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943A -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943A
KR20050019943A KR1020030055862A KR20030055862A KR20050019943A KR 20050019943 A KR20050019943 A KR 20050019943A KR 1020030055862 A KR1020030055862 A KR 1020030055862A KR 20030055862 A KR20030055862 A KR 20030055862A KR 20050019943 A KR20050019943 A KR 2005001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band
signal
communication system
frequency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049B1 (ko
Inventor
이예훈
박승영
김용석
김완진
이우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49B1/ko
Priority to EP20040017763 priority patent/EP1507335B1/en
Priority to DE200460013090 priority patent/DE602004013090T2/de
Priority to US10/915,452 priority patent/US7369829B2/en
Priority to JP2004234026A priority patent/JP3944203B2/ja
Publication of KR2005001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637Receiver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이 개시된다. 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밴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환경에서 사용되며,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 곱셈부, 상관수신부, 및 버퍼부를 구비한다.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는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를 생성한다.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는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하며, 곱셈부는 수신신호와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관수신부는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적분시간에 따라, 곱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퍼부는 상관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데이터율로 출력되도록 버퍼링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부밴드별로 서로 다른 경로 감쇄를 보상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Receiving apparatus for muti-band UWB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밴드(muti-band)를 사용하는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통신시스템에서 각 부밴드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 부밴드별 수신신호의 경로 감쇄 정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지털 펄스라고도 알려져 있는 초광대역 통신은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술이다. 초광대역 통신은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수 GHz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면서도 단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주파수 슬롯(Slot)의 부족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초광대역 통신은 500Mbps∼1Gbps의 초고속 전송속도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빠른 전송속도에도 불구하고 전력소모량은 휴대폰이나 무선랜(WLAN) 등의 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량의 100분의 1 수준밖에 안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초광대역 통신의 핵심 기술로는 100Mbps급 UWB 모뎀 기술, 고품질 QoS(Quality of Service) 지원을 위한 맥(MAC) 기술, 및 광대역 전송에 적합한 소형 안테나 기술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초광대역 통신의 기술 표준안으로 현재 싱글밴드와 멀티밴드가 주장되고 있다. 싱글밴드에서는 가용 주파수 밴드의 전 대역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며, 멀티밴드에서는 가용 주파수 밴드의 전 대역을 여러개의 부밴드(sub-band)로 나눠 사용한다. 현재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은 3.1 GHz 에서 10.6 GHz 사이에 위치하는 가용 주파수 밴드를 M 개의 부밴드로 나누어 사용한다.
도 1은 M = 16 개인 부밴드를 갖는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우 프리퀸시 세트(Low Frequency Set)에 0 ~ 7 까지의 부밴드가 설정되고, 하이 프리퀸시 세트(High Frequency Set)에 8 ~ 15까지의 부밴드가 설정된다. 도 1에서, Unexpected interfer 라고 표시된 영역은, 다른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여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각 부밴드마다의 중심주파수(Fc)와 저역 주파수(FL), 및 고역주파수(FH)는 다음의 표와 같다.
#A/B Fc FL FH #A/B Fc FL FH
0A 3.52 3.251 3.789 8A 7.04 6.771 7.309
0B 3.74 3.471 4.009 8B 7.26 6.991 7.529
1A 3.96 3.691 4.229 9A 7.48 7.211 7.749
1B 4.18 3.911 4.449 9B 7.7 7.431 7.969
2A 4.4 4.131 4.669 10A 7.92 7.651 8.189
2B 4.62 4.351 4.889 10B 8.14 7.871 8.409
3A 4.84 4.571 5.109 11A 8.36 8.091 8.629
3B 5.06 4.791 5.329 11B 8.58 8.311 8.849
4A 5.28 5.011 5.549 12A 8.8 8.531 9.069
4B 5.5 5.231 5.769 12B 9.02 8.751 9.289
5A 5.72 5.451 5.989 13A 9.24 8.971 9.509
5B 5.94 5.671 6.209 13B 9.46 9.191 9.729
6A 6.16 5.891 6.429 14A 9.68 9.411 9.949
6B 6.38 6.111 6.649 14B 9.9 9.631 10.169
7A 6.6 6.331 6.869 15A 10.12 9.851 10.389
7B 6.82 6.551 7.089
[표 1]에서 주파수 플랜 B를 기준으로 했을때, 가장 주파수가 높은 부밴드인 14B의 중심 주파수 9.9 GHz이고, 가장 주파수가 낮은 부밴드인 0B의 중심주파수 3.74 GHz로써, 이 둘의 중심주파수를 비교했을때 2.65배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경로에 따른 전파감쇄는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9.9 GHz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3.74 GHz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비해, 7배(8.45dB) 정도의 경로 감쇄를 겪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멀티밴드를 사용하는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11), 곱셈부(13), 상관수신부(14), 및 신호처리부(16)를 구비한다.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는 수신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의 각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m)을 산출한다.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12)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밴드 인데스(m)에 따라 각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한다. 곱셈부(13)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와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관수신부(14)는 곱셈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적분한 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6)는 상관수신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한다.
그런데, 종래의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는, 상관수신부 (14)가 M개의 각 부밴드를 통해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할때 동일한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각 부밴드당 동일한 시간에 걸쳐서 수신된 신호의 에너지를 모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부밴드당 수신신호의 에너지 차이가 최대 8.45dB 까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 부밴드별 수신신호들의 에너지 차이는 각 부밴드별로 서로 다른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BER)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가장 경로 감쇄가 큰 부밴드, 즉 중심주파수가 가장 높은 부밴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비트 오류율에 의해서 전체 부밴드의 평균 비트 오류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전체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각 부밴드별로 수신되는 신호의 에너지 차이를 감소시켜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밴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하며,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를 생성하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하는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곱셈부,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적분시간에 따라, 상기 곱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상관수신부, 및 상기 상관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데이터율로 출력되도록 버퍼링하는 버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관수신부는,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분시간을 산출하는 수신적분시간 조정기, 상기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곱셈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상관기, 및 상기 상관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적분시간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샘플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적분시간은 중심 주파수가 높은 부밴드가 중심 주파수가 낮은 부밴드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각 부밴드별 경로 감쇄 정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은,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밴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적분시간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데이터율로 출력되도록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퍼링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분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분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적분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값을 상기 적분시간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분시간은 중심 주파수가 높은 부밴드가 중심 주파수가 낮은 부밴드보다 커지도록 설정하여, 각 부밴드별 경로 감쇄 정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은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120), 곱셈부(130), 상관수신부(140), 버퍼부(160), 및 신호처리부(180)를 구비한다.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는 수신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가 전송된 각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m)를 산출한다.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 (120)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에서 산출된 멀티밴드 인덱스(m)에 따라 각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 exp(j2πfm)를 출력한다. 곱셈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에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관 수신부(140)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에서 산출된 멀티밴드 인덱스(m)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적분시간을 이용하여 곱셈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적분값을 산출한다. 버퍼부(160)는 상관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하여, 출력시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버퍼링을 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80)는 버퍼부(1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한다.
도 4는 도 3의 상관수신부(14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관수신부(140)는 상관기(141), 수신적분시간 조정기(143), 및 샘플러(145)를 구비한다. 수신적분시간 조정기(143)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에서 산출된 멀티밴드 인덱스(m)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적분시간(Tm)을 산출한다. 수신적분 조정기(143)에서 산출된 적분시간(Tm)은 상관기(141) 및 샘플러(145)로 출력된다. 상관기(141)는 수신적분시간 조정기(143)로부터 전달되는 적분시간(Tm)에 따라 곱셈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한다. 샘플러(145)는 상관기(141)의 출력을 매 Tm 시간마다 샘플링하여 버퍼부(160)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안테나를 통해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를 수신한다(S200).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에서 송신측에서 생성되는 송신신호는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송신전력, d(t)는 이진 데이터 신호, m 은 총 부밴드의 개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fm ,,θm 는 각각 부밴드의 중심주파수 및 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송신신호는 각각 T초 만큼 시간지연을 두고 각 부밴드별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므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Lm, Gm 는 각각 부밴드별로 채널에서 생기는 경로감쇄와 다중 경로 페이딩으로 생기는 채널 전력이득을 나타내며, n(t)는 백색 가우션 잡음, τ는 채널에서 발생되는 지연, 그리고 Φm = θm - 2πfmτ 이다.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는 수신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가 전송된 각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m)를 발생시킨다(S205).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멀티밴드 인덱스(m)는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기(120)에 전달되며,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기(120)는 멀티밴드 인덱스(m)에 대응하여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가 발생된다(S210). 곱셈부(130)는 수신한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에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생성한다(S215). 곱셈부(130)에서 생성된 신호는 상관수신부(140)로 출력된다.
상관수신부(140)는 멀티밴드 인덱스(m)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되는 적분시간(Tm)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곱셈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한 값을 출력한다(S220). 상관수신부(140)에서 산출되는 적분시간은, 멀티밴드 인덱스에 따라 증가되는 값으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일정한 적분시간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에서는 각 부밴드별로 적분시간을 가변적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상관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비트 에너지는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관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버퍼부(160)에 저장되며(S225), 버퍼부(160)는 저장된 신호를 출력시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버퍼링이 필요한 이유는, 상관수신기(140)에서 부밴드별로 각각 다른 적분시간을 사용함으로써, 상관수신기(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시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버퍼부(16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처리부(180)에서 전달되어 신호처리되고(230), 이에 의해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가 복원된다.
도 6은 수신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비트 오류율을 나카가키 페이딩 파라미터 m 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 값이 커질수록 수신신호 대 잡음비의 변화에 따라 비트 오류율이 급격히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멀티밴드 초고주파 통신시스템에서 각 부밴드별 비트 오류율의 차이가 m 값이 커질수록, 즉 통신환경이 좋아질수록 더욱 커져서, 전체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를 적용하였을때,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상관 수신기(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가 다음의 [표 2]와 같은 타임 프리퀸시 시퀸스(Time Frequency Sequence) 에서 S2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신호는, 멀티밴드 인덱스가 0-3-6-2-5-1-4 로 변하는 시퀸스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경우이다.
S1 0 1 2 3 4 5 6
S2 0 2 4 6 1 3 5
S3 0 3 6 2 5 1 4
S4 0 4 1 5 2 6 3
S5 0 5 3 1 6 2 2
S6 0 6 5 4 3 4 1
도 7을 참조하면, 멀티밴드 인덱스가 0, 1, 2 인 경우에 적분시간을 T0 = T1 = T2 = T-s 로 하고, 멀티밴드 인덱스가 4,5,6인 경우에는 T4 = T5 = T 6 = T+s 로 하며, 멀티밴드 인덱스가 3인 경우에는 T3 = T 로 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경로 손실이 적은 부밴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적분시간을 짧게 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적게 수신하고, 반대로 경로 손실이 많은 부밴드를 통해서 전송된 신호는 적분시간을 길게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적분단계를 나누는 경우, 1/T Hz 와 1/s Hz 두개의 시스템 클럭으로 상관적분기(140)에서 사용되는 적분시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와 비교하여, 1/s Hz 클럭 하나만 추가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적분시간을 다단계로 나누면 나눌수록 성능개선 효과는 더욱 뚜렷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과 종래의 수신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송신신호 대 잡음비가 20dB 이고, 나카가미 페이딩 파라미터 m이 4 인 경우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적분시간을 가변적으로 사용하여, 평균 비트 오류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은 신호의 비트 오류율을 낮춰 주고, 상대적으로 주파수 대역이 낮은 신호의 비트 오류율은 오히려 높여 줌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평균 비트 오류율을 낮출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성능을 송신신호 대 잡음비에 관하여 여러 채널 파라미터 m 값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m 이 증가 할수록 본 발명에 따른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이 더 큰 성능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m =16 이고, 요구되는 비트 오류율이 10 -5 일때, 본 발명에 따른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는 1dB의 성능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이득은 도 7에서 설명한 적분단계를 갖는 경우이며, 더욱 많은 단계로 적분시간을 조정하는 경우 더 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상관수신부의 적분시간을 각 부밴드별로 다르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각 밴드별로 서로 다른 경로 감쇄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보상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평균 비트 오류율은 낮출 수 있으며, 평균 비트 오류율이 낮아짐에 따라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율을 더욱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상관수신부의 상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수신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비트오류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적분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와 종래의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 110 :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
130 : 곱셈부 140 : 상관수신부
160 : 버퍼부 180 : 신호처리부

Claims (10)

  1.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밴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를 생성하는 멀티밴드 인덱스 발생부;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하는 멀티밴드 주파수 발생부;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곱셈부;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적분시간에 따라, 상기 곱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상관수신부; 및
    상기 상관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데이터율로 출력되도록 버퍼링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수신부는,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분시간을 산출하는 수신적분시간 조정기;
    상기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곱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상관기; 및
    상기 상관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적분시간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샘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시간은 중심주파수가 높은 부밴드가 중심주파수가 낮은 부밴드보다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시스템은,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6.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밴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응하는 멀티밴드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전송된 부밴드에 대한 멀티밴드 주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적분시간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데이터율로 출력되도록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송신측에서 전송한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밴드 인덱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분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적분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신호와 상기 멀티밴드 주파수를 곱한 적분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값을 상기 적분시간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시간은 중심 주파수가 높은 부밴드가 중심 주파수가 낮은 부밴드보다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시스템은,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수신방법.
KR10-2003-0055862A 2003-08-12 2003-08-12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KR10049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862A KR100498049B1 (ko) 2003-08-12 2003-08-12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EP20040017763 EP1507335B1 (en) 2003-08-12 2004-07-27 Signal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b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s
DE200460013090 DE602004013090T2 (de) 2003-08-12 2004-07-27 Signalempfänger und Verfahren für mehrbandige Ultrabreitbandnachrichtentechniksysteme
US10/915,452 US7369829B2 (en) 2003-08-12 2004-08-11 Signal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b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s
JP2004234026A JP3944203B2 (ja) 2003-08-12 2004-08-11 マルチバンド超広帯域通信システムの受信装置及びその受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862A KR100498049B1 (ko) 2003-08-12 2003-08-12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943A true KR20050019943A (ko) 2005-03-04
KR100498049B1 KR100498049B1 (ko) 2005-07-01

Family

ID=3356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862A KR100498049B1 (ko) 2003-08-12 2003-08-12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9829B2 (ko)
EP (1) EP1507335B1 (ko)
JP (1) JP3944203B2 (ko)
KR (1) KR100498049B1 (ko)
DE (1) DE602004013090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747A (ko) * 2005-05-02 2006-11-08 (주)하나로정보통신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저대역수신장치
KR100801240B1 (ko) * 2006-11-24 2008-02-04 주식회사 에스씨티 멀티밴드 ofdm통신용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965680B1 (ko) * 2005-09-26 2010-06-2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271B1 (ko) * 2004-05-25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JP4893618B2 (ja) * 2007-12-27 2012-03-07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927A (en) * 1994-09-20 1997-10-14 Pulson Communications Corporation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026125A (en) * 1997-05-16 2000-02-15 Multispectral Solutions, Inc. Waveform adaptive ultra-wideband transmitter
US7336693B2 (en) * 2001-05-08 2008-02-2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ultra wideband signals
GB0121491D0 (en) * 2001-09-05 2001-10-24 Thales Res Ltd Position fixing system
US7532564B2 (en) * 2002-09-11 2009-05-12 Intel Corporation Sub-banded ultra-wideband communications systems
US7068703B2 (en) * 2003-02-18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 sequences for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018750A1 (en) * 2003-03-03 2005-01-27 Foerster Jeffrey R. Ultra-wideband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747A (ko) * 2005-05-02 2006-11-08 (주)하나로정보통신 초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저대역수신장치
KR100965680B1 (ko) * 2005-09-26 2010-06-2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US7940863B2 (en) 2005-09-26 2011-05-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adio receiving apparatus and radio receiving method
KR100801240B1 (ko) * 2006-11-24 2008-02-04 주식회사 에스씨티 멀티밴드 ofdm통신용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4203B2 (ja) 2007-07-11
US7369829B2 (en) 2008-05-06
US20050037805A1 (en) 2005-02-17
DE602004013090T2 (de) 2009-05-20
EP1507335B1 (en) 2008-04-16
EP1507335A1 (en) 2005-02-16
KR100498049B1 (ko) 2005-07-01
JP2005065282A (ja) 2005-03-10
DE602004013090D1 (de)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ghavan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n interference canceller for collocated radios
CN1922790B (zh) 降低耗用电流的方法以及具有降低耗用电流的通信设备
EP1210768B1 (e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RU2360371C2 (ru) Связной радиоприемник с адаптивным компенсатором
KR20070058686A (ko) 위상합성 다이버시티
US2007008777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3003710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reception radio utilisant une pluralite d'antennes et un amplificateur a acces d'entree multiples et acces de sortie multiples
US11515908B2 (en) Impulse radio ultra-wide band transceiver using radio pulses with multi frequency carriers
KR20050019644A (ko) 적응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98049B1 (ko)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Henthorn et al. Concurrent multiband direct RF sampling receivers
CA2606163C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60585B1 (ko) 반향 제거 장치를 갖는 무선 중계기 및 반향 신호 제거 방법
Piazzo et al. Performance analysis for impulse radio and direct-sequence impulse radio in narrowband interference
RU2395163C2 (ru) Калибровка антенной матрицы для многовходовых многовыходных систем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ondoju et al. Closed-form analysis of various diversity techniques for multiband ofdm uwb system over log-normal fading channels
Lim et al. Performance of multirate transmission schemes for a multicarrier DS/CDMA system
KR20090058037A (ko) Uwb장치 및 방법
Zhao et al. Performance of a multi-band ultra-wideband system over indoor wireless channels
Chan et al. Low-complexity antenna diversity receivers for WCDMA handsets
Uchida et al. Time-varying channel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hannel measurement in MU-MIMO
Kang et al. Data communication using pulse shaping techniques in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roach–In depth review
da Silva et al. Spectral-encoded UWB communication systems: Channel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narrow-band interference
Kohri An interference suppressor for CW and narrow-band signals using filter bank on CDMA communications
Xiao et al. GLRT Approach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Practical Burst Packet Acquisition with AGC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