드 등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5)의 배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5)가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 커넥터가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케이블을 커넥터에 삽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케이블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5)의 후면 근처에 다른 부품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케이블의 연결이나 분리작업은 매우 번거롭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전자제품이 낙하되는 등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충격이 그대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열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된 열이 주변 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커버로 구성되고, 일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버로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내부공간에 측면이 중력방향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방향으로 외부와의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노출되는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된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리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도록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사이로 기류를 형성하는 제1팬유니트가 상기 캐비넷의 전면판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팬유니트의 반대쪽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통과한 공기를 수직으로 세워진 확장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팬유니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키트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설치키트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그 상면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되고 상기 하드디스크의 적어도 일측면을 지지하고 다수개의 통공부가 형성된 직립판을 구비하는 하드베이스와, 상기 하드베이스의 상면 상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센터 및 미들브라켓과,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적어도 2개 이상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하드베이스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드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립판에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칼라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드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직립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긴 띠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하드베이스의 일측에 끼워지는 끼움편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하드베이스에 체결되는 체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편과 체결편을 연결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가 연결한다.
상기 하드케이스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배면과 대응되는 배면연결판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연결판이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면연결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커넥터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결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사이에 해당되는 통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드케이스의 배면연결판과 상기 센터 및 미들브라켓에는 하드케이스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에 의하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열이 인접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 및 분해작업이 편리하게 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제품인 디지털비디오레코더의 외관을 캐비넷(20)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20)은 프레임(21)과 커버(2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22)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22)은 상기 프레임(21)의 상대적으로 넓은 상부쪽이 개구된다. 상기 내부공간(22)이 개구되는 방향은 중력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4)는 상기 프레임(21)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24)의 구성은 예를 들면 상기 캐비넷(20)의 상면만을 형성하도록 되거나, 상면 및 적어도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6은 상기 프레임(21)의 상부 양단을 지지하여 강도를 높여주는 탑빔이다.
상기 프레임(21)의 내부공간(22)에는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설치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는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는 그 외관이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양측면이 상기 내부공간(22)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와 외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1,33)가 상기 내부공간(22)이 개구된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커넥터(31,33)에는 각각 신호의 전달과 전원의 공급을 위한 케이블(35,35')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는 상기 캐비넷(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21f)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21f)을 관통하여서는 제1팬유니트(38)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팬유니트(38)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 사이를 통과하면서 방열작용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팬유니트(38)의 반대쪽에는 제2팬유니트(39)가 구비된다. 상기 제2팬유니트(39)는 상기 제1팬유니트(38)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통과해 온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될 확장보드(80)를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상기 내부공간(22)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21)의 내부공간(22)에는 하드베이스(40)가 설치된다. 상기 하드베이스(40)는 그 바닥판(41)의 일단에 직립판(43)이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직립판(43)은 상기 전면판(21f)과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직립판(43)에는 상기 제1팬유니트(38)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통과하는 통공부(45)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45)는 상기 하드베이스(40)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4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직립판(43)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칼라(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칼라(46)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유동이 방지되게 한다. 상기 하드베이스(40)에는 다수개의 연결부(4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47)에는 각각 상기 프레임(2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47a)이 천공된다.
상기 하드베이스(40)의 바닥판(41)과 직립판(4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판스프링(70)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바닥판(41)과 직립판(43)의 일측에는 각각 삽입슬롯(48)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48)과 대응되게 각각 체결부(48a)가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48)과 체결부(48a)는 각각 하나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대해 바닥판(41)과 직립판(43)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48a)는 판스프링(70)의 일측이 코킹되거나 나사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나사로 체결된다면 상기 체결부(48a)는 나사공으로 된다.
한편, 상기 하드베이스(40)에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체결공(49a,49b)이 형성된다. 체결공(49a)은 상기 바닥판(41)의 일단부를 따라 천공되고, 체결공(49b)은 직립판(43)의 상단에 수평으로 절곡된 부분에 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베이스(40)에는 센터브라켓(50)과 미들브라켓(55)이 구비된다. 상기 센터브라켓(50)은 하드베이스(40)중에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설치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획하는 역할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고정을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브라켓(50)의 상단에는 가이드편(51)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51)은 센터브라켓(50) 상단의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51)을 포함하는 센터브라켓(50)의 상단에는 체결공(51a)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센터브라켓(50)의 하단에는 체결플랜지(5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52)는 상기 센터브라켓(50)의 하단을 따라 상기 하드베이스(40)의 바닥판(41)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랜지(52)는 상기 바닥판(41)에 리벳팅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센터브라켓(50)의 일측에는 연결편(5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53)은 상기 하드베이스(40)와 체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연결편(53)에는 체결공(53a)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브라켓(50)을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통공부(54)가 천공된다.
상기 미들브라켓(55)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사이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그 상단을 따라서 가이드편(56)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56)을 포함하는 미들브라켓(55)의 상단에는 상기 센터브라켓(50)과 유사하게 체결공(56a)이 천공된다.
상기 미들브라켓(55)의 일단부를 따라서 상하로 길게 체결플랜지(5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57)는 상기 직립판(43)과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플랜지(57)와 직립판(43)의 체결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미들브라켓(55)에는 다수개의 통공부(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브라켓(55)의 하단부에는 체결편(5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59)은 상기 바닥판(41)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편(59)과 바닥판(41)의 체결 역시, 나사 또는 리벳팅, 코킹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장착되는 하드케이스(60)가 구비된다. 상기 하드케이스(6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2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연결하고 이를 상기 하드베이스(40)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드케이스(60)는 배면연결판(61)과 측면연결판(65)이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일측면과 배면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배면연결판(61)에는 상기 직립판(43)에 형성된 체결공(49b)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61a)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연결판(61)에는 또한 개구부(62)가 2개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62)는 하드케이스(60)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커넥터(31,33)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면연결판(61)에는 상기 센터브라켓(50)이나 미들브라켓(55)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편(51,56)과 협력하여 그 하드케이스(6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편(63)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편(63)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편(51,56)과 협력하여 그 설치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측면연결판(65)에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65a)이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65a)을 통해 나사가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체결됨에 의해 하드케이스(60)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연결판(65)의 선단부에는 체결편(6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66)은 상기 하드베이스(40)의 바닥판(4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41)의 체결공(49a)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66a)이 천공된다.
상기 측면연결판(65)에는 통공부(67)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67)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직립판(43)의 통공부(4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판스프링(70)이 상기 하드베이스(40)의 바닥판(41)과 직립판(43)에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70)은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 하나당 2개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대한 상기 하드베이스(40)의 바닥판(41)과 직립판(43)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70)은 대략 아치형인 탄성부(71)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71)의 양단에 각각 끼움편(73)과 체결편(75)이 구비된다. 상기 끼움편(73)과 체결편(75)은 각각 장방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체결편(75)에는 체결공(75a)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편(73)은 상기 하드베이스(40)의 삽입슬롯(48)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편(75)은 리벳팅이나 코킹 또는 나사로 체결된다. 예를 들어 나사로 상기 체결편(75)이 하드베이스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나사는 상기 체결편(75)에 구비된 체결공(75a)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71)는 아치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드베이스(40)의 표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진다. 특히 상기 탄성부(71)의 중앙부가 하드베이스(40)표면과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가진다.
한편, 상기 프레임(21)의 내부공간(22)에는 다수개의 확장슬롯(80)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슬롯(80)에는 확장카드(82)가 설치된다. 상기 확장카드(8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팬유니트(38)를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2팬유니트(39)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상기 확장카드(8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방열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베이스(40)는 상기 센터브라켓(50)과 미들브라켓(55)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21)에 장착된다. 상기 하드베이스(40)는 상기 연결부(47)가 각각 상기 프레임(21)에 체결됨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기 하드케이스(60)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드케이스(60)의 측면연결판(65)에 형성된 체결공(65a)을 통해 나사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에 하드케이스(60)가 체결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면연결판(61)의 개구부(62)를 통해서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커넥터(31,33)가 노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하드케이스(60)에 두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와 하드케이스(60)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브라켓(50)과 미들브라켓(55) 또는 미들브라켓(55)의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22)의 상부에서부터 내부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케이스(60)의 체결공(61a)(66a)을 관통해 나사를 상기 하드베이스(4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상기 하드케이스(60)를 통해 상기 하드베이스(4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칼라(46)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위치를 안내하여 유동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상기 직립판(43)의 통공부(45)와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사이 그리고, 상기 하드케이스(60)의 측면연결판(65)에 형성된 통공부(67)가 서로 정확하게 연통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드케이스(60)에 구비되는 가이드편(63)과 센터브라켓(50)이나 미들브라켓(55)에 형성되는 가이드편(51,56)이 서로 가이드되고 체결됨에 의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상기 하드베이스(40)에 안착될 때,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직립판(43)에 직접 닿지 않고 상기 판스프링(70)에 안착된다. 상기 판스프링(70)은 그 탄성부(71)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하드베이스(40)에 가해진 충격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하드베이스(40)에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커넥터(31,33)에 케이블(35,35')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31,33)가 상기 내부공간(22)이 개구되어 있는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케이블(35,35')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가 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에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방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즉, 디지털비디오레코더가 동작되면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와 확장카드(82) 등에서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지털비디오레코더의 동작시에는 상기 제1팬유니트(38)와 제2팬유니트(39)를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한다. 상기 제1팬유니트(38)의 구동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전면판(21f)을 통과하여 내부공간(22)에 세워져 설치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사이로 전달된다.
즉, 상기 직립판(43)의 통공부(45)를 통해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의 사이로 전달되고, 상기 하드케이스(60)의 측면연결판(65)에 형성된 통공부(67)를 통해 하드디스크드라이브(30)사이를 빠져나온다.
상기 측면연결판(65)의 통공부(67)를 통해 빠져나온 공기는 다시 상기 제2팬유니트(39)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확장카드(82)의 방열을 수행한다. 즉,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팬유니트(39)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상기 확장카드(8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을 받아 배출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그 양측면이 중력방향 상하로 위치되게 세워져 설치되므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열이 인접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열과 관련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 외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전자제품의 내부공간의 개구된 쪽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와 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드베이스에 판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설치하므로 외부의 충격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어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팬유니트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틈을 가지도록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설치하고 이에 인접하여 확장카드를 기류의 방향으로 놓여지게 설치하므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발생한 열이 주변 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드베이스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브라켓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미들브라켓의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드케이스의 사시도.
도 5e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캐비넷 21: 프레임
22: 내부공간 24: 커버
26: 탑빔 30: 하드디스크드라이브
31: 연결커넥터 33: 전원커넥터
38: 제1팬유니트 39: 제2팬유니트
40: 하드베이스 41: 바닥판
43: 직립판 45: 통공부
50: 센터브라켓 55: 미들브라켓
60: 하드케이스 61: 배면연결판
62: 개구부 65: 측면연결판
67: 통공부 70: 판스프링
71: 탄성부 73: 끼움편
75: 체결편 80: 슬롯
82: 확장카드

Claims (9)

  1. 프레임과 커버로 구성되고, 일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버로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내부공간에 측면이 중력방향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되는 방향으로 외부와의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노출되는 다수개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내부공간이 개구된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도록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사이로 기류를 형성하는 제1팬유니트가 상기 캐비넷의 전면판을 관통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팬유니트의 반대쪽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통과한 공기를 수직으로 세워진 확장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팬유니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키트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설치키트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그 상면에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안착되고 상기 하드디스크의 적어도 일측면을 지지하고 다수개의 통공부가 형성된 직립판을 구비하는 하드베이스와,
    상기 하드베이스의 상면 상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센터 및 미들브라켓과,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적어도 2개 이상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하드베이스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드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에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칼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설치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직립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긴 띠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하드베이스의 일측에 끼워지는 끼움편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하드베이스에 체결되는 체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편과 체결편을 연결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가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는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배면과 대응되는 배면연결판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연결판이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면연결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커넥터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결판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사이에 해당되는 통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의 배면연결판과 상기 센터 및 미들브라켓에는 하드케이스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KR1020030059983A 2003-08-28 2003-08-28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KR20050022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83A KR20050022985A (ko) 2003-08-28 2003-08-28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83A KR20050022985A (ko) 2003-08-28 2003-08-28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85A true KR20050022985A (ko) 2005-03-09

Family

ID=3723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983A KR20050022985A (ko) 2003-08-28 2003-08-28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291A (en) Data storage mounting assembly
US7031150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5680295A (en) Ventilated backplane for mounting disk drives in computer systems
US5912799A (en) Multiple disk drive storage enclosure with ventilation
US5119270A (en) Data storage system with device dependent flow of cooling air
US7944700B2 (en) Case of server
EP0896697B1 (en) Personal computer enclosure with peripheral device mounting system
US7256995B2 (en) Electronics module
US5774330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operational components of a personal computer
US6304443B1 (en) Power supply equipped with extractable fan deck
US7724514B2 (en) Server chassis with access flap
US6424526B1 (en) High-density disk-array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01019A1 (en) Fan module
US20090168328A1 (en) Server chassis with access flap
JP2002280778A (ja) 情報処理装置
US6297952B1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a drive bracket
US6704205B1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6222725B1 (en) Apparatus for mounting parts and personal computer equipped with the same
US6094351A (en) Universal enclosure for different type mother boards
US4985803A (en) Housing for a multi-board electronic module for a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US20040223748A1 (en) Hard disc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20050022985A (ko) 전자제품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설치구조
US6920042B2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peripheral device module
CN215729605U (zh) 服务器机箱
JPH0220099A (ja) 電子装置用架の電子回路ユニット塔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