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172A -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172A
KR20050022172A KR1020030058744A KR20030058744A KR20050022172A KR 20050022172 A KR20050022172 A KR 20050022172A KR 1020030058744 A KR1020030058744 A KR 1020030058744A KR 20030058744 A KR20030058744 A KR 20030058744A KR 20050022172 A KR20050022172 A KR 20050022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shaft
conveyor
bel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345B1 (ko
Inventor
구본우
Original Assignee
구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우 filed Critical 구본우
Priority to KR102003005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3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10Elastomers; Rubbers
    • F16C2208/12Polyurethan [P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10Elastomers; Rubbers
    • F16C2208/14Silicon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의 외주에 결합되어 컨베이어용 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벨트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벨트지지구는 수평으로 양분된 한쌍의 축 고정부재와, 수직으로 양분된 한쌍의 벨트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축 고정부재는 축에 밀착되어지는 반원판과, 상기 반원판의 표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천공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외주 돌출부와, 상기 외주 돌출부의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천공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지지부재는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반원판과, 상기 반원판의 내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볼트결합공을 구비하는 내주 돌출부와, 상기 반원판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어진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벨트지지구를 컨베이어의 축에 결합함에 있어 측면으로 부터 삽입하지 않고 직접 해당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훼손된 벨트지지구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해당 벨트지지구가 중간부에 들어있다 하더라도 다른 벨트지지구를 분리하거나 빼낼 필요없이 훼손된 벨트지지구만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신속해지고, 이로인해 작업중단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Assembly style belt supporting device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타입으로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한 수리가 가능한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는 컨베이어의 축 표면에 결합되어져 컨베이어의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컨베이어의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도구로는 롤러가 사용되었다.
상기 롤러는 축과 축의 표면에 피복된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롤러는 축에 코팅된 고무가 쉬 마모될 뿐만 아니라 편마모가 발생한다. 특히 롤러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은 가장 먼저 닳을 뿐만 아니라 손상도 잦은 곳이다. 그런데 종래의 롤러는 양측 가장자리 일부분, 또는 롤러 중간부의 작은 부분만 훼손되었다 하더라도 전체 롤러를 교체해야 하는 것이어서 상당한 비용부담은 물론 작업공정에도 많은 차질을 빗게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며 중앙이 공간부로 되는 고무링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무링을 축(A)의 외면에 삽입하되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무링을 축의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볼트와 너트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조의 롤러(B), 즉 벨트지지구(1)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0026984호로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벨트지지구(1)는 통상의 고무를 이용하여 중앙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링(Ring)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링의 양측에 환상결속홈을 형성하여 내측링부와 외측링부로 분할한 다음, 내측링부는 그 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여 결속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링의 양측에 형성된 환상결속홈에는 결속링을 각각 끼워주도록 하였으며, 환상결속홈에는 복수개의 볼트공을 등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동일한 위치에 뚫어주어서 결속링끼리를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벨트지지구(1)는 훼손된 벨트지지구의 교체가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즉 벨트지지구의 형상이 중공(中空)의 링모양을 갖는 것이어서 축(A)의 측면에서 하나하나 순서대로 삽입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만약 이들 중 안쪽에 끼워진 벨트지지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훼손된 벨트지지구의 바깥쪽에 있는 모든 벨트지지구들도 축으로 부터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벨트지지구의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공정에도 상당한 차질을 가져올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벨트지지구(1)는 고정수단이 플라스틱을 재질로 제조되어진 것이어서 충격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약한 단점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도 여러군데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벨트의 손상우려가 큰 폐단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컨베이어의 축에 결합시 측면으로 부터 삽입하지 않고 직접 해당 위치에 결합이 가능하며, 교체할 때도 훼손된 벨트지지구만 들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10)를 분리해서 도시한 것으로, 크게 수평으로 양분된 한쌍의 축 고정부재(100)과, 수직으로 양분된 한쌍의 벨트지지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 고정부재(100)는 축(B)에 밀착되어지는 반원판(110)과, 상기 반원판(110)의 표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천공(穿孔)된 결합공(121)을 구비하는 외주 돌출부(120)와, 상기 외주 돌출부의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천공된 결합공(131)을 구비하는 결합돌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지지부재(200)는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반원판(210)과, 상기 반원판(210)의 내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볼트결합공(221)을 구비하는 내주 돌출부(220)와, 상기 반원판(210)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230)와 오목홈(24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10)는 상기 축 고정부재(100)에 의해 축(B)에 결합되어지는데, 반원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축 고정부재(100)는 축의 외주면을 양쪽에서 감싸면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 고정부재(100)의 결합돌기(130)도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공(131)에 볼트(140)을 결합시켜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처럼 축에 고정된 축 고정부재(100)에 벨트지지부재(200)가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축 고정부재(100)의 외주 돌출부(120)와, 벨트지지부재(200)의 내주 돌출부(220)는 각각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져야 한다.
이는 축 고정부재(100)가 축(B)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벨트지지부재(200)를 지지함에 있어 볼트(300)로 축 고정부재(100)와 벨트지지부재(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축 고정부재(100)의 외주 돌출부(120)에 형성된 결합공(121)이 벨트지지부재(200)의 내주 돌출부(22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221)과 일치되도록 한 다음, 볼트(300)가 축고정부재의 결합공(121)을 관통시켜 벨트지지부재(200)의 볼트결합공(221)에 나사결합되므로써 벨트지지부재(200)가 축 고정부재(100)에 결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공(121) 내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볼트의 머리가 걸리도록 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볼트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벨트지지부재(200)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230)와 오목홈(240)은 한쌍의 벨트지지부재(200) 양단부가 서로 밀착됨에 있어 상기 양단부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벨트지지부재(200)의 양단부에는 돌기(230)와 오목홈(240)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10)는 컨베이어의 벨트와 잦은 마찰을 갖는 것이어서 마모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따라서 고무와 우레탄을 합성한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고무 또는 우레탄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고무는 마모에 약하고, 우레탄은 탄성이 약한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보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축 고정부재(100)의 반원판(110) 보다는 벨트지지부재(200)의 반원판(210)을 더 두텁게 형성하였으며, 이는 벨트지지부재(200)의 경우 컨베이어의 벨트를 지지하므로 마모가 축 고정부재(100)의 반원판(110) 보다 더 심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벨트지지구를 컨베이어의 축에 결합함에 있어 측면으로 부터 삽입하지 않고 직접 해당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훼손된 벨트지지구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해당 벨트지지구가 중간부에 들어있다 하더라도 다른 벨트지지구를 분리하거나 빼낼 필요없이 훼손된 벨트지지구만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신속해지고, 이로인해 작업중단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벨트지지구는 축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하고, 또 벨트가 지나는 부분만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저항력이 감소되는 효과와 원가 및 A/S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의 단면도.
도 2 - 본 발명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의 분리사시도.
도 3 - 본 발명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의 결합된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10: 본고안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이하 벨트지지구라 한다)
100: 축 고정부재 110: 반원판(半圓板)
120: 외주(外周) 돌출부 121: 결합공
130: 결합돌기 131: 결합공
140: 볼트 200: 벨트 지지부재
210: 벨트지지 반원판 220: 내주(內周) 돌출부
221: 결합공
230: 돌기 240: 오목홈
300: 볼트
A: 축(shaft)

Claims (3)

  1. 축의 외주에 결합되어 컨베이어용 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벨트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벨트지지구는 수평으로 양분된 한쌍의 축 고정부재와, 수직으로 양분된 한쌍의 벨트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축 고정부재는 축에 밀착되어지는 반원판과, 상기 반원판의 표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천공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외주 돌출부와, 상기 외주 돌출부의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천공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지지부재는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반원판과, 상기 반원판의 내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볼트결합공을 구비하는 내주 돌출부와, 상기 반원판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부재의 외주 돌출부와, 벨트지지부재의 내주 돌출부는 각각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지지구의 재질은 고무와 우레탄을 합성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KR1020030058744A 2003-08-25 2003-08-25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KR10059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44A KR100592345B1 (ko) 2003-08-25 2003-08-25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44A KR100592345B1 (ko) 2003-08-25 2003-08-25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72A true KR20050022172A (ko) 2005-03-07
KR100592345B1 KR100592345B1 (ko) 2006-06-21

Family

ID=3723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744A KR100592345B1 (ko) 2003-08-25 2003-08-25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809A (zh) * 2018-12-26 2019-05-07 安徽王仁和米线食品有限公司 一种防污染米线生产用输送装置
KR102521092B1 (ko) * 2022-01-14 2023-04-12 이상규 부분 교체형 고무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72B1 (ko) * 2011-12-08 2014-07-07 이노레스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809A (zh) * 2018-12-26 2019-05-07 安徽王仁和米线食品有限公司 一种防污染米线生产用输送装置
KR102521092B1 (ko) * 2022-01-14 2023-04-12 이상규 부분 교체형 고무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345B1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5695A (en) Lint roller assembly
WO2007070071A3 (en) Self centering, floating brush seal assembly
ATE476614T1 (de) Rollenkettenrad mit verbesserter zahnform und metalldämpfungsringen
CN101852279B (zh) 皮带安装夹具以及使用该夹具的皮带安装方法
US4708499A (en) Pivot bearing for steering columns of motor vehicles
CA2621514A1 (en) Seal chain having greaser
CA2552667A1 (en) Tandem dual element intershaft carbon seal
KR20090127162A (ko) 동적 샤프트 시일 및 동적 샤프트 시일의 설치방법
US9751697B2 (en) Split sprocket having a snap clamp
KR20210102321A (ko) 정적 시일 클램핑 칼라를 구비한 기계 롤러 어셈블리를 갖는 기계 시스템
KR100592345B1 (ko) 조립식 컨베이어용 벨트지지구
ES2114408A1 (es) Articulacion de tripode con dispositivo de seguridad de montaje.
US5158505A (en) Guide ring
ATE174480T1 (de) Mehrteiliger ring
ATA11232001A (de) Rolle für ein laufwerk bzw. für eine rollenbatterie
US2484752A (en) Renewable resilient idler unit
DE69706791D1 (de) Mit Feder ausgestatteter, auswechselbarer Lagerzusammenbau für einen Rotor
DE60306804D1 (de) Gurt- und profiltrommel
RU2006129483A (ru) Эластомерное шарнирное уплотнение
CA2356780C (en) Painting roller assembly
DE69418620T2 (de) Radiallager mit gleitschuh und gleitschuh für ein radiallager
US2675258A (en) Seal ring
KR101287695B1 (ko) 롤러
KR200235008Y1 (ko) 다중분할조립형안내롤러
JP5393799B2 (ja) 杭打ちハンマーの落下体用の直動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