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929A -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929A
KR20050022929A KR1020030059548A KR20030059548A KR20050022929A KR 20050022929 A KR20050022929 A KR 20050022929A KR 1020030059548 A KR1020030059548 A KR 1020030059548A KR 20030059548 A KR20030059548 A KR 20030059548A KR 20050022929 A KR20050022929 A KR 2005002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transponder
vehicle
mobile phone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388B1 (ko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3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마스터키를 분실한 경우에 보조키와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차량성능향상과 함께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은, 트랜스폰더가 구비된 핸드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의 서버에 접속하는 제1단계; 서버에서 고객인증확인후 비밀번호의 등록 또는 삭제요청을 확인하는 제2단계; 비밀번호 삭제요청이면 핸드폰으로 삭제명령을 송신하고 핸드폰에서는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제3단계; 비밀번호 등록요청이면 차대번호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 핸드폰에서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트랜스폰더에 비밀번호를 기록하는 제5단계; 차량인증요구가 있으면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차량의 제어유닛에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엔진시동가능 또는 엔진시동불가 신호를 엔진ECU에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Method for igniting the engine of vehicle using transponder embeded in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마스터키를 분실한 경우에 보조키와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차량성능향상과 함께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모빌라이저용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키(이하 "마스터키"라 통칭함)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마스터키(2)와 상기 마스터키(2)와의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인증 및 시동허용 메시지를 엔진 EMS(미도시됨)에 출력하는 제어유닛(9)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키(2)는 휴대가능하게 구성되며, 제어유닛(9)은 코일안테나(1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코일안테나(10)는 키홀(6)이 구비된 키실린더(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키(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진 트랜스폰더(4)를 내장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트랜스폰더(4)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ASIC 칩모듈(42)과, 콘덴서(44)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코일안테나(46)를 포함한다.
트랜스폰더(4)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제어유닛(9)과 연결된 코일안테나(10)로부터 특정주파수대역의 무선신호가 코일안테나(46)를 통하여 입력되면, 트랜스폰더(4)는 입력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획득하고 칩모듈(4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인증을 위한 비밀번호와 같은 특정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된 특정데이터는 무선신호를 전송한 코일안테나(10)에 의하여 수신된다.
코일안테나(1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제어유닛(9)에 의하여 판독된 후에 내장된 특정데이터와 비교되며, 제어유닛(9)은 입력된 데이터가 동일한 값을 가지면 사용자인증을 승인하고 엔진 EMS로 정상시동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마스터키(2)를 키홀(6)에 삽입한 후에 시동을 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마스터키(2)를 휴대하다가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마스터키(2)를 분실하면 차량을 전혀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비상용으로 트랜스폰더(4)가 내장되지 않은 보조키(3)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상 림폼(Limp Home)으로 불리우는 보조키를 이용한 차량시동기능은 운전자가 기억하는 비밀번호 4자리숫자를 이용하여 시동을 하는 것이다. 즉, 보조키를 이용하여 림폼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그니션 온/오프함으로서 시동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림폼기능은 정확하게 실행하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동을 걸 때마다 림폼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림폼기능을 위한 비밀번호를 분실하거나 잃어버리는 경우에는 림폼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하여 차량견인이 불가피하고, 비밀번호 누출시에는 차량의 분실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마스터키를 분실한 경우에 보조키와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차량성능향상과 함께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은, 트랜스폰더가 구비된 핸드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의 서버에 접속하는 제1단계; 서버에서 고객인증확인후 비밀번호의 등록 또는 삭제요청을 확인하는 제2단계; 비밀번호 삭제요청이면 핸드폰으로 삭제명령을 송신하고 핸드폰에서는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제3단계; 비밀번호 등록요청이면 차대번호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 핸드폰에서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트랜스폰더에 비밀번호를 기록하는 제5단계; 차량인증요구가 있으면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차량의 제어유닛에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엔진시동가능 또는 엔진시동불가 신호를 엔진ECU에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 이모빌라이저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마스터키를 분실한 경우에 보조키를 이용한 림폼(limp home)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핸드폰과 보조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을 참고하면, 트랜스폰더(4)를 내장한 핸드폰(20)과, 트랜스폰더가 내장되지 않은 종래 보조키(3)와, 통신모듈(32), 인증모듈(34), 제어모듈(36) 및 비밀번호, 차대번호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밀번호DB(38)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의 차량에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핸드폰(20)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센터의 서버(30)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상기 서버(30)는 이동통신사(4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20)은 사용자인증을 위하여 종래 마스터키(2)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어지며, 이 때 보조키(3)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된다. 한편, 종래 키실린더(8)에 설치되는 코일안테나(10)와 제어유닛(9)에는 어떠한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핸드폰(20)에 설치된 트랜스폰더(4)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랜스폰더(4)는 핸드폰의 PCB 또는 폴더 커버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트랜스폰더(4)의 칩모듈(42)은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암호화된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소자(암호화키 메모리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호화키(encryption key) 메모리의 내용을 변경시키지 못하도록 로킹(locking)을 걸지 않고, 칩모듈(42)에서 비밀번호를 기록/삭제하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차량의 매매에 따라서 차량의 비밀번호가 변경되는 경우에 새롭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를 핸드폰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콘덴서(44)와 코일안테나(46)의 작동상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20)은, 통상의 핸드폰에 수신회로(2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서비스센터 서버(30)로부터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비밀번호를 수신회로(22)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안테나(24)를 이용하여 무선방식으로 전송한다. 이 때 수신회로(22)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소정주파수를 출력함으로서 트랜스폰더(4)에서 필요로 하는 작동에너지와 비밀번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유닛(9)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다만 핸드폰(20)의 수신회로(22)는 서비스센터 서버(30)로부터 비밀번호를 전송받아서 트랜스폰더(4)로 전송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수신회로(22)를 통하여 전송된 비밀번호는 칩모듈(32)의 암호화키 메모리소자에 저장된다. 이 때 비밀번호를 암호화시켜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핸드폰(20)의 트랜스폰더(4)에 비밀번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차량의 제어유닛(9)으로부터 트랜스폰더(4)에 무선주파수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스폰더(4)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코일안테나(46)를 통하여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폰(20)에 트랜스폰더(4)가 장착되고, 트랜스폰더(4)의 칩모듈(42)에 내장된 암호화키 메모리소자는 블랭킹(blanking) 상태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마스터키(2)를 분실하고 트랜스폰더(4)가 내장되지 않은 보조키(3)를 이용하여 시동을 걸기 위하여 운전자는 핸드폰(20)으로 서비스센터에 접속한다.
서비스센터에서는 핸드폰(20)으로부터 접속요구가 접수되면 고객인증확인 작업을 수행한다. 고객인증확인 작업은 운전자 또는 고객에게 소정의 정보를 서버(30)에 미리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후에 비밀번호의 전송요청 또는 삭제요청이 접수되면 입력된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고객인증을 수행한다.
고객인증을 위하여 입력된 정보는 미리 운전자 또는 고객에 의하여 제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차대번호, 핸드폰 번호 또는 비밀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서비스센터 서버(30)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통신사와의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32)과,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모듈(34)과, 차대번호 및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38)등을 포함한다.
서비스센터 서버(30)는 고객인증확인후 차량비밀번호의 등록 또는 삭제요청을 확인한다. 등록 또는 삭제요청은 고객이 핸드폰(20)을 통하여 입력시키는 것으로서, 핸드폰(20)의 통화중에 특정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이것은 ARS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 또는 고객에 의하여 비밀번호 삭제요청이 입력되면 서버(30)에서는 핸드폰(20)으로 삭제명령을 송신한다. 핸드폰(20)의 수신회로(22)에서는 삭제명령이 전송되면 이것을 확인하고 트랜스폰더(4)의 암호화키 메모리소자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삭제명령에 의하여 트랜스폰더(4)의 비밀번호가 삭제된다. 상기와 같은 삭제명령은 핸드폰(20)의 트랜스폰더(4)에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한편, 비밀번호 등록요청이 접수되면 고객인증시 확인된 차대번호를 확인한 후에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마스터키(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이 비밀번호는 차량의 생산라인에서 기록한 비밀번호로서,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8)에 미리 저장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대번호에 따른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에 서버(30)에서 핸드폰(20)으로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핸드폰(20)의 수신회로(22)에서는 이것을 수신하고 핸드폰에 부착된 트랜스폰더(4)로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트랜스폰더(4)의 칩모듈(42)에서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이것을 암호화하여 암호화키 메모리소자에 저장한다. 이렇게 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된다.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저장되면 전송성공 메시지를 핸드폰(20)의 표시창에 출력하고, 저장이 실패하면 전송실패 메시지를 출력한다. 운전자 또는 고객은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송실패의 경우에는 접속 및 인증을 반복 수행하여 비밀번호를 핸드폰(20)의 트랜스폰더(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고객이 마스터키(2)를 분실하고 보조키(3)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고자 하면, 보조키(3)를 키홀(6)에 삽입한 상태 또는 삽입하기 전에, 핸드폰(20)을 차량의 키실린더(8)에 근접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표시되어 있다. 키실린더(8)에 설치된 코일안테나(10)는 제어유닛(9)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변조신호를 전송받아서 출력하며, 핸드폰(20)에 설치된 트랜스폰더(4)에서는 코일안테나(1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트랜스폰더(4)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코일안테나(46)를 통하여 전송한다.
차량의 제어유닛(9)에서는 키실린더(8)에 장착된 코일안테나(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판독한 후에 판독된 비밀번호가 내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엔진ECU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엔진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엔진ECU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엔진시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고객은 보조키(3)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정상적으로 걸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마스터키를 분실한 경우에 보조키와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차량성능향상과 함께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마스터키와 제어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트랜스폰더의 블럭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핸드폰의 부분 블럭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스터키 4 : 트랜스폰더
6 : 키홀 8 : 키실린더
9 : 제어유닛 10: 코일안테나
20: 핸드폰 22: 수신회로
24: 코일안테나 26: 송수신안테나
30: 서비스센터 서버 32: 통신모듈
34: 인증모듈 36: 제어모듈
38: 비밀번호DB 40: 이동통신사
42: 칩모듈 44: 콘덴서
46: 코일안테나

Claims (4)

  1. 트랜스폰더가 구비된 핸드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의 서버에 접속하는 제1단계; 서버에서 고객인증확인후 비밀번호의 등록 또는 삭제요청을 확인하는 제2단계; 비밀번호 삭제요청이면 핸드폰으로 삭제명령을 송신하고 핸드폰에서는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제3단계; 비밀번호 등록요청이면 차대번호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 핸드폰에서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트랜스폰더에 비밀번호를 기록하는 제5단계; 차량인증요구가 있으면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차량의 제어유닛에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엔진시동가능 또는 엔진시동불가 신호를 엔진ECU에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비밀번호가 마스터키(2)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저장되면 전송성공 메시지를 핸드폰(20)의 표시창에 출력하고, 저장이 실패하면 전송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KR10-2003-0059548A 2003-08-27 2003-08-27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KR10051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48A KR100514388B1 (ko) 2003-08-27 2003-08-27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48A KR100514388B1 (ko) 2003-08-27 2003-08-27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29A true KR20050022929A (ko) 2005-03-09
KR100514388B1 KR100514388B1 (ko) 2005-09-13

Family

ID=3723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548A KR100514388B1 (ko) 2003-08-27 2003-08-27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65B1 (ko) * 2005-11-16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비상시동방법
KR100848424B1 (ko) * 2007-06-11 2008-07-28 장민호 비밀번호를 이용한 배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89442B1 (ko) * 2006-06-19 2009-03-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탑재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R2965434A1 (fr) * 2010-09-28 2012-03-30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appairage d'un telephone mobile avec un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84B1 (ko) 2007-10-11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에스비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상시동 시스템 및 그시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65B1 (ko) * 2005-11-16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비상시동방법
KR100889442B1 (ko) * 2006-06-19 2009-03-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탑재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48424B1 (ko) * 2007-06-11 2008-07-28 장민호 비밀번호를 이용한 배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FR2965434A1 (fr) * 2010-09-28 2012-03-30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appairage d'un telephone mobile avec un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WO2012041885A1 (fr) * 2010-09-28 2012-04-05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appairage d'un telephone mobile avec un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CN103328278A (zh) * 2010-09-28 2013-09-25 法雷奥安全座舱公司 用于将移动电话与机动车辆配对的方法以及锁定/解锁装置
CN103328278B (zh) * 2010-09-28 2016-10-19 法雷奥安全座舱公司 用于将移动电话与机动车辆配对的方法以及锁定/解锁装置
US10187793B2 (en) 2010-09-28 2019-01-22 Valeo Securite Habitacle Method for pairing a mobile telephone with a motor vehicle and locking/unlocking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388B1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1472B (zh) 一种车钥匙的控制方法和装置
US8048174B2 (en) Theft prevention system
US8918643B2 (en)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in-vehicle device, and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100013596A1 (en) Electronic Key System,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EP2672654B1 (en)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CN110136306B (zh) 一种车钥匙的控制方法和系统
EP1371255B1 (en) Method for enabling pki functions in a smart card
US5150412A (en) Security module for radio telephone
EP2672655B1 (en)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CN110103883B (zh) 一种车钥匙的控制方法和装置
US8051286B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US20110264304A1 (en) Multiuser vehicle utilization system and electronic key thereof
CN105083218A (zh) 车辆启动方法
CN101708707A (zh) 一种汽车防盗系统、车载防盗设备及防盗方法
AU2002230306A1 (en) Method for enabling PKI functions in a smart card
US20070188310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JP2013155555A (ja) 電子キー登録システム
EP1740419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ntitheft system
CN113920625B (zh) 车辆nfc钥匙认证方法
KR100514388B1 (ko) 핸드폰 내장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차량시동방법
CN101753683A (zh) 手机防盗系统
US116628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90073587A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541054A (zh) 一种汽车软件离线升级方法
CN114827998A (zh) 一种基于加密芯片的卫星终端入网鉴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