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089A -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 Google Patents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089A
KR20050017089A KR10-2005-7000333A KR20057000333A KR20050017089A KR 20050017089 A KR20050017089 A KR 20050017089A KR 20057000333 A KR20057000333 A KR 20057000333A KR 20050017089 A KR20050017089 A KR 2005001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port element
outlet
liqui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델네보아날리사
칼레피루카
Original Assignee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브로 룬디아 아베 filed Critical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to KR10-2005-700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089A/ko
Publication of KR2005001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joining a flexible tube to a rigid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의 주입 라인을 위한 강성의 지지 요소에 관한 것으로, 이 지지 요소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배관(18)의 제1의 구간을 붙들 수 있는 제1 및 제2의 부분(20, 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의 부분(20)은 기상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유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분리기(1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는 지지 요소와, 하나는 친수성이고 하나는 소수성이면서 서로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막 상에 형성된 수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A SUPPORT ELEMENT FOR AN EXTRACORPOREAL FLUID TRANSPORT LINE}
본 발명은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와, 특히 의료용 주입 장치(infusion device)에 사용되는 체외 유체 이송 라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 요소와 라인은, 예컨대 투석 및/또는 혈장 반출용 장치(plasmapheresis) 등의 혈액의 체외 처리 장치에 사용되어 이들 장치와 관련되는 체외 혈액 순환기기(extracorporeal blood circuit)에 연결될 수 있는 주입 라인(infusion line)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 요소와 문제의 라인은 또한 환자의 혈관계(vascular system)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주입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적인 주입 라인은 특정의 주입액을 담고 있는 백을 체외 혈관 순환기기에 혹은 바늘, 카테테르 등의 통상적인 엑세스 수단(acess means)을 통해 환자에 직접 연결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 구간을 포함한다. 예컨대, 호스팔 인더스트리(Hospal Industrie) 명의의 미국 특허 제5,698,090호에는 교환액을 담고 있는 백을 포함하는 주입 라인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 라인은 주입액이 체외 혈액 순환기기의 정맥 지류로부터 획득한 혈액과 조합될 수 있는 수집 챔버(혹은 기포 트랩(bubble trap))까지 이르게 된다.
상기 수집 챔버는 액체-공기 분리 공정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환자로 향하는 유해 가스 입자의 전파를 방지한다. 분리된 가스는 외부로 직접 방출될 수 있거나 수집 챔버의 상부에 연결된 공압 순환기기에 의해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하류에서, 주입액으로 농후해진 혈액은 환자의 심장 혈관계로 복귀한다.
수집 챔버는 그것이 적절한 기능을 할 경우 항시 특정의 최소량의 액체를 담고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고 소정의 액체 레벨이 수집 챔버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가스가 환자로 직접 이동하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이, 수집 챔버의 치수는 혈액 흐름이 저속이 되어 가스 입자가 기포 트랩의 상부로 이동하여 분리될 시간이 존재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수집 챔버는 주입 튜브의 방사방향의 치수보다 상당히 더 큰 방사방향의 치수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라인의 제조를 고려할 경우, 수집 챔버는 하나 이상의 피스로 만들어져야 하고 통상적으로 잔여의 라인과 별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입 라인을 형성하는 배관의 각종 구간과 수집 챔버의 각종 부분은 소정의 공정에 의해 조립되며, 이는 주입 라인의 총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전술한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안전 밸브, 예컨대 임계적인 상태가 기포 트랩 내에서 감지되자마자 배관을 폐쇄할 수 있는 클램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안전 밸브와 함께 상호 작용하는 레벨 센서 및/또는 기포 센서를 필요로 한다. 분명하게는, 상기 유체 수집 챔버는 최소량의 액체가 챔버 내에 존재할 때에만 공기를 액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만약 수집 챔버 내의 액체를 다 써버릴 경우(이것은 주입 펌프가 정확한 시간에 정지하지 않을 경우, 주입액을 다 써버리고 소정의 시간 이후에 불가피하게 발생함), 환자로 향한 가스의 이동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기포 트랩을 지닌 주입 라인들은 또한 이들의 용도와 관련하여 몇몇 중요한 양상을 지니는데, 튜브와 수집 챔버 양자는 예컨대, 혈액 처리 장치의 표면 패널에 정상적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어떤 경우에 적절한 지지부와 위치 설정 시스템에 고정되며; 특히 수집 챔버는 레벨 센서 및/또는 기포 센서와 상호 작용을 때 정확한 방법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작동에 있어서, 사용 준비를 위해 라인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상당한 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끝으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집 챔버를 구비한 라인들은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완성을 위하여, 친수성 막(hydrophilic membrane)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인접한 챔버를 형성하는 동시에 액체와 가스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를 위한 입구를 구비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공기-액체 분리기가 공지되어 있다는 것이 또한 언급되어야 한다. 액체는 친수성 막을 통과하여 출구를 빠져 나올 수 있다. 제1 챔버에 도달하는 가스는 친수성 막의 상류에 위치한 제2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막(hydrophobic membrane)은 이들 구멍에서 사용되어 액체가 그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장치는 가스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가 2개의 부분, 즉 제2의 챔버에 마련된 출구로부터 드러나는 액체상과, 제1의 챔버에 마련된 제2의 구멍을 통해 방출되는 가스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전술한 공기 분리기 장치는 가스를 분리하기 위해 그 내부에서 정체되는 일정한 액체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시 말해서, 분리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는 라인을 따라 머무르는 액체와,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로 연속적으로 분할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라인과 지지 요소를 사용하는 주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굴곡된 배관 구간을 지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도 1의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기 지지 요소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지지 요소 부분만을 떼어내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지지 요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을 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9는 일부 구성 요소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다른 일부 구성 요소들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를 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선 ⅩⅠ-ⅩⅠ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7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선 ⅩⅢ-ⅩⅢ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9의 도면으로부터 떼어낸 지지 요소의 일부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 경제적인 구조를 지니고, 전술한 모든 문제점을 극복한 신규한 지지 요소와 신규한 주입 라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하는 주입 라인에 있어서 주입 포인트의 상류에서 유체를 수집하기 위한 챔버의 사용이나 임의의 광학 혹은 초음파 레벨 센서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스 분리 기능과 협동하는 지지 요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과 관련한 에러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로 줄이는 동시에 전술한 요소를 사용하는 라인의 설치 단계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신규한 지지 요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론적으로 라인을 따른 유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추가의 시스템(클램프 혹은 다른 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그것이 사용될 라인 내에서 효과적인 안전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신규한 지지 요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주입 백에 담긴 액체를 다 써버렸을 때 하나의 백을 다음의 백으로 교환하는 간단한 수단과 함께 복수 개의 백이 합체되도록 해주는 주입 라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설명에 따른 지지 요소와 이 지지 요소를 사용하는 주입 라인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와 이 지지 요소를 사용하는 주입 라인의 양호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환자에게 주입될 특정양의 액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4)를 포함하며; 특히 주입 포인트(5)가 체외의 혈액 순환기기의 특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거나 혹은 그 대안으로 환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의료용 주입 장치(3)와 결합될 수 있는 지지 요소(1)와 주입 라인(2)에 대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주입 장치(3)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클램프 등의 대응하는 차단 요소(6)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주입 포인트와 잇달아 유체 연통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 등의 계량 장치(7)가 주입 액체 컨테이너 혹은 컨테이너들의 총 중량을 검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혹은 컨테이너들과 함께 작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 신호는 처리 중에 상기 밸런스(7)에 의해 측정된 총 중량과 관련되는 신호이다.
상기 신호는 계량 장치에 결합된 제어 유닛(8)으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 유닛(8)은 예컨대, 규칙적인 간격과 같이 한정된 시간 간격에서 밸런스에 의해 측정된 중량을 샘플로 만들고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라인을 통해 흐르는 실제 흐름을 측정하는 동시에 그 실제 흐름과 희망했던 흐름 사이에서 불일치성을 발견할 때마다 상기 라인과 결합된 이동 수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예컨대, 연동 펌프(9)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컨대 중력 작용이 있을 경우 전자석 클램프 등의 유량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희망하는 흐름은 사용자에 의해 혹은 제어 유닛(8)에 미리 프로그램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떤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밸브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8)은 주입 액체 컨테이너의 실제 중량의 감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라인을 따라 희망하는 흐름을 달성하기 위해 이동 수단을 조절할 수 있다.
각각의 컨테이너(4) 내용물의 총 중량은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 유닛(8)은 또한 해당하는 제어 절차를 실시하기 위해 적어도 컨테이너가 비었거나 주입의 종료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주입 라인(2)을 따라 유체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수단[연동 펌프(9)]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및/또는 컨테이너가 비었거나 특정 용량의 액체를 소모하였다는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3)가 2개 혹은 그 이상의 액체 컨테이너(4)를 포함할 경우, 주입 라인(2)은 해당하는 컨테이너를 라인(2)의 공동 부분(2b) 나아가 주입 포인트(5)와 유체 연통 상태로 가져가도록 각각 설계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기부(2a)를 또한 구비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분기부는 유체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로 스위칭될 수 있는 흐름 차단 요소(6)를 구비한다.
흐름 차단 요소(6)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유닛(8)에 의해 순차적으로 명령이 내려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유닛은, 컨테이너가 빈 상태라고 검출할 때, 이것이 빈 컨테이너에 연결된 분기부(2a)에 배치된 차단 요소(6)의 폐쇄 명령을 내릴 수 있고, 또 액체가 존재하는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분기부(2a)에 배치된 차단 요소(6)들 중 하나의 개방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모든 컨테이너가 비워졌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문제의 주입 장치는 컨테이너(4) 혹은 컨테이너들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가스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주입 라인(2)에 배치된 연속적인 유체 장치(10)를 포함하는데; 이 분리기는 컨테이너(4)로부터 공급된 외부의 임의의 기포를 분리 및 외부로 방출하면서 단지 액상 부분만이 주입 라인(2)을 따라 계속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내의 주입 액체가 소모되었을 때, 상기 분리기(10)는 임의의 가스를 받아들여 그것을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상기 분리기가 작동하고 있는 구간의 하류로 기상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적인 분리기(10)는 수용체(11)를 포함하며, 이 수용체는 컨테이너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12)와, 상기 흐름의 액상 부분을 받아들여 그것을 분리기의 하류로 주입 포인트로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의 출구(13)와, 상기 유체의 기상 부분을 받아들여 그것을 외부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의 출구(14)와, 그리고 상기 입구(12)와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를 기상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연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선택 수단(15)을 구비한다.
상기 선택 수단(15)은, 일측면(16a)이 제1의 출구(13)와 대면하고 타측면(16b)이 입구(12)와 대면함으로써 유체를 받아들여 단지 액체만을 제1의 출구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막(16)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 수단(15)은 또한 일측면(17a)이 제2의 출구(14)와 대면하고, 타측면(17b)이 또한 입구(12)와 대면함으로써 유체를 받아들여 단지 기체만을 제2의 출구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막(17)을 포함한다.
주입 라인(2)의 연장 부분을 참조하면, 상기 연속적인 분리기(10)는 이동 수단[연동 펌프(9)]과 주입 포인트(5)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특히 이동 수단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첨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주입 장치(3)는 라인(2)의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양측 부분들을 지탱하는,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동 수단[연동 펌프(9)]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강성의 지지 요소(1)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강성의 지지 요소(1)는, 배관(18)의 제1의 구간이 굴곡 형상을 취하면서 특정의 축방향 연장부를 지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의 구간을 지탱한다.
상기 지지 요소(1)는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양측 부분들의 중간 라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그리고 제1의 구간이 쉽게 연동 펌프(9)의 회전자 둘레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만들기 위해 상기 라인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배관(18)의 상기 제1의 구간의 상류에서, 주입 라인(2)은 컨테이너(4)와 강성의 지지부(1) 사이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구간과 유체 연통 상태로 배치된 배관(19)의 제2의 구간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19)의 제2의 구간은 단일의 액체 컨테이너(4)에 연결된 단일의 덕트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컨테이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기부(2a)로 결국에는 분기될 수 있다.
이하에는 상기 강성의 지지 요소(1)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할 것이며, 이지지 요소(1)는 수용체(11)를 형성하는 제1의 측부(20)와, 라인(2)의 제1 및 제2의 구간(18, 19)의 대응하는 단부들이 고정되어 있는 관형의 프로파일의 제2 측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의 측부(22)와 제1의 측부(20)는 지지벽(도시 생략)에 상기 강성의 지지부를 부착하기 위한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4)이 마련되어 있는 강성의 크로스 피스(23)에 의해 견고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강성의 크로스 피스(23)는 배관(18)의 제1의 구간이 놓이게 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평행하다.
제1의 측부(20)에 의해 형성된 수용체(11)는 한편으로는 입구(12)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1 및 제2의 출구(13, 14) 사이에서 있는 유체를 위한 통로(27)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상호 작용하는 기부(25)와 덮개부(2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기부(25)는 통로(27)가 외부와 유체 연통 상태로 놓이게 하기 위한 관통 채널(28)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통 채널(28)은 지지 요소(1)가 놓인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며, 기부(25)의 주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주입 장치(3)가 작동 조건으로 연동 펌프(9)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채널(28)은 기부의 최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 내의 통로(27)는 실질적으로 친수성 막(16)에 의해 2개의 절반부들 혹은 챔버(27a, 27b)로 분할되어 있다.
채널(28)의 특수한 위치 설정으로 인해, 채널(28)은 임의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통로가 그 속으로 분할되는 챔버(27a)(흐름 방향에 대해 상류에 위치)의 최상부의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소수성 막(17)은 수용체의 내부와 대면하는 채널(28)의 입구 구역에서 작동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기부(25)는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일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해 관련된 제1의 관형 커넥팅 요소(29)를 포함하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차례로, 상기 덮개부(26)는 제1의 관형 요소(29)의 연장부의 축에 대해 경사진 연장 축을 지닌 관련된 제2의 관형 커넥팅 요소(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의 커넥팅 요소(30)는 예컨대, 루어(Luer) 커넥터 등과 같이 제거 가능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고, 혈액 처리 유닛(34)의 상류 혹은 하류에서 체외의 혈액 순환기기(33)의 예컨대, T형 형태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외 혈액 순환기기(33)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을 분리기(10)의 하류에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는 체외 혈액 순환기기에 결합된 센서 시스템에 의해 검출을 곤란하게 만드는 임의의 있음직한 본의 아닌 방해를 방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리기의 하류에 배치된 임의의 주입 액체 이송 튜브는, 이 튜브가 막힐 경우 소정의 기간 동안 압력 응력을 발생시킬 것이고, 분리기(10)와 특히 액체 밀봉뿐만 아니라 막(16, 17)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강성의 지지부(1)는 얇기 때문에 전체 라인은 매우 작은 용량을 차지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스템의 효율은 수용체(11)의 특별한 구조체와 막(16, 17)의 위치들에 의해 줄어들지 않으며; 특히 친수성 막(16)은 기부(25)와 덮개부(26)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전체의 수용체(11)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장하며; 상기 기부(25)와 덮개부(26)는 대응하는 기부 벽(25a, 26a)과, 유체가 이송될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기부 벽으로부터 돌출하면서 대응하는 주변의 가장자리(25b, 26b)를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막(16)은 상기 기부 벽(25a, 25b)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그 벽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이에 따라 평면도에서 바라본 수용체(1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활동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11)는 기부의 기부 벽(25a)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덮개부의 기부 벽(26a)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부(25)에 결합된 상기 돌출부(31)는 기부의 기부 벽(25a)의 표면 위로 균일하게 분포된 이를 포함하는 반면에, 덮개부(26)에 결합된 상기 돌출부(32)는 액체의 흐름을 제1의 출구(13)로 향해 안내하기 위한 모나게 이격된 편향기를 포함한다.
구조에 있어서, 수용체의 기부(25), 강성의 크로스 피스(23) 및 제2의 측부(22)는 단일의 피스로 구성되는 반면, 덮개부(26)는 친수성 막(16) 및 소수성 막(17)이 정위치에 놓인 이후에 기부(25)에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의 지지 요소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3)와 같이 주입 장치(3)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배관(19)의 제1의 구간의 단부의 일부뿐만 아니라 주입 라인(2)의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반대편 부분들과 맞물린다.
간단하고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려는 이유로 인해, 도 7 이후의 도면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지지 요소와 마찬가지로 도면 부호 "1"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도 7 이후의 도면에서,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유사한 제2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번호를 채택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10)에는 체외 유체의 흐름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흐르는 역류를 방지하도록 미리 설치된 체크 밸브(36)가 합체되어 있다.
상기 체크 밸브(36) 혹은 일방향 밸브는 액체가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10)에 의해 가스 부분으로부터 이미 분리된 이후에 액상 부분 라인을 따라 미리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36)는 분리기의 선택 수단(15)과 제1의 출구(13)(액체 출구) 사이에 포함된 영역에서 분리기의 수용체(1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체크 밸브(36)는 액상 부분이 통과하게 될 액체 통로 입구(35)에 작용하는 가동성의 폐쇄기 기관(37)을 포함한다. 상기 폐쇄기 기관(37)은 디스크 모양으로 엘라스토머 물질(예컨대, 실리콘)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폐쇄기 기관(37)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기와 함께 상기 통로 입구(35)의 일측면 상에서 연통하는 챔버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희망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름이 존재할 때, 상기 폐쇄기 기관(37)은 자동적으로 액체 통로 입구(35)를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하기 때문에 체외 순환기기(33) 내의 유체는 분리기(10)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폐쇄기 기관(37)을 에워싸는 상기 챔버는 또한 폐쇄기에 의해 차단될 가능성이 없이 액체 통로 입구(35)의 타측면 상에서 분리기의 제1의 출구(13)와 연통한다. 상기 체크 밸브(36)에는 폐쇄기(37)의 제1의 출구(13)와의 연통을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폐쇄 방지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폐쇄기(37)를 포함하는 챔버의 경계를 정하는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8)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돌출부(38)는 바퀴의 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L자형으로 폐쇄기(37)를 측방향으로 포함하도록 협동한다.
액체 통로 입구(35)는 수용체(11)의 덮개부(26)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통로 입구(35)는 덮개부(26)의 기부 벽(26a) 상에 배열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상기 친수성 막(16)은 거리를 둔 위치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용체(11)는 내부적으로 입구(12)와 제1의 출구(13) 사이에 유체 통로(27)를 제공한다. 이 유체 통로(27)는 입구(12)와 친수성 막(16) 사이에 포함된 상류 부분(27a)과, 친수성 막(16)과 제1의 출구(13) 사이에 포함된 하류 부분(27b)을 구비한다. 통로 입구(35)가 마련되어 있는 기부 벽(26a)은 유체 통로의 하류 부분(27b)의 경계를 정한다.
통로 입구(35)는 유체 입구(12)에 반대인 기부 벽(26a)(도 14 참조)의 측단부 영역에 위치한다.
기부 벽(26a)의 내측에 배열된 돌출부(32)는 통로 입구(35)까지 도달하는 제1 그룹의 돌출부와, 통로 입구(35)를 너머 배열된 제2 그룹의 돌출부로 세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그룹의 돌출부에서 돌출부(32)는 서로 평행하면서 라인과 일치하고 통로 입구(35)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액상 부분의 경로의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개의 평행한 선형 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그룹의 돌출부에서 돌출부(32)는 치형부, 톱니 모양이며, 점 혹은 작은 세그먼트와 같이 형성되어 있고 통로 입구(35)의 중심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제1의 출구(13)는 L형의 출구 도관(21)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상단부는 지지 요소(1)의 라이면(lie plane)에 대해 경사진 축을 구비한다. 출구 도관(21)은 수용체의 덮개부(26)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의 출구(14)(breather)에 작용하는 소수성 막(17)은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하며, 여기서 상부라는 표현은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라이면이 수직인 사용 배치(use configuration)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사용 배치에서, 소수성 막(17)은 상류 부분(27a)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상향을 향한다.
사용 배치에서, 소수성 막(17)은 수평의 라이면을 지니는 반면 친수성 막(16)은 수직의 라이면을 지닌다.
소수성 막(17)은 친수성 막(16)의 작동 여과면의 가장 높은 지점 위에 자리한다. 친수성 막(16)의 작동 여과면은 기부(25b)의 주변의 가장자리와 덮개부의 주변의 가장자리(26b) 사이에 구속되어 있는 친수성 막(16)의 주변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은 한 쪽 치수가 다른 두 쪽 치수보다 더 작고, 라이면은 친수성 막(16)에 평행한 평탄한 배치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사용 배치에서는 수직이 된다.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은 소수성 막(17)이 작동하는 곳인 가스를 위한 상부의 제2의 출구(14) 반대편에서 상류 부분(27a) 자체의 하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 입구를 구비한다.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의 통로 구역은 소수성 막(17)의 방향으로 바닥에서 꼭대기로, 그 다음 제2의 출구(14)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소수성 막(17)에 의해 상부로 경계가 이루어진 상류 부분(27a)의 상단 영역은 여과하는 친수성 막(16)의 상부 가장자리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수성 막(17)을 통해 유체 통로(27)의 상류 부분(27a)을 외측 대기와 연통 상태로 있도록 배치하는 관통 챔버(28)는 지지 요소(1)의 라이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종축을 지니는 동시에 덮개부(26)의 날개(26c)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날개(26c)는 덮개부(26)의 주요 본체의 라이면의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덮개부(26)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관통 통로(28)는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균일하게 분포된 수직축의 구멍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소수성 막(17)은 주변의 가장자리의 도움으로 정위치에 유지되며, 기부(25)의 상부 입구와 덮개부(26)의 날개(26c) 사이에 구속된다.
상류 부분(27a)의 경계를 정하는 기부의 기부 벽(25a)은 제2의 출구(14)의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사진 중앙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사 덕분에,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은 상부를 향해 바닥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통로 섹션을 지니는 동시에 제2의 출구(14)의 수직 아래에 배열된 중심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중심 영역에서, 돌출부(31)(친수성 막(16)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32)와 협동하는 돌출부)의 높이는 상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중심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31)는 치형이고, 수평 방향으로 그들 사이에서 서로 엇걸려 있다. 상기 치형은 예컨대, 수직열로 배열된 상태로 예리하게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평면도(도 9 참조)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된 짧은 세그먼트일 수도 있고; 측단부 영역에서는 분리기 유체 입구(12)에 근접하며, 상기 돌출부(31)는 수평으로 배열된 라인(도 9의 우측 참조)들이며; 유체 입구 반대편의 또 다른 측단부 영역에서는, 돌출부(31)가 C형으로 하나 속에 하나가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C형의 아암들이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도 9의 좌측 참조).
직선형의 돌출부(31)는 제2 출구(14) 아래에 놓이고 유체를 상류 부분(27a)의 중앙 영역을 향해 안내하는 직선형의 도관을 형성한다. 상기 C형 돌출부(31)는 중앙 영역을 향해 유체를 인도하는 C형 도관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31, 32)들은 친수성 막의 양측면(16b, 16a)을 위한 2개의 안착면을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막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2 출구(14)와 유체 입구(12)의 특별한 구조와 정합 뿐만 아니라 상류 부분(27a)의 특별한 구조와 정합은 상대적으로 치밀한 공간만을 차지하면서 유체로부터 가스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체(11)는 지지 요소(1) 내에 결합되고, 제1의 측부(20)에서 제2의 측부(22)로 횡방향으로 우세하게 확장한다. 상기 유체 입구(12)는 제1의 측부(20) 내에 위치하는 반면에 액체만을 위한 제1의 출구(13)는 확장 부분의 중간 라인 아래에서 제2의 측부(22)에 근접하게 전술한 횡방향의 확장 부분의 측단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친수성 막(16)이 큰 활동 여과면을 갖도록 해주며, 지지 요소(1)의 전체 질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강성의 크로스 피스(23) 상의 공간 전체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가스를 위한 제2의 출구(14)는 수용체(11)의 횡방향 확장부의 중간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체크 밸브(36)의 특성은 역류를 방지하는 데 있으며; 특히 체크 밸브(36)는 체외 순환기기(33)로부터 주입 라인(2)으로 혈액의 통과에 따라 발생할 어떠한 위험성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해준다. 이러한 위험성은 연동 펌프(9)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그것의 폐색 능력, 즉 배관과 펌프 롤러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있는 배관의 가요성 벽을 압박하는 효과에 의해 배관(18)의 제1의 구간을 차단하는 기능에 손실이 올 경우 특히 높다. 이러한 폐색 능력이 없을 경우, 혈액은 주입 라인을 통해 심지어 컨테이너(4)까지 체외 기기(33)로부터 흐르게 되어 환자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게 된다.
더욱이, 체크 밸브(36)를 사용함으로써, 체외 기기(33)로부터 주입 라인(2)으로, 특히 연동 펌프(9)와 주입 포인트(5) 사이에 포함된 주입 라인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미량의 혈액 유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황은 압력이 강하하는 작동 상태 동안 혈액 누설의 위험성이 있으면서, 주입 라인(2) 내에 일정하지 않는 압력을 유발하는 연동 펌프(9)의 작동 모드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다.
두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및 액체용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1)는 지지 요소(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관(19)의 제2의 구간과 유체 연통 상태로 배관(18)의 제1의 구간을 지지하기 위해 미리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주입 장치(3)의 일부인 주입 라인(2) 내에 포함된 지지 요소(1)에 구속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지지부(1)와 반드시 일체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지지부와 독립적으로 유체 이송 라인에 포함된 구조이면서, 이송된 유체로부터 탈기를 위한 전술한 것과 상이한 공기-액체 분리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를 생략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크 밸브(36)는 공기-액체 분리기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지만, 그 대신 분리기 뒤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입 라인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 요소
2 : 주입 라인
2a : 주입 라인의 분기부
2b : 주입 라인의 공통 부분
3 : 주입 장치
4 : 컨테이너
5 : 주입 포인트
6 : 흐름 차단 요소
7 : 계량 장치
8 : 제어 유닛
9 : 연동 펌프
10 :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혹은 탈기 장치)
11 : 분리기 수용체
12 : 분리기 입구(유체 입구)
13 : 분리기 제1의 출구(액체 출구)
14 : 분리기 제2의 출구(가스 출구)
15 : 분리기 선택 수단
16 : 친수성 막(액상 부분 통과)
16a : 액체 출구와 대면하는 친수성 막의 일측면
16b : 유체 입구와 대면하는 친수성 막의 타측면
17 : 소수성 막(가스 부분 통과)
17a : 가스 출구와 대면하는 소수성 막의 일측면
17b : 유체 입구와 대면하는 소수성 막의 타측면
18 : 배관(펌프 세그먼트)의 제1의 구간
19 : 배관의 제2의 구간
20 : 지지 요소의 제1의 측부
21 : 출구 도관
22 : 지지 요소의 제2의 측부
23 : 지지 요소의 강성의 크로스 피스
24 : 지지 요소의 관통구
25 : 수용체의 기부
25a : 기부의 기부 벽
25b : 기부의 주변의 가장자리
26 : 수용체의 덮개부
26a : 덮개부의 기부 벽
26b : 덮개부의 주변의 가장자리
26c : 상부의 횡단 날개
27 : 수용체 내의 유체 통로
27a : 친수성 막의 유체 통로 상류 절반부
27b : 친수성 막의 유체 통로 하류 절반부
28 : 수용체 내의 관통 채널
29 : 제1의 관형 연결 요소
30 : 제2의 관형 연결 요소
31 : 수용체 기부에 결합된 돌출부
32 : 수용체 덮개부에 결합된 돌출부
33 : 체외 혈액 순환기기
34 : 혈액 처리 유닛
35 : 액체 통로 입구
36 : 체크 밸브
37 : 가동성 폐쇄기 기관
38 : 체크 밸브 돌출부

Claims (40)

  1.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로서:
    배관(18)의 적어도 제1의 구간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이송 라인(2)의 해당 부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의 측부 및 제2의 측부(20, 22)와;
    상기 측부(20, 22)를 연결하기 위한 강성의 크로스 피스(23)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의 측부(20)에는 유체를 기상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는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10)가 통합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10)는,
    -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12)와;
    - 상기 유체의 액상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제1의 출구(13)와;
    - 상기 입구(12)와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를 기상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선택 수단(15)
    을 구비하는 수용체(11)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수용체(11)는 상기 유체의 기상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제2의 출구(14)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15)은 일측면(16a)이 상기 제1의 출구(13)와 대면하고 일측면(16b)이 상기 입구(12)와 대면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유체를 받아들여 액체만을 상기 제1의 출구(13)를 향해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막(16)을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15)은 일측면(17a)이 상기 제2의 출구(14)와 대면하고 일측면(17b)이 상기 입구(12)와 대면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유체를 받아들여 가스만을 상기 제2의 출구(14)를 향해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막(17)을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18)의 제1의 구간은 만곡된 형상과 특정한 축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인 지지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측부(22)는 관형의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배관(18)의 제1의 구간의 일단부와 상기 배관(19)의 제2의 구간의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는 상기 입구(12)와 상기 제1 및 제2의 출구(13, 14) 사이에 유체를 위한 통로(27)를 형성하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는 기부(25)와 덮개부(26)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25)는 상기 통로(27)를 외부와 유체 연통 상태로 배치하기 위한 관통 채널(28)을 형성하며, 상기 소수성 막(17)은 상기 채널 내에서 동작하는 것인 지지 요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25)는 통합된 제1의 관형 연결 요소(29)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의 관형 연결 요소(29)의 연장부 축에 대해 경사진 연장부의 축을 갖는 통합된 제2의 관형 연결 요소(30)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막(16)은 상기 기부(25)와 덮개부(26)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체(11)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25)와 덮개부(26)는 대응하는 기부 벽(25a, 26a)과, 상기 기부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대응하는 주변의 가장자리(25b, 26b)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막(16)은 상기 기부 벽(25a, 26a)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그 기부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지지 요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는 상기 기부의 상기 기부 벽(25a)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31)를 구비하는 것인 지지 요소.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덮개부의 기부 벽(26a)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32)를 구비하는 것인 지지 요소.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돌출부(31)는 상기 기부의 기부 벽(25a)의 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치형부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돌출부(32)는 상기 제1의 출구(13)를 향해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소정 각도로 간격을 두고 있는 편향기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18.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기부(25), 상기 강성의 크로스 피스(23) 및 상기 제2의 측부(22)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인 지지 요소.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의 크로스 피스(23)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며, 상기 배관(18)의 제1의 구간이 놓인 평면에 평행한 것인 지지 요소.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유체 분리기(10)에는, 원하는 이송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이송 라인(2) 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36)가 통합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6)는 상기 유체 분리기(10)에 의해 상기 액상 부분이 상기 기상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난 후에 상기 액상 부분의 경로를 따라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2. 제2항 및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6)는 상기 선택 수단(15)과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 포함된 영역에서 상기 수용체(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6)는 상기 액상 부분의 통로 입구(35) 상에서 동작하는 가동성 폐쇄기 기관(37)을 포함하는 것인 지지 요소.
  24. 제8항 및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입구(35)는 상기 수용체(11)의 덮개부(26)에 결합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15)은 상기 덮개부(26)의 기부 벽에 대면하면서 그 벽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막(16)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 입구(35)는 상기 기부 벽(26a)에 결합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6. 제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는 상기 분리기 입구(12)와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서 유체 통로(27)를 내부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소수성 막(17)은 상기 친수성 막(16)의 상류에 배치된 유체 통로부(27a)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소수성 막(17)은 상기 배관(18)의 제1의 구간이 수직한 라이면(lie plane)을 갖게 되는 지지 요소(1)의 사용 배치와 관련하여 상방으로 대면하는 것인 지지 요소.
  27. 제26항에 있어서, 유체의 통로를 위한 상기 상류의 통로부(27a)는 상기 소수성 막(17)을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지지 요소.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막(17)은 상기 친수성 막(16)의 작동 표면의 상부 지점에 대해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29. 제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는 상기 제1의 측부(20)에서 상기 제2의 측부(22)로 진행하는 횡방향으로 널리 퍼진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출구(13)는 상기 제2의 측부(22)에 인접하게 상기 횡방향 확장부의 측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출구(14)는 상기 횡방향 확장부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지지 요소.
  31. 제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막(17)은 상기 배관(18)의 제1의 구간이 수직한 라이면을 갖게 되는 사용 배치와 관련하여 수직한 라이면을 구비하는 것인 지지 요소.
  32. 가스-액체 분리기(10)로서,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12)와, 상기 유체의 액상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제1의 출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12)와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서 유체 통로(27)를 그 내부에 제공하는 수용체(11)와;
    상기 유체 통로(2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여과 요소(16)로서, 상기 여과 요소의 일측면(16a)은 상기 제1의 출구(13)와 대면하고, 상기 여과 요소의 타측면(16b)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13)와 대면하여, 상기 유체를 받아들이고 액체만을 상기 제1의 출구(13)를 향해 전달하고, 상기 유체 통로(27)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12)와 상기 여과 요소(16)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과, 상기 여과 요소(16)와 상기 제1의 출구(13)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통로의 하류 부분(27b)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 요소(16)와;
    상기 유체의 기상 부분을 받아들이도록 상기 유체 통로(27)의 상류 부분(27a)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통기구인 적어도 제2의 출구(14)를 포함하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출구(14)는 상기 유체 통로(27)의 상기 상류 부분(27a)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부는 상기 분리기(10)의 사용 배치를 기준으로 의미하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의 상류 부분(27a)의 적어도 일부는 그것의 사용 배치에 관하여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통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요소(16)는 친수성이면서 평탄하며, 라이면은 그것의 사용 배치에 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출구(14)에 작용하는 소수성 요소(17)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요소(16)와 소수성 요소(17)는 평탄하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라이면을 구비하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입구(12)는 그것의 사용 배치에 관하여 상기 유체 통로(27)의 상류 부분(27a)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는 상기 유체 통로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여과 요소(16)의 양측면(16b, 16a)과 대면하는 적어도 2개의 기부 벽(25a, 26a)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 요소(16)는 상기 기부 벽(25a, 26a)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있으며, 복수 개의 돌출부(31, 32)는 상기 여과 요소(16)의 양측면(16b, 16a)을 위한 2개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상기 기부 벽(25a, 26a)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가스-액체 분리기.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요소(1)를 포함하는 것인 주입 라인.
  40. 제39항에 있어서,
    - 환자로 주입될 액체의 컨테이너(4)와;
    - 상기 컨테이너(4)와 강성의 지지 요소(1) 사이에서 연장하고 배관(18)의 제1의 구간과 유체 연통 상태로 위치되는 배관(19)의 제2의 구간
    을 포함하는 것인 주입 라인.
KR10-2005-7000333A 2002-07-09 2003-06-12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KR20050017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333A KR20050017089A (ko) 2002-07-09 2003-06-12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2A001498 2002-07-09
ITMO2003A000106 2003-04-18
KR10-2005-7000333A KR20050017089A (ko) 2002-07-09 2003-06-12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089A true KR20050017089A (ko) 2005-02-21

Family

ID=4178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333A KR20050017089A (ko) 2002-07-09 2003-06-12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0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662B2 (en) Infusion device for medical use
EP1525400B1 (en) A support element for an extracorporeal fluid transport line
US10471194B2 (en) Dialysi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0586494C (zh) 整体化血液处理模块
CN101668555B (zh) 压力传感装置及其在连接结构中的应用
KR20060070383A (ko) 가스 분리 장치
KR20060120089A (ko)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EP0552090A1 (en) Orientation-independent device and method for removal of gas for a cellular fluid
EP0042424A1 (en) Blood circuit and bubble traps
CN101444648A (zh) 用于血液透析机中的负压除气装置
KR101044298B1 (ko)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US6013060A (en) Intravenous liquid flow regulator
KR20050017089A (ko) 체외 유체 이송 라인용 지지 요소
US20020177786A1 (en) Blood collection device
WO2009104037A2 (en) An extracorporeal fluid circuit
WO2009104038A1 (en) An extracorporeal fluid circuit
CA2183111A1 (en) Prim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