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810A -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810A
KR20050022810A KR1020030060544A KR20030060544A KR20050022810A KR 20050022810 A KR20050022810 A KR 20050022810A KR 1020030060544 A KR1020030060544 A KR 1020030060544A KR 20030060544 A KR20030060544 A KR 20030060544A KR 20050022810 A KR20050022810 A KR 2005002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data
information
fil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810A/ko
Publication of KR2005002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층(L0)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층(L0)에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의 기록을 위해 소요되는 기록단위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기록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Write 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method of updating data recording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write 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the drive therefor}
본 발명은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재기록 정보저장매체와 달리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는 동일한 기록 위치에 데이터를 1회 밖에 기록 할 수 없다는 제약으로 인하여 기록방식이 재기록 정보저장매체와는 상이하다. 정보저장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정보의 경우, 재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는 재기록 정보저장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에 일정 부분을 할당하여 매체 상에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변경 될 때마다 그 부분에 다시 덮어쓰기 하여 매체의 최종적인 데이터 저장 위치와 여러 가지 다른 정보들을 보관한다. 향후 그 정보저장매체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호스트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상기 소정 위치에 기록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읽어 매체 상에 데이터의 저장 위치와 여러 가지 다른 정보들을 읽어 재생하고자 하는 파일을 재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한번 기록 매체의 특성상 파일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될 경우, 기존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덮어 쓸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난 후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의 다음 위치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은 데이터가 추가로 기록되고 파일 시스템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향후 호스트가 파일 시스템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드라이브는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에게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드라이브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데이터의 주소(LRA: Latest Recorded Address)를 한번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한다. 파일 시스템 정보가 마지막에 기록되기 때문에 LRA는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향후 드라이브는 한번 기록 매체로부터 LRA를 읽어 들여 호스트에 제공하고 호스트가 LRA를 이용하여 최신의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얻음으로써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한번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 특히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해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한번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도 한다. 특히,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단위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기록단위에 각각 다른 비트 값을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비트 맵(bit map)이라 한다. 비트 맵과 소정의 헤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스페이스 비트 맵(SBM: Space Bit Map)이라 한다. 기록단위는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단위로서 ECC 블럭 또는 클러스터라 한다.
기록 단위인 ECC 블럭의 크기가 64KB이고 매체의 한 기록층의 저장 가능한 용량이 25GB로서 총 데이터 기록용량이 50GB인 이중 기록층(dual layer)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경우, 하나의 64KB ECC 블럭으로는 이중 기록층의 전체 용량 50GB에 해당하는 영역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비트 값으로 모두 나타낼 수 없으므로 하나의 기록층에 해당하는 SBM을 하나의 ECC블록에 기록한다. 따라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 SBM의 1회 업데이트 시 모두 두 개의 ECC 블럭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파일 시스템 및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로서 SBM을 기록하고, 두 개 기록층 모두에 데이터가 일부 기록되어 있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의 한번 기록 매체의 첫 번째 기록층에만 새로이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 시스템 정보 및 SBM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었으므로 이를 반영한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은 한번 기록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 중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주소의 다음 위치에 기록된다. 즉, 두 번째 기록층에서 매체 사용방향을 기준으로 최종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의 다음 위치에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이 기록된다.
첫 번째 기록층에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고 두 번째 기록층에 이를 반영한 새로운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으로 인하여 첫 번째 기록층에 대한 SBM 및 두 번째 기록층에 대한 SBM 모두의 업데이트가 요구되어 ECC 블록 두 개가 SBM의 업데이트를 위해 소요되어 데이터 기록 영역의 사용에 있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기록 영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층(L0)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층(L0)에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를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를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드라이브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 또는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층(L0)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층(L0)에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를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를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각 기록층은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관리를 위한 임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임시매체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 기록층의 일부 영역에 이미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에서 하나의 기록층(L0)에만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상기 현재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상기 기록층(L0)에 기록되고, 상기 기록층(L0)에 마련된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현재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상기 기록층(L0)에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는 상기 현재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기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가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가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는 첫 번째 기록층인 L0와 두 번째 기록층인 L1을 포함한다. 기록층 L0는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리드 인 존, 데이터 존0 및 바깥 존0을 차례대로 포함하고, 기록층 L1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바깥 존1, 데이터 존1 및 리드 아웃 존을 차례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향, 즉 매체의 사용 방향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이고 L0부터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의 기록층 L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록층 L0의 리드 인 존에는 결함 관리 영역인 DMA1(Defect Management Area 1) 및 DMA2(Defect Management Area 2), 기록 조건 테스트 영역 및 TDMA(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보통, 재기록가능형 매체에는 결함 관리 영역(DMA)만 있을 뿐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두지는 않으나,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번 기록 매체의 임시 관리를 위한 임시 디스크 관리 구조(TDMS: 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을 별도로 할당한다. 예컨대 TDMS는 임시결함관리(Temporary Defect Management)에 관한 정보, 전술한 바와 같은 SBM(Space Bit Map) 및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서 마지막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인 LRA(Lately Recorded Address) 등을 포함한다.
결함 관리 영역(DMA)에는 한번 기록 매체가 최종화되면 임시디스크관리영역(TDMA)에 기록된 최종적으로 유효한 임시 관리 정보(TDMS)를 기록한다. 한번 기록 매체의 최종화 시에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기록된 최종적으로 유효한 임시 관리 정보(TDMS)를 결함 관리 영역(DMA)에 복사함으로써 재기록 가능형 매체의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한번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한번 기록 매체의 초기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인다. 데이터 용량이 큰 TDMA에 기록된 결함 정보를 탐색하는 것보다는 결함 관리 영역(DMA)에 기록된 정보를 탐색하는 편이 훨씬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매체의 초기화 과정이란,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들을 읽어들여 매체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동작을 말한다. 따라서, 리드-인 존 또는 리드-아웃 존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매체를 로딩하고 난 다음 초기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데이터 존0에는 스페어 영역0 및 스페어 영역1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0가 마련되어있으며 바깥 존0에는 추가적인 결함관리영역인 DMA3 및 DMA4가 마련되어 있다. 결함 발생 시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들은 매체의 초기화 시 드라이브 제조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할당 여부 및 그 크기가 결정되어 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의 두 번째 기록층인 L1의 구조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기록층 L0와 동일하다. 기록층 L1의 리드 아웃 존, 데이터 존1 및 바깥 존1의 구조는 기록층 L0의 리드 인 존, 데이터 존0 및 바깥 존0의 구조와 각각 대응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번 기록 매체에 본 발명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영역 b0 내지 b4는 이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고, 영역 c0 내지 c2는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현재 데이터가 영역 c0 내지 c2에 새로이 기록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는 기록층 L1에서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기록된 위치, 즉 영역 b4의 다음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 위치에 기록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ECC 블록이 SBM의 업데이트를 위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현재 데이터가 영역 c0 내지 c2에 새로이 기록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층 L0에서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기록된 위치, 즉 영역 c2의 다음의 영역 f에 기록한다. 따라서 현재 데이터 및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모두 하나의 기록층 L0에 기록되므로 기록층 L0에 대한 SBM만 업데이트하면 된다. 따라서 SBM의 업데이트를 위해 두 개의 ECC 블록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TDMA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DMA에는 임시 결함 정보(TDFL: Temporary Defect List),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각 기록층에 대한 SBM인 SBM_L0 및 SBM_L1 등이 발생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기록된다. TDFL, TDDS, SBM_L0 및 SBM_L1 등을 합하여 임시매체관리정보, 즉 TDMS라 한다. 임시 결함 정보(TDFL)는 결함 리스트들을 포함하는데 결함 리스트는 결함의 상태 정보,위치 정보, 그리고 대체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TDDS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i, i는 0이상 정수)는 TDDS #i의 식별정보,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TDFL)의 위치정보, 대응하는 SBM의 위치 정보 및 최종 기록 주소(LRA)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TDDS #i는 매체의 초기화 시 할당되는 각 스페어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 기록 방지 정보 등을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업데이트된 TDDS에 기록될 LRA는 영역 f의 마지막 주소가 될 것이다. LRA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LRA는 매체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물리적 섹터의 주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호스트는 2KB sector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드라이브는 ECC 블럭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ECC 블럭의 크기가 만일 64KB(32 sectors)라 할 때 호스트의 기록 명령에 의한 데이터의 섹터 수가 32의 배수가 아닌 경우, 드라이브는 00h와 같은 값으로 패딩(padding)하여 32의 배수로 만들어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와 매체상에 기록된 기록 단위 블럭의 마지막 물리적 섹터 주소는 서로 다르며 TDDS #i에 기록되는 LRA는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TDDS #i에는 실제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 뿐 아니라 다른 기록층의 LRA도 함께 기록된다. 이 경우, 각 LRA에는 실제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 즉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LRA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한 비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TDDS #i의 각 LRA에는 실제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 즉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LRA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한 비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LRA0와 LRA1중에서 어느 것이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TDDS #i 내에 할당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드라이브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부(3)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1)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2)는 한번 기록 매체(100)에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 및 이를 위한 드라이브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록/독출부(1)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현재 데이터를 기록한다(제91 단계).
제어부(2)는 현재 데이터가 새로이 매체에 기록됨에 따라 이를 반영한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고, 기록/독출부(1)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층(L0)에 기록한다(제93 단계). 파일 시스템 정보는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다음 위치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기록층(L0)상의 주소를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한다(제95 단계). LRA는 TDDS에 포함되어 TDMA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와 함께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를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LRA에는 실제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 즉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LRA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한 비트의 정보를 포함시키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LRA0와 LRA1 중에서 어느 것이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 비트의 정보를 TDDS #i 내에 할당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기록층(L0)에 현재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기록층(L0)에 관한 SBM을 TDMA에 기록한다(제97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의 기록을 위해 소요되는 기록단위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기록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의 기록층 L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번 기록 매체에 본 발명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TDMA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TDDS의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드라이브의 블록도의 일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Claims (26)

  1.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층(L0)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층(L0)에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맵은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별로 데이터 기록 여부를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를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와 함께,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를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및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기록층의 주소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 중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최종 기록 주소 정보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를 기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각 최종 기록 주소 정보를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임시매체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 또는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의 기록층(L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록층(L0)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층(L0)에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를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맵은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별로 데이터 기록 여부를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를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를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및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기록층의 주소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 중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최종 기록 주소 정보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를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임시매체관리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9.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각 기록층은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의 관리를 위한 임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임시매체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 기록층의 일부 영역에 이미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에서 하나의 기록층(L0)에만 현재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상기 현재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상기 기록층(L0)에 기록되고,
    상기 기록층(L0)에 마련된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현재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상기 기록층(L0)에 기록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기록층(L0)에 관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는 상기 현재 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상태 정보는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마련된 데이터 존을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맵은 상기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별로 데이터 기록 여부를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상기 기록층(L0)상의 주소가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로서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기록층(L0) 외의 다른 기록층(L1)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최종 주소가 상기 다른 기록층(L1)의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로서 더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및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는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기록층의 주소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매체관리영역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0) 또는 상기 최종 기록 주소 정보(LRA1) 중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최종 기록 주소 정보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KR1020030060544A 2003-08-30 2003-08-30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KR20050022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44A KR20050022810A (ko) 2003-08-30 2003-08-30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44A KR20050022810A (ko) 2003-08-30 2003-08-30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10A true KR20050022810A (ko) 2005-03-08

Family

ID=3723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544A KR20050022810A (ko) 2003-08-30 2003-08-30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8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1080C2 (ru)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ый диск,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бласти данных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ого диска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такого диска
KR100739681B1 (ko)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오버라이트 방법
RU2328039C2 (ru)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ый диск, способ распеределения области данных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ого диск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такого диска
US7916587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JP2007536674A (ja) 追記形ディスクに対するデータ疑似書換え
JP5047631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JP4643660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データ再生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JP5047823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CA2540142C (en)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100677641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재생 장치
KR20050022810A (ko)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KR100607967B1 (ko)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0936026B1 (ko) 결함 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 관리가 가능한 디스크, 그 스페어 영역 관리 방법 및 재생 방법
KR100694046B1 (ko)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20050015926A (ko)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최종 기록 주소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50018292A (ko)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KR20050072042A (ko) 데이터 기록 방법, 그 재생 방법, 그 데이터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