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723A - 음성통신 및 테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음성통신 및 테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723A
KR20050018723A KR1020030082145A KR20030082145A KR20050018723A KR 20050018723 A KR20050018723 A KR 20050018723A KR 1020030082145 A KR1020030082145 A KR 1020030082145A KR 20030082145 A KR20030082145 A KR 20030082145A KR 20050018723 A KR20050018723 A KR 2005001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oice
vo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020B1 (ko
Inventor
이재경
김재두
조영익
장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세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세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세통신
Priority to KR10-2003-008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0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020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연결번호가 등록된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발신자가 접속하기 원하는 착신자의 상기 대표번호를 상기 발신자로부터 수신하여, 발신자의 단말기가 음성통신만 가능한 단말기인지,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음성통신용 단말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결번호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한다.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기라고 판단된 경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URL를 SMS로 전송하고 SMS로 전송된 URL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다.

Description

음성통신 및 테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Communication Method of being feasible to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및 테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유선전화의 보급이 확대되고, 무선 휴대전화가 일반화되면서, 각 개인이 보유하는 전화번호는 유선전화번호, 무선 휴대전화번호, 사무실전화번호 등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한 개인들 무선전화기의 교체, 이사 등으로 전화번호의 변경도 자주 일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수 개의 전화번호의 보유, 전화번호의 변경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가입자에게 평생 변경되지 않는 한 개의 고유번호, 이른바 대표번호를 부여하고 이 대표번호에 가입자가 보유한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연결하여 통합 관리하며 대표번호를 통하여 통화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따라서 가입자에게 통화를 원하는 발신자는 대표번호만을 기억하고 이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표번호는 음성통신 위주의 서비스, 즉 유선전화번호, 팩스번호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통합 관리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 개인은 이메일(e-mail), 홈페이지 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다수 개 갖게 되면서 데이터통신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개의 URL 등이 대표번호와 연결되어 통합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대표번호에 음성통신뿐만 아니라 이메일, 홈페이지, 인터넷 사이트 등의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에 행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통신방법은 복수개의 연결번호가 등록된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자 단말로부터 착신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단말이 음성통신용 단말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음성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결번호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URL를 발신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에서, 데이터통신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접속이 가능한 전화번호는 복수개 이고,
상기 발신자가 복수개의 전화번호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통신용 단말은 유선전화기이고, 상기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은 무선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기록매체는,
복수개의 연결번호가 등록된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로부터 착신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발신자 단말이 음성통신용 단말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음성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결번호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하는 기능;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URL를 발신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기능
를 수행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대표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교환부(110),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 웹서버접속부(115) URL SMS 전송부(117)를 포함한다.
발신자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기(121)로 무선망(131)을 통하여 또는 음성통신용 단말기(123)를 이용하여 유선망(133)을 통하여 통신시스템(100)에 접속된다.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에는, 가입자들 각각의 대표번호가 저장된다. 또 각 대표번호마다 각 개인이 보유하는 연락번호, 즉, 핸드폰번호, 집전화번호, 사무실전화번호, 홈페이지 등의 인터넷 사이트 URL 등이 저장된다.
교환부(110)는, 접속을 요청하는 발신자와 무선망(131) 또는 유선망(133)을 통하여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교환부(110)는 가입자데이터베이스 (113), 웹서버접속부(115) 또는 URL SMS 전송부(117)와 접속되어 해당 신호를 송수신한다.
웹서버접속부(115)는 교환부(110)로부터 URL을 수신하여 해당 인터넷 웹서버에 접속한다.
URL SMS 전송부(117)는 교환부(110)로부터 URL전송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자에게 해당 URL을 SMS로 전송한다.
도 2는 발신자가 가입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교환부(110)는 음성통신용 단말기로 유선망(133)을 통하여 또는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기로 무선망(131)을 통하여 발신자가 입력한 대표번호를 수신한다(S131). 대표번호가 수신되면, 교환부(110)는 입력된 대표번호를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에서 검색하여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10).
가입자가 아닌 경우, 즉 발신자가 입력한 번호가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에 대표번호로서 등록되지 않은 번호이면 교환부(110)는 결번안내방송을 발신자에게 송출한다(S220).
가입자인 경우, 교환부(110)는 발신자가 음성통신용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하는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하는 지를 판단한다(S230).
단계(S230)에서 판단한 결과 발신자가 음성통신용 단말기로 접속하는 경우(S240)이면, 가입자의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락번호들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연락번호들을 선별한다(S241). 발신자가 선별된 연락번호들 중에서 접속을 원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242). 예컨대,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가입자의 대표번호에 1번 핸드폰번호, 2번 집전화번호, 3번 사무실전화번호 및 4번 인터넷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가 1번 내지 3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242).
이 안내방송에 따라 발신자에 의해 연결번호를 선택되면, 교환부(110)는 해당 연결번호와 자동 통화연결을 수행한다(S243).
단계(S230)에서 판단한 결과 발신자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기로 접속하는 경우(S250)이면, 가입자의 대표번호에 등록된 모든 연락번호들 중에서 발신자가 접속을 원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251). 예컨대, 가입자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가입자의 대표번호에 1번 핸드폰번호, 2번 집전화번호, 3번 사무실전화번호, 4번 인터넷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의 단말기는 음성통신뿐만 아니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므로 1번 내지 4번 중에서 원하는 접속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251).
교환부(110)는 발신자가 테이터통신을 원하는지를 판단한다(S252).
발신자가 데이터통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즉 발신자가 앞서 설명한 예에서 1번 내지 3번을 선택한 경우, 교환부(110)는 해당 연결번호와 자동 통화연결을 수행한다(S243).
발신자가 데이터통신을 원하여 4번을 선택한 경우, 교환부(110)는 가입자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URL을 URL SMS전송부(117)에게 전송하고, URL SMS전송부(117)가 인터넷 사이트의 URL을 SMS를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전송한다 (S253). URL을 SMS로 전송받은 발신자는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교환부(110)를 통하여 해당 URL의 인터넷사이트의 웹서버접속부(115)에 무선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입자는 대표번호에 음성통신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URL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교환부(110)를 이용함으로써, 발신자의 단말기가 음성통신용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인지에 따라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표번호만으로 개인이 갖는 모든 연락번호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가입자는 대표번호에 복수개의 음성통신용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용 URL을 등록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단말기가 음성통신용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인지를 판단하여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부에 의해, 발신자는 가입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뿐만아니라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신자는 가입자의 대표번호만을 기억하여도 가입자와 용이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음성통신 및 테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발신자가 가입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6)

  1. 복수개의 연결번호가 등록된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 단말로부터 착신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단말이 음성통신용 단말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음성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결번호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URL를 발신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데이터통신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하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접속이 가능한 전화번호는 복수개 이고,
    상기 발신자가 복수개의 전화번호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용 단말은 유선전화기인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은 무선단말기인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방법.
  6. 복수개의 연결번호가 등록된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로부터 착신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발신자 단말이 음성통신용 단말인지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음성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대표번호에 등록된 연결번호 중에서 음성통신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과 발신자 단말을 연결하는 기능;
    음성 및 데이터통신용 단말이라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데이터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착신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URL를 발신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기능
    를 수행하는 기록매체.
KR10-2003-0082145A 2003-11-19 2003-11-19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3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45A KR100539020B1 (ko) 2003-11-19 2003-11-19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45A KR100539020B1 (ko) 2003-11-19 2003-11-19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23A true KR20050018723A (ko) 2005-02-28
KR100539020B1 KR100539020B1 (ko) 2005-12-26

Family

ID=3722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145A KR100539020B1 (ko) 2003-11-19 2003-11-19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0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78B1 (ko) * 2005-01-07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동적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76172B1 (ko) * 2006-04-18 2007-11-1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텔피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23528A1 (en) * 2015-08-03 2017-02-09 T-Mobile Usa, Inc. Originating a voice call from a selected number using a temporary routing number
US9729702B2 (en) 2015-05-13 2017-08-08 T-Mobile Usa, Inc. Client application enabling multiple line call termination and origination
US9820116B2 (en) 2015-05-13 2017-11-14 T-Mobile Usa, Inc.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961199B2 (en) 2015-09-15 2018-05-01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termination using hunt groups and implicit registra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78B1 (ko) * 2005-01-07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동적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76172B1 (ko) * 2006-04-18 2007-11-1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텔피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729702B2 (en) 2015-05-13 2017-08-08 T-Mobile Usa, Inc. Client application enabling multiple line call termination and origination
US9820116B2 (en) 2015-05-13 2017-11-14 T-Mobile Usa, Inc.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10200530B2 (en) 2015-05-13 2019-02-05 T-Mobile Usa, Inc. Client application enabling multiple line call termination and origination
US10368209B2 (en) 2015-05-13 2019-07-30 T-Mobile Usa, Inc.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10587991B2 (en) 2015-05-13 2020-03-10 T-Mobile Usa, Inc.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WO2017023528A1 (en) * 2015-08-03 2017-02-09 T-Mobile Usa, Inc. Originating a voice call from a selected number using a temporary routing number
US9826087B2 (en) 2015-08-03 2017-11-21 T-Mobile Usa, Inc. Originating a voice call from a selected number using a temporary routing number
US9961199B2 (en) 2015-09-15 2018-05-01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termination using hunt groups and implicit registration
US10291775B2 (en) 2015-09-15 2019-05-14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termination using hunt groups and implicit regis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020B1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199B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eans for transmitting internet addresses via SMS
US733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ting and changing ring-back sounds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10024951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between subscriber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010112B2 (en) Method of managing trunk and querying and ascertaining ring-back sound to provide ring-back sound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JP5247433B2 (ja) 秘密ルーティング制御番号
CN102611805B (zh) 通信信息通知方法、信息上报方法、服务器及通信终端
US20050147212A1 (en) Network support for customized automatic call answering and holding
CN100448253C (zh) 可指定来电模式的通话系统及其方法
CN101102362A (zh) 允许通信设备具有多个按优先权分级的号码的系统和方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10039209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KR100539020B1 (ko)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EP1775912B1 (en) Method for evalua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a device of a user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3886129B2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交換システム、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移動端末、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20040013330A (ko)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의링백톤 대체음을 착신자의 링백톤 대체음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60090985A (ko)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연결 확립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96568A (ko)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KR101113466B1 (ko) 통신 링크 구축 방법
KR20040089237A (ko) 동보전송 주소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2007003588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연결음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3671A (ko) 통화연결 대기중 유무선통신 사업자 알림방법
KR100754141B1 (ko) 단문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2005534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subscriber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