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292A -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292A
KR20050018292A KR1020030056724A KR20030056724A KR20050018292A KR 20050018292 A KR20050018292 A KR 20050018292A KR 1020030056724 A KR1020030056724 A KR 1020030056724A KR 20030056724 A KR20030056724 A KR 20030056724A KR 20050018292 A KR20050018292 A KR 2005001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information
file system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희
정현권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292A/ko
Publication of KR2005001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1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allocating resources to stora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나누어져 사용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록 영역 중 하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어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사용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file system information in an write on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the write on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와 달리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는 동일한 기록 영역에 데이터를 1회 밖에 기록 할 수 없다는 제약으로 인하여 기록방식이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와는 상이하다. 정보 저장 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정보의 경우,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는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에 일정 부분을 할당하여 그 매체상에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업데이트 될 때 마다 그 부분에 다시 덮어 쓰기하여 매체의 최종적인 데이터 저장 위치와 여러 가지 다른 정보들을 보관한다. 향후 매체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호스트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시작 일정 부분에 할당된 File System 정보를 읽어 매체상에 데이터의 저장 위치와 여러 가지 다른 정보들을 읽어 재생하고자 하는 파일을 재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한번 기록 매체의 특성 상 File System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될 경우, 기존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덮어 쓸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난 후 File System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가 추가로 기록되고 File System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면 그 File System의 위치 정보가 변화기 때문에 향후 호스트가 File System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드라이브가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드라이브는 마지막으로 기록된 영역의 주소(LRA: Latest Recorded Address)를 매체상에 기록하여 관리하고 향후 드라이브가 매체로부터 이 정보를 읽어 들여 호스트에 제공하고 호스트가 이 정보를 이용하여 File System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얻어 그 위치에 재생 명령을 내려 File System의 정보를 얻고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될 때 호스트의 기록 시작 명령과 종료 명령으로 구성된다. 기록 시작 명령과 기록 종료 명령을 기록 단위 명령이라고 정의했을 때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 되어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 질 때 한번 내지 복수번의 기록 단위 명령으로 기록이 이루어 진다. 한번 내지 복수번의 기록 단위 명령으로 실제 데이터를 기록한 후 한번 내지 복수번의 기록 단위 명령으로 File System 정보을 기록하게 된다. 즉, 한번의 기록 단위 명령 후 매체에 기록 되어 있는 최종적인 File System의 정보가 항상 최종적인 매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물론 매체가 드라이브로부터 Eject될 때 최종적인 기록 단위 명령 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적인 File System은 최종적인 매체의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현재의 DVD-R은 Incremental Recording을 위해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Data Recordable Area)을 여러 개의 기록 영역(RZone)으로 나누어 각각의 기록 영역(RZone)에서 Sequential Recording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RZone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Zone의 가능한 상태는 다음과 같이 5가지 상태로 나누어 진다.
Invisible RZone 및 Incomplete RZone은 시작 주소(start address)만이 정의되고 마지막 주소(End address)는 정의되지 않은 RZone이다. 상기 두 가지 RZone은 항상 매체의 최외주 영역에 위치하고 데이터 추가가 가능하다.
Empty Reserved RZone 및 Partially Recorded Reserved RZone은 시작 주소 및 마지막 주소가 정의된 RZone이다. 상기 두 가지 RZone은 항상 데이터 추가가 가능하다.
Complete RZone은 데이터로 모두 채워진 RZone으로서 다음 기록가능 주소(NWA: Next Writable Address)가 없으며 데이터 추가가 불가능하다.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RZone은 최대 3개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RZone을 마련할 경우 기존의 RZone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닫아야만 가능하다. 즉, 매체상에 닫혀진 즉, Complete RZone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RZone은 3개로 제한되어 진다. 결국 매체상에는 현재 추가할 수 있는 Reserved RZone 2개와 Invisible/Incomplete RZone(Last RZone) 1개와 닫혀진 Complete RZone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그 중 첫 번째 Reserved RZone은 타 매체와의 호환을 위해 DVD-R 매체의 최종화 시 UDF Bridge file system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래서 최종화 전에는 나머지 Reserved RZone 또는 Invisible/Incomplete RZone에 Sequential Recording에 의해 UDF Structure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DVD-R 매체의 RZone 정보는 매체의 R-Information Area의 Recording Management Area(RMA)에 Recording Management Data(RMD) 정보로써 업데이트 조건이 되면 업데이트되어 관리된다.
각각의 RZone은 Start Sector Number와 Last Recorded Address(LRA)를 가지는데 드라이브는 호스트의 "READ TRACK/RZONE INFORMATION" command에 의해 Complete RZone인 경우 매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LRA를 그렇지 않은 경우 각각의 RZone의 LRA로부터 매체를 searching하여 각각의 RZone의 실질적인 LRA를 호스트에 제공하게 된다. 이는 RMA에 기록되어 최종적인 RMD에 있는 Complete RZone외의 다른 RZone이 가지고 있는 LRA가 RMD의 업데이트 시기 때문에 실제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Eject시에 항상 RMD가 업데이트 되는 것은 아니다). 호스트의 "READ TRACK/RZONE INFORMATION" command에 의해 드라이브로부터 각각의 RZone에 대한 LRA를 얻은 호스트는 그 LRA로부터 매체의 최종적인 UDF File System 정보을 찾고 또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RZone에서 그 LRA로부터 Next Writable Address(NWA)를 찾아 Sequential Recording으로 데이터를 기록 하게 된다.
DVD-R과 같은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의 Last Recorded Address(LRA)를 드라이브가 관리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향후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었을 때 그 매체의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된 위치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드라이브가 호스트에 제공하고 호스트는 이 정보를 이용해서 매체의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을 찾기 위함이다. 그러나 전술한 DVD-R과 같이 데이터 영역이 여러 개의 RZone으로 나누어 있어 그 결과 여러개의 LRA가 존재함으로 해서 호스트는 File System 정보을 찾기 위해서 드라이브로부터 얻은 모든 LRA에서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을 찾기 위해서 여러 번 드라이브에게 재생 명령을 내려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매체가 드라이브에 로딩(loading)되었을 때 매체 사용을 위한 준비를 위해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에 있어서,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가 기록된 매체 상의 영역을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하여 매체 사용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나누어져 사용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록 영역 중 하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분할되어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각 기록 영역에는 데이터 및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및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 후,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었을 때 매체의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RZone을 알 수 있게끔 일정한 규칙으로 File System 정보를 기록한다.
호스트가 File System 정보를 업데이트 했을 때 그 File System 정보의 마지막 기록 단위 블럭을 포함하는 RZone은 항상 매체의 마지막 Complete RZone이거나 아니면 마지막 Partially Recorded Reserved RZone이어야 한다. 즉 RZone들 중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RZone을 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었을 때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적인 RZone의 정보 중에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마지막 RZone(Complete RZone 또는 Partially Recorded Reserved RZone)의 LRA로부터 필요하면 그 RZone을 탐색하여 실질적인 LRA를 찾아 호스트에 제공함으로써 호스트는 그 실질적인 LRA로부터 File System 정보을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어 매체 사용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에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리드 인 영역에는 결함 관리 영역인 DMA1(Defect Management Area 1) 및 DMA2(Defect Management Area 2), 기록 조건 Test 영역 및 TDMA(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등이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Spare Area 1 및 Spare Area 2 및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리드 아웃 영역에는 또 다른 결함 관리 영역인 DMA3 및 DMA4가 마련되어 있다.
보통, 재기록가능형 매체에는 결함 관리 영역(DMA)만 있을 뿐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두지는 않으나, 한번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별도로 할당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번 기록 매체의 특성상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에 다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를 기록 중에 새로이 발생한 결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드라이브는 최근에 기록된 결함 정보를 읽은 후 새로이 발생한 결함 정보를 추가하여 새로운 기록 블록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한다. 따라서 한번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수록 결함 정보의 양은 계속 누적되어 점점 많아지게 된다.
종래 재기록 가능형 매체를 위해 마련된 결함 관리 영역(DMA)은 데이터 용량이 적어서 한번 기록 매체의 결함 관리를 위한 영역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결함 관리 영역(DMA)보다 큰 데이터 용량을 가지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별도로 한번 기록 매체에 할당한다.
그리고 결함 관리 영역(DMA)에는 한번 기록 매체가 최종화되면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기록된 최종적으로 유효한 임시 관리 정보(TDMS)를 기록한다. 한번 기록 매체의 최종화 시에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기록된 최종적으로 유효한 임시 관리 정보(TDMS)를 결함 관리 영역(DMA)에 복사함으로써 재기록 가능형 매체의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한번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한번 기록 매체의 초기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인다.
매체의 초기화 과정이란,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들을 읽어들여 매체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동작을 말한다. 따라서,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매체를 로딩하고 난 다음 초기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데이터 용량이 큰 TDMA에 기록된 결함 정보를 탐색하는 것보다는 결함 관리 영역(DMA)에 기록된 정보를 탐색하는 편이 훨씬 속도가 빠르다.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그 디스크 관리를 위한 임시 디스크 관리 구조(TDMS: 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이 각각의 기록층의 안쪽 영역 또는 바깥 영역에 구비되어 있고 드라이브 제조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체의 사용을 위한 초기화 시점에 데이터 영역에도 할당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이라 함은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관리를 위한 임시 결함 관리와 임시 디스크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결함 발생 시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들을 데이터 영역에 초기화 시 드라이브 제조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크기 및 할당 유무가 결정되어 진다.
또한 한번 기록 매체의 최종화 시 그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된 최종적인 디스크의 결함 정보 및 디스크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Defect Management Area) 또는 디스크 관리 영역(Disc Management Area)이 안쪽 영역 또는 바깥 영역에 할당 되어 있다. 이 외에도 기록 조건 Test를 위한 OPC, 드라이브 정보를 위한 영역 등이 안쪽 영역 또는 바깥 영역에 할당되어 있다.
상기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에는 임시 결함 정보(Temporary Defect List(TDFL)),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TDDS)), Record Map등이 기록되기 위한 영역이다. 임시 결함 정보(TDFL)는 결함 리스트들을 포함하는데 결함 리스트는 결함의 상태 정보,위치 정보, 그리고 대체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는 상기의 임시 결함 정보(TDFL), Record Map, OPC, Drive Area의 위치 포인터들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초기화 시 할당되는 스페어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 기록 방지 정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한 정보, 각각의 스페어 영역에서 대체 가능한 위치 정보, 그리고 TDMS의 업데이트 주기를 줄이기 위한 Consistency Flag(C_flag) 등등이 저장되어 진다.
상기 Record Map은 DVD-R의 RZone Information과 유사하게 Incremental Recording을 위해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서 Sequential Recording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각각의 영역을 Record Map Entry 정보로써 나타내는데 Entry 정보는 상태정보, 시작 주소 정보, 끝 주소 정보로 이루어져 그 Entry가 지정하는 영역의 정보와 그 영역의 상태 정보로 나타난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 상태 지도를 말한다. 상기 Entry 정보 중 끝 주소 정보는 그 Record Map Entry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는 말 그대로 그 Record Map Entry가 나타내는 영역의 마지막 물리적 블럭 주소를 말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는 업데이트 될 당시의 그 Record Map Entry에 Last Recorded Address(LRA)를 의미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사용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해서 DVD-R의 RZone의 5가지 상태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되지 않은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즉, 공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면 드라이브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매체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거친다. 초기화 과정에서 호스트의 명령에 의해 Incremental Recording을 위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다수의 Record Map Entry로 나누어 지고 또한 데이터 관리를 위한 File System이 결정될 것이다. 각각의 Record Map Entry 정보는 TDMS의 Record Map 정보로써 TDMA에 기록되어 진다.
이와 같이 매체의 초기화 과정 이후 호스트는 각각의 Record Map Entry에 Sequential Recording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File System 정보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과 같이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가 매체상에 기록되었을 때 File System 정보의 마지막 섹터가 기록된 물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Record Map Entry는 항상 매체의 Record Map Entry중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Record Map Entry가 되도록 File System 정보을 기록을 한다.
또한 이러한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면 드라이브는 매체상의 TDMA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적인 Record Map의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LRA로부터 그 Record Map Entry의 영역을 searching하여 실질적인 LRA를 찾아 호스트에 제공함으로써 호스트는 그 LRA로부터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되어 있는 위치에 재생 명령을 내려 File System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매체의 정상적인 Eject후 매체상의 TDMA에 업데이트되어 있는 최종적인 Record Map은 매체의 실질적인 Record Map과 최소한 각각의 Record Map Entry가 나타내는 영역의 경계 정보는 같도록 업데이트 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Record Map의 업데이트 시점은 최소한 다음 두 가지가 보장되어야만 한다.
첫째, 데이터의 추가가 가능한 Record Map Entry의 수가 달라지거나 데이터의 추가가 불가능한 Record Map Entry의 수가 달라질 때 Record Map은 TDMA에 TDMS의 한 정보로써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둘째, 매체의 이젝트시에 Record Map은 TDMA에 TDMS의 한 정보로써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File System 정보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ncremental Recording을 위해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다수의 Record Map Entry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는 데이터 및 업데이트된 File System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도 3에서 User Data Area의 처음(Record Map Entry # 0)과 끝(Record Map Entry # N) 일정 영역은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최종화 시점에 타 매체와이 호환 가능한 File System 정보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매체의 초기화 이후 매체에 적용할 File System 정보이 Record Map Entry # 1에 기록되고 그 이후 1th Recording이 일어나고 그에 따른 File System 정보의 업데이트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Record Map Entry # 1에 이루어 졌다. 그리고 2th Recording이 Record Map Entry # 2에 발생하고 그에 따른 File System 정보이 Record Map Entry # 2에 업데이트 되었다. 그 이후 3th Recording이 Record Map Entry # 3에 발생하고 그에 따른 File System 정보이 Record Map Entry # 3에 업데이트 되었으며 4th Recording이 다시 Record Map Entry # 2에 발생하고 그에 따른 File System 정보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Record Map Entry인 Record Map Entry #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업데이트 되었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만약 4th Recording 후 Record Map Entry # 3에 업데이트된 File System 정보을 기록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Record Map Entry # 3 이후의 Record Map Entry에 그 File System 정보을 기록하면 된다. 도 3에서 말하는 Recording이라 함은 호스트가 File System 정보을 업데이트 하기 전의 순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한번 내지 복수번의 기록단위 명령을 말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각각의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LRA가 의미하는 것은 매체상에서의 최종 기록된 물리적 섹터주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호스트는 2KB sector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드라이브는 기록 블럭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기록 블럭의 크기가 만일 64KB(32 sectors)라 했을 때 호스트의 기록 명령에 의한 데이터의 sectors수가 32의 배수가 아닌 경우 드라이브는 00h와 같은 값으로 padding하여 32의 배수로 만들어 기록을 할 것이다. 이 경우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와 매체상에 기록된 기록 단위 블럭의 마지막 물리적 섹터 주소는 서로 다르다. 이 때 LRA는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를 말한다.
도 4는 DVD-R의 RMA에 업데이트 되는 RZone Information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File System 정보 기록 위치에 따른 Record Map이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의 마지막 섹터가 기록된 물리적인 위치를 포함하는 Record Map Entry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면 드라이브는 TDMA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적인 Record Map Information로부터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LRA로부터 그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영역을 searching하여 실질적인 LRA을 찾아 호스트에 보내면 호스트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의 위치에 재생 명령을 내려 File System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ecord Map Entry의 일 예를 나타낸다. 시작 주소는 이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물리적인 시작 주소를 말하고 끝 주소는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는 Last Recorded Address(LRA)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 영역의 끝을 나타내는 주소를 나타낸다. 상태 정보 1,2 는 이 Record Map Entry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이 Record Map Entry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도 7은 TDMA에 업데이트된 다수의 레코드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초기화 시점과 도 2의 각각의 Recording에서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된 후 Record Map이 TDMA에 업데이트 된다고 하면 Record Map # 0는 초기화 시점의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된 시점에서 TDMA에 업데이트된 최종적인 Record Map을 나타내므로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는 '1'을, Record Map # 1은 1th Recording 후 File System 정보이 업데이트된 시점에서의 최종적인 Record Map을 나타내므로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는 '1'을, Record Map # 2는 2th Recording 후 File System 정보이 업데이트된 시점에서의 최종적인 Record Map을 나타내므로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는 '2'를, Record Map # 3은 3th Recording 후 File System 정보이 업데이트된 시점에서의 최종적인 Record Map을 나타내므로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는 '3'을, 그리고 Record Map # 4는 4th Recording 후 File System 정보이 업데이트된 시점에서의 최종적인 Record Map을 나타내므로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는 '3'을 나타낼 것이다. 그래서 만일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었을 때 TDMA에 업데이트 되어 있는 최종적인 Record Map의 상태가 Record Map # 4를 가리킨다면 드라이브는 Record Map # 4의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가 가리키는 Record Map Entry Number 3에서 지시하고 있는 LRA 이후의 영역을 searching하여 실질적인 LRA을 찾아 호스트에 전송하고 호스트는 드라이브로부터 받은 이 LRA를 이용하여 매체의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된 위치에 재생 명령을 내려 File System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Record Map Entry가 지시하는 LRA가 의미하는 것은 매체상에서의 최종 기록된 물리적 섹터의 주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호스트는 2KB sector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드라이브는 기록 블럭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기록 블럭의 크기가 만일 64KB(32 sectors)라 했을 때 호스트의 기록 명령에 의한 데이터의 sectors수가 32의 배수가 아닌 경우 드라이브는 00h와 같은 값으로 padding하여 32의 배수로 만들어 기록을 할 것이다. 이 경우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와 매체상에 기록된 기록 단위 블럭의 마지막 물리적 섹터 주소는 서로 다르다. 이 때 LRA는 호스트의 명령에 의한 마지막 논리적 섹터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섹터 주소를 말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매체에 하나의 File System이 적용되는 경우에 한해서 설명하였다. DVD-R의 Border처럼 한 매체를 여러개의 Border로 나누어 사용하고 각각의 Border에서의 File System이 서로 다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File System 정보이 기록된 위치는 각각의 Border에서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마지막 RZone이 될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 필드(field)는 각각의 Border에 하나씩 존재해야 한다. 물론 한 매체를 여러 개의 Border로 나누어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File System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Last Record Map Entry Number which some data are recorded" 필드는 하나면 충분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Incremental Recording을 위해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서 Sequential Recording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와 같은 File System 정보 기록에 의해 매체가 드라이브에 삽입되어 그 매체 사용을 위한 매체의 최종적인 File System 정보을 호스트가 찾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RZone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File System 정보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DVD-R의 RMA에 업데이트 되는 RZone Information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 엔트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TDMA에 업데이트된 다수의 레코드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나누어져 사용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록 영역 중 하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TDMA에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레코드 맵에 포함시켜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다수의 기록 영역으로 분할되어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각 기록 영역에는 데이터 및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및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 후, 상기 최종적인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TD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20030056724A 2003-08-16 2003-08-16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KR20050018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724A KR20050018292A (ko) 2003-08-16 2003-08-16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724A KR20050018292A (ko) 2003-08-16 2003-08-16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92A true KR20050018292A (ko) 2005-02-23

Family

ID=3722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724A KR20050018292A (ko) 2003-08-16 2003-08-16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321B1 (ko) 1회 기록형 디스크들 상에 데이터를 의사-겹쳐쓰기하는 방법
KR100891088B1 (ko) 1회 기록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및반도체 집적 회로
JP5047631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JP4643661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データ再生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JP4808690B2 (ja) 物理的アクセス制御(pac)クラスターが書込まれた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の形成、記録媒体への記録、及び記録媒体からの再生方法及び装置
KR20050018292A (ko)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JP5047823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RU24674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а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KR100677641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재생 장치
KR20050015926A (ko)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매체에 있어서 최종 기록 주소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50022810A (ko)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RU23026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хранения состояния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осите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носитель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для них
KR20050072042A (ko) 데이터 기록 방법, 그 재생 방법, 그 데이터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KR20040104355A (ko)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20040081525A (ko) 결함 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 관리가 가능한 디스크 및그 스페어 영역 관리 방법
KR20050072040A (ko) 데이터 기록 방법, 그 재생 방법, 그 데이터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KR20050072041A (ko) 데이터 기록 방법, 그 재생 방법, 그 데이터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