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15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159A
KR20050020159A KR1020030057893A KR20030057893A KR20050020159A KR 20050020159 A KR20050020159 A KR 20050020159A KR 1020030057893 A KR1020030057893 A KR 1020030057893A KR 20030057893 A KR20030057893 A KR 20030057893A KR 20050020159 A KR20050020159 A KR 2005002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837B1 (ko
Inventor
김우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5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8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Ring Back Tone)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의 페이징(Paging) 요청을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자를 호출(Ringing)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소정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발신 요청 후 프로그래스 톤(Progress Tone)을 송출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따라 상기 프로그래스 톤 송출을 중단하고 기설정된 모드의 알람을 링백톤으로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고비용이 소요되는 이동통신망 자체의 교체없이 발신자가 상대방 이통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나아가, 발신자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는 시점을 인지함으로써, 페이징 응답 지연으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링이 울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 전화를 끊는 경우를 예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호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Method of Ring Back Ton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Ring Back Tone)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페이징(Paging)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 해당 페이징 응답에 따른 링잉(Ringing)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이용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발신자가 상대방 이통통신 단말기에 벨이 울리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휴(Idle) 상태이면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링을 울려 전화가 왔음을 상대방에 알린다. 이와 같이 발신자가 전화를 걸어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기까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링백톤(Ring Back Tone)이 울리고, 이후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두 가입자간에 소정의 통화로가 형성되어 서로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 링백톤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발신 요청을 하여 발신측 이동통신망에 접속한 시점부터 해당 페이징 요청을 받은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시점까지의 프로그래스 톤(Progress Tone)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시점부터 상대방이 전화를 받은 시점까지, 즉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는 동안의 협의의 링백톤으로 구별된다.
상기 프로그래스 톤은 착신측 이동통신망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페이징을 요청하는 시점과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검색 시점에 따라 짧게는 수초에서 길게는 수십초동안 울릴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발신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건 이후부터 통화가 이루어지기까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획일적인 링백톤이 울리기 때문에, 발신자는 실제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는지 여부 및 링이 울리는 시점을 알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획일적인 링백톤만을 듣게되는 발신자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응답이 지연되는 경우 실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링이 울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 전화를 끊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고 호 완료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페이징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 해당 페이징 응답에 따른 링잉(Ringing) 정보를 SMS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프로그래스 톤과 구별되는 특정 음을 발생시키거나 특정 문자열을 표시하여 발신자가 상대방 이통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망의 페이징(Paging) 요청을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자를 호출(Ringing)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소정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발신 요청 후 프로그래스 톤(Progress Tone)을 송출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따라 상기 프로그래스 톤 송출을 중단하고 기설정된 모드의 알람을 링백톤으로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 상태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백톤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해당 메시지에 상기 호출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람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을 상기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은 프로그래스 톤과 구별되는 특정 음이나 상기 호출 상태를 표시하는 특정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링잉(Ringing)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송신(SEND)키를 누르면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칭함)(10)는 발신측 이동통신망(20)으로 발신 요청을 한다(S11).
상기 발신 요청을 수신한 발신측 이동통신망(2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발신 응답을 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접속을 한다(S12,S13).
이때,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발신 호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톤(Progress Tone)이 울리기 시작한다(S14).
그리고, 발신측 이동통신망(20)은 가입자 위치 정보 및 라우팅 정보가 저장된 HLR(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과의 연동을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망(40)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고(S15), 착신측 이동통신망(40)은 해당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로 페이징 요청(Paging Request)을 한다(S16).
상기 페이징 요청을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착신측 이동통신망(40)으로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을 송신하여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망(40)에 트래픽 채널 접속을 한다(S17,S18).
그러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에는 사용자가 응답하여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를 호출하는 링이 울리기 시작하는데(S19), 이때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에 자신이 현재 사용자 호출 상태임을 나타내는 링잉(Ringing) 정보를 저장하여 착신측 이동통신망(40)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30)로 전송한다(S20,S21).
이에,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는 HLR(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의 수신측, 즉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및 라우팅 정보를 획득해 해당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통신망(20)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22,S23).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CDMA 이동통신망의 프로토콜 규격(IS-95A/B, IS-2000)에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의 하나로서, 통화중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트래픽 채널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50)와 이동통신망(20,40)간 송수신이 가능하며, 주로 SMS 메시지 전송에 사용된다.
이러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는 초기 기지국(미도시) 등록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기지국 파라미터와 발신측 어드레스(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트래픽 채널 접속 시점부터 프로그래스 톤을 울리고 있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일반 SMS 메시지인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의 링잉 정보가 저장된 메시지인지를 판독하여 해당 링잉 정보가 저장된 메시지인 경우 프로그래스 톤 발생을 중단하고, 수신측 응답에 의한 통화시까지 발신자에게 상기 프로그래스 톤과 구별되는 알람을 발생시킨다(S25).
상기 알람에는 진동, 벨, 램프 등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기설정된 특정 음을 발생시키거나 기설정된 특정 문자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5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50)는 제어부(11)와 메모리(12), 알람부(13), 송수신부(14), 메시지 처리부(15) 및 듀플렉서(16)로 구성된다.
제어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링백톤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2)에는 본 발명의 링백톤 서비스 모드 및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수신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모드가 설정되고,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생성시 해당 메시지에 저장되는 링잉(Ringing) 정보가 저장된다.
알람부(13)는 상기 설정된 알람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특정 음을 발생시키거나 특정 문자열을 표시한다.
듀플렉서(16)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와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분리하고, 메시지 처리부(15)는 수신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분석하고, 송신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송수신부(14)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상기 메시지 처리부(15)에서 생성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송신 처리하여 듀플렉서(16)를 통해 이동통신망(20,40)으로 송신하고, 듀플렉서(16)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 처리하여 메시지 처리부(15)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발신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송신(SEND)키를 누름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망(20)에 발신 요청을 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트래픽 채널로 발신측 이동통신망(20)에 접속한다(S311).
그리고,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망(20)으로부터 프로그래스 톤을 수신하여 발신자에게 송출한다(S312).
이후, 발신측 이동통신망(20)을 통해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수신되면(S313), 해당 메시지가 일반 SMS 메시지인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사용자 호출 여부를 알려주는 수신측 링잉 알람 메시지인지를 확인하여(S314), 수신측 링잉 알람 메시지인 경우 기설정된 특정 음이나 특정 문자열을 발신자에게 출력한다(S315).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S314), 수신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일반 SMS 메시지인 경우 대응하는 일반 SMS 메시지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S316).
한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착신측 이동통신망(40)의 페이징 요청에 응답하여 트래픽 채널로 상기 착신 이동통신망(40)에 접속하고(S321), 링을 울려 사용자를 호출한다(S322).
그리고, 자신이 현재 링잉 상태임을 발신측으로 알려주기 위해 해당 링잉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측 이동통신망(40)을 통해 SMS 전송을 수행한다(S323,S324).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망(40)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 및 발신측 이동통신망(20)을 거쳐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링백톤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메시지의 CHARi 필드는 SMS 상위 레이어(Layer)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SMS의 종류(broadcasting, point-to-point), 메시지의 발신 및 수신측 정보, 전송할 문자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CHARi 필드 중 사용자가 전달할 문자가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일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와 구별되는 문자 코드 값이 저장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50)의 링잉 여부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일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지만, 이동통신망(20,40)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에서는 일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로 취급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측으로부터 링잉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설정된 특정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프로그래스 톤 송출 중 수신측으로부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링잉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문자열, 예컨대 "000의 전화기에 벨이 울리기 시작하였습니다."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페이징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 해당 페이징 응답에 따른 링잉(Ringing) 정보를 SMS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프로그래스 톤과 구별되는 특정 음을 발생시키거나 특정 문자열을 표시함으로써, 고비용이 소요되는 이동통신망 자체의 교체없이 발신자가 상대방 이통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발신자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링이 울리는 시점을 인지함으로써, 페이징 응답 지연으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링이 울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 전화를 끊는 경우를 예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호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측 링잉 정보를 특정 문자열로 표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20 : 발신측 이동통신망
3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40 : 착신측 이동통신망
50 :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4)

  1. 이동통신망의 페이징(Paging) 요청을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자를 호출(Ringing)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소정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발신 요청 후 프로그래스 톤(Progress Tone)을 송출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에 따라 상기 프로그래스 톤 송출을 중단하고 기설정된 모드의 알람을 링백톤으로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상태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해당 메시지에 상기 호출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람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을 상기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프로그래스 톤과 구별되는 특정 음이나 상기 호출 상태를 표시하는 특정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20030057893A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56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93A KR100565837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93A KR100565837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159A true KR20050020159A (ko) 2005-03-04
KR100565837B1 KR100565837B1 (ko) 2006-03-30

Family

ID=372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93A KR100565837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7479A (zh) * 2013-09-10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示呼叫状态的方法及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7479A (zh) * 2013-09-10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示呼叫状态的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837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1722T3 (es) Un método de cambio remoto de características de operación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JP2002051109A (ja) 無音着信電話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20000055316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11055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3005647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100454957B1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3898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호 표시 방식 전환 방법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31714A (ko) 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500197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5940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579798B1 (ko) 메시지 도착 알림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4004334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긴급통화 알람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20030090817A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부재상황알림 방법
KR1007218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세지를 이용한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