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556A -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556A
KR20050020556A KR1020030085255A KR20030085255A KR20050020556A KR 20050020556 A KR20050020556 A KR 20050020556A KR 1020030085255 A KR1020030085255 A KR 1020030085255A KR 20030085255 A KR20030085255 A KR 20030085255A KR 20050020556 A KR20050020556 A KR 2005002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wall
regular hexagonal
tube
hollow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843B1 (ko
Inventor
정영제
Original Assignee
정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제 filed Critical 정영제
Priority to KR10-2003-008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8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의 측부를 연결하는 수지층에서 토압 하중 또는 수압 하중을 적정하게 분산 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직층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중벽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꼭지 모서리부가 위치되고 상,하부에 상,하 수평면이 위치되어 있는 정육각 중공부를 가지는 관이 양 꼭지 모서리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스크류식으로 권취되어 원통을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의 측부 사이에는 상,하 대칭되는 수지층이 연속적으로 충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벽관{A double wall pipe}
본 발명은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측벽을 구성하는 수지층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벽관은 하나의 긴 중공관을 나선식으로 권취하여 원통형으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중공관의 측벽 사이에는 합성수지(이하, "수지"라 칭함)가 충진되어 원통관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중공부는 통상적으로 사각홀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을 달리하여 이중벽관의 강도를 보강하는 여러 종류의 이중벽관이 공지되어 사용중에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여러 실시예의 이중벽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23289호의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이하, "종래 제1실시예의 이중벽관"이라 칭함)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 제1 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사각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사각 중공부에는 이중벽관을 보강할 수 있도록 십자형의 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9167호의 "이중벽관용 보강부재"(이하, "종래 제2실시예의 이중벽관"이라 칭함)가 알려져 있는데, 종래 제2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사각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사각 중공부에는 이중벽관을 보강할 수 있도록 여러 형상의 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는, 역으로 세워진 브이자형, 엑스자형, 마름모형, 원형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4724호의 "구경이 큰 복합 합성수지관"(이하, "종래 제3실시예의 이중벽관"이라 칭함)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 제3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이중벽관의 내부에 양측 면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팔각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팔각 중공부의 내부에는 십자형의 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5629호의 "강화 이중벽관"(이하, "종래 제4실시예의 이중벽관"이라 칭함)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 제4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이중벽관의 내부에 상,하부에 꼭지점이 위치되고 양측 면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육각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육각 중공부의 상,하 꼭지점의 사이에는 수직의 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술한 종래 제1,2 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사각 중공부(100)에 여러 형상의 보강부재(101;대표적으로 십자형의 보강부재를 도시하였음)를 형성한 것으로서, 사각 중공부(100)와 이웃하는 사각 중공부(100)의 사이에는 수직격벽(102)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이중벽관을 지중에 매설한 후에는, 내부의 수압과 지중의 토압으로 인하여 상기 각 사각 중공부(100)를 경계하는 수직격벽(102)이 휘어지게 되거나 또는 수직격벽(102)이 부러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다시말해 상기 각 사각 중공부(100)는 수압 또는 토압을 통해 신축이 가능하나, 이 사각 중공부(100)의 신축 한계점 보다 하중이 더 걸리게 되면 그 압력하중이 수직격벽(102)으로 전달됨으로서, 수직격벽(102)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중간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수압 또는 토압이 이중벽관의 한 부분에 편중되게 작용할 경우에는, 편중 하중을 받는 수직격벽(102)의 중간이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부러지게 됨으로서, 관 측벽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관이 파열되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 중공부(100)의 내부에는 각 수직격벽(102)을 보강하거나 사각 중공부(100)를 보강할 수 있도록 여러 형상의 보강부재(102)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 사각 중공부(100)를 경계하는 수직격벽(102)의 중간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격벽(102)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제3 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양측 면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팔각 중공부(200)에 십자형의 보강부재(201)를 형성한 것으로서, 팔각 중공부(200)와 이웃하는 팔각 중공부(200)의 사이에는 각 양측 면의 사이로 수직격벽(20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팔각 중공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격벽(202)도 상기 제1,2 실시예의 사각 중공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격벽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팔각 중공부(200)는 수압 또는 토압으로 인하여 신축이 가능하나 이 팔각 중공부(200)에 신축 한계점 보다 하중이 더 걸리게 되면 그 압력하중이 수직격벽(202)으로 전달됨으로서, 수직격벽(202)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중간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격벽(202)의 중간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없어, 이중벽관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관이 파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팔각 중공부(200)의 내부에는 각 수직격벽(202)을 보강하거나 팔각 중공부(200)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201)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 팔각 중공부를 경계하는 수직격벽(202)의 중간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격벽(202)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제4 실시예의 이중벽관은, 양측 면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육각 중공부(300)에 상,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301)를 형성한 것으로서, 육각 중공부(300)와 이웃하는 육각 중공부(300)의 사이에는 각 양측 면의 사이로 수직격벽(30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육각 중공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격벽(302)도 상기 제1,2,3 실시예의 사각 또는 팔각 중공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격벽(302)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육각 중공부(300)에 신축 한계점 보다 더 큰 하중이 걸리게 되면 그 압력하중이 수직격벽(302)으로 전달됨으로서, 수직격벽(302)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중간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제1,2,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격벽(302)의 중간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없어 이중벽관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관이 파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육각 중공부(300)의 내부에는 육각 중공부(300)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하 꼭지점을 연결하는 보강부재(301)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 육각 중공부(300)를 경계하는 수직격벽(302)의 중간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격벽(302)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의 측부를 연결하는 수지층에서 토압 하중 또는 수압 하중을 적정하게 분산 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지층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중벽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토압과 수압의 강도와 상응되는 여러 실시예의 이중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꼭지 모서리부가 위치되고 상,하부에 상,하 수평면이 위치되어 있는 정육각 중공부를 가지는 관이 양 꼭지 모서리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스크류식으로 권취되어 원통을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의 측부 사이에는 상,하 대칭되는 수지층이 연속적으로 충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은, 측벽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정육각형 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관은, 외면이 양측 수직면과 상,하측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외면 사각형 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으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상,하 수평면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과, 상,하 수평면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며 수평 보강판과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상,하 수평면의 양측에 구비된 꼭지 모서리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엊갈리게 연결하며 중간이 일체로 연결되는 한쌍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상 수평면과 하부의 양 경사면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측 단부가 정육각 중공부의 중앙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3개소의 돌출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정육각 중공부는, 하 수평면의 양측 꼭지 모서리부와 상 수평면의 중간을 상호 대칭되게 연결하는 한쌍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벽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1b는 이중벽관을 구성하는 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벽관은, 양측에 꼭지 모서리부(21)가 위치되고 상,하부에 상,하 수평면(22,23)이 위치되어 있는 정육각 중공부(2)를 가지는 관(1)이 양 꼭지 모서리부(21)가 상호 마주보도록 스크류식으로 권취되어 원통을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1)의 측부 사이에는 상,하 대칭되는 수지층(3)이 연속적으로 충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1)은 측벽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정육각형 관(1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중벽관을 제조할 경우에는, 먼저 정육각형 관(11)을 준비한다.
다음 정육각형 관(11)을 스크류식으로 권취하면서 원통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정육각형 관(11)의 측면에 수지층(3)을 충진함으로서, 원통형의 이중벽관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중벽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정육각형 관(11)의 양 꼭지 모서리부(21)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이중벽관에 있어서, 그 내부에 스크류식으로 권취된 정육각형 관(11)의 사이에는 수지층(3)이 열융착을 통해 충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지층(3)은, 상부에 상광하협 형상의 삼각형(이하, "역 삼각형"이라 칭함)과 하부에 상협하광 형상의 삼각형(이하,"정 삼각형"이라 칭함)이 상호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층(3)은 역,정 삼각형의 하,상부의 모서리부가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31)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벽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벽관에 하중이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통상적으로 이중벽관은 외부로부터 토압 하중을 받게 되거나, 또는 내부로부터 수압 하중을 받게 되거나, 또는 토압과 수압을 동시에 받게 된다.
먼저, 도 2a는 외부로부터 토압을 받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토압을 받게 되면, 수지층(3)을 구성하는 상부의 역 삼각형 형상의 수지층으로 하중이 집중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토압이 가해지게 되면, 수지층(3)의 상부에 형성된 역 삼각형의 수지층이 하나의 보강리브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정 삼각형 형상의 수지층이 상기 역 삼각형의 수지층을 지지함으로서, 수직층(3)의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부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토압 하중이 외부로부터 걸리는 순간에는, 하중은 상광하협의 역 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중간의 연결부(31)로 집중되고, 연결부(31)에 집중되었던 하중은 다시 상협하광의 정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확산되어 분산되면서 감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부(31)로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하부의 정 삼각형 수지층으로 이동되면서 감쇄됨에 따라서, 토압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가짐은 물론, 연결부(31)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하부의 정 삼각평 수지층으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연결부(31)가 일측으로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 2b는 내부로부터 수압을 받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수압을 받게 되면, 수지층(3)을 구성하는 하부의 정 삼각형수지층으로 하중이 집중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압이 가해지게 되면, 수지층(3)의 하부에 형성된 정 삼각형의 수지층이 하나의 보강리브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역 삼각형 형상의 수지층이 상기 정 삼각형의 수지층을 지지함으로서, 수직층(3)의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부(31)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압 하중이 내부로부터 걸리는 순간에는, 하중은 상협하광의 정 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중간의 연결부(31)로 집중되고, 연결부(31)에 집중되었던 하중은 다시 상광하협의 역 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확산되어 분산되면서 감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부(31)로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상부의 역 삼각형 수지층으로 이동되면서 감쇄됨에 따라서, 토압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가짐은 물론, 연결부(31)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상부의 역 삼각평 수지층으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연결부(31)가 일측으로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 도 2c는 이중벽관의 외,내부로부터 토압과 수압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부와 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토압과 수압이 발생되게 되면, 수지층(3)을 구성하는 상부 역 삼각형의 수지층과 하부 정 삼각형의 수지층으로 하중이 집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토압과 수압이 가해지게 되면, 수지층(3)의 상,하부에 형성된 역 삼각형의 수지층과 정 삼각형의 수지층이 하나의 보강리브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역,정 삼각형의 수지층이 상호 반대되는 삼각형 수지층을 지지함으로서, 수지층(3)의 중간에 형성된 연결부(31)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토압과 수압 하중이 외,내부로부터 동시에 걸리는 순간에는, 토압 하중은 상광하협의 역 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중간의 연결부(31)로 집중되고 수압 하중은 상협하광의 정 삼각형 수지층을 통해 중간의 연결부(31)로 집중된다.
따라서 연결부(31)에 집중되었던 토압 및 수압 하중은 서로가 연결부(31)에서 평형을 이루며 존재함으로서, 외부 토압 및 내부 수압에 대한 저항강도가 최대로 향상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부(31)에는 토압 하중과 수압 하중이 상호 충돌하여 평형을 이룸에 따라서 연결부가 일측으로 휘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토압 및 내부 수압에 대한 저항강도가 최대로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도 2a,2b,2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연결부(31)의 양측에는 각 정육각 중공부(2)의 모서리부(21)가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연결부(31)가 일측으로 휘어지는 여유 공간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부(31)는 상,하부에 구성된 역,정 삼각형의 수지층으로 구성된 수지층(3)이 전체적으로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 이상, 연결부(31)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1)는 역,정 삼각형의 수지층과 일체로 구비됨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이중벽관의 내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벽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의 이중벽관을 구성하는 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B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중벽관을 구성하는 관(1)은, 양측에 꼭지 모서리부(21)가 위치되고 상,하부에 상,하 수평면(22,23)이 위치되어 있는 정육각 중공부(2)를 포함하고 있으며, 외면이 양측 수직면(121)과 상,하측 수평면(122,123)으로 이루어진 외면 사각형 관(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1)의 외면을 사각형으로 구성함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중벽관의 제조장치를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면 사각형 관(12)의 측면에 수지층(3)을 열융착을 통해 충진하게 되면, 상기 일 실시예의 이중벽관과 동일한 정육각 중공부(2)가 형성되는 한편 그 사이에는 상,하부에 역,정 삼각형 형상의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중벽관을 제조하는 관의 형상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하나, 최종 결과물인 이중벽관이 상술한 일 실시예의 이중벽관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작용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작용과 상동함에 따라서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2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41)으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 보강판(41)은, 유체의 이동수압으로 인하여 이중벽관에 걸리는 길이방향의 인장하중에 대하여 최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중벽관에 있어 길이방향의 인장강도를 최대로 향상시켜 이중벽관에 있어서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 사이를 연결하는 수지층이 갈라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속이 빠른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상,하 수평면(22,23)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 보강판(42)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 보강판(42)은, 이중벽관에 걸리는 수직의 토압 및 수압하중에 대하여 정육각 중공부(2)의 저항력을 최대로 향상시킴에 따라, 정육각 중공부(2)의 상부가 편중되게 함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압 및 수압이 강한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2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43)과, 상,하 수평면(22,23)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며 수평 보강판(43)과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 보강판(44)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는 상술한 제1,2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의 장점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 수직 보강판(43,44)을 통해 이중벽관에 걸리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 및 정육각 중공부(2)의 수직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속이 빠르고 토압 및 수압이 강한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4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상,하 수평면(22,23)의 양측에 구비된 꼭지 모서리부(21)를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엊갈리게 연결하며 중간이 일체로 연결되는 한쌍의 경사판(45)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상호 엇갈리게 교차되어 있는 경사판(45)은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수지층(3)의 힘을 분배하면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토압이나 수압의 수직하중이 걸릴 경우에 수지층(3) 전체의 보강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정육각 중공부(2)의 내부를 서로 엊갈리는 경사판(45)을 통해 보강하여 정육각 중공부(2)의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함으로서, 정육각 중공부(2)의 상,하부가 편중되게 함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토압 및 수압이 강한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5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상 수평면(22)과 하부의 양 경사면(24)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측 단부가 정육각 중공부(2)의 중앙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3개소의 돌출 보강판(46)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3개소의 돌출 보강판(46)은 정육각 중공부(2)의 바로 상측에서 받는 하중을 수지층(3)을 구성하는 하부 정 삼각형의 수지층으로 분산시킴으로서, 정육각 중공부(2)의 상측에서 받는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정육각 중공부(2)의 상측에서 받는 수직하중이 정육각 중공부(2)의 중앙으로 집중된 다음 양측으로 갈라진 돌출 보강판(46)으로 분산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으로 갈라진 돌출 보강판(46)은 수지층(3)을 구성하는 하부 양 경사면(24)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분산된 하중이 수지층(3)으로 흡수됨에 따라서 상호 이웃하는 양 수지층(3)에서 수직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직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순간에는, 수직의 돌출 보강판(46)과 양측으로 돌출된 보강판(46)이 정육각 중공부(2)의 중앙에서 만나게 됨으로서, 3개소의 돌출 보강판(46)간에는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3개소의 돌출 보강판(46) 중 하나인 수직의 돌출 보강판(46)이 쉽게 휘어지지 않게 됨으로서, 토압의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정육각 중공부를 가지는 이중벽관은 토압이 높은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제6 실시예의 정육각 중공부(2)는, 하 수평면(23)의 양측 꼭지 모서리부(21)와 상 수평면(22)의 중간을 상호 대칭되게 연결하는 한쌍의 경사판(47)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대칭되는 한쌍의 경사판(47)을 통해 정육각 중공부(2)의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함으로서, 정육각 중공부(2)의 상,하부가 편중되게 함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토압 및 수압이 강한 배수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의 측부를 연결하는 수지층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외부 토압 및 내부 수압으로 인하여 이중벽관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이중벽관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압과 수압의 강도와 상응되는 여러 실시예의 이중벽관을 제공함으로서, 좀더 안정성을 가지는 배수로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벽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1b는 이중벽관을 구성하는 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벽관에 하중이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는 외부로부터 토압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내부로부터 수압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c는 이중벽관의 외,내부로 토압과 수압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벽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3b는 이중벽관을 구성하는 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 중공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0은 종래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이중벽관의 측벽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종래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이중벽관의 측벽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종래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이중벽관의 측벽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
11 : 정육각형 관
12 : 외면 사각형 관
121 : 수직면, 122 : 상측 수평면, 123 : 하측 수평면
2 : 정육각 중공부
21 : 꼭지 모서리부
22 : 상 수평면
23 : 하 수평면
24 : 경사면
3 : 수지층
31 : 연결부
41 : 수평 보강판
42 : 수직 보강판
43 : 수평 보강판
44 : 수직 보강판
45 : 경사판
46 : 돌출 보강판
47 : 경사판

Claims (9)

  1. 양측에 꼭지 모서리부(21)가 위치되고 상,하부에 상,하 수평면(22,23)이 위치되어 있는 정육각 중공부(2)를 가지는 관(1)이 양 꼭지 모서리부(21)가 상호 마주보도록 스크류식으로 권취되어 원통을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식으로 권취되는 관(1)의 측부 사이에는 상,하 대칭되는 수지층(3)이 연속적으로 충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1)은,
    측벽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정육각형 관(1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1)은,
    외면이 양측 수직면(121)과 상,하측 수평면(122,123)으로 이루어진 외면 사각형 관(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2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41)으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상,하 수평면(22,23)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 보강판(42)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양측 꼭지 모서리부(2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판(43)과, 상,하 수평면(22,23)의 중간을 상호 연결하며 수평 보강판(43)과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 보강판(44)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상,하 수평면(22,23)의 양측에 구비된 꼭지 모서리부(21)를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엊갈리게 연결하며 중간이 일체로 연결되는 한쌍의 경사판(45)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상 수평면(22)과 하부의 양 경사면(24)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측 단부가 정육각 중공부(2)의 중앙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3개소의 돌출 보강판(46)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 중공부(2)는,
    하 수평면(23)의 양측 꼭지 모서리부와 상 수평면(22)의 중간을 상호 대칭되게 연결하는 한쌍의 경사판(47)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KR10-2003-0085255A 2003-11-27 2003-11-27 이중벽관 KR10053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255A KR100538843B1 (ko) 2003-11-27 2003-11-27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255A KR100538843B1 (ko) 2003-11-27 2003-11-27 이중벽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42U Division KR200332881Y1 (ko) 2003-08-22 2003-08-22 이중벽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556A true KR20050020556A (ko) 2005-03-04
KR100538843B1 KR100538843B1 (ko) 2005-12-26

Family

ID=3722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255A KR100538843B1 (ko) 2003-11-27 2003-11-27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8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53B1 (ko) * 2007-01-11 2008-10-16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CN105318116A (zh) * 2015-10-23 2016-02-10 广东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一种覆塑带增强中空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KR101647607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충진벽관
KR101647604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프로파일관
KR101647605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다중벽관
KR101647606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다중 격벽 구조의 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001B1 (ko) 2006-05-09 2007-03-12 성우파이프 (주) 차수막이 구비된 고강도 허니콤 하수관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547B1 (ko) * 1999-06-11 2002-03-07 도회만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200255575Y1 (ko) * 2001-09-08 2001-12-13 대림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0294970Y1 (ko) * 2002-08-03 2002-11-13 박장주 보강구조를 갖은 합성수지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53B1 (ko) * 2007-01-11 2008-10-16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CN105318116A (zh) * 2015-10-23 2016-02-10 广东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一种覆塑带增强中空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KR101647607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충진벽관
KR101647604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프로파일관
KR101647605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다중벽관
KR101647606B1 (ko) * 2015-11-11 2016-08-10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접합부 이탈방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다중 격벽 구조의 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843B1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0370B (zh) 连接结构、钢管混凝土叠合柱及施工方法
KR100538843B1 (ko) 이중벽관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110878587A (zh) 一种模块装配式建筑梁柱节点连接结构
KR101174548B1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시스템
CN113279501A (zh) 带撑排钢管钢板混凝土剪力墙结构
KR200332881Y1 (ko) 이중벽관
US7913462B2 (en)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s and methods of use
CN207363113U (zh) 钢管混凝土组合异形柱和h型钢梁连接构造
RU2178494C1 (ru) Сетчатая башня
CN212248894U (zh) 一种用于伞状建筑造型的结构柱
CN114277937A (zh) 中空夹层钢管混凝土构件连接结构、组合结构及施工方法
CN205475881U (zh) 连通式少配筋局部加强型不贯通开缝混凝土耗能隔墙
KR102217090B1 (ko) 보강토 블록
KR100352387B1 (ko)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CN206722219U (zh) 一种倒梯形变截面钢管混凝土柱
CN205576970U (zh) 框架式组合结构综合管廊
CN213476940U (zh) 一种止水帷幕
CN205369595U (zh) 连通式少配筋不贯通开缝混凝土耗能隔墙
CN218060767U (zh) 用于网架空间结构屋面主次檩条的连接节点
CN214609400U (zh) 一种地埋抗浮无拉筋立式罐体
JP2020165150A (ja) 骨組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ビニルハウス
JPH07119165A (ja) 自立式セル構築物
JP2002205793A (ja) タンクの内部補強構造
CN205369597U (zh) 分断式少配筋局部加强型不贯通开缝混凝土耗能隔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