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820A -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820A
KR20050016820A KR1020030053721A KR20030053721A KR20050016820A KR 20050016820 A KR20050016820 A KR 20050016820A KR 1020030053721 A KR1020030053721 A KR 1020030053721A KR 20030053721 A KR20030053721 A KR 20030053721A KR 20050016820 A KR20050016820 A KR 20050016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broadcasting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923B1 (ko
Inventor
김시중
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시중
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중, 지원철 filed Critical 김시중
Priority to KR102003005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9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923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공공장소에서의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어서, 음성방송이 배제되고 자막방송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주파수를 이용한 라디오 청취를 통해 음성방송을 가능케 하여도, 확장되는 컨텐츠를 충분히 수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계서버에 각 방송시스템의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두고, 이 데이터베이스는 이동통신수단으로의 컨텐츠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며, 각 방송시스템의 시간대별 안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중계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트리접근방식으로 각 방송시스템의 지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어느 특정 방송시스템이 지정된 경우 중계서버는 그 특정 방송시스템에서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으로 송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해당하는 컨텐츠의 선택과 방송청취가 가능하며, 방송시스템이 확장되어 컨텐츠가 증가되더라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특정 방송시스템의 지정과 음성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Audition Method and Audition System Using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공공장소에서의 방송에 있어서, 중계서버가 각 방송시스템의 서버에 매개되어 어느 특정 방송시스템이 이동통신수단으로부터 지정되는 경우 그 방송시스템의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영역에서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영상매체가 발달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지하철내에 방송이 공연실시되어 있으며, 지하교통이라는 폐쇄적인 공간에서 뉴스나 쇼프로 등을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하철 전동차용 정보전달 시스템(출원번호 10-2000-0048022)을 살펴보면, 이것은 인터넷망을 통해 취합, 편집된 동영상 정보신호나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방송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지하철 역사내의 중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정보신호를 운행중인 전동차로 전송하기 위해 지하철 터널벽 또는 지상의 철도레일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1 송수신기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정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차량인 전동차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송수신기; 및 각 전동차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동영상 정보신호를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각 단말기로 출력하는 다수의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서버들은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운행 중인 지하철에서 동영상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경기장 등에서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경기 관람과 더불어, 리플레이나 중요장면을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발전되어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송에서는 청취가 배제된 방송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개인별 디스플레이가 아닌 불특정 다수를 향한 일방적인 방송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예를 들어 지하철에 뉴스가 방송될 때, 뉴스를 시청하고 싶은 사람도 있는 반면, 이를 시청하고 싶지 않은 사람도 있게 되고, 또한 독서를 요하거나 자리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뉴스 시청을 원하는 사람들만을 위하여 음성방송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공개된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은 음성방송이 배제되고, 자막방송으로 음성방송을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방송 컨텐츠를 구속시키며, 중요한 정보전달 수단인 음성을 전달할 수 없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치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먼저, 자막방송은 음성청취를 시각에 의존토록 함으로써, 영상과 더불어 방송될 경우 정보전달력이 감소되는 자막방송 자체의 한계를 내포할 뿐더러, 효과음이나 현장음과 같은 음향의 전달이 곤란한 것이며, 자막방송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 부가가 자명하다.
특히, 음악프로의 청취가 곤란하며, 뮤직비디오에서 화면을 보는 것에 불과하여 다양한 프로의 제공이 곤란하다.
이에 지하철에서 방송청취가 가능토록 하는 이동 방송시스템 소리전달 방안(출원번호 10-2001-0064970)이 안출되어 있다.
이것은 이동방송시스템의 컨텐츠의 소리를 전동차나 버스 내부의 RF변환기를 거쳐, 각 특정의 주파수를 송수신겸 IC, Bluetooth Chip과 그리고 라디오 송신기를 통하여 컨텐츠의 소리를 수신자쪽 라디오나 송수신겸 IC, Bluetooth Chip이 장착된 핸드폰이나 PDA를 통해서 소리를 받아 듣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지하철 등의 이동방송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방송이 추세를 이루고 있는데, 지하철 전체 노선을 동일한 방송사가 담당하고 있을 것으로 보장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각 방송사 마다의 컨텐츠가 다르고, 그 방송에 따른 가용 주파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호선마다 이를 담당하는 방송사가 달라지게 되는 경우를 고려치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라디오 수신기를 통한 방송청취에 한계가 있고,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 목록을 확인할 수단도 미비하다.
더욱 확장되어, 지하철 뿐만 아니라 공개된 장소에서의 방송 역시 마찬가지이며, 단순히 블루투스 칩을 이용한 핸드폰으로의 방송청취는 다방면의 컨텐츠를 수용치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공장소에서 음성방송이 배제된 동영상 방송에 있어서, 중계서버가 각 방송시스템의 서버에 매개되어 어느 특정 방송시스템이 이동통신수단으로부터 지정되는 경우 그 방송시스템의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계서버에 각 방송시스템의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두고, 이 데이터베이스는 이동통신수단으로의 컨텐츠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며, 각 방송시스템의 시간대별 안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중계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트리접근방식으로 각 방송시스템의 지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어느 특정 방송시스템이 지정된 경우 중계서버는 그 특정 방송시스템에서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으로 송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방송청취가 가능하며, 방송시스템이 확장되어 컨텐츠가 증가되더라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특정 방송시스템의 지정과 음성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을 제공하며, 이동통신수단(18)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각 방송시스템(12)과 접속하여 음성정보취출을 수행하는 중계서버(14)와 접속하는 접속단계: 접속 후 방송정보컨텐츠가 수용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해당 방송시스템으로의 접속정보인 컨텐츠인덱스를 제공받는 컨텐츠인덱스 제공단계: 제공된 컨텐츠인덱스로부터 해당 방송시스템의 지정된 경우 중계서버(14)는 해당 방송시스템(12)의 서버에 접속한 다음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18)으로 송출하는 음성정보 수신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이다.
여기서 컨텐츠인덱스 제공단계는 상위그룹으로부터 하위그룹의 트리접근 지정으로 진행됨과 더불어, 최하위 대상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간별 방송안내가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영상단말기(10)를 통해 영상방송을 수행하는 각 방송시스템(12)의 서버와 연결되어 음성정보의 취출을 수행하는 중계서버(14)와: 이 중계서버(14)에 포함되어 방송시스템의 정보를 수용하고 이동통신수단(18)으로 특정 방송시스템을 지정하는 컨텐츠인덱스가 수용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중계서버(14)와 접속하여 음성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이동통신수단(18)에 제공되는 입출력수단으로서 트리접근방식의 컨텐츠인덱스모드(22)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시스템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방송청취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공공장소에서의 방송은 컨텐츠의 다양화와 방송사의 분화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추세에 마추어 각 방송시스템에 접속하는 중계서버를 통해 청취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중계서버(14)를 통해 각 방송시스템(12)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중계서버(14)에는 각 방송시스템(12) 정보가 수용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가 구비되며, 클라이언트의 지시에 따라 중계서버(14)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에 수용된 정보에 따라 방송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방송시스템(12)과 이동통신수단(18)을 매개시키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클라이언트인 이동통신수단(18)은 중계서버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컨텐츠인덱스를 제공받고 이동통신수단(18)에 컨텐츠덱스모드(22)가 구동된다.
여기서, 컨텐츠인덱스모드(22)는 방송시스템(12)에 따라 상위개념에서 하위개념의 트리구조로 그룹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지하철 방송이 확장됨에 따라 지하철 방송 그룹으로 분화될 것이며, 지하철의 호선에 따라 방송시스템이 구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 따라 하위개념으로 분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 지역과 대전, 부산 등 각 지역별로 방송사가 다를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유시장경쟁에 따라 서울의 호선별로 방송사가 달라질 수 도 있으며, 지하철 내부 방송과 지하철역 구내의 방송시스템도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어느 도시에서 어느 호선의 방송인가를 지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상위그룹에서 하위그룹으로 지정을 하고 최종 아이템을 지정하는 트리접근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에는 이러한 특정 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컨텐츠 인덱스와 접근정보가 수용되며, 중계서버(14)는 상기 트리접근방식에 따른 컨텐츠인덱스모드(22)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부가서비스로서 시간대별 안내정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방송안내의 참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텐츠인덱스모드(22)로부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특정한 방송시스템(12)을 지정하게 되며, 그 지시에 따라 중계서버(14)는 해당 방송시스템(12)과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공공장소에서 서버를 통해 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시스템이 확장되더라도 상위그룹과 해당 방송시스템의 인덱스 추가로 시스템 접속정보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를 통해 해당 방송시스템의 방송안내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시간대별 방송목록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인덱스 지정으로부터 중계서버는 해당 방송시스템에서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사용자에게 송출하며 사용자는 이로부터 음성정보를 얻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으로부터 이동통신을 이용한 방송청취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어느 특정 호선의 지하철 내의 영상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정보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서비스와 동시에 음성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수단(18)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중계서버(14)에 접속하면, 중계서버(14)는 먼저 컨텐츠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컨텐츠인덱스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지하철 내부에서는 무선인터넷망(24)과 중계기를 통해 단말기(10)에 영상정보가 송출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수단(18)에 제공되는 컨텐츠인덱스모드(22)에서 상위 인덱스로부터 하위 인덱스를 지정하여 특정호선을 지정하고 이를 중계서버(14)로 송출하면, 중계서버(14)는 그 특정 호선의 방송을 수행하는 서버와 접속하고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18)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모니터 등과 같은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얻게되며, 이와 동시에 이동통신수단으로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정보에 부합되는 음성정보를 얻게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 등에서 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시스템에 접속하는 중계서버를 두고 이 중계서버를 매개로 이동통신 수단으로부터 음성청취가 가능하도록 컨텐츠인덱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두어 영상방송과 동시에 이동통신수단으로부터 음성방송의 청취가 가능하며, 공공장소에서 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시스템이 확장되더라도 중계서버를 매개로 이동통신수단을 통한 방송청취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단말기, 12 - 방송시스템,
14 - 중계서버, 16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8 - 이동통신수단, 20 - 이동통신망,
22 - 컨텐츠인덱스모드, 24 - 무선인터넷망,

Claims (3)

  1. 이동통신수단(18)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각 방송시스템(12)과 접속하여 음성정보취출을 수행하는 중계서버(14)와 접속하는 접속단계: 접속 후 방송정보컨텐츠가 수용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해당 방송시스템으로의 접속정보인 컨텐츠인덱스를 제공받는 컨텐츠인덱스 제공단계: 제공된 컨텐츠인덱스로부터 해당 방송시스템의 지정된 경우 중계서버(14)는 해당 방송시스템(12)의 서버에 접속한 다음 음성정보를 취출하여 이동통신수단(18)으로 송출하는 음성정보 수신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컨텐츠인덱스 제공단계는 상위그룹으로부터 하위그룹의 트리접근 지정으로 진행됨과 더불어, 최하위 대상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간별 방송안내가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3. 공공장소에서 영상단말기(10)를 통해 영상방송을 수행하는 각 방송시스템(12)의 서버와 연결되어 음성정보의 취출을 수행하는 중계서버(14)와: 이 중계서버(14)에 포함되어 방송시스템의 정보를 수용하고 이동통신수단(18)으로 특정 방송시스템을 지정하는 컨텐츠인덱스가 수용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중계서버(14)와 접속하여 음성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이동통신수단(18)에 제공되는 입출력수단으로서 트리접근방식의 컨텐츠인덱스모드(22)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 시스템.
KR1020030053721A 2003-08-04 2003-08-04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8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721A KR100583923B1 (ko) 2003-08-04 2003-08-04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721A KR100583923B1 (ko) 2003-08-04 2003-08-04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820A true KR20050016820A (ko) 2005-02-21
KR100583923B1 KR100583923B1 (ko) 2006-05-26

Family

ID=3722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721A KR100583923B1 (ko) 2003-08-04 2003-08-04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77B1 (ko) * 2007-04-26 2008-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공장소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에 대한 음성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77B1 (ko) * 2007-04-26 2008-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공장소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에 대한 음성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923B1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0474B (zh) 通信系统
US69758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active Web Radio system that broadcasts a digital markup language
US8180277B2 (en) Smartphone for interactive radio
US20050210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spectators with audio/video signals pertaining to remote events
CN106537496A (zh) 终端装置、信息提供系统、信息呈现方法和信息提供方法
CA2404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preferred wagerers
US7562049B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ed from a remote location to vehicles
KR20060127459A (ko) 디지털방송 콘텐츠 변환 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및 그 방법
US7551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ipt of digital data in an analog signal
CN106537497A (zh) 信息管理系统和信息管理方法
KR20130074922A (ko)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한 멀티 디바이스간 프로그램 동기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N102439882A (zh) 广播接收机、广播接收机控制方法、广播电台确定方法、广播接收机控制程序、广播电台确定程序
EP12763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CN1448023B (zh) 访问信息的方法
KR100583923B1 (ko) 이동통신수단을 이용한 방송청취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588280A (zh) 一种网络游戏中的语音广播系统和方法
KR20030059034A (ko) 디지털 정보방송을 이용한 교통정보 지점방송 방식
US20060166617A1 (en) Broadcast data processing
EP1043911A2 (en) Provision of local information
GB2375263A (en) Monitoring of vehicle radio
KR20040019543A (ko)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해양 정보 방송 시스템 및그 방송 방법
JP4045554B2 (ja)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209201355U (zh) 商场广告的中介传输装置
KR20110029485A (ko) 음성 재생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시스템
KR100825972B1 (ko) 텔레비전 방송 및 인터넷 생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3