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676A - 플라즈마 램프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676A
KR20050017676A KR1020030053624A KR20030053624A KR20050017676A KR 20050017676 A KR20050017676 A KR 20050017676A KR 1020030053624 A KR1020030053624 A KR 1020030053624A KR 20030053624 A KR20030053624 A KR 20030053624A KR 20050017676 A KR20050017676 A KR 2005001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plasma lamp
preliminary discharge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정득석
김원석
김영모
정경민
손승현
박형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676A/ko
Priority to US10/902,843 priority patent/US20050057160A1/en
Publication of KR2005001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62Lamps with gaseous cathode, e.g. plasma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4Igniting arrangements, e.g. promoting ionisation for starting
    • H01J61/541Igniting arrangements, e.g. promoting ionisation for starting using a bimetal switch
    • H01J61/542Igniting arrangements, e.g. promoting ionisation for starting using a bimetal switch and an auxiliar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램프에 관해 개시된다. 램프는: 방전가스로 채워 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치하여 주방전이 발생하는 제1간격의 주방전영역의 정의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방전 전극부와; 상기 주방전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1갭에 비해 좁은 제2갭의 예비방전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및 제 2 전극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그 몸체에는 고저항부가 마련되어 있는 예비방전 전극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램프는 고저항부를 가지는 예비방전부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예비 방전을 일으키며, 이러한 예비방전은 종래에 비해 낮은 전압 하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예비방전에서의 하전입자에 의해 주방전이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램프{Plasma lamp}
본 발명은 플라즈마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낮은 방전전압과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지는 플라즈마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LCD(Liquid Crystal Display)의 백라이트(back-light)로 개발되고 있는 램프는 일반적으로 면방전형 또는 대향 방전형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형태의 램프 및 이에 관련된 선행 기술에 대해 미국특허공개 2003/0098643 A1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램프들은 나란히 배치된 두 전극을 구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방전 영역을 가진다. 각 영역에서 두 전극은 전체적으로 고른 방전을 위하여 일정한 방전 갭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두 전극 사이의 방전은 AC 또는 DC 펄스에 의해 발생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미국특허공개 2003/0098643 A1에서 언급된 종래 램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 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면 방전형 램프는 벽체(7)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판(1)과 하판(2)의 사이에 방전가스가 채워 지는 방전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판(2) 내면 양측에 방전용 양 전극(3, 4)이 나란히 형성되고 각 전극(3, 4)은 유전체층(5)에 의해 덮혀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과 하판(2)의 내면에는 형광체층(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대향 방전형 램프는 벽체(7a)에 의해 상판(1a)과 하판(2a)이 소정 간격 이격 되어 있고, 그들의 사이에 방전공간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판(1a)과 하판(2a)의 내면에 방전을 위한 전극(3a, 4a)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이들의 위에 형광체층(6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종래 대향 방전형 램프는 서로 마주보는 벽체(7b)의 내면에 상호 마주보는 전극(3b, 4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3b, 4b)은 유전체층(5b)에 의해 보호된다. 역시 벽체(7b)에 의해 상판(1b)과 하판(2b)이 이격되어 상기 전극(3b, 4b) 간의 방전이 유도되는 방전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상판(1b)과 하판(2b)의 내면에는 형광체층(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램프들의 과제는 구동 전압의 낮추면서 방전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효율이 높은 방전 개스, 예를 들어 방전개스로서 Xe 를 사용하고, 그리고 방전 갭의 증가 충분히 증가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방전 갭의 증가는 방전개시 전압(breakdown voltage)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러한 방전 개시전압의 증가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구동 전압을 가지는 플라즈마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낮은 구동 전압과 높은 방전 효율을 공히 가지는 플라즈마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가스로 채워 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서 상호 마주 보게 위치하여 주방전이 발생하는 제1간격의 주방전영역의 정의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방전 전극부와;
상기 주방전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1갭에 비해 좁은 제2갭의 예비방전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및 제 2 전극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그 몸체에는 고저항부가 마련되어 있는 예비방전 전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전체층이 덮혀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전극 및 이에 대응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쌍이 다수조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방전가스로 채워 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서 상호 마주 보게 위치하여 주방전이 발생하는 제1간격의 주방전영역의 정의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주방전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1갭에 비해 좁은 제2갭의 예비방전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및 제 2 전극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그 몸체에는 고저항부가 마련되어 있는 예비방전 전극부와; 그리고
상기 예비장전전극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전계방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전계방출부는 마이크로 팁 또는 CNT 등을 포함하며, 이의 표면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이들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되는 벽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전면판의 내면, 배면판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전면판과 배면판의 내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램프에 따른 제1실시예를 보이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상판(10)과 하판(20)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그 사이에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하판(20)에 두 쌍의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10)과 하판(20) 사이의 둘레에는 벽체(40)에 의해 소정 거리 유지하면서 방전 가스가 충전되는 방전공간(30)을 형성한다. 상판(10)과 하판(20)의 내면 또는 일측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예비방전부(50)가 제2전극(22)에 마련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제2전극(22)에 두개의 예비방전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방전부(50)는 제1전극(21)과 제2전극(22) 사이의 주방전 갭에 비해 좁은 간격을 유지하는 예비방전단(51)과 예비방전단(51)과 제2전극(22)의 사이에 마련되는 고저항부(5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저항부(52)와 예비방전단(5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고저항부(52) 자체가 예비방전단(51)이 없이 예비방전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방전 메커니즘을 살펴 본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예비방전부에 의해 예비방전영역(A)은 제1,2전극 사이의 주방전영역에 비해 좁은 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갭의 차는 각 영역에서의 공간저항(R1, R2)의 비율에 실질적으로 정비례한다. 즉, 좁은 갭의 예비방전영역(A)의 공간저항(R1)은 상대적으로 넓은 갭의 주방전영역(B)의 공간저항(R2)에 비해 비례적으로 낮다. 물론 이들 공간저항(R1, R2)은 매우 높아서 이들 사이에서 방전이 야기되기 위해서는 가스의 이온화를 유도하기 위한 높은 방전전압(Vd)이 필요하다. 이때에 필요한 방전전압(Vd)은 예비방전영역(A)에서의 절연장벽 파괴를 유발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절연파괴 전압에 비해 낮은 값으로 방전전압(Vd)이 설정된다. 펄스성 방전전압(Vd)이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인가되며, 예비방전영역(A1)과 주방전영역(A2)에 대부분의 방전전압(vd)이 걸리게 되며 이때에 상대적으로 낮은 공간 전압을 가지는 예비방전영역(A1)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나면서 방전이 유발된다. 이러한 예비방전영역(A1)에서의 방전은 예비방전영역(A1)에서의 전기적 쇼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부분에서의 예비방전이 곧 중지된다. 방전에 의한 예비방전영역(A1)의 전기적 쇼트는 예비방전영역(A1)에서의 방전에 의한 전류 흐름이 나타나고 따라서 상기 고저항부(52)의 저항값 R3에 예비 방전영역에서의 공간 저항(R1) 값이 급격이 낮추어 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간 저항값의 급격한 감소는 고저항부에 비해 낮은 저항(전기적으로 무시할 정도로 낮은 상태)을 가지는 예비방전 영역(A)에서의 분압이 방전유지 전압보다 매우 낮게 나타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예비방전영역에서의 방전은 전기적 쇼트를 발생시키고 스스로 방전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예비방전영역에서의 순간적인 방전 개시 및 자발적인 중단에 불구하고 예비방전영역 및 그 부근에는 예비방전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공간 하전 입자가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 하전입자는 상기 구동전압(Vd)하에서도 주방전이 시작될 수 있는 내부 방전 개스를 자극한다. 이러한 주방전은 전기적으로 무저항 상태인 양 전극의 사이에서 일어나며 여전히 주방전 중에도 공간저항(R2)이 양 제1,2전극(21,22)에 비해 매우 높은 상태이므로 구동 전압에 주방전영역에 인가되므로 주방전은 계속된다. 이러한 주방전은 펄스성 구동전압의 펄스 폭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지속된다.
즉, 본 발명은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주어지는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이보다 좁은 예비 방전부를 마련하고, 예비방전부에서의 방전이 자발적으로 중지되도록 예비방전부에서의 분압 감소(또는 제거)를 유도하기 위한 고저항부를 마련하는 것에 기술적 개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개념에 입각하여 전극 배치 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 모두에 예비 방전부(50)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에 모두 예비방전부(50)를 마련한 램프는 AC 펄스형으로서 적합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전극(21, 22)의 예비방전부(50)가 상호 마주 보게 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램프는 소위 면 방전형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대향 방전형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40)를 사이에 둔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내면에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20)측의 제2전극(22)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고저항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위에 예비방전단(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저항부(52)와 이 상부의 예비방전단(51)은 그 상부의 제1전극(21)에 대응하는 예비방전영역(A)을 규정하며, 따라서, 그 외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 사이의 영역은 주방전영역(B)으로 규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AC 펄스형 램프의 일례를 보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40)를 사이에 둔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내면에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0)과 배면판(20) 내면에 형성된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의 양측에 상호 마주 대하는 예비방전부(50)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외 될 수 있는 예비방전부(50)를 의미하며 이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함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램프는 다수 조의 제1,제2전극이 마련된 구조를 가지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기판의 한조의 제1,2전극 만 형성될 수 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3 조 또는 그 이상의 제1,제2전극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쌍의 숫자 및 배치 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관련된 도면에는 제1,제2전극이 가스에 노출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AC 타입의 경우 그 위에 유전체층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에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물질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알려진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그리고 자유롭게 설계 사양에 따라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이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의 순간적인 예비방전을 유도하고 여기에서 발생된 공간 전하를 주방전에 이용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계방출원의 적용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방전을 얻어 낼 수 있다.
전계방출은 예비방전시 예비방전영역에서 일어나도록 하며, 따라서 전계방출을 위한 소스는 예비방전 영역에 예비방전부 또는 예비방전부의 맞은 편의 대응전극에 국부적으로 형성된다. 전계방출은 마이크로 팁이나 카본나노튜브 등과 같은 알려 진 전계방출물질에 의해 이루어 지며 따라서 이러한 물질로 전계방출원이 형성된다. 물질의 선택을 램프의 설계사양 특히 전극 및 예비방전부의 형태에 따라 선택되며, 이러한 전계방출원의 형성방법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a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상기 전계방출원이 예비방전부(50)에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0b는 예비방전부(50)를 확대해 보인 발췌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며, 상판(10)과 하판(20)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그 사이에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하판(20)에 두 쌍의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10)과 하판(20) 사이의 둘레에는 벽체(40)에 의해 소정 거리 유지하면서 방전 가스가 충전되는 방전공간(30)을 형성한다. 상판(10)과 하판(20)의 내면 또는 일측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예비방전부(50)가 제2전극(22)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비방전부(50)는 제1전극(21)과 제2전극(22) 사이의 주방전 갭에 비해 좁은 간격을 유지하는 예비방전단(51)과 예비방전단(51)과 제2전극(22)의 사이에 마련되는 고저항부(52) 및 예비방전단(51)에 형성되는 전계방출원(53)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역시 상기 고저항부(52)와 예비방전단(51)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저항부(52) 자체가 예비방전단(51)이 없이 예비방전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계방출원(5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팁이나 카본나노튜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전계방출이 가능한 어떠한 물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계방출원(53)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들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전계방출원(53)이 적용된 실시예를 보인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에 형성되는 예비방전부(50)에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전계방출원(53)이 적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계방출원(5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에 모두 형성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전극의 예비방전부에만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전술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계방출원이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벽체(40)를 사이에 둔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내면에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20)측의 제2전극(22)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고저항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위에 예비방전단(51)이 형성되고, 예비 방전단(51)의 표면에 전계방출원(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저항부(52), 이 상부의 예비방전단(51) 및 전계방출원(53)은 예비방전부(50)에 속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40)를 사이에 둔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내면에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0)과 배면판(20) 내면에 형성된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의 양측에 상호 마주 대하는 예비방전부(50)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예비 방전부(50)의 표면에 예비방전부(50)의 한 구성요소인 전계방출원(5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외 될 수 있는 예비방전부(50)를 의미하며 이는 역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함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비방전부(50)에 전계방출원(53)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예비 방전시 보다 낮은 전압하에서도 상기 전계방출원(53)으로 부터의 전자 방출에 의해 예비방전이 유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낮은 구동전압으로 램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더하여, 상기 전계방출원의 표면에 일함수(work function)을 낮출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MgO 등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고저항부를 가지는 예비방전부 특히 전계방출원을 구비하는 예비방전부에 의해 램프의 구동전압을 낮출수 있다.
고저항부를 가지는 예비방전부를 구동전압을 낮추며, 여기에 전계방출원이 더 구비되는 경우 구동전압의 낮춤과 동시에 방전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한 어떠한 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램프에 있어서, AC 펄스 구동형 및 DC 펄스 구동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각 구동방식에 대응하여 알려진 부수적인 구성요소는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몇몇의 모범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넓은 발명을 예시하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구조와 배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다양한 다른 수정이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게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면방전형 램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상,하판 대향방전형 램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측벽 대향방전형 램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1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방전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예비 방전부 및 이 근방의 발췌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3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4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5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부분 발췌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6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7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램프의 제8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Claims (15)

  1. 방전가스로 채워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치하여 상호 간에 주 방전이 발생하는 제1갭의 주 방전영역을 정의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방전 전극부와;
    상기 주방전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1갭에 비해 좁은 제2갭의 예비방전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그 몸체에는 고저항부가 마련되어 있는 예비방전 전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전체층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이에 대응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쌍이 다수조 마련되어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소정 거리를 유지하는 전면판 및 배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배면판의 내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공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은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배면판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8. 방전가스로 채워 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치하여 주방전이 발생하는 제1갭의 주방전영역을 정의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 방전전극부와;
    상기 주방전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1간격에 비해 좁은 제2간격의 예비방전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그 몸체에는 고저항부가 마련되어 있는 예비 방전전극부와; 그리고
    상기 예비 방전전극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전계방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방출부는 마이크로 팁과 카본나노튜브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전체층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이에 대응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쌍이 다수조 마련되어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소정 거리를 유지하는 전면판 및 배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배면판 내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공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배면판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램프.
KR1020030053624A 2003-08-02 2003-08-02 플라즈마 램프 KR20050017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24A KR20050017676A (ko) 2003-08-02 2003-08-02 플라즈마 램프
US10/902,843 US20050057160A1 (en) 2003-08-02 2004-08-02 Plasma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24A KR20050017676A (ko) 2003-08-02 2003-08-02 플라즈마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676A true KR20050017676A (ko) 2005-02-23

Family

ID=3427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24A KR20050017676A (ko) 2003-08-02 2003-08-02 플라즈마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057160A1 (ko)
KR (1) KR200500176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3172C (zh) * 2006-01-05 2008-10-01 浙江大学 薄型等离子体面光源灯
ITTO20120993A1 (it) * 2011-11-25 2013-05-26 Selex Sistemi Integrati Spa Dispositivo a catodo freddo emettitore di elettron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272A (en) * 1991-08-30 1993-08-03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DC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GB9502435D0 (en) * 1995-02-08 1995-03-29 Smiths Industries Plc Displays
US6548962B1 (en) * 1997-08-19 2003-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s discharge panel
KR100731031B1 (ko) * 2000-12-22 2007-06-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면발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438831B1 (ko) * 2001-11-22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평판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57160A1 (en)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316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JP36988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263857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280704B1 (ko) 플라즈마표시장치
KR20010039822A (ko) 제어된 유지 전극을 갖는 평판 표시장치
JP2000188063A (ja)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625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17676A (ko) 플라즈마 램프
KR20020026653A (ko) 격벽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74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방전 평판 램프
CN100463095C (zh) 等离子体显示屏的制造方法
KR1003258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26385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JP319374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36887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42029A (ja) 面放電型放電表示装置
KR1006587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92842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방법
KR1003812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전압구동 고전압 스위치장치 및 구동방법
KR1006476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638126A2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plasma pipe
KR100515840B1 (ko) 격벽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220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244151B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